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610B1 - 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 Google Patents

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610B1
KR101540610B1 KR1020150024894A KR20150024894A KR101540610B1 KR 101540610 B1 KR101540610 B1 KR 101540610B1 KR 1020150024894 A KR1020150024894 A KR 1020150024894A KR 20150024894 A KR20150024894 A KR 20150024894A KR 101540610 B1 KR101540610 B1 KR 10154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anel
movement section
bracket
rotation restricting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헌철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2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6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5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fluid level due to the lifting power of the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me type-critical flow 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A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flow amount of a drain pipe needs to be periodically calibrated in order to check if an accurate measurement is achieve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 such a calibrating work. The flume type-critical flow 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comprises a body part and a sensor calibrating part. The body part is formed in a U-shape in a manhole connecting both drain pipes with each other and has an elevation movement section, a horizontal movement section, and a descent movement section,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The elevation movement section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both drain pipes, respectively, a bottom surface slanted upwards, and both sides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which have each width becoming narrower with a slope. The horizontal movement section is extended with equal height and an equal width on the elevation movement section. The descent movement section has a bottom surface descending with a slope and both sides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which have each width becoming wider with a slope. The sensor calibrating part is mounted on a bracke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part to calibrate a water level at a position of 1/2 of a width of the body part in the elevation movement section. The body part comprises a reference panel and a correction device. The reference panel is moved to a vertical lower part of the sensor calibrating part only when a correction work is performed in order to allow the sensor calibrating part to sense a height of a top surface to calibrate a reference water level. The correction device includes a body part contact part, which is vertically bent downwards from both ends of the reference panel to be extended to sequential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thereby being integrally connected.

Description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me type flowmeter having a calibrating device,

본 발명은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수관 내에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센서는 주기적으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졌는지 계측 교정해야하며 이러한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meter flow meter having a calibra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a flow rate in a sewer pipe should be calibrated to check whether a periodic accurate measurement has been made. Type limit flow meter equipped with a calibration device developed in order to be able to perform the measurement.

하수관로는 자유수면을 갖는 개수로이며 대부분의 구간에서 원형관 형태를 가지고, 맨홀로 폐쇄되어 있는 암거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생활 쓰레기 및 관로파손부에서 유입된 자갈, 토사 등의 협잡물이 다량 존재한다.The sewer line is a waterway with free water surface, and it has a circular tube shape in most sections, exists in a culvert form closed by a manhole, and there are abundant obstacles such as gravels and gravels introduced from various life garbage and pipeline damages.

이러한 하수관로에 유량계를 설치하는 주요목적은 하수발생 및 유하량의 패턴을 보기 위한 것으로 청천시와 강우시의 차이를 통해 강우시 유입되는 강우유입수의 정량과, 청천시 야간유하량과 야간발생하수량의 비교를 통해 상시 침입하는 지하수 침입수의 정량 등을 통해 하수 처리구역 내의 관로 손상 등을 분석하여 관찰하기 위한 모니터링 관측장비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installing the flowmeter in such a sewer pipe is to measure the pattern of sewage generation and discharge, and compare the amount of rainfall inflow water during rainfall and the amount of nightly discharge at night and night And monitoring of the damage to the pipeline in the sewage treatment area through the quantification of the groundwater infiltration water that is constantly invading through.

때문에 하수관로 유량계는 주로 우수와 오수가 구분되어 관로를 설치한 분류식 정비가 이루어진 지역에 설치하게 되며 매일 반복되는 아침의 생활하수 피크와 저녁 생활하수 피크, 새벽 시간의 최저유량시간대의 반복재현성이 최우선되는 기능이며 이를 위해서는 하수와 센서가 비접촉되는 방식의 유량계가 필요하다.Therefore, the sewerage flowmeter is mainly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sewerage is divided into the sewer line and the sewerage line where the pipeline is installed. Repeated reproducibility of the daily sewage peak and evening sewage peak, This requires a flow meter with a non-contact type of sewage and sensor.

유량계는 크게 만관형 유량계와 비만관식 유량계로 구분되며 만관형 유량계는 통수단면적이 수로 단면적과 같아 관로 제원으로 흐름 단면적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만관형 유량계는 유량에 따라 수위가 달라지므로 수위를 얼만큼 정확히 계측하느냐가 유량계의 정밀도와 현장계측정밀도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The flowmeter is divided into a full-flowmeter and an obesity-type flowmeter. The flowmeter of the full-scale flowmeter has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channel. However, since the flowmeter of the obesity tubular flowmeter changes its level depending on the flow rate, Is a very important indicator that determines the accuracy of the flowmeter and the field measurement accuracy.

개수로의 유량측정장치는 측정방법에 따라 웨어식(weir type), 플륨식(flume type), 유속수위 연산식 등이 있으며, 플륨식은 수로의 일부 단면을 좁게 하여 유로를 축소시킨 상태로 만들면 이 축소된 부분에서 유속이 빨라져 그 부분의 수위는 상류측 수위보다 낮게 될 때, 그 수위의 저하량을 측정한 후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하여 유량을 구하는 방식으로 형상에 따라 벤튜리 플륨, 파샬 플륨, 파마보라스 플륨 등이 있다.The flowmeter of the number of channels has a weir type, a flume type, a flow rate water level calculation formula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ethod, and if the plume type is made to narrow the channel by narrowing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hannel, When the flow rate is reduced at the reduced part and the water level of the part becomes lower than the water level at the upstream side, the amount of decrease of the water level is measured and then the flow rate is obtained by Bernoulli's theorem. Borosulfium and the like.

도 13은 종래 하수관로에 설치되었던 파마보라스(PB)플륨식 한계류 유량계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양측 하수관(11)을 연결하는 맨홀(1)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양측 하수관에 연결되고 저면이 경사지게 상승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좁아지는 상승이동구간(11)과, 상기 상승이동구간(11)에서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연장되는 수평이동구간(12)과, 저면이 경사지게 하강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넓어지는 하강이동구간(1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단에 장착되는 브라켓(21)에 장착되어 상기 상승이동구간(11)에서 몸체(1)의 폭의 1/2 되는 지점에서 수위를 계측하는 센서계측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를 나타내었다.FIG. 1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limit flow meter of a Pharma-Boras (PB) -like typ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ewer line. The manhole 1 connecting the two sewage pipes 11 has a U-shap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both sewer pipes A horizontal movement section 12 extending at the same height and width in the upward movement section 11 and a horizontal movement section 12 extending in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sections 11 at the same height and width, A body (1) in which a descending movement section (13) in which the widths of both sides are inclinedly extended is formed sequentially; And a sensor measuring unit 2 mounted on a bracket 21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1 and measuring a water level at a point half of the width of the body 1 in the ascending movement section 11 The flowmeter is composed of a flowmeter and a flowmeter.

하수의 흐름은 폭이 좁아지는 부분 직전은 큰 수심으로 흐를 때는 상류(常流,subcritical flow)가 되고, 상승이동구간(11)에서 수위는 점차 낮아지고 유량은 빨라지며, 수평이동구간(12)에서는 낮아진 상태로 동일한 수위로 이동하는 한계수심으로 흐르는 한계류(限界流, critical flow)가 되며, 하강이동구간(13)에서는 수위가 점차 낮아진 후 최종적으로 가장 낮아진 수위의 사류(射流,supercritical flow)로 흐름이 분류된다.The flow of sewage is gradually lowered and the flow rate is increased in the upward movement section 11 and the flow of the horizontal movement section 12 is increased. The critical flow that flows to the limit water depth that moves to the same water level in the lowered state becomes a critical flow and in the downward movement interval 13 the water level is gradually lowered and finally the lowest water level becomes the supercritical flow, .

이때 센서계측부(2)는 상승이동구간(11)에서 몸체(1)의 폭의 1/2 되는 지점에서 수위를 계측하도록 하여 유량을 측정하는데 주기적으로 센서계측부(2)가 측정하는 수위가 정확한 값을 가지는지 교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At this time, the sensor measuring unit 2 measures the water level at a point at a half of the width of the body 1 in the ascending / moving section 11, and periodically measures the flow rate by measuring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ing unit 2 And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problem.

하지만 현장에서는 센서계측부(2)에 자를 하수에 담그고 실측수위와 유량계 표시 수위를 비교하여 교정함으로서 현장교정을 수행하는데 흐름이 있는 물속에 자를 넣을 경우 자에 의한 저항으로 수위가 상승하며 난류가 발생하여 수위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자연흐름에서도 난류 등의 영향으로 수면자체에 요철이 존재하여 안정적인 수위확보가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on-site calibration by immersing the sewer in the sewage and comparing the measured water level with the meter reading level in the sensor measurement part (2). In case of inserting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a water level error occurs, and even in a natural flow, unevenness is present in the water surface itself due to turbulence and the like,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able water level.

즉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직경 300mm의 하수관에서 1cm의 수위오차가 발생할 경우 단면적은 최대 약 30㎠의 오차가 생기는 것으로 관경이 증대될수록 수위가 미치는 단면적에의 영향은 매우 과대해 진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error of 1 cm is generated in the sewage pipe having the diameter of 300 mm, which is used most frequently, an error of about 30 cm2 is generated in maximum, and the influence 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level becomes excessively large as the diameter increases.

또한 수위측정부터 유량계 교정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측정면이 변동되면 안되는데 현장에서 하수의 흐름은 상류부의 배출량이 수시로 바뀌는 경우 측정값은 부정확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surement surface must not fluctuate from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til the flow meter calibration is completed. The sewage flow in the field will be inaccurate if the upstream amount of emissions varies from time to time.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097233호 (2007년10월04일)(Patent Document 1)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97233 (October 04, 2007)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08330-0000호 (2012년11월29일)(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8330-0000 (November 29, 2012)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90159-0000호 (2013년07월22일)(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90159-0000 (Jul. 22,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에서 센서계측부의 수위 측정치가 정확한 수치를 가지도록 이를 교정하는 작업이 하수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a water level measurement value of a sensor- Type limit flow meter having a calibration device that enables the flow rate meter to be able to measure the flow r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 하수관을 연결하는 맨홀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양측 하수관에 연결되고 저면이 경사지게 상승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좁아지는 상승이동구간과, 상기 상승이동구간에서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연장되는 수평이동구간과, 저면이 경사지게 하강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넓어지는 하강이동구간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상승이동구간에서 몸체의 폭의 1/2 되는 지점에서 수위를 계측하는 센서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에 있어서;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wing machine including a manhole having a U-shape at a manhole connecting both sewage pipes,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both sewage pipes, a rising s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upward, A body in which a horizontal movement section extending in the same height and width in the ascending movement section and a descending movement s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width of the adjacent sides are inclined broadly; And a sensor measuring unit mounted on a bracke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for measuring a water level at a point at a half of a width of the body in the upward movement section,

상기 몸체에는 교정작업을 할 경우에만 센서계측부의 연직 하부로 이동하여 상면의 높이를 센서계측부가 감지하여 기준 수위를 교정하도록 하는 기준판넬과, 상기 기준판넬의 양측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몸체와 측면에 밀착된 후 저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후 일체로 연결되는 몸체 밀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A reference panel which moves to the vertical lower part of the sensor measuring unit only when the calib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corrects the reference water level by sensing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by the sensor measuring unit; And a body tightening part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body after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and exten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삭제delete

아울러, 상기 몸체 밀착부(31)의 몸체(1)의 측면에 밀착하는 부분에는 수직 아래로 평행하게 한 쌍이 절개된 후 서로 연결되도록 절개되고, 그 중간은 몸체(1)의 측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편(311)을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air of the body-tightening portions 31 are cut in parallel to each other vertically downwardly in the portion of the body 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ody-tightening portion 31, And one on each side of the elastic piece 311 protruding.

아울러, 상기 기준판넬은 상기 몸체의 일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진 경첩에 의하여 일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반대측 내측면에는 경첩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준판넬이 수평이 될 때 걸리도록 돌출되는 걸림브라켓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panel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by a hinge having a shaft extending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reference panel rotated by a hinge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inner side opposite to the body And a latching bracket which is projected to be caught by the latching bracket.

또한, 상기 기준판넬은 상기 몸체의 일 내측면에 고정브라켓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진 제1 힌지에 의하여 일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준판넬이 센서계측부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였을 때 기준판넬의 일면을 막아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편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ference panel is rotatably connected at its one end by a first hinge having a shaf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ormed on a fixing bracket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The latching member is vertically bent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prevent one rotation of the reference panel.

아울러,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상단 양측을 가로지르며 고정되는 수평브라켓과,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단에 센서계측부가 고정되는 수직브라켓으로 구성되고;In addition, the bracket may include a horizontal bracket fixed across the upper both sides of the body, and a vertical bracket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and fixed to a sensor measuring unit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수직으로 수평브라켓까지 관통되는 현에 의하여 잘린 원형상을 가진 회전제한홀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싱과;A guide bush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and having a rotation restriction hol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having a rounded truncated circular shape vertically penetrating to a horizontal bracket;

상기 회전제한홀에 상응하는 외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되는 회전제한부와, 상기 회전제한부의 상단에 외면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핸들과, 하단 중앙에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되는 가이드포스트를 추가로 구비하며;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extending long with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estricting hole; a handle formed by extending an outer surface stepwise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and a guide post ;

상기 기준판넬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삽입돌부가 억지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싱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제한홀에 회전제한부가 삽입되었을 때 센서계측부의 연작 하부에 기준판넬의 일측 상면이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 fixing bushing having fixing grooves for fix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ference panel, and when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restricting hole, one upper surface of the reference panel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or measuring portion .

또한, 상기 회전제한부에는 외면이 단턱지게 함몰되어 상기 회전제한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회전가능부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otatable portions that are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outer surface is recessed a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restricting ho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에서 센서계측부의 수위 측정치가 정확한 수치를 가지도록 이를 교정하는 기준점을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기준판넬과 센서계측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정확한 수치를 가지도록 교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센서계측부의 교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anel and the sensor measuring unit, which allows the reference point for calibrating the water level measurement of the sensor measuring unit to have an accurate valu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sensor measurement section more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장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3은 종래 하수관로에 설치되었던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according to the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lowmeter type limit flow meter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ewer line.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양측 하수관(41)을 연결하는 맨홀(4)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양측 하수관(41)에 연결되고 저면이 경사지게 상승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좁아지는 상승이동구간(11)과, 상기 상승이동구간(11)에서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연장되는 수평이동구간(12)과, 저면이 경사지게 하강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넓어지는 하강이동구간(1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단에 장착되는 브라켓(21)에 장착되어 상기 상승이동구간(11)에서 몸체(1)의 폭의 1/2 되는 지점에서 수위를 계측하는 센서계측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에 있어서;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anhole 4 connecting a double- (11) connected at both ends thereof to both sides of the sewage pipe (41) and rising at an inclined bottom surface and narrowing in width at both sid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horizontal movement section A body 1 in which a moving section 12 and a descending moving section 13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widths of the adjacent both sides are inclined wide are sequentially formed; And a sensor measuring unit 2 mounted on a bracket 21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1 and measuring a water level at a point half of the width of the body 1 in the ascending movement section 11 For a flow-type limiting flow meter comprising:

상기 몸체(1)에는 교정작업을 할 경우에만 센서계측부(2)의 연직 하부로 이동하여 상면의 높이를 센서계측부(2)가 감지하여 기준 수위를 교정하도록 하는 기준판넬(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를 나타내었다.The body 1 is provided with a reference panel 3 that moves to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sensor measuring unit 2 only when the calib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detect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by the sensor measuring unit 2 to calibrate the reference water level Type limiting flow meter with a calibrating device.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는 상기 기준판넬(3)의 양측 끝단은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몸체(1)와 측면에 밀착된 후 저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후 일체로 연결되는 몸체 밀착부(31)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reference panel 3 are folded vertically downward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ody 1 and then extended to close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erence panel 3,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 실시 예는 먼저 기존에 센서계측부(2)의 측정 수치가 주기적으로 교정하지 않으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교정하는 작업에서 측정된 수치와 자를 하수관에 넣어 얻어진 수치를 비교하도록 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f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nsor measuring unit 2 are not corrected regularly,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measured values. Therefore, the measured values and the measured values are compared with the values obtained by putting the measured values in the sewer pipe.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이에 본 발명은 정확한 수위를 센서계측부(2)가 얻을 수 있도록 실제 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는 기준판넬(3)을 두고 센서계측부(2)가 기준판넬(3)의 상면의 높이가 일치하는지 파악하여 이를 일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measuring the level of actual sewage so that the sensor measuring unit 2 can obtain an accurate water level, but a reference panel 3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ensor measuring unit 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erence panel 3 So that they can match with each other.

따라서 불규칙한 수면을 측정하는 것보다 고정된 기준판넬(3)에 의하여 정확한 센서계측부(2)의 교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calibration of the sensor measurement unit 2 is performed by the fixed reference panel 3 rather than the measurement of the irregular water surface.

도면에서의 실시 예는 평상시에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량계에서의 하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교정이 필요할 경우에만 장착한 후 교정작업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is such that the separated state is normally maintained so as not to affect the flow of sewage in the flowmeter and the calibration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after mounting only when calibration is requir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장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몸체 밀착부(31)의 몸체(1)의 측면에 밀착하는 부분에는 수직 아래로 평행하게 한 쌍이 절개된 후 서로 연결되도록 절개되고, 그 중간은 몸체(1)의 측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편(311)을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ody 1 of the body- And a pair of elastic pieces 311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ody 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iece 311,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 실시 예는 하수의 흐름에 따라 기준판넬(3)과 일체로된 몸체 밀착부(31)가 유동이 발생하거나 끌려 내려갈 경우 교정작업이 곤란해지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편(311)이 몸체(1)의 양측에 밀착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body contact part 31 integrated with the reference panel 3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ewage water flows or is pulled down,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correcting operation, so that the elastic piece 311 can be fixed more firmly. (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

도 5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기준판넬(3)은 상기 몸체(1)의 일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진 경첩(32)에 의하여 일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1)의 반대측 내측면에는 경첩(32)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준판넬(3)이 수평이 될 때 걸리도록 돌출되는 걸림브라켓(33)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FIG. 5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nge 32 having an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 and a reference panel 3 rotated by the hinge 32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1 opposite to the body 1, The latching bracket 33 protrudes to be caught when the latching bracket 33 is attached.

상기 실시 예는 기준판넬(3)이 유량계에 구비되어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평상시에는 기준판넬(3)을 세워놓고 교정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만 회전시켜 걸림브라켓(33)에 걸리도록 한 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ference panel 3 is provided in the flowmeter and is not required to be carried separately. Normally, only the reference panel 3 is set up and rotated only when the calib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reference panel 3 is caught by the latching bracket 33, .

도 7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기준판넬(3)은 상기 몸체(1)의 일 내측면에 고정브라켓(34)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진 제1 힌지(35)에 의하여 일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준판넬(3)이 센서계측부(2)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였을 때 기준판넬(3)의 일면을 막아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편(36)이 상기 고정브라켓(34)의 일측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surface by a first hinge 35 having a vertically extending shaft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34 and the reference panel 3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sensor measuring portion 2 The stopper 36 is vertically bent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34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eference panel 3 when the reference panel 3 is positioned on the reference panel 3. [ .

상기 실시 예는 기준판넬(3)이 수평으로 회전하여 필요시마다 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panel 3 is horizontally rotated so that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whenever necessary.

이때 기준판넬(3)의 높이는 충분히 높게 형성되어 수위가 높을 때 고정브라켓(34) 및 기준판넬(3)에 의하여 하수의 흐름이 변화하여 수위측정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anel 3 is preferably sufficiently high to prevent the flow of sewage water from being changed by the fixing bracket 34 and the reference panel 3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water level measure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몸체(1)의 상단 양측을 가로지르며 고정되는 수평브라켓(211)과, 상기 수평브라켓(211)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단에 센서계측부(2)가 고정되는 수직브라켓(212)으로 구성되고;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to 11 are views of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rtical bracket 212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211 and having the sensor measurement unit 2 fixed to the upper end thereof;

상기 수평브라켓(211)의 상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수직으로 수평브라켓(211)까지 관통되는 현에 의하여 잘린 원형상을 가진 회전제한홀(221)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싱(22)과;A guide bushing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211 and having a rotation restricting hole 221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having a round truncated circular shape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horizontal bracket 211;

상기 회전제한홀(221)에 상응하는 외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되는 회전제한부(231)와, 상기 회전제한부(231)의 상단에 외면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핸들(232)과, 하단 중앙에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삽입돌부(233)가 형성되는 가이드포스트(23)를 추가로 구비하며;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1 having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estricting hole 221 and a handle 23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1 so as to extend in a stepwise manner,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st (23) on which an insertion protrusion (233) protruding downwardly is formed;

상기 기준판넬(3)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삽입돌부(233)가 억지끼움 고정되는 고정홈(37)이 형성되는 고정부싱(38)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제한홀(221)에 회전제한부(231)가 삽입되었을 때 센서계측부(2)의 연작 하부에 기준판넬(2)의 일측 상면이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A fixing bushing 3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ference panel 3 to form a fixing groove 37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233 is securely fastened, 231 are inserted,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reference panel 2 is positioned below the protrusion of the sensor measuring unit 2.

상기 실시 예는 가이드포스트(23)를 기준판넬(3)과 결합시킨 후 평상시에는 위로 올린 후 회전제한부(231)와 삽입돌부(233)의 경계 단턱에 가이드부상(22)의 회전제한홀(221)의 상단에 걸리도록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기준판넬(3)이 하수에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guide post 23 is coupled to the reference panel 3 and then is lifted up to a normal position and then is guid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1 and the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233, 221 so that the reference panel 3 is positioned at a height that does not affect the flow of the sewage water.

또 교정작업을 할 경우에는 가이드포스트(23)를 회전시켜 회전제한부(231)가 회전제한홀(221)에 삽입되어 하강하도록 하며 핸들(232) 또는 추가로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한 후 교정작업을 하는 것이다.
Further, when performing the calibration operation, the guide post 23 is rotated so that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1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restricting hole 221 to be lowered, and the handle 232 or the stopper having a further expanded outer diameter is provided So as not to descend any more, and then perform a calibration oper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기 회전제한부(231)에는 외면이 단턱지게 함몰되어 상기 회전제한홀(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회전가능부(23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에를 제시하였다.12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f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able rotatable members 231, And an additional portion 234 are provided.

상기 실시 예는 하나의 높이에서만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높이에 기준판넬(3)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로 좀더 정확한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ference panel 3 can be positioned at various heights instead of only one height, thereby enabling more accurate calibration.

또한 하수관의 수량에 따라 수량이 많을 경우 기준판넬(3)이 잠기게 되면 교정이 불가능하므로 수량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교정할 수 있게 된다.
Also, if the quantity of sewer pipes is large, the reference panel (3) can not be calibrated when it is locked.

1 : 몸체
11 : 상승이동구간 12 : 수평이동구간
13 : 하강이동구간
2 : 센서계측부
21 : 브라켓
211 : 수평브라켓 212 : 수직브라켓
22 : 가이드부싱
221 : 회전제한홀
23 : 가이드포스트
231 : 회전제한부 232 : 핸들
233 : 삽입돌부 234 : 회전가능부
3 : 기준판넬
31 : 몸체 밀착부 311 : 탄성편
32 : 경첩 33 : 걸림브라켓
34 : 고정브라켓 35 : 제1 힌지
36 : 걸림편 37 : 고정홈
38 : 고정부싱
4 : 맨홀
41 : 하수관
1: Body
11: rising movement section 12: horizontal movement section
13: descending moving section
2: Sensor measurement section
21: Bracket
211: Horizontal bracket 212: Vertical bracket
22: Guide bushing
221: rotation limit hole
23: Guide post
231: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2: handle
233: insertion protrusion 234:
3: Reference panel
31: body contact part 311:
32: Hinge 33: Retaining bracket
34: Fixing bracket 35: First hinge
36: fastening piece 37: fastening groove
38: Fixed bushing
4: Manhole
41: sewer

Claims (7)

삭제delete 양측 하수관(41)을 연결하는 맨홀(4)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양측 하수관(41)에 연결되고 저면이 경사지게 상승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좁아지는 상승이동구간(11)과, 상기 상승이동구간(11)에서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연장되는 수평이동구간(12)과, 저면이 경사지게 하강하고 인접한 양측의 폭이 경사지게 넓어지는 하강이동구간(1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단에 장착되는 브라켓(21)에 장착되어 상기 상승이동구간(11)에서 몸체(1)의 폭의 1/2 되는 지점에서 수위를 계측하는 센서계측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에 있어서;
상기 몸체(1)에는 교정작업을 할 경우에만 센서계측부(2)의 연직 하부로 이동하여 상면의 높이를 센서계측부(2)가 감지하여 기준 수위를 교정하도록 하는 기준판넬(3)과, 상기 기준판넬(3)의 양측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몸체(1)와 측면에 밀착된 후 저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된 후 일체로 연결되는 몸체 밀착부(3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
A rising section 11 having a "U" shape at the manhole 4 connecting the two sewage pipes 41 and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sewage pipes 41, the bottom surface of which is raised obliquely, A horizontal movement section 12 extending in the ascending movement section 11 at the same height and width and a descending movement section 13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width of the adjacent sides are inclined broadly, 1); And a sensor measuring unit 2 mounted on a bracket 21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1 and measuring a water level at a point half of the width of the body 1 in the ascending movement section 11 For a flow-type limiting flow meter comprising:
A reference panel 3 that moves to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sensor measurement unit 2 only when the calib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ody 1 and allows the sensor measurement unit 2 to sense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to calibrate the reference water level, And a body tightening part (31) which is bent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panel (3) and is tightly attached to the body (1) and the side surface, Equipped flowmeter limit flow me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밀착부(31)의 몸체(1)의 측면에 밀착하는 부분에는 수직 아래로 평행하게 한 쌍이 절개된 후 서로 연결되도록 절개되고, 그 중간은 몸체(1)의 측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편(311)을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air of the body-tightening portions (31) are cut in parallel vertically downwardly at portions of the body (1) , And one elastic piece (311)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flow me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판넬(3)은 상기 몸체(1)의 일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진 경첩(32)에 의하여 일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1)의 반대측 내측면에는 경첩(32)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준판넬(3)이 수평이 될 때 걸리도록 돌출되는 걸림브라켓(33)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ference panel (3) is rotatably connected at its one end by a hinge (32) having an axi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1) And a latching bracket (33)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panel (3) to be hung when the reference panel (3) rotated by the hinge (32) is horizont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판넬(3)은 상기 몸체(1)의 일 내측면에 고정브라켓(34)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진 제1 힌지(35)에 의하여 일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준판넬(3)이 센서계측부(2)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였을 때 기준판넬(3)의 일면을 막아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편(36)이 상기 고정브라켓(34)의 일측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ference panel (3) comprises a first hinge (35) having a vertically extending axis formed on a fixing bracket (34) on one inner side of the body (1) And a latching piece 36 for preventing one side of the reference panel 3 from being rotated further when the reference panel 3 is located at a vertically lower portion of the sensor measuring unit 2, Is formed to be vertically bent from one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flow restrictor (3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몸체(1)의 상단 양측을 가로지르며 고정되는 수평브라켓(211)과, 상기 수평브라켓(211)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단에 센서계측부(2)가 고정되는 수직브라켓(2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브라켓(211)의 상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수직으로 수평브라켓(211)까지 관통되는 현에 의하여 잘린 원형상을 가진 회전제한홀(221)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싱(22)과;
상기 회전제한홀(221)에 상응하는 외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되는 회전제한부(231)와, 상기 회전제한부(231)의 상단에 외면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핸들(232)과, 하단 중앙에 하부로 돌출 연장되는 삽입돌부(233)가 형성되는 가이드포스트(23)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준판넬(3)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삽입돌부(233)가 억지끼움 고정되는 고정홈(37)이 형성되는 고정부싱(38)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제한홀(221)에 회전제한부(231)가 삽입되었을 때 센서계측부(2)의 연작 하부에 기준판넬(2)의 일측 상면이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racket (21) comprises a horizontal bracket (211) which is fixed across and crossing both ends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1) And a vertical bracket 212 to which the bracket 2 is fixed;
A guide bushing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211 and having a rotation restricting hole 221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having a round truncated circular shape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horizontal bracket 211;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1 having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estricting hole 221 and a handle 23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31 so as to extend in a stepwise manner,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st (23) on which an insertion protrusion (233) protruding downwardly is formed;
A fixing bushing 3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ference panel 3 to form a fixing groove 37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233 is securely fastened, 231) is inserted,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reference panel (2) is positioned below the series of sensor measuring unit (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231)에는 외면이 단턱지게 함몰되어 상기 회전제한홀(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회전가능부(23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장치를 구비한 플륨식 한계류 유량계.The rotation restricting part (231)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otation restricting part (231)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rotatable parts (234) that are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outer surface is recessed into the rotation restricting hole (221) A flowmeter with a flowmeter with a calibration device.
KR1020150024894A 2015-02-23 2015-02-23 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KR101540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94A KR101540610B1 (en) 2015-02-23 2015-02-23 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94A KR101540610B1 (en) 2015-02-23 2015-02-23 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610B1 true KR101540610B1 (en) 2015-07-31

Family

ID=5387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894A KR101540610B1 (en) 2015-02-23 2015-02-23 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6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95B1 (en) 2016-05-30 2017-03-23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The hybrid PB-Flume flow meter that can measurement full pipe and countercurrent fl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981B1 (en) * 2014-05-09 2014-11-06 (주)웹솔루스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for sewerage
KR101478976B1 (en) * 2014-04-15 2015-01-05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Smart flowme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76B1 (en) * 2014-04-15 2015-01-05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Smart flowmeter
KR101456981B1 (en) * 2014-05-09 2014-11-06 (주)웹솔루스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for sewer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95B1 (en) 2016-05-30 2017-03-23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The hybrid PB-Flume flow meter that can measurement full pipe and countercurrent f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131B2 (en) Method of determining surface level, and a soil moisture sensor
KR101540610B1 (en) The flume type critical flowmeter having a meter calibrating system
CN104833294A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verticality of pipe pile
US6142017A (en) Hydrostatic pressure equalizer apparatus and system
US7343794B1 (en) Weir box and sensor
KR101345691B1 (en) The flux measurement equipment for a sewer pipe
KR20070022838A (en) Flow meter system for foul water pipe line
JP3201140U (en) Water level indicator for floods during flat water
KR101294006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ground displacement
KR101531566B1 (en) The flume type flowmeter that can identify a critical flow
KR101717895B1 (en) The hybrid PB-Flume flow meter that can measurement full pipe and countercurrent flow
KR101833543B1 (en) Sewage flow measurment device for partially filled pipe coinciding low carbon
KR102030593B1 (en) Support structure for measuring equipment
KR100509294B1 (en) Water level measure apparatus of manhole for appartment house
CN214064435U (en) Mounting bracket of Doppler flowmeter
US5156489A (en) Adjustable flume
CN110487153B (en) Device and method for rechecking and measuring installation and reinforcement spacing of buried water stop
KR102192989B1 (en) Rainfall runoff experimental equipment for measuring time of concntration
KR102013949B1 (en) Precision measuring device of cable snake
KR200438856Y1 (en) Fixing Device of Flux Sensor
KR101336637B1 (en) Staff for measuring level of underground inclined section of drain manhole
CN208902217U (en) A kind of traffic engineering sewer deposition degree detection device
CN204679021U (en) Pile tube verticality measurement device
JP2005049266A (en) Pipe axial center detection device
CN215217704U (en) Portable pipeline flow detector without downhole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