KR101542393B1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393B1
KR101542393B1 KR1020090013837A KR20090013837A KR101542393B1 KR 101542393 B1 KR101542393 B1 KR 101542393B1 KR 1020090013837 A KR1020090013837 A KR 1020090013837A KR 20090013837 A KR20090013837 A KR 20090013837A KR 101542393 B1 KR101542393 B1 KR 101542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evice
air
accommodation space
container
conden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4723A (en
Inventor
문정욱
최창규
이광희
박혜용
유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393B1/en
Publication of KR2010009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내에 제공되며,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순환하도록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제공되며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cessing cloth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A receiving space provided in the cabinet, the receiving space receiving the garment to be processed; An ai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dry air and supplying the dry air to circula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ntainer including a body configured to stor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an outlet provided in the body for discharging the stored condensed water, and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 the body adjacent to the outlet, Lt; / RTI >

의류처리장치, 응축수, 컨테이너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condensate, containe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처리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process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세탁된 의류의 후처리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이러한 세탁된 의류의 후처리 장치에 하나로서, 의류를 입기에 보다 좋은 상태로 만드는 장치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의류를 건조하며 더 나아가 구김, 냄새, 세균 및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건조한 공기 및 수분을 상기 처리공간내에 공급한다.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processing apparatuses have been used for post-processing of clothes washed together with washing machines for washing clothes.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is one such apparatus for post-treatment of laundered garments, and is a device for making garments in a better condition for wearing. The garment treating apparatus basically dries clothes, and can further remove wrinkles, odors, bacteria, and static electricity. More specificall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 processing cloth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upplies dry air and moisture into the processing space for processing clothes.

한편, 상기 건조공기는 외부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만들어지므로, 제거된 수분은 상기 의류처리장치내에서 응축된다. 이러한 응축수가 만일 상기 의류처리장치내에 잔류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부패하면서 곰팡이나 악취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요구된다. 또한, 응축수 잔류에 의한 곰팡이나 악취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출장치도 주기적으로 청소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이러한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rying air is produced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outside air, the removed moisture is condens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f such condensed water is left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condensed water is corrupted and mold or odor is generated. Therefore, a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is required fo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addition, in order to fundamentally prevent mold or odor from residual condensed water, the discharging device must be periodically cleaned and easily clean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장치를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evice for discharging generated condensed wa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청소될 수 있는 배출장치를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ischarge device that can be easily and effectively cleane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내에 제공되며,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순환하도록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제공되며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A receiving space provided in the cabinet, the receiving space receiving the garment to be processed; An ai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dry air and supplying the dry air to circula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ntainer including a body configured to stor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an outlet provided in the body for discharging the stored condensed water, and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 the body adjacent to the outlet, Lt; / RTI >

상기 배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경사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the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Further, the inclined portion can continuously extend from the outlet.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는 몸체에 제공되는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사부상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ontaine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or a user provided on the body, and may be installed on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섬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섬프내의 응축수를 그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mp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and th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condensed water in the sump into the inside thereof.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는 컨테이너에 모아져 효과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구조적 형상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는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청소될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collected in a container and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the container can be easily and effectively cleaned by the structural shape of the contain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공기 및 수분공급장치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ir and moisture supply devices.

먼저,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캐비넷(10) 내부에는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은 실제적으로 상기 캐비닛(10)내에 별도로 제공되는 인너 캐비넷(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인너 캐비닛(12)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인너 캐비닛(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용공간(20)도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수용공간(20) 및 인너 캐비닛(1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20)의 전방부는 개방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수용공간(20)은 이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입구를 가지며, 사용자는 상기 입구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수용공간(20)의 내부로 의류를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20)은 캐비넷(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 또는 캐비넷(10)의 외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First, the cabinet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eiving space 20 for accommodating clothes to be processed is formed in the cabinet 10. As shown in Fig. 1, the receiving space 20 is formed by an inner cabinet 12 which is actually provided separately in the cabinet 10. As shown in Fig. The inner cabinet 12 is fixed to the cabinet 10 and thus remains stationary. Like the inner cabinet 20, the accommodation space 20 does not move. The receiving space 20 and the inner cabinet 1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20 is opened. In other words, the receiving space 20 has an inlet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reof, and the user can easily insert the clothes into the receiving space 20 through the inlet. The accommodation space 20 can be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by a door 11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10. [ Various switches (not shown) for driv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1 or the cabinet 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의 아래쪽에는(below) 소정크기의 전장실(outfit chamber)이 형성되며, 상기 전장실내에는 공기공급장치(3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기본적으로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며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20)내부로 건조한 공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뜨겁고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뜨거운공기는 위쪽방향으로 상승하므로, 상기 공기공급장치(3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의 하부, 즉 수용공간(20)의 아래쪽(below)에 설치되는 것이 뜨겁고 건조한 공기의 공급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상기 수용공간(20)로부터 별도의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장실의 상부벽체(top wall)또는 상기 인너 캐비닛(12) 바닥벽(bottom wall)이 실제적으로 이러한 격벽이 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고온의 공기공급장치(30)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의류에 묻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n outfit chambe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an air supply device 30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room interior. The air supply device 30 basically removes moisture from the air and provides dry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0 for drying clothes. In addition, the air supply device 30 can heat the air to supply hot and dry air. Since the hot air generally rises in the upward direction, the air supply device 30 is installed below the cabinet 10, that is,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20, as shown in the drawing, Lt; / RTI > The air supply device 30 is preferably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0 by a separate partition and the top wall of the electric room or the bottom wall of the inner cabinet 12 Actually, it can be such a barrier. The partition wall prevents the clothes from being damaged by the high-temperature air supply device 30 and prevents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30 from being stuck on the clothes.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뜨거운 공기를 생산하는 히터 또는 열전소자와 이러한 가열장치와 별도로 제공되는 제습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습 및 공기가열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y device 30 may include a heater or a thermoelectric device for producing hot air and a dehumidifying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devic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heat pump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dehumidification and air heating.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로써 히트펌프를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31), 압축기(32), 응축기(33)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경우, 증발기(31)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고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공기의 냉각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32)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33)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 상기 냉매는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31)와 응축기(33)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공기공급장치(3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치면서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가 된다. Therefor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uses a heat pump as the air supply device 30. [ 3, the air supply device 30 includes an evaporator 31, a compressor 32, a condenser 33, and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31 to absorb the latent heat of the ambient air and cool the air. By cooling the air, moisture in the air condenses and can be removed. Further, when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condenser 33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32, the refrigerant heats the ambient air by discharging the latent heat toward the ambient air. Accordingly,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3 function as a heat exchanger,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evice 30 is dried and hot air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이와 같이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서 생성된 공기는 수용공간(20)내의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처리된 의류는 입기에 좋은 상태로 리프레쉬(refresh)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heated by the heat pump can be dehumidified without using a separate dehumidifier, although the temperature may be somewhat lower than air heated using a conventional heater. Therefore,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30 can effectively dry the clothes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the processed clothes are thus refreshed in a state suitable for dress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에는 흡입구(35)가 제공되며, 상기 흡입구(35)를 통하여 수용공간(20)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내로 유 입된다.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 즉 증발기(31)와 응축기(33)에서 가열 및 제습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0)에는 배출구(38)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서 나온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는 상기 배출구(38)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0)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공기의 순환유로를 가지며, 상기 순환유로는 도 2 및 도 4-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30)의 흡입구(35), 증발기(31), 응축기(33), 배출구(38), 수용공간(20) 및 흡입구(35)를 따라 연장된다. 2, the accommodation space 2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35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evice 30. The introduced air is heated and dehumidified in the air supply device 30, i.e.,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3.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2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38, and the dry, hot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30 is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8. Therefor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a circulating flow path of the dry air formed by the air supply device 30, and the circulating flow pat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ir supply device 30 as shown by arrows in FIGS. 2 and 4-5. The evaporator 31, the condenser 33, the discharge port 38,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the intake port 35 of the evaporator 30 as shown in FIG.

한편, 만일 상기 흡입구(35)가 상기 배출구(38)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흡입구(35)와 배출구(38)사이에는 짧은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건조공기는 형성된 짧은 경로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20)내에서 충분하게 순환하거나 확산되지 못한다. 또한, 공급된 건조공기는 의류와 고르게 접촉하지 못하며, 의류들은 적절하게 리프레쉬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유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35)는 기본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보다 긴 유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 즉 상기 수용공간(20)을 형성하는 인너 캐비닛(12)의 바닥벽(bottom wall)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전방에 배치된 도어(11)에도 인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38)은 상기 수용공간(20)의 후방부, 즉 수용공간(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구(38)은 상기 수용공간(20)을 형성하는 인너 캐비닛(12)의 후방벽(rear wall)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0)은 상기 배출구(38)와 흡입구(35)사이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긴 경로를 갖는 건조공기의 유동을 갖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 및 도 4에 화살표로 형성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수용공간(20)의 후방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까지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 흡입구(35) 및 배출구(38)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20)을 전체적으로 가로지르면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공기는 의류와 고르게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의류들을 적절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건조공기의 유동경로는 도 2 및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입구에 일종의 공기커튼(air curtain)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중 개방된다 하더라도, 수용공간(20)내의 온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으며, 먼지도 상기 수용공간(20)내로 들어올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uction port 35 is form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38, a short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suction port 35 and the discharge port 38. Therefore, the dry air is not sufficiently circulated or diff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due to the short path formed. Also, the supplied dry air does not evenly contact the garment, and the garments can not be properly refreshed.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s. 2 and 4, in order to form a long flow path, the suction port 35 is basically provid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Fig. Further, in order to secure a longer flow path, the suction port 35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at is, a bottom wall of the inner cabinet 12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20 wall. In this case, the suction port 35 is also adjacent to the door 11 arranged in front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 Further, the outlet 38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at is, at the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More specifically, the outlet 38 may be disposed in a rear wall of the inner cabinet 12 forming the receiving space 20. [ By this arrangement, the accommodation space 20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38 and the suction port 35 and has a flow of dry air having a substantially long path. More precisely, the dry air flows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as shown by the arrows in Figs. Thus, the dry air can flow across the receiving space 20 entirely due to the suction port 35 and the discharge port 38 arranged as described above. Such dry air can evenly contact the garment and thus suitably dry the garments. The flow path of the dry air also forms an air curtain at an inlet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closed by the door 11, as shown in Figs. 2 and 4. Therefore, even if the door 11 is opened during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temperat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is not significantly lowered, and the dust can not enter the accommodation space 20.

더 나아가,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엣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배출구(38)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수용공간(20)을 완전하게 가로지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부에는 다수개의 배출구들(38)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의 후방부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들(38)에 의해 상기 건조공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0) 후방부 전체 영역에서 배출되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35)까지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즉 상기 수용공간(20)의 전체를 가로지를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20)내의 건조공기의 유동은 상기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 및 리프레쉬 하도록 보다 균일해 질 수 있다.Further, the suction port 3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dg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in this case, the dry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8 to completely fill the accommodation space 20 You can cross. Further, a plurality of outlets 38 may be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y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as shown in Figs. 2 and 4 . By the discharge openings 38, the dry air is substantially discharged from the entire rear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flows to the suction port 35 as shown by an arrow. Thus, the dry air can cross the entire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the flow of dry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can effectively dry and / Can be made more uniform so as to be refreshed.

한편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반면, 상기 배출구(38)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부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용공간의 바닥부의 후방부에 배치된 배출구(3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0)의 후면의 배출구(38)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4의 예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따른 배치에 의해서도 상기 수용공간(20)은 상기 배출구(38)와 흡입구(35)사이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긴 경로를 갖는 건조공기의 유동을 갖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송풍기(34)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후방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0)의 상부(top)까지 상승한다. 이 후,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를 향해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 흡입구(35) 및 배출구(38)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20)을 전체적으로 가로지르면서 유동하며, 상기 의류를 적절하게 건조하도록 의류와 고르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건조공기의 유동경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11)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입구에 일종의 공기커튼(air curtain)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5, the suction port 35 is disposed at a front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while the discharge port 38 is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 An outlet 38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can also be used with the outlet 38 at the rear of the receiving space 20, as shown in Fig. 5, the receiving space 20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38 and the suction port 35 and has a flow of dry air having a substantially long path (see, for example, FIG. 4) . More specifically,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5, the dry air is elevate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to the top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by the blower 34 do. Thereafter, the drying air descends toward the front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us, the dry air flows across the receiving space 20 entirely due to the suction port 35 and the discharge port 38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nd can evenly contact the clothes to properly dry the clothes. have. 2 and 4, a kind of air curtain can be formed at the inlet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closed by the door 11. [ And has the same effect as the example shown in Fig. 2 and Fig.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도 2-5에 도시된 같이 상기 흡입구(35)에 연결되는 제 1 덕트(36)을 갖는다. 상기 제 1 덕트(36)내에는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1) 및 응축기(33)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1) 및 응축기(33)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35)를 통해 상기 제1 덕트(36)을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제습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상기 배출구(38)와 연결되는 제 2 덕트(37)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덕트(37)와 제 1 덕트(31)(즉, 증발기(31) 및 응축기(33))사이에는 송풍기(34)가 설치된다. 따라서, 수용공간(20)내의 공기는 흡입구(35)를 통해 제 1 덕트(36)로 유입되며, 상기 증발기(31) 및 응축기(33)에 의해 상기 제 1 덕트(36)내에서 가열 및 제습된다. 이 후, 상기 송풍기(34)에 의해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가 상기 제 2 덕트(37)을 거쳐 상기 배출구(38)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20)내에 공급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덕트(36,37)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흡입구(35)와 배출구(38)을 연결하며 그 내부에 증발기(31) 및 응축기(33)를 수용하는 단일의 덕트를 가지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supply device 30 has a first duct 36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35 as shown in FIGS. 2-5. In the first duct 36, an evaporator 31 and a condenser 33 are disposed, as is clearly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3 heat and dehumidif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uct 36 through the suction port 35,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air supply device 30 has a second duct 37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38. A blower 34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duct 37 and the first duct 31 (i.e.,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3).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flows into the first duct 36 through the intake port 35 and is heated and dehumidified in the first duct 36 by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3. [ do. Thereafter, the air is dried by the blower 34 and hot air is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rough the outlet 38 via the second duct 37. The first and second ducts 36 and 3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air supply device 30 has a single duct connecting the suction port 35 and the discharge port 38 and accommodating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3 therein.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장실내에 제공되는 수분공급장치(4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장치(40)는 수분을 생성하며, 수용공간(20)으로 생성된 수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수분공급장치(40)는 물의 액체상태인 미세 방울로 이루어지는 미스트(mist) 또는 물의 기체상태인 스팀(steam)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스팀을 이용하는 수분공급장치(40)가 설명된다. 그러 나, 미스트를 이용하는 수분공급장치(40)가 동일한 목적을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Als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water supply device 40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room, like the air supply device 30. The water supply device (40) is configured to generate moisture and selectively supply moisture gener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e water supply device 40 may use mist, which is a mist of water, or steam, which is a gaseous state of water. In the following, a water supply device 40 using steam is described. However, the water supply device 40 using the mist can be applied to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same purpose.

수분공급장치(40)는 기본적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41)와 생성된 스팀을 수용공간(20)내부로 공급하는 노즐(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41)와 노즐(43)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분공급장치(40)는 호스(42)을 갖는다. 상기 히터(41)에서 생성된 스팀은 호스(42) 및 노즐(43)을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노즐(43)에 연결된 배출구(44) (도 2 참조)를 통해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호스(42)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스(42)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장치(40)가 수용공간(20)의 하부에(below) 위치하는 경우에,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44)는 전장실의 상부, 즉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공급장치(40)의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가 사용되거나 상기 전장실내에 설치되며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컨테이너(contain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을 채우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를 전장실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전장실내에는 순환팬(3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39)은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장치(30) 및 수분공급장치(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The water supply device 40 basically includes a heater 41 for heating water and a nozzle 43 for supplying generated steam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e water supply device 40 has a hose 42 for connecting the heater 41 and the nozzle 43. The steam generated in the heater 41 passes through the hose 42 and the nozzle 43 and finally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rough the discharge port 44 (see FIG. 2) connected to the nozzle 43 do. In this case,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hose 42 is,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from being lowered or the steam to be condensed while the steam moves along the hose 42,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hose 42 is. 2, the discharge port 44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chamber, that is, the receiving space 20 (see Fig. 2).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40 is located below the receiving space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water supply source of the water supply device 40, an external faucet may be used, or a container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may be used. Such a container is preferably detachably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take the container out of the electrical chamber to fill the water. In addition, a circulation fan 39 may be provided in the full-length room. The circulation fan 39 can cool the air supply device 30 and the water supply device 40 by supplying outside air into the electric room.

수용공간(20)에 제공된 스팀으로 인해 의류의 주름 및 정전기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스팀은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 급장치(40)는 상기 의류를 입기에 좋은 상태로 리프레쉬할 수 있다. 스팀이 공급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만일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건조공기가 공급되면, 의류에 어떠한 수분도 남아있지 않도록 상기 의류가 완전하게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공기공급장치(30)에 의해 건조공기를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rinkles and static electricity of the clothes can be removed by the steam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 In addition, high temperature steam can remove bacteria and odors. Therefore, the water supply device 40 can refresh the clothes to a state suitable for wearing. The timing of supplying steam can be modified appropriately. If dry air is supplied after spraying hot steam, the garment can be completely dried so that no moisture remains in the gar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am is sprayed before the dry air is supplied by the air supply device 30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수용공간(20)에 수용되는 의류는 먼지/보푸라기를 포함하거나 냄새가 배어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0)내의 공기도 먼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filth) 및 냄새는 상기 수용공간(20)내의 공기유동에 의해 다른 의류로 옮겨질 수 있으며,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부품들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필터 조립체(filter assembly)(35a)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may include dust / lint or smell.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may also include dust. Such filth and smell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garment by the air flow in the receiving space 20 and can also cause failure of the parts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e, in order to remove such foreign matter and odo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a filter assembly 35a.

상기 필터 조립체(35a)는 상기 흡입구(35)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먼지 및 보푸라기가 흡입구(35)를 통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30)로 들어오는 경우 이들은 상기 공기공급장치(30)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5)에 상기 필터조립체(35a)가 설치되면, 먼지 및 보푸라기가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필터조립체(35a)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조립체(35a)는 일정 기간을 지나면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필터의 상태가 수시로 확인하고, 이에 따른 청소 및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만일 필터 조립체(35a)가 상기 도어(11)로부터 멀리 떨어진 수용공간의 배면, 또는 상부에 형성되면, 상기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필터의 청소 및 교체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상 기 흡입구(35)가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조립체(35a)도 상기 흡입구(35)와 동일한 위치 즉,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필터 조립체(35a)에 쉽게 액세스(access)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리하게 상기 필터 조립체(35a)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교환 및 청소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35)가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 더 나아가 전방부의 엣지에 제공되면, 상기 필터 조립체(35a)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에 도어(11)와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가 개방되자마자 사용자는 바로 필터 조립체(35a)에 액세스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 조립체(35a)의 유지보수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5a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 35. If dust and lint of the accommodation space are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evice 30 through the intake port 35, they may cause failure of the air supply device 30. [ Accordingly, when the filter assembly 35a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 35, dust and lint can be removed by the filter assembly 35a before entering the air supply device 30. [ The filter assembly 35a is degraded in func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condition of the filter should be checked from time to time and the cleaning and exchange should be done accordingly. If the filter assembly 35a is formed on the back or top of the receiving space remote from the door 11,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filter or to clean and replace the filter. However, since the suction port 35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the filter assembly 35a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uction port 35, that is,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do. Thus, when the door 11 is opened,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filter assembly 35a, thereby conveniently checking, replacing and cleaning the condition of the filter assembly 35a.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suction port 35 is provid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furthermore at the edge of the front portion, the filter assembly 35a And is disposed substantially adjacent to the door 11 at a front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 [ Thus, as soon as the door 11 is opened, the user can immediately access the filter assembly 35a, thereby making maintenance of the filter assembly 35a more convenient.

한편,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서 건조공기를 생성할 때, 증발기(31)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고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공기의 냉각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응축수가 발생된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중에 상기 건조공기는 계속적으로 만들어지므로 작동이 완료된 후에도 상당한 량의 응축수가 공기공급장치(30)에서 생성된다. 만일 이러한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내에 잔류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넘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가 부패하면서 곰팡이나 악취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컨테이너(100)을 갖는다. 이러한 컨테이너(100)이 도 3 및 도 6-7에 도시되며,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ying air is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30,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31 to absorb the latent heat of the surrounding air and cool the air. This cooling of the air causes condensation of water in the air, resulting in condensed water. Since the drying air is continuously produced during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considerable amount of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30 even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If such condensed water does not discharge and remains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t may overflow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may be corrupted and mold or odor may be generated.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the container 100. [ Such a container 100 is shown in Figs. 3 and 6-7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도 3 및 도 6-7을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기본적으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컨테이너(1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110)을 가지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공간내에 저장된다. 상기 몸체(110)는 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130)을 가지며, 이러한 유입구(130)는 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장치(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상기 호스 및 유입구(130)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100)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만일 상기 컨테이너(100)가 공기공급장치(30)의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발생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컨테이너(10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컨테이너(100)의 배치는 전체적으로 전장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하며, 오히려 전장실의 크기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상에는 생성된 응축수를 컨테이너(100)로 펌핑하기 위해 펌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펌프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공기공급장치(3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3 and 6-7, the container 100 is configured to store essentially the condensed water produced. First, the container 100 has a body 11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The body 110 has an inlet 130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he inlet 1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evice 30 using a hose.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30 can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hose and the inlet 13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ainer 100 is disposed under the air supply device 30,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can naturally flow into the container 100 by gravity. However, such an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100 makes it im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as a whole, and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as well as the entire size of the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pump is installed on the hose to pump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to the container 100. By this pump, the container 100 can efficiently supply the space of the electric room, And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air supply device 30 for use.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축수가 공기공급장치(30)로부터 넘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펌프는 계속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이는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와 컨테이너(100)사이에 배치되며, 생성된 응축수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섬프(도시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30) 및 컨테이너(100)와 각각 연 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섬프와 컨테이너(100)을 연결하는 호스상에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장치(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먼저 섬프에 저장되며, 섬프내의 응축수가 일정 수위이상이 되면 펌프가 작동되어 섬프의 응축수를 컨테이너(100)로 펌핑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는 섬프내의 응축수 수위가 일정이상일 때만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중력에 의해 응축수가 추가적인 장치없이 섬프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섬프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의 아래 즉, 도 3의 제 1 덕트(36) 및 그 내부의 증발기(3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프는 공기공급장치(30) 뿐만 아니라 수용공간(20) 및 수분공급장치(4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축수도 수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섬프의 이용으로 인해 의류처리장치 전체의 응축수가 컨테이너(100)에 모아질 수 있다. Nevertheless,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e from overflowing from the air supply 30, the pump must continue to operate, wasting unnecessary power. Accordingl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mp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air supply device 30 and the container 100, and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The sump may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evice 30 and the container 100 using a hose, and a pump may be installed on the hose connecting the sump and the container 100.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30 is first stored in the sump, and when the condensed water in the sump reaches a certain level or more, the pump is operated to pump the condensed water of the sump to the container 100. That is, the pump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n the sump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so that pow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necessarily wasted. In order to allow the condensed water to actually flow into the sump without gravity by virtue of gravity, the sump is placed under the air supply device 30, that is, just below the first duct 36 of FIG. 3 and the evaporator 31 therein . The sump can also accommodate not only the air supply device 30 but also the condensed water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0 and the water supply device 40 so that the use of the sump allows the condensate Can be collected in the container 100.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배출구(120)를 갖는다.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응축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120)에는 마개(120a)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구(120)는 상기 몸체(110)의 어느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응축수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부에서부터 채워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만일 배출구(120)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 비록 마개(120a)가 설치된다 하더라도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응축수가 누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응축수의 누출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착탈가능하 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는 도어(13)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상기 도어(13)을 개방하고 전장실로부터 상기 컨테이너(100)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을 대신하여 상기 전장실의 전방에는 상기 컨테이너(100)을 수용하는 서랍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서랍을 전장실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100)을 바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내에 응축수가 소정 수위이상으로 채워지면,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전장실로부터 꺼내서,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응축수를 버릴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100 has an outlet 120 formed in the body 110. A stopper 120a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120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discharge port 120. The discharge port 120 may be formed in any part of the body 110. However, condensate begins to fill up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Therefore, if the discharge port 12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the possibility of the condensed water leaking from the discharge port 120 is increased even if the stopper 120a is install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1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S. 6 and 7, which is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condensed water. Further, the container 1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a door 13 is provided in front of the electric field chamber, and the user can open the door 13 and take out the container 100 from the electric room. A drawer for receiving the container 10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electric room 130 in place of the door 13. The user may take out the drawer from the electric room and take out the container 100 directly have. Accordingly, when the condensed water is filled in the container 100 at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the user can take the container 100 out of the electric room and discard the condensed water through the outlet 120.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는 응축수를 비교적 장시간동안 저장하므로, 응축수의 부패로 인해 컨테이너(100)의 내부, 정확하게는 상기 몸체(110)의 내면상에 곰팡이나 물때와 같은 오염물질이 악취와 함께 발생될 수 있다. 비록 컨테이너(100)내의 응축수를 버린다 하더라도 상기 오염물질은 상기 몸체(110)내면상에 잔류하게 되며, 컨테이너(100)내의 재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기 발생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더 나아가 추가적인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주기적으로 청소될 필요가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청소를 위해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청소도구(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청소도구(T)는 길고 유연성을 갖는 막대와 상기 막대의 끝에 부착된 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도구(T)는 상기 몸체(110) 내면의 양측면(110a,110c) 및 하단면(110b)에는 닿을 수 있으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의 몸체(110) 내면의 상단면(110d)에는 닿기 어렵다. 따라 서, 이러한 상단면(110d)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제거되기 어렵다 Meanwhile, because the container 100 stores the condensed water for a relatively long time, contaminants such as mold and water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due to the corruption of the condensed water, more precis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Lt; / RTI > Even if the condensate in the container 100 is discarded, the contaminants will remai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causing contamination of the container 100. Therefore, the container 100 needs to be periodically cleaned in order to remove the generated contaminants and further prevent further contamination. In order to clean the container 100, a predetermined cleaning tool T may be used, as shown in FIGS. The cleaning tool T may consist of a long, flexible rod and a brush attached to the end of the rod. However, as shown in FIG. 6, the cleaning tool T can touch both side surfaces 110a, 110c and the lower end surface 110b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However, as shown by a dotted line, It is hard to reach the upper end surface 110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 Accordingly, contaminants present on the top surface 110d are difficult to remov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경사부(140)를 갖는다. 상기 경사부(1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청소도구(T)가 닿지 못하는 사영역을 없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경사부(140)는 상기 청소도구(T)가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청소도구(T)가 삽입되는 배출구(1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바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앞서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20)가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몸체(110) 내면의 상단면(110d)에 청소도구(T)가 접근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40)도 상기 배출구(120)에 인접하게 상기 몸체(120)의 상단부에 제공되며, 사영역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부(140)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청소도구(T)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내면의 상단면(110d) 전체에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부는 완전하고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container 100 has an inclined portion 140 formed on the body 110. The inclined portion 140 can basically eliminate a yarn area to which the cleaning tool T can not touch. For this reason, the inclined portion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20 into which at least the cleaning tool T is inserted so that the cleaning tool T can be directly accessed, Lt; / RTI > The cleaning tool T can not be accessed to the upper surface 110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when the outlet 12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The inclined portion 140 is also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20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20 and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upper end portion so as to completely remove the yarn region. 7, the cleaning tool T may touch the entire upper end surface 110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4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can be cleaned completely and easily.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에는 손잡이(150)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5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컨테이너(100)를 의류처리장치로부터 꺼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경사부(140)의 형성으로 인해 도 6의 직사각형 몸체와 비교할 때, 상기 몸체(110)에는 경사부(140) 위쪽에 여유공간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40)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가시키기 않으면서도 사용자에게 손잡이(150)가 제공될 수 있다. 7, a handle 150 may be added to the body 110, and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container 100 from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handle 150 have. Further,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40, a clearance is formed above the inclined portion 140 in the body 110, as compared with the rectangular body in FIG. Thus, the handle 150 can be installed on the slope 140, as shown, so that the handle 150 is provided to the user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size of the container 100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3은 공기 및 수분공급장치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ir and moisture supply devices;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other exampl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컨테이너의 단면도; 및6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도 7는 의류처리장치의 컨테이너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containe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laims (9)

캐비닛;cabinet; 상기 캐비닛내에 제공되며,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A receiving space provided in the cabinet, the receiving space receiving the garment to be processed;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순환하도록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An ai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dry air and supplying the dry air to circula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수용공간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그리고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A container including a body configured to stor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air supply device from the body, and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 the body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경사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고,The inclined portion continuously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port, 상기 경사부 가상의 연장선이 상기 배출구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the extended line of the slant par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배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the outle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on the entire upper end of the bod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Wherein the container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컨테이너는 몸체에 제공되는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Wherein th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handle for a user provided on the body.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경사부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nd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inclin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공기공급장치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섬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Further comprising: a sump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섬프내의 응축수를 그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Wherein th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n inlet for introducing condensed water in the sump into the interior of the sump.
KR1020090013837A 2009-02-19 2009-02-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542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837A KR101542393B1 (en) 2009-02-19 2009-02-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837A KR101542393B1 (en) 2009-02-19 2009-02-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23A KR20100094723A (en) 2010-08-27
KR101542393B1 true KR101542393B1 (en) 2015-08-06

Family

ID=4275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837A KR101542393B1 (en) 2009-02-19 2009-02-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39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23A (en)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71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4319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I496969B (en)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9710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KR101435822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090105120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090126414A1 (en) Fabric treating machine
KR20150054104A (en) Laundry Machine
US11725333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preventing water from condensing on inner side of door and method for drying inner side of door using same
KR10210595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138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351034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65190B1 (en) Clothing dryer
EP2042646A1 (en) Home laundry dryer
KR102374098B1 (en)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having fan to prevent water-drop inside the door
KR102194302B1 (en)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having fan to prevent water-drop inside the door
KR101542393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90050621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41798B1 (en) Washing machine with a integrated drier
KR2019012467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29324B1 (en) Clothes dryer
KR20090105124A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00004168A (en) Drying method to prevent water-drop inside the door of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and multi-function storage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20090102399A (en) Device for cloth treating
KR101177475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