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788B1 -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788B1
KR101540788B1 KR1020140008149A KR20140008149A KR101540788B1 KR 101540788 B1 KR101540788 B1 KR 101540788B1 KR 1020140008149 A KR1020140008149 A KR 1020140008149A KR 20140008149 A KR20140008149 A KR 20140008149A KR 101540788 B1 KR101540788 B1 KR 10154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uzzer
signal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욱
양현모
방정욱
김상종
김원유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7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by a force applied to the chest;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2031/003Artificial respiration by a force applied to the chest;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with alternated thorax decompression due to lateral compre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조건에 따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압력조절부와, 압력을 센싱하여 압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와,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설정압력 이상에서 부저신호를 생성하고, 압력조절부에서의 조절에 대응하여 심장압박 속도를 지시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부저신호에 따라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와,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램프와,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한 압력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절한 심장압박 속도를 안내 유도함으로써 호흡중지 및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시 목격자가 즉각 심폐소생술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that includes a pressure regulator for supporting pressur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body conditions, a pressure sensor for generating a pressure signal by sensing the pressure,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buzzer signal and generating a lighting signal indicative of a heart compression rate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in the pressure regulator, a buzzer for outputting a buzzer sound in response to the buzzer signal, a lamp for lighting in accordance with the lighting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per pressure can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but also guiding the appropriate heart compression rate, the witness can easily perform CPR immediately when breathing is stopped and an acute cardiac arrest occurs.

Description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0001]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

본 발명은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중지 및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시 심폐소생술에 따른 압력 정도 및 심장압박 속도를 유도할 수 있도록 돕는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that can induce a pressure level and a heart compression speed according to a CPR when a patient is breathing and an acute cardiac arrest occurs.

갑작스런 호흡중지 또는 급성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산소결핍으로 인하여 영구적인 뇌 손상이 발생하거나 생명을 잃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심폐소생술(CPR)의 필요성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호흡중지 후 4분이 지나면 급성심정지로 이어져 생명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짧은 시간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으면 뇌 속의 산소가 결핍되어 영구 뇌 장애를 일으키거나 생명을 잃을 우려가 있다. 하지만 심폐소생술을 제때에 시행할 경우, 생존율을 2 ~ 3배 이상 상승시킬 수 있고, 뇌 세포의 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Sudden respiratory arrest or acute cardiac arrest can result in permanent brain damage or loss of life due to oxygen deficiency.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CPR is paramount. After 4 minutes after stopping breathing, it leads to an acute cardiac arrest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losing life. Failure to perform CPR within this short time may result in permanent brain damage or loss of life due to lack of oxygen in the brain. However, when CPR is performed on time, the survival rate can be increased by 2 to 3 times, and the loss of brain cell function can be prevented.

미국심장협회에 의하면 급성심정지시 환자에게 현장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응급처치는 심장압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심장압박이 중요한 이유는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심장의 주 펌프실이 혈액을 펌핑하지 못하고 진동하는 심실세동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에는 아직 혈액 속에 산소가 있어 심장압박을 통해 혈액이 순환되면 뇌 등 기타 기관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소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급성심정지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가 가정 내(57.4%)라는 것을 고려할 때, 심폐소생술의 시행은 주변인 뿐 아니라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최근,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 to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most effective first aid in the field of acute cardiac arrest is emphasized as heart pressure. Heart compression is important because when a heart attack occurs, the heart's main pump room can not pump the blood, and vibrated ventricular fibrillation appears. At this time, oxygen is still in the blood, and if the blood circulates through the he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suscitation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causing the disorder. Considering that the place where acute cardiac arrest occurs the most in the family (57.4%), the implementation of CPR is very important for protecting the family members as well as the people around them. Recently, education about CPR has been made.

이렇게 중요한 심폐소생술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불안감을 느낀다. 심폐소생술은 형식상의 이론만으로는 응급환자 발생 시에 시행하기가 어렵다. 심지어, 응급 요원조차도 급박한 상황 속에서는 심폐소생술을 완벽하게 시행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그만큼 평소에 예비하는 것이 중요하다.This is a very importa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ut most people find it difficult to implement and feel anxiou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difficult to perform in emergency cases only by formal theory. Even in emergency situations,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perform CPR perfectly in an imminent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prepare as much as usual.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매년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목격자 심폐소생률 시행률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2006년 39.3명에서 2010년 44.8명으로 점차 증가 추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10% 미만으로 일본(27%), 미국(30.8%), 스웨덴(55%)에 비해 매우 낮다. 이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역량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일 수도 있으나, 실제 급박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보다 쉽게 시행할 수 있는 보조장치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In Korea, the incidence of acute cardiac arrest is rising every year. However, the rate of witnes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very low. The incidence of acute cardiac arrest per 100,000 population in Korea is gradually increasing from 39.3 in 2006 to 44.8 in 2010. However, the rate of witnes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less than 10% in Korea, which is much lower than that of Japan (27%), USA (30.8%) and Sweden (55%). This may be due to the very low level of CPR training, but it may be due to the lack of ancillary equipment to facilitate CPR in an emergenc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5078호(공고일 2010.09.28.)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85078 (Published on September 28, 201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9650호(공개일 2011.10.12.)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9650 (public date October 12, 20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중지 및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시 목격자가 즉각 심폐소생술을 용이하게 시행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에 따른 압력을 센싱하여 적정한 압력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심장압박 속도를 일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respiratory arrest or an acute cardiac arrest, And to provide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capable of constantly guiding the pressure of the he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신체조건에 따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압력조절부; 압력을 센싱하여 압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설정압력 이상에서 부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압력조절부에서의 조절에 대응하여 심장압박 속도를 지시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부저신호에 따라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램프;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essure regulator for supporting pressure according to body condition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to generate a pressure signal;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buzzer signal at a set pressure or higher in response to the pressure signal and generating a lighting signal indicating a heart compression rate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in the pressure regulator; A buzzer for outputting a buzzer sound according to the buzzer signal; A lamp for lighting in accordance with the lighting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상기 압력조절부, 제어부, 부저 및 램프를 일체의 모듈로 형성하고, 상기 모듈에 압력센서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sure regulator, the control unit, the buzzer, and the lamp are formed as a single module, and the pressure sensor is connected to the module.

상기 제어부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저항 가변부; 변화된 저항값에 대응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 설정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전압과 상기 기준전압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 및 상기 저항 가변부의 저항값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의 점등 간격을 조절하는 타이머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sistance variable unit that changes a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A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ferenc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resistance value; A voltage comparator for comparing a sensing voltage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a reference voltage input from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And a timer for adjusting a lighting interval of the lamp in response to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variable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에 따르면,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한 압력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절한 심장압박 속도를 안내 유도함으로써 호흡중지 및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시 목격자가 즉각 심폐소생술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 pressure can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s, and it is also possible to guide the appropriate heart compression speed, so that when the patient stops breathing or acute cardiac arrest, Can be easily carried ou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한 압력 및 심장압박 속도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으므로 교육 부재, 자신감 부족, 불안감 등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생존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뇌 세포의 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n be performed at a proper pressure and heart compression rat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from lack of education, lack of confidence, anxiety, etc., And can prevent the loss of brain cel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압력센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센서와 비교기의 회로구성 개념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of a pressure sens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ressure sensor and a com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 portable CPR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신체조건에 따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압력조절부(1)와, 압력을 센싱하여 압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2)와,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설정압력 이상에서 부저신호를 생성하고, 압력조절부(1)에서의 조절에 대응하여 심장압박 속도를 지시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와, 부저신호에 따라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4)와,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램프(5)와, 제어부(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regulator 1 for controlling pressure according to body conditions, a pressure sensor 2 for generating a pressure signal by sensing pressure, A control unit 3 for generating a buzzer signal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higher in response to a pressure signal and generating a lighting signal indicating a heart compression speed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in the pressure regulator 1, A lamp 5 that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lighting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6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3. The buzzer 4,

전원공급부(6)는 전원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6 includes a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to supply power.

한편, 압력조절부(1), 압력센서(2), 제어부(3), 부저(4) 및 램프(5)를 일체로 형성시켜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압력조절부(1), 제어부(3), 부저(4) 및 램프(5)를 일체로 형성하고, 여기에 압력센서(2)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질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심장부위에 소형의 압력센서(2)만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심장압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may be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pressure regulator 1, the pressure sensor 2, the controller 3, the buzzer 4, and the lamp 5, It is preferable that the lamp unit 1, the control unit 3, the buzzer 4 and the lamp 5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pressure sensor 2 is connected thereto.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heart compression by allowing only the small pressure sensor 2 to be placed on the heart portion where the pressure is substantially applied.

본 발명의 압력센서(2)로는 45㎏ 정도까지 측정 가능한 센서를 사용한다. 압력센서(2)가 눌리게 되면 압력센서(2)의 저항이 4㏁에서 600㏀까지 떨어짐으로써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압력센서(2)로서 예를 들어 FlexiForce A201-100-2 제품(도 2) 등이 있을 수 있다.As the pressure sensor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up to 45 kg is used. When the pressure sensor 2 is depressed, the resistance of the pressure sensor 2 falls from 4 M? To 600 K? To measure the pressure. As the pressure sensor 2, for example, a FlexiForce A201-100-2 product (Fig. 2) or the like may be used.

본 발명의 제어부(3)에서는, 신체조건에 따라 가변시키는 가변저항과 OP Amp를 이용한 비교기를 이용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저항값을 가변저항으로 셋팅하고,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만 출력값으로 예를 들어 5V가 출력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이 5V의 출력전압으로 회로 내장형 부저(4)로부터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 때, 일반 성인의 경우, 압력시 저항값이 700KΩ 내외일 때 적정한 심장압박으로 판단되며, 이에 비교기로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세팅할 수 있다. 만약, 환자의 신체를 고려하여 압력값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변저항의 통해 원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가변저항은 압력조절부(1)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ontrol unit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is set to a variable resistance by using a variable resistor which varies according to body conditions and a comparator using OP Amp, and only when a certain pressure or more is applied, So that 5V is output. And the buzzer sound is outputted from the circuit built-in buzzer 4 with the output voltage of 5V. At this time, for a normal adult, when the resistance value at the time of pressure is about 700KΩ, it is judged that the heart pressure is proper, and the reference voltage inputted to the comparator can be set. If the pressure value is to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body, the desired value can be changed through the variable resistance. The variable resistor is made through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1.

본 발명에서는 OP Amp를 이용한 비교기를 구현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제어부(3)의 ADC 기능을 이용하여 압력 정도 판단 및 심장압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comparator using OP Amp,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gree of pressure and control the heart compression rate by using the ADC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3. [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3)에서는, 램프(5)의 점등을 위해 소형이면서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ATtiny13A 제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램프(5)의 점등 간격은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압력조절부(1)와 연계되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unit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Ttiny13A product, which is small and can be driven with low power, can be used for lighting the lamp 5.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interval of the lamp 5 is adjus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sure regulator 1,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patient.

여기서, 가변저항의 저항값 세팅은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른다. 즉, 성인은 4 ~ 5cm 정도, 소아는 2 ~ 3cm 정도, 영아는 1.5 ~ 2.5cm 정도 흉부를 누른 상태에서 부저음이 발생되도록 저항값을 세팅하고, 이 저항값 세팅에 대응하여 심장압박의 속도가 성인은 분당 80 ~ 100회 정도, 신생아는 분당 120회 정도, 유아는 분당 120 ~ 100회 정도, 소아는 분당 100회 정도로 램프(5)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세팅한다. 이에 제어부(3)에는 이러한 가변저항의 변화에 대응한 심장 압력 및 심장압박 속도의 관계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set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 resistance value is set so that a buzzer sound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adult is 4 to 5 cm, the child is 2 to 3 cm, the infant is 1.5 to 2.5 cm, and the chest is depressed. The infant is set at 80 ~ 100 times per minute, the neonate 120 times per minute, the infant 120 ~ 100 times per minute, and the child 100 times per minute. Therefore, the control unit 3 preferably includes a memory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the heart pressure and the heart-pressuriz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is tabulated and stored.

본 발명의 전원공급부(6)로는 최대한 소형으로 하기 위해 코인동전형 배터리, 예를 들어 CR2032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2032는 3V이므로 직렬로 2개를 연결하여 원하는 전압을 생성한다. CR2032와 같은 소형 배터리를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In order to make the power supply unit 6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ct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use a coin-coin battery, for example CR2032. Since CR2032 is 3V, connect two in series to generate the desired voltage. By using a small battery such as the CR2032, the overall size of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can be made small, thereby increasing portability.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시행시, 압력센서(2)를 심장부위에 위치시키고 심장압박을 시행한다. 이에 제어부(3)에서는 설정압력 이상에서 부저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심폐소생술 시행자가 심장압박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램프(5) 제어를 통해 심장압박의 적정 속도를 알려줌으로써 심폐소생술 시행자가 적정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When performing CPR using the portable CPR device, the pressure sensor (2) is placed on the heart and cardiac compression is perform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3 controls the buzzer sound to be generated at a set pressure or more so that the operator of the CPR can check the degree of the heart pressure. Also, by informing the appropriate rate of cardiac compression through the control of the lamp (5), the implementer of the CPR will be guided to maintain the proper speed.

한편, 심폐소생술 시행자는 호흡중지 및 급성심정지 환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압력조절부(1)를 조절하고, 이에 제어부(3)에서는 압력을 조절하여 세팅하고, 이와 함께 심장압박 속도도 함께 조절하여 세팅한다.Meanwhile, the CPR practitioner adjusts the pressure control unit 1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respiratory arrest and the acute cardiac arrest patient, and sets the pressure control unit in the control unit 3, Setting.

여기서,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휴대용으로 간편하게 소형화가 가능하며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갑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장갑의 손바닥 부위에 압력센서(2)를 설치하고, 심폐소생술 시행시 양손이 겹치지지 않는 장갑의 손등 부위 등에 압력조절부(1), 제어부(3), 부저(4) 및 램프(5)를 일체로 형성시킨 모듈을 설치하고, 압력센서(2)와 모듈을 접속시켜 장갑의 형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갑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휴대가 가능하고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품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portable device, and can be applied to a glove for easy accessibility. The pressure sensor 2 is provided on the palm of the glove and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1, the control part 3, the buzzer 4 and the lamp 5 ) May be provided, and the pressure sensor 2 and the module may be connected to form a gl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of applying to gloves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rticles that can be carried and practically used in real lif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3)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저항 가변부(31)와, 변화된 저항값에 대응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 설정부(32)와, 압력센서(2)로부터 입력되는 센싱전압과 기준전압 설정부(32)로부터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33)와, 저항 가변부(31)의 저항값 변화에 대응하여 램프(5)의 점등 간격을 조절하는 타이머(34)를 포함한다.
3, the control uni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istance variable unit 31 for changing a resistance value of a variable resistor, a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32 for setting a reference voltage in response to the changed resistance value, A voltage comparator 33 for comparing the sensing voltage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2 with a reference voltage input from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32, And a timer 34 for adjusting the lighting intervals of the light sources 5 and 5.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부(3)에서는, 호흡중지 및 급성심정지 환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압력조절부(1)를 조절함에 따라 저항 가변부(31)에서 저항값이 가변되고, 이에 기준전압 설정부(32)에서 기준전압이 변경 설정되게 된다. 이에 기준전압 설정부(32)로부터 설정된 기준전압이 전압 비교부(33)로 입력되게 되고, 이 때 압력센서(2)로부터 센싱전압이 입력되면, 전압 비교부(33)에서 센싱전압과 기준전압간의 전압 비교가 이루어지게 된다. 전압 비교를 통해 하이레벨(5V) 또는 로우레벨(0V)의 신호를 출력하고, 하이레벨 신호에 대응하여 부저(4)에서 부저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저항 가변부(31)에서 저항값이 가변되면, 타이머(34)에서 점등 간격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조절된 점등 간격에 대응하여 램프(5)에서의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ontrol unit 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value is varied in the resistance variable unit 31 as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1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respiratory arrest and acute cardiac arrest patient, and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32, the reference voltage is changed and set. The reference voltage set from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32 is input to the voltage comparator 33. When the sensing voltage is inputted from the pressure sensor 2 at this time, the voltage comparator 33 compares the sensing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A comparison of the voltages is performed. (5V) or a low level (0V) signal through voltage comparison, and a buzzer sound is generated in the buzzer 4 in response to the high level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variable portion 31 is varied, the lighting interval is adjusted by the timer 34. [ The lamp 5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controlled lighting interval.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의 저항값 세팅이, 성인은 4 ~ 5cm 정도, 소아는 2 ~ 3cm 정도, 영아는 1.5 ~ 2.5cm 정도 흉부를 누른 상태에서 부저음이 발생되도록 저항값을 세팅하고, 이 저항값 세팅에 대응하여 심장압박의 속도가 성인은 분당 80 ~ 100회 정도, 신생아는 분당 120회 정도, 유아는 분당 120 ~ 100회 정도, 소아는 분당 100회 정도로 램프(5)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세팅될 수 있도록, 가변저항의 변화에 대응한 심장 압력 및 심장압박 속도의 관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별도로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항 가변부(31)와 타이머(34) 사이에 컨트롤러(미도시)를 별도로 더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Here,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value is set so that the buzzer sound is generated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set to about 4 to 5 cm for an adult, about 2 to 3 cm for a child, and about 1.5 to 2.5 cm for an infant , Corresponding to this resistance setting, the heart pressure is 80-100 times per minute for adults, 120 times per minute for newborns, 120-100 times per minute for infants, and lamps (5) for about 100 times per minute for infants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diac pressure and the heart-pressuriz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so that the heart rate and the heart rate can be set to be set. That is, a controll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resistance variable portion 31 and the timer 34.

이와 같이, 제어부(3)에서는 호흡중지 및 급성심정지 환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조절된 저항값에 대응하여 압력 정도 및 심장압박 속도를 변경시킴으로써 환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this manner, the controller 3 changes the degree of pressure and the cardiac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resistance valu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respiratory arrest and the cardiac arrest patient so that the CPR suited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can be performed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센서와 비교기의 회로구성 개념도이다.4 is a circuit diagram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ressure sensor and a com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압력센서(2)와 비교기를 이용하여 적정 압력 여부를 판단하며, 이를 위해 비교기의 반전단자에는 가변저항과 압력센서(2)를 접속하여, 가변저항보다 낮은 압력이 측정되었을 때 비교기를 통해 VOUT가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비교기의 출력단에 회로 내장형 부저(4)를 접속시킴으로써 VOUT 전압이 출력되면 부저음이 발생되도록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or 2 and the comparator are used to judge whether the pressure is appropriate. To this end, a variable resistor and a pressure sensor 2 are connected to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comparator, Is configured to output V OUT through a comparator when measured. When the V OUT voltage is outputted by connecting the circuit built-in buzzer 4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buzzer sound is gene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심폐소생술 시행자의 압력조절부(1)의 조작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가변됨에 따라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압력 및 램프(5)의 점등 간격이 변경되며, 변경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변경된 기준전압보다 높은 센싱전압이 입력될 경우에만 부저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변경된 램프(5)의 점등 간격에 대응하여 램프(5)의 점멸이 이루어지게 된다. 의료진의 경우에도 개인의 경험에 의해 압력 및 심장압박 속도를 조절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압력의 정도를 심폐소생술 시행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적정 압력을 시행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압력의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소형화 및 제조비용 절감 차원에서 비교기 또는 AD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1분에 120회 정도 심장압박을 실시하는 것을 단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심장압박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1 of the CPR practitioner, the pressure for generating the buzzer sound and the lighting interval of the lamp 5 are changed , And control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setting value. That is, buzzer sound is outputted only when a sensing voltage higher than the changed reference voltage is inputted, and the lamp 5 is flickered according to the lighting interval of the changed lamp 5. [ In the case of the medical personnel, the pressure and the pressure of the heart are controlled by the individual's experienc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the pressure is informed to the CPR practitioner, thereby confirming whether the appropriate pressure is being applied. There may be a way to express the degree of pressure numerically,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parator or an ADC to reduce the size and manufacturing co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iac compression is usually performed 120 times per minut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iac compress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patient, so that the optim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가 장갑에 적용된 경우에는, 장갑을 끼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으므로 심폐소생술의 시행 적절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심장압박이 이루어지는 위치와, 장갑을 착용한 손이 놓이는 위치가 흉부로 집결됨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집중도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즉각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소리(부저음)와 눈(램프(5))을 통해 인지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최적의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portable CPR assistant is applied to gloves, CPR can be performed with gloves, so that the appropriateness of CPR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That is, as the position of the heart compression and the position of the hand wearing gloves are gathered in the chest, the concentration and convenience of the CPR can be improved and immediate recognition can be made possible.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sts the optim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using a method recognized through sound (buzzer sound) and eyes (lamp (5)).

이에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는, 심폐소생술의 교육 부재, 자신감 부족, 불안감 등으로 인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portable CP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CPR despite problems caused by lack of education, lack of confidence, and anxiety of the CPR.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에 심폐소생술 시행과정에 대한 내용을 저장한 메모리 및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함으로써 심폐소생술의 더욱 완벽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contents of the CPR procedur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voi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fully implement CPR.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 압력조절부
2 : 압력센서
3 : 제어부
4 : 부저
5 : 램프
6 : 전원공급부
1: Pressure regulator
2: Pressure sensor
3:
4: buzzer
5: Lamp
6: Power supply

Claims (3)

신체조건에 따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압력조절부;
압력을 센싱하여 압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설정압력 이상에서 부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압력조절부에서의 조절에 대응하여 심장압박 속도를 지시하는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부저신호에 따라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램프;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절부, 제어부, 부저 및 램프가 일체의 모듈로 형성되어 장갑의 손등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에 접속되는 압력센서가 상기 장갑의 손바닥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절부에서의 압력 조절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압력 및 심장압박 속도가 함께 세팅되는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
A pressure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according to body condition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to generate a pressure signal;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buzzer signal at a set pressure or higher in response to the pressure signal and generating a lighting signal indicating a heart compression rate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in the pressure regulator;
A buzzer for outputting a buzzer sound according to the buzzer signal;
A lamp for lighting in accordance with the lighting signal;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the control unit, the buzzer, and the lamp are formed as a single module and installed in the back of the glove,
A pressure sensor connected to the module is installed in the palm of the glove,
Wherein the set pressure and the heart compression rate are set toge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essure regulation in the pressure regulat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저항 가변부;
변화된 저항값에 대응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 설정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전압과 상기 기준전압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 및
상기 저항 가변부의 저항값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의 점등 간격을 조절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술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sistance variable portion for changing a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A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ferenc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resistance value;
A voltage comparator for comparing a sensing voltage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a reference voltage input from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And
And a timer for adjusting a lighting interval of the lamp in response to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variable unit.
KR1020140008149A 2014-01-23 2014-01-23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KR101540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49A KR101540788B1 (en) 2014-01-23 2014-01-23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49A KR101540788B1 (en) 2014-01-23 2014-01-23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788B1 true KR101540788B1 (en) 2015-07-31

Family

ID=5387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149A KR101540788B1 (en) 2014-01-23 2014-01-23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7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701B1 (en) * 2006-04-25 2007-04-13 휴메드 주식회사 CPR
JP3156736U (en) * 2009-10-29 2010-01-14 弘明 小平 Heart massage aids
KR20110003321U (en) * 2011-03-07 2011-04-01 한상현 Chest Pressing Device for CP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701B1 (en) * 2006-04-25 2007-04-13 휴메드 주식회사 CPR
JP3156736U (en) * 2009-10-29 2010-01-14 弘明 小平 Heart massage aids
KR20110003321U (en) * 2011-03-07 2011-04-01 한상현 Chest Pressing Device for CP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0999B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with feedback from measurement of pulse and/or blood oxygenation
US8394040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US5385142A (en) Apnea-responsive ventilator system and method
US20080146973A1 (en)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TWI742106B (en) Meditation assist device and meditation assist system
JPH05507003A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guidance device
JP6275033B2 (en) Maternity labor guidance by breathing pace
JP5738508B2 (en) Chest compres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KR20110096730A (en) Divce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355963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love
JP5642332B2 (en) Chest compression signal display device
KR101540788B1 (en) Portable CPR Assistance Apparatus
TWI715352B (en) Guide device for port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1703428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id apparatus
KR101972865B1 (en) CPR(Cardiopulmonart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KR20190016700A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KR102009285B1 (en) Apparatus for air supply measuring using sound of manual ventilator
US2022036249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oxygen-containing gas and related products
TWM557606U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U2007249066A1 (en)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CN208511486U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uxiliary device
KR20200043669A (en) Port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 apparatus
Keakultanes et al. Automat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
KR101944431B1 (e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method thereof
Paul et al. Design of auto adjustable CPR assistive device for non-expertise usability scena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