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323B1 -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 Google Patents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323B1
KR101539323B1 KR1020130163525A KR20130163525A KR101539323B1 KR 101539323 B1 KR101539323 B1 KR 101539323B1 KR 1020130163525 A KR1020130163525 A KR 1020130163525A KR 20130163525 A KR20130163525 A KR 20130163525A KR 101539323 B1 KR101539323 B1 KR 10153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ammer
diameter
combination hamm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500A (ko
Inventor
이채구
김창록
Original Assignee
창신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신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3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6Down-hole impacting means, e.g. hamm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조합해머의 슬라이딩케이싱 외주에는 쐐기형의 슬라이딩편이 설치되어, 천공시는 조합해머의 드릴이 반지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가고 후진하여 회수시는 조합해머의 드릴이 반지름 안쪽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조합해머의 직경이 가변형이 되어, 수직 및 수평천공에서 복합지반에서의 케이싱인 강관의 압입과 동시에 천공이 용이하게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경가변형 조합해머{variable diameter type combination hamer}
본발명은 강관을 동시에 압입할 경우 천공에 사용되는 조합해머의 직경이 가변형이 되는 것으로, 천공 중에는 Casing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천공을 수행하고, 천공을 완료한 후 조합해머를 공 외부로 회수하기 위해 Casing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으로 변형되어야 Casing내부로 회수되는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을 굴착하는 해머는 공기 또는 워터와 같은 유체를 사용하여 굴착하는 힘을 얻게 되며, 또한 해머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상적인 해머구조에 대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9346호는, 공기압축기에서 지원받은 압축공기가 로타리해드와 연장파이프 를 통하여 상기의 에어 해머에 압축공기가 도달하면 에어 해머 내부의 피스톤이 상하 반복작용을 하면서 비트를 타격하고, 이 비트가 다양한 지반을 부숴 굴착이 이루어진다.
여기에 사용하는 에어 해머의 구성품을 대별하면, 척, 외피, 피스톤, 압축공기 분배기, 톱서브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부품의 역할로는 척은 외피의 아래쪽에 결합 되며 에어 해머와 비트를 결합시켜 주기 위한 것이고, 외피는 피스톤의 외주면을 감싸고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자연스럽게 하며, 압축공기 분배기는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공기를 분배하고, 톱서브는 외피의 위쪽에 결합 되며 에어해머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연장파이프에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73989호에는 에어해머는 그 몸체부를 구성하는 원통상으로 된 하우징의 중공부에 굴착용 비트가 설치되고, 상기 비트의 하단부에는 초경소재로 된 다수의 볼이 박힌 고정이빨과 외향으로 확대되도록 조립된 확경이빨이 구비되고, 그러므로 굴착하기 위한 장소에 에어해머의 하우징을 수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그 중공부에 설치된 비트를 구동시킴에 따라, 준비상태로부터 비트의 헤드부 하단에 구비된 고정이빨과 확경이빨이 일체로 하우징)의 하단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확경이빨이 그 자중에 의해 외향으로 확대된 상태에서 비트가 회전과 동시에 고압의 공기압을 분사시키게 됨으로써 토사 또는 암반층을 굴착하게 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편, 2개 이상의 해머가 조합된 조합 해머에서는 상기 에어 또는 워터 유체는 유입통로로 유입되어 저장용기 및 내부구조를 통하여 각각의 해머로 임의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 수직 및 수평천공에서 복합지반에서의 천공을 위해 케이싱(강관)의 압입과 동시에 천공이 되는 공법이 필요하나, 현재까지, 소구경 천공에서는 이러한 공법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나, 대구경 천공에서는 이러한 공법의 적용이 곤란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은 조합해머의 직경이 가변형이 되어, 수직 및 수평천공에서 복합지반에서의 케이싱인 강관의 압입과 동시에 천공이 용이하게 되는 직경가변형 조합해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에 관한 것으로, 조합해머의 슬라이딩케이싱 외주에는 쐐기형의 슬라이딩편이 설치되어, 천공시는 조합해머의 드릴이 반지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가고 후진하여 회수시는 조합해머의 드릴이 반지름 안쪽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조합해머의 직경이 가변형이 되어, 수직 및 수평천공에서 복합지반에서의 케이싱인 강관의 압입과 동시에 천공이 용이하게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분해도
도 2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외관도
도 3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천공시 고정핀과의 상관도
도 4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회수)시 고정핀과의 상관도
도 5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천공시 단면도
도 6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시 단면도
도 7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지 않은 상태로 직경이 축소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지 않은 상태로 직경이 축소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은 상태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은 상태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축소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복원 시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축소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복원 시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큰직경으로 돌출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천공 시 상태의 정면도
도 14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큰직경으로 돌출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천공 시 상태의 측면도
도 15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 원리도1
도 16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 원리도2
도 17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 원리도3
도 18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고정핀의 역할도
본 발명은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에 관한 것으로, 조합해머(100)의 슬라이딩케이싱(60) 외주에는 쐐기형의 슬라이딩편(31)이 설치되어, 천공시는 조합해머(100)의 드릴(10)이 반지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가고 후진하여 회수시는 조합해머(100)의 드릴(10)이 반지름 안쪽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해머는 천공시 최대로 지름이 커졌을 때는 케이싱(20)보다 지름이 커며, 천공후 조합해머를 구멍 외부로 빼낼 경우에는 지름이 최대로 작아지되, 케이싱(20) 지름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분해도, 도 2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외관도, 도 3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천공시 고정핀과의 상관도, 도 4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회수)시 고정핀과의 상관도, 도 5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천공시 단면도, 도 6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시 단면도, 도 7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지 않은 상태로 직경이 축소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지 않은 상태로 직경이 축소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은 상태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비트 아랫면이 암반과 맞닿은 상태로 직경이 확장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축소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복원 시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축소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복원 시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큰직경으로 돌출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천공 시 상태의 정면도, 도 14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케이싱 링과 케이싱 내경보다 큰직경으로 돌출된 형태로 조합해머의 천공 시 상태의 측면도(붉은색은 드릴비트의 외경이 케이싱외경보다 큰직경으로 돌출된 형태는 나타낸다), 도 15는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 원리도1, 도 16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 원리도2, 도 17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 원리도3, 도 18은 본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고정핀의 역할도이다.
본발명은 강관을 동시에 압입할 경우 천공에 사용되는 조합해머의 직경이 가변형이 되는 것이다.
천공 중에는 Casing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천공을 수행하고, 천공을 완료한 후 조합해머를 공 외부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Casing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으로 변형되어야 Casing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천공을 위해 천공 장비에서 드릴로드의 연결을 통해 조합해머의 가운데 나사연결부를 이용하여 좌, 우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조합해머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체면이 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합해머(100)의 슬라이딩케이싱(60) 외주에는 쐐기형의 슬라이딩편(31)이 설치되어, 천공시는 조합해머(100)의 드릴(10)이 반지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가고 후진하여 회수시는 조합해머(100)의 드릴(10)이 반지름 안쪽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곧 쐐기형 슬라이드편의 전후이송에 의하여 조합해머의 드릴(10)이 반지름방향으로 밀려나가거나 후진하여 회수되는 것이다.
본 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복원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조합해머(100)의 회수를 위해 천공장비는 조합해머(100)를 후방(케이싱링(21) + 케이싱(2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드릴비트는 지면과의 저항을 받게 되고 1차적으로 조합해머의 케이스의 이동과 상대적인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조합해머가 일정거리를 후퇴하게 될 경우 드릴비트는 케이싱링와 맞닫게 되고 이때의 저항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야
하는 해머는 전방으로 밀리면서 직경방향으로 슬립됨과 동시에 직경이 축소된다.
본 발명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의 고정핀(40)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조합해머 케이싱(70)과 접촉하는 슬라이딩케이싱(60)의 선단에는 지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롯홀(50)과 조립되어 슬라이딩케이싱(6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최종적으로 조합해머 케이싱(70)과 슬라이딩케이싱(6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천공시에는 조함해머는 케이싱의 전방에 위치하여 케이싱의 외경보다 다소큰직경으로 암반을 천공하면서(구멍을 만들면서) 케이싱이 같이 전방으로 이돌될 수 있도록한다.
하지만 조합해머를 회수할 경우 전방으로 이동이 불가하기 때문에 케이싱 내부를 통해 후방으로 회수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직경이 축소되어 케이싱 내경보다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조합해머의 직경이 가변형이 되어, 수직 및 수평천공에서 복합지반에서의 케이싱인 강관의 압입과 동시에 천공이 용이하게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드릴 20 : 케이싱
31 : 슬라이딩편 32 : 슬라이딩홈
40 : 고정핀 50 : 슬롯홀
60 : 슬라이딩케이싱 70 : 조합해머 케이싱
21 : 케이싱링

Claims (2)

  1. 2개 이상의 해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합해머(100)가 강관인 케이싱(2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합해머(100)의 슬라이딩케이싱(60)이 조합해머 케이싱(70)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됨으로써 조합해머(100)의 직경이 가변하는 직경가변형 조합해머에 있어서,
    상기 조합해머(100)의 슬라이딩케이싱(60) 외주에는 쐐기형의 슬라이딩편(31)이 설치되어, 천공시는 조합해머(100)의 드릴(10)이 반지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가고 후진하여 회수시는 조합해머(100)의 드릴(10)이 반지름 안쪽방향으로 복원되며,
    상기 조합해머(100)는 천공시 최대로 지름이 커졌을 때는 케이싱(20)보다 지름이 커며, 천공후 조합해머(100)를 구멍 외부로 빼낼 경우에는 지름이 최대로 작아지되, 케이싱(20) 지름보다 작아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슬라이딩케이싱(60)과 조합해머 케이싱(70)이 서로 접촉하는 선단에는 지름방향으로 장공형태의 슬롯홀(50)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홀(50)에는 슬라이딩케이싱(6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핀(40)이 삽입고정되어 슬라이딩케이싱(6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최종적으로 조합해머 케이싱(70)과 슬라이딩케이싱(6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인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2. 삭제
KR1020130163525A 2013-12-26 2013-12-26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KR10153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25A KR101539323B1 (ko) 2013-12-26 2013-12-26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25A KR101539323B1 (ko) 2013-12-26 2013-12-26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500A KR20150075500A (ko) 2015-07-06
KR101539323B1 true KR101539323B1 (ko) 2015-07-24

Family

ID=5378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525A KR101539323B1 (ko) 2013-12-26 2013-12-26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278B1 (ko) * 2015-08-26 2016-1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곡선 궤도로 굴착이 가능한 확공기 및, 이를 이용한 확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358U (ko) * 1993-04-22 1994-11-16 국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오가드릴머신의 조합식 천공해머
KR100656190B1 (ko) * 2005-03-19 2006-12-13 (주)하이탑 수평관 추진용 조합해머
KR20080083403A (ko) * 2007-03-12 2008-09-18 (주)하이탑 사각 해머 비트용 굴착장치
KR20110102665A (ko) * 2010-03-11 2011-09-19 (주)탑드릴 지반 굴착 해머용 확경 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358U (ko) * 1993-04-22 1994-11-16 국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오가드릴머신의 조합식 천공해머
KR100656190B1 (ko) * 2005-03-19 2006-12-13 (주)하이탑 수평관 추진용 조합해머
KR20080083403A (ko) * 2007-03-12 2008-09-18 (주)하이탑 사각 해머 비트용 굴착장치
KR20110102665A (ko) * 2010-03-11 2011-09-19 (주)탑드릴 지반 굴착 해머용 확경 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500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7161A (ko) 단계별 천공경 확장이 가능한 지반 굴착용 드릴
CN105625986A (zh) 一种刮刀可控多功能刮壁器
CN211201769U (zh) 一种适用于大直径钻孔的潜孔锤反循环跟管钻头
CN106593296A (zh) 井下双作用提速器
KR101539323B1 (ko) 직경가변형 조합해머
CN105507815A (zh) 一种水力驱动的套管内径向钻孔高压旋转磨头
KR101045290B1 (ko) 확공용 멀티해머
JPH09100688A (ja) 二重管穿孔装置
CN207122284U (zh) 扩地钻具
CN210829078U (zh) 一种偏心扩孔跟管钻具
CN116025274B (zh) 锚索的打孔装置及其打孔方法
KR101745393B1 (ko) 회수형 해머비트
KR200371825Y1 (ko) 분리형 천공비트
CN112942477A (zh) 一种钢管桩遇到孤石快速的破碎工具及施工方法
JP6507012B2 (ja) 二重管削孔工具
JP2580947B2 (ja) 掘削装置
CN210422473U (zh) 一种扩孔钻头
KR20160020124A (ko) 분리형 해머비트
KR102186261B1 (ko) 지반 굴착기를 이용한 지반 천공과 차수벽 동시에 시공하는 차수벽설치장치
CN204371184U (zh) 一种井下取物除杂装置
JP2018062805A (ja) 芯材埋設工法
CN108049808B (zh) 一种钻孔钻具和钻孔方法
KR101819369B1 (ko) 회수형 해머비트
KR100972020B1 (ko) 지반 직천공장치
KR101387119B1 (ko) 관 삽입형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