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894B1 - Assembly type ocher brick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ocher br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894B1
KR101538894B1 KR1020140167295A KR20140167295A KR101538894B1 KR 101538894 B1 KR101538894 B1 KR 101538894B1 KR 1020140167295 A KR1020140167295 A KR 1020140167295A KR 20140167295 A KR20140167295 A KR 20140167295A KR 101538894 B1 KR101538894 B1 KR 10153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support plate
protruding
brick body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응철
Original Assignee
김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철 filed Critical 김응철
Priority to KR102014016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8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8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type ocher brick which allows masonry construction simply by connecting support plates integrated with brick bodies, and can reduce a thickness of the brick bodies to prevent unnecessary occupation of internal space to reduce a material, maximize productivity, simplify construction, and minimize a weight of a building. The assembly-type ocher brick comprises: a brick body (10) formed from ocher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support plate (20)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rick body as one body. The support plate (20) comprises concave grooves (22) and protrusion surfaces (23) sequentially formed in all directions, and is connected to neighboring different support plates. The support plate (20) forms a plurality of protrusion units (2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o mount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brick body (10) on each other. The brick body (10) is shaped while inserts (11)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units (21) of the support plate (20) are inserted. The protrusion units (21) are accommodated in the inserts (11) to mount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brick body (10) on each other.

Description

조립형 황토벽돌{ASSEMBLY TYPE OCHER BRICK}ASSEMBLY TYPE OCHER BRICK}

본 발명은 종래의 벽돌 조적 시공 개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로 조립이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특화하고자 벽돌체와 지지판체가 일체화된 구조로 제공되는 황토벽돌의 기술사상에 관한 것으로,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연결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립형 황토벽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cal idea of a loess brick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brick body and a supporting plate body are integrated so that a related structure can be specialized so as to be able to be assembled in a more improved form by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 of brick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rick body by a simple connec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and also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itself so that it is inevitable that the internal space is inevitably consumed , Which is capable of not only simplifying construction with maximization of material reduction and productivity, but also minimizing the load of the building remarkably.

환경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요즈음 건축자재에서도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보다는 환경 친화적인 황토벽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As environmental issues are becoming a social issue, deman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lay bricks is increasing in construction materials rather tha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이러한 황토벽돌은 자연에 존재하는 황토를 원료로 한 제품이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습기를 조절하는 효능과 함께 향균 기능 등의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
Because these loess bricks are products made of loess which is present in nature, they are not onl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but also exert beneficial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controlling humidity and an antibacterial function.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특2000-0033318에 "황토벽돌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이 개시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0-0033318 disclos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ess brick and a loess brick ".

상기 공개특허는 황토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선별된 황토에 소금, 숯 및 해초풀을 혼합하고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혼합반죽단계;와, 황토반죽을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와, 압출된 성형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a green algae dough, comprising the steps of: selecting yellow clay; mixing the selected yellow clay with salt, charcoal and seaweed, mixing and kneading the water; extruding the yellow clay dough;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extruded molded articl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ut molded article.

한편, 종래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인테리어 장식방법은 석재, 석고보드, 합판, 벽지, 페인트 등을 사용하고 있는바, 석재의 경우 시공이 어렵고 고가이며, 석고보드나 합판의 경우는 물기나 습기에 약하여 쉽게 파손 내지 부식되고, 벽지나 페인트의 경우는 얼룩이나 곰팡이의 발생시 청소가 어렵고 재도색 또는 교체가 요구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초래한다. Meanwhile, conventionally, the interior decoration method of the inner space uses stone, gypsum board, plywood, wallpaper, paint and the like. In the case of stone,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expensive. In case of gypsum board or plywood, It is easily damaged or corroded, and in the case of wallpaper or paint, it is difficult to clean when stains or fungus occurs, and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required to be redrawn or replaced and durability is deteriorated.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이 실내공간의 또 다른 인테리어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As a means of securing these disadvantages, the method of masonry building is being implemented as another interior style of interior space.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를 비롯한 종래의 모든 기술사상은 벽돌 조적 시공시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이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However, all the conventional technical idea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atent discloses that the bricks are consumed in a large amount of internal spac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brick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ricks, and the construction work and the construction work are difficult, Resulting in excessively increasing the load.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돌체 자체의 두께는 줄이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thickness of a brick body and to exhibit the same durability and bearing capacity as existing bricks.

또한, 벽돌체를 조적함에 있어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plate having a one-to-one connection with the brick body in assembling the brick body so as to easily induce the fitting-type connection.

이와 아울러, 벽돌체와 지지판체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관련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In addition, it is a further object to provide an associated coupling means to increase the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brick body and the support plate body.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형 황토벽돌(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construction of the granular clay loo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립형 황토벽돌(100)는 황토를 소재로 하여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와, 벽돌체의 어느 일면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체(20);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방으로 요홈(22)과 돌출면(23)을 연속되게 구비하여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 배치된다.
The assembly type loess brick 100 is formed of a brick body 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made of yellow clay and a support plate body 20 integr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rick body, (20) has a groove (22) and a protruding surface (23) continuously arranged in four directions, and is connected to and disposed adjacent to another adjacent support plate body.

여기서,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등간격으로 입설 배치되는 돌출돌부(21)를 수개 형성하고, 상기 벽돌체(10)는 지지판체의 돌출돌부와 대응되는 인서트(11)를 개재한 상태로 성형함에 따라, 해당 돌출돌부(21)가 인서트(11) 내부로 개별 수용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지지판체와 벽돌체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plate 20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2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for mutual engagement with the brick body 10, and the brick body 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rotrusions of the support plate body The support plate body and the brick body are mutually coupled due to the way in which the projecting protrusions 21 are accommodated individually in the insert 11 as the insert 11 is molded.

또한, 상기 지지판체(20)는 돌출면(23)이 제공하는 공간으로 고정수단을 개재하여 벽체로부터 해당 위치가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constrained from the wall through the fixing means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projecting surface 23.

한편,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몸체(27);와, 몸체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두부(28);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11)는 두부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19);와, 중공부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두부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걸림턱(17);과,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18);을 포함한다.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includes a body 27 having the same thickness at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20 and a head 28 having a triangular shape at the tip of the body, 11) is provided with a hollow part (19) allowing entry of the tofu, a catching jaw (17) provided with an expanded space as compared with the hollow part and positional restraint of the tofu is performed, And a protrusion (18) for limiting the slide movemen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prevent displacement.

즉, 상기 돌출돌부의 두부(28)와 몸체(27)는 중심 영역이 양측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공부(19)로의 진입시 서로 분기된 상태의 두부와 몸체가 일체화 유도된 후 걸림턱(17)에 이르면서 각 중앙을 기점으로 분기됨에 따라 해당 걸림턱으로 두부의 외주면이 구속되면서 인서트(11)와 돌출돌부(21)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head 28 and the body 27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ar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center area is branched to both sides. When the protruding protrusion is moved to the hollow part 19, the head and the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is restrained by the latching jaws so that mutual coupling of the insert 11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21 is induced.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로부터 탈부착 체결되는 조립나사(7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11)는 조립나사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77);와, 중공부 내면에서 조립나사와의 나사 체결을 실시 가능하게 하는 나사부(71);와,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18);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projecting portion 21, which is fea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sembly screw 70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from the support plate body 20, A screw part 71 for enabling screwing with the assembly scre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and a screw part 71 for screwing the screw par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prevent displacement on the brick body 10 The protruding wing (18)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체(20)를 기점으로 조립나사(70)와 인서트(11)가 서로 개별 결합되면서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result, the assembly screw 70 and the insert 11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support plate 20 as a starting point, so that mutual coupling of the brick body 10 and the support plate 20 is induced.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지지편(37);과, 지지편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이 되도록 양측으로 분할하여 하향 연장되는 펼침날부(38);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11)는 펼침날부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88);와, 중공부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펼침날부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고정턱(15);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includes a supporting piece 37 having the same thickness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20, a releasing piece 37 which is divided into two sides so as to have a triangular shape at the tip end of the supporting piece, (38), wherein the insert (11)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88) where entry of the spreading blade can be allowed, and a fixing portion And a jaw (15).

이에 따라, 상기 펼침날부(38)는 중공부(88)로 진입되면서 지지편(37) 방향으로 가압되고 고정턱(15)에 이르면서 가압의 상쇄로 인한 위치 복귀가 실시되어 해당 고정턱에 펼침날부의 양단이 구속되면서 인서트(11)와 돌출돌부(21)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result, the spreading blade portion 38 enters the hollow portion 88 and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iece 37, reaches the fixing jaws 15,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offsetting of the pressing force. The both ends of the blade portion are constrained and mutual coupling of the insert 11 and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is induced.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체 자체의 두께는 줄이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실내공간의 소모 없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itself, to exhibit the same durability and support force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bricks, and to provide a space without consuming the interior space It is effective.

또한, 지지판체와 벽돌체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황토벽돌이 제공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재료의 절감, 생산성 증대, 시공의 간편성, 건물 하중의 최소화 등 관련 작업의 모든 면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In addition, since the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and the brick body, the efficiency is maximized in all aspects of related work such as reduction of materials, increase of productivity, simplification of construction, and minimization of building load .

특히, 벽돌체를 조적함에 있어서도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의 편리함은 물론, 해체시에도 훼손 없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는바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In particular, even when the brick body is assembled, since the support plate body formed by one-to-one connection with the brick body can easily induce the fitting type coupling, no separate coupling means is required. There is a great advantage to be able to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황토벽돌 시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의 요부 분해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yellow loft brick construc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ssential part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yellow clay brick as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type loess brick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type loess brick constructe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황토벽돌 시공 예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struction of a brick blo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o be.

본 발명은 종래의 벽돌 조적 시공 개념에서 탈피하여 보다 개선된 형태로 조립이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특화하고자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가 일체화된 구조로 제공되는 황토벽돌(100)의 기술사상에 관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ss block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brass block ")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brick body 10 and a support plate body 2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 ≪ / RTI >

무엇보다, 벽돌체(10)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20)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연결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게 되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립형 황토벽돌(100)에 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due to the inter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ick body 1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rick body by a simple connec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and also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itself, It is possible to prevent inevitably from being consumed in advan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ssembly-type loess brick 100 that not only simplifies construction with maximization of material reduction, productivity, but also minimizes the load of the building.

상기 조립형 황토벽돌(100)는 황토를 소재로 하여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와, 벽돌체의 어느 일면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체(20);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방으로 요홈(22)과 돌출면(23)을 연속되게 구비하여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 배치된다.
The assembly type loess brick 100 is formed of a brick body 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made of yellow clay and a support plate body 20 integr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rick body, (20) has a groove (22) and a protruding surface (23) continuously arranged in four directions, and is connected to and disposed adjacent to another adjacent support plate body.

여기서,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등간격으로 입설 배치되는 돌출돌부(21)를 수개 형성하고, 상기 벽돌체(10)는 지지판체의 돌출돌부와 대응되는 인서트(11)를 개재한 상태로 성형한다.The support plate 20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2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for mutual engagement with the brick body 10, and the brick body 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rotrusions of the support plate body So that the insert 11 is interposed therebetween.

즉, 상기 벽돌체(10)는 소정의 금형틀을 마련하고 이러한 금형틀 상에 목적으로 하는 형상의 인서트를 위치 고정시킨 후 황토 흙을 공급함으로써 구현되는바, 벽돌 성형시 해당 인서트가 일체화된 구조로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brick body 10 is formed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mold frame, fixing the insert having the desired shape on the mold frame, and then supplying the clay soil. In the brick molding, So that the result can be obtained.

상기에서 인서트(11)는 본 발명의 돌출돌부(21)를 위치 구속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지지판체(20) 상에 벽돌체(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인서트(11)와 관련한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주된 핵심이 되는 사안으로, 인서트 및 돌출돌부의 형상 내지 구조, 크기 등은 후술할 실시예와 같을 수 있고, 다만 이에 한정된 의미가 아님을 밝혀둔다.
The insert 11 is one of the means for restricting the protruding protrusion 2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struct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so that the brick body 10 can be coupled onto the support plate body 20 It is self-evident fac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 structure and size of the insert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s the technical idea relating to the insert 11 is a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Leave.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돌출돌부(21)와 인서트(11)의 구성은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 인해 하나의 황토벽돌(100)이 구현되게 하기 위함인바, 상기 돌출돌부(21)가 인서트(11) 내부로 개별 수용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지지판체와 벽돌체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그 전제로 한다.
As a result, the protruding protrusions 21 and the inserts 11, which are fea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so that one loess brick 100 is realized due to their mutual coupling, It is premised that mutual coupling of the support plate body and the brick body occurs due to the way of being accommodated individually in the insert 11.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외주면을 기점으로 각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면서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수 있는바, 서로 이웃하는 지지판체 상호 간의 자체 결합에 기인하여 조적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upport plate body 20 may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ick body 10 to the four sides of the brick body 10 and may be connected to other neighboring support plate bodies. The main feature is that it is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cohered due to the self-bonding between the bodies.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지지판체(20)의 구성은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끼움식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요홈(22)과 돌출면(23)으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which is fea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groove 22 and a projecting surface 23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fittable to other neighboring support plate bodies.

즉, 상기 요홈(22)과 돌출면(23)이 지지판체(20)의 사면에 대해 연속한 형태의 요철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3과 같은 조적 방식에 의해 이와 인접 배치되는 타 지지판체와의 구속력이 행사되므로, 보다 안정감 있는 상태로 조적 시공 가능하다.That is, since the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are formed by the concave and convex surfaces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slop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Since the binding force is exercise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structure in a more stable state.

상기 요홈(22)과 돌출면(23)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음은 물론,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호 치합되는 형상의 것이라면 무엇이든 충분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요홈(22)과 돌출면(23)의 연장거리 내지 크기는 벽돌체에 비해 확대된 정도면 충분하고, 벽돌체와 벽돌체 사이 간극을 고려하여 지나치지 않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요홈과 돌출면의 양측면은 일정 경사면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The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may have the sam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that is mutually engaged may suffice. However, the extension distance or the size between the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is sufficient to be enlarged compared to the brick body, and it should not be excessive consider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brick body and the brick body. 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roove and the protruding surface can be formed as a constant inclined surface, thereby maximizing the assemblability.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면 어느 방향으로도 조적이 가능할 수 있도록 요홈(22)과 돌출면(23)을 사면 모두에 공통으로 형성하는데, 각 사면으로 타 지지판체와의 상호 치합될 경우 지지판체에 비해 협소한 크기를 갖는 벽돌체(10)는 이웃하는 타 벽돌체와 불가피하게 적정 수준의 이격된 틈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틈으로 하여금 줄눈(식별번호 없음)을 시공하여 벽돌 조적 시공의 시각적인 미려함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The support plate body 20 has grooves 22 and projecting surfaces 23 common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ope so that the slits can be assembled in any direction. The brick body 10 having a narrower size than the neighboring brick body inevitably forms an adequate level of gap with the neighboring brick body. The gaps (no identification number) And visual excellence.

즉, 지지판체(20)에 형성되는 돌출면(23) 및 요홈(22)이 벽돌체(10)의 크기를 벗어난 범위 내에서 연장 형성되므로 근접 배치되는 벽돌체 상호 간에는 일정 간격으로 틈(간극)이 발생하고, 상기 틈으로 줄눈을 시공함에 따라 허용된 공간을 메워주는 것은 물론 벽돌체 시공의 특이성 또한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protruding surface 23 and the groove 22 formed in the support plate body 20 are extended within a range out of the size of the brick body 10, As a result, the joint space is filled with the space, and the specificity of the brick body construction can be visually provided.

그리고, 상기 지지판체(20)는 돌출면(23)이 제공하는 공간으로 고정수단(미도시함)을 개재하여 벽체로부터 해당 위치가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수단이라 함은 피스나 타카 등의 못일 수 있으며, 나아가 벽체 상에 지지판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The supporting plate body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can be restrained from the wall via fixing means (not shown) in a space provided by the projecting surface 23. [ At this time, the fixing means may be a nail such as a piece or a taker, and furthermore, a means capable of fixing the supporting plate body on the wall is sufficient.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형상의 지지판체(20)를 부여한 것은 종래 벽돌 시공이 갖는 문제점을 타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벽돌 조적 시공시 해당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일정 부분 소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 또한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에 있어 그 부담이 가중되었고 아울러 벽돌이 지니는 무게에 의해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가 초래되었다.The provis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nventional brick construction. Conventionally, the internal space is partially consumed by the thickness of the brick when the brick is applied, The construction work was also difficult, and the burden was increased o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worker, and the weight of the brick also caused the load of the building to be excessively increased.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가 하나의 종래 벽돌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바, 이는 곧 벽돌체 자체의 두께를 줄이는 결과가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되므로 기능성 면에서 효율의 극대화를 유도한다.
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perform a single conventional brick function, which results in a redu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itself, thereby positively resolving the above problems But it also has the same durability and bearing capacity as conventional bricks, which leads to maximization of efficiency in terms of functionality.

상기 벽돌체(10)는 통상의 벽돌과 동일 유사한 개념으로, 다만 본 발명에서는 주지한 바와 같이 이러한 벽돌체를 하나의 지지판체(20)와 일체형으로 성형 제공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The brick body 10 is similar in concept to ordinary bricks. However, as is well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brick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support plate body 20 to achieve a desired purpos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소정의 돌출돌부(21)를 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돌출돌부 및 인서트의 형상은 도 1 내지 3, 도 4, 도 5에 각각 예시적으로 개시하였으며, 우선적으로 도 1 내지 3에 의거하여 돌출돌부와 관련한 상세 기술사상에 대해 기재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protruding protrusion 21 is provided as one piece for increasing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In this regard, the shapes of the various projecting projections and the inserts have been exemplarily shown in Figs. 1 to 3, 4 and 5, respectively, an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relating to the projecting projections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몸체(27);와, 몸체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두부(28);를 포함한다.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includes a body 27 having the same thickness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20 and a head 28 having a triangular shape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서트(11)는 두부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19);와, 중공부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두부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걸림턱(17);과,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18);을 포함한다.In addition, correspondingly, the insert 11 has a hollow portion 19 allowing entrance of the head portion, a retaining jaw 17 provided in an expanded space as compared with the hollow portion, and the positional restraining of the head portion is performed; And a protruding blade 18 for restricting the slide movemen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prevent displacement on the brick body 10.

특히, 상기 돌출돌부의 두부(28)와 몸체(27)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 영역이 양측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공부(19)로의 진입시 서로 분기된 상태의 두부와 몸체가 일체화 유도된 후 걸림턱(17)에 이르면서 각 중앙을 기점으로 분기됨에 따라 해당 걸림턱으로 두부의 외주면이 구속되면서 인서트(11)와 돌출돌부(21)의 상호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head 28 and the body 27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ar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central region is branched to both sides. When the head 28 and the body 27 are branched to each other when they enter the hollow portion 19,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 11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21 can be guided to each other 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is restrained by the corresponding protruding jaws.

즉, 상기 돌출돌부(21)의 두부(28)는 형상적 특성에 기인하여 최초 인서트 선단의 중공부(19)로 진입될 경우 두부의 경사면으로 하여금 일정 수준의 마찰을 유발하면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측으로 분기된 두부는 자연스럽게 하나로 겹쳐진 상태에서 중공부로의 슬라이딩이 실시된다. 이후, 중공부가 제공하는 공간상에서 점차 일정 깊이로 두부(28)의 전진이 이루어지면 걸림턱(17)의 영역으로 진입되는데, 이때 중공부에 비해 확장 형성된 걸림턱의 공간으로 두부가 진입됨과 동시에 이에 행사되던 가압력이 상쇄되므로 해당 두부는 양측으로 재차 이격됨에 따라 역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방지된다.
That is, when the head 28 of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enters the hollow portion 19 at the tip of the insert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ead is caused to enter while inducing a certain level of friction , So that the tofu branching on both sides naturally slides from the overlapped state into the hollow portion. Thereafter, when the head 28 is advanced to a certain depth in a space provided by the hollow portion, the head enters the area of the latching jaw 17. At this time, the head enters the space of the latching jaw extending and formed compared with the hollow portion, The pressing force exerted is canceled so that the head is separated from the both sides again so that sliding in the reverse direction is prevent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type loess brick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상기 돌출돌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체(20)로부터 탈부착 체결되는 조립나사(70)일 수 있다.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which is fea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ssembling screw 70 detachably fastened from the support plate body 20 as shown in FIG.

이때, 본 발명의 인서트(11)는 조립나사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77);와, 중공부 내면에서 조립나사와의 나사 체결을 실시 가능하게 하는 나사부(71);와,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18);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ser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portion 77 allowing entry of the assembly screw, a screw portion 71 enabling the screwing of the assembly screw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And a protruding blade 18 for restricting the slide movemen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prevent positional deviation on the body 10.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나사 체결 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체(20)를 기점으로 조립나사(70)와 인서트(11)가 서로 개별 결합되면서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게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ssembly screw 70 and the insert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and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induc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조립형 황토벽돌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type loess brick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지지편(37);과, 지지편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이 되도록 양측으로 분할하여 하향 연장되는 펼침날부(38);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5,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includes a support piece 37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20, And a spreading blade portion (38) which is formed on the base portion.

또한, 이때의 인서트(11)는 펼침날부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88);와, 중공부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펼침날부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고정턱(15);으로 이루어져야 한다.Further, the insert 11 at this time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88 allowing entrance of the spreading blade portion, a fixing jaw 15 provided with an expanded space as compared with the hollow portion and positional restraint of the spreading blade portion is performed; .

이에 따라, 상기 펼침날부(38)는 중공부(88)로 진입되면서 지지편(37) 방향으로 가압되고 고정턱(15)에 이르면서 가압의 상쇄로 인한 위치 복귀가 실시되어 해당 고정턱에 펼침날부의 양단이 구속되면서 인서트(11)와 돌출돌부(21)의 상호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spreading blade portion 38 enters the hollow portion 88 and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iece 37, reaches the fixing jaws 15,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offsetting of the pressing force. The mutual coupling of the insert 11 and the projecting protrusion 21 can be induced while both ends of the blade portion are constrained.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체(10) 자체의 두께는 줄이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실내공간의 소모 없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10 itself can be reduced, and the same durability and support force as compared with existing bricks can be exhibited. In addition, It is effective.

또한,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황토벽돌(100)이 제공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재료의 절감, 생산성 증대, 시공의 간편성, 건물 하중의 최소화 등 관련 작업의 모든 면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In addition, since the yellow bric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related works such as reduction of materials, increase of productivity, simplification of construction, In all respects, its efficiency is maximized.

특히, 벽돌체(10)를 조적함에 있어서도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20)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의 편리함은 물론, 해체시에도 훼손 없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는바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Particularly, even when the brick body 10 is assembled, the support plate body 20, which is in one-to-one engagement with the brick body, can easily induce the fitting type coupling. Therefore, The city can be preserved in a state without damage, and a great advantage is expected in us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will be.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벽돌체 11. 인서트
15. 고정턱 17. 걸림턱
18. 돌출익 19. 중공부
20. 지지판체 21. 돌출돌부
22. 요홈 23. 돌출면
37. 지지편 38. 펼침날부
70. 조립나사 71. 나사부
77. 중공부 88. 중공부
100. 조립형 황토벽돌
10. Brick body 11. Insert
15. Fixed chin 17. Fixed chin
18. The protrusion 19. The hollow portion
20. Support plate body 21. Projection projection
22. Groove 23. Projection surface
37. Supports 38. Spread knife
70. Assembly screw 71. Screw
77. Hollow section 88. Hollow section
100. Assembled yellow clay brick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황토를 소재로 하여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와, 벽돌체의 어느 일면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지지판체(20);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방으로 요홈(22)과 돌출면(23)을 연속되게 구비하여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 배치하되,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등간격으로 입설 배치되는 돌출돌부(21)를 수개 형성하고, 상기 벽돌체(10)는 지지판체의 돌출돌부와 대응되는 인서트(11)를 개재한 상태로 성형함에 따라, 해당 돌출돌부(21)가 인서트(11) 내부로 개별 수용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지지판체와 벽돌체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립형 황토벽돌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몸체(27);와, 몸체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두부(28);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11)는 두부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19);와, 중공부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두부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걸림턱(17);과,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18);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돌부의 두부(28)와 몸체(27)는 중심 영역이 양측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공부(19)로의 진입시 서로 분기된 상태의 두부와 몸체가 일체화 유도된 후 걸림턱(17)에 이르면서 각 중앙을 기점으로 분기됨에 따라 해당 걸림턱으로 두부의 외주면이 구속되면서 인서트(11)와 돌출돌부(21)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And a support plate body 20 integr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rick body, wherein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formed with grooves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ther supporting plate bod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ing plate body 20 is provided with protruding protrusions 2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brick body 10 And the brick body 10 is molded with the insert 11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protruding protrusion 21 is accommodated individually in the insert 11 In which a support plate body and a brick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includes a body 27 having the same thickness at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20 and a head 28 having a triangular shape at the tip of the body, (17) which is provided in an expanded space with respect to the hollow part and in which positional restraint of the head is carried out, and a stopper The head 28 and the body 27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ar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central region is diverged to the both sides, and the hollow portion 19, the tofu and the body which are branched from each other are guided to the hooking jaws 17 after being guided,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ad is restrained by the hooking jaws, (21) are induced to each other. Standalone ocher bri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로부터 탈부착 체결되는 조립나사(7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11)는 조립나사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77);와, 중공부 내면에서 조립나사와의 나사 체결을 실시 가능하게 하는 나사부(71);와,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18);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판체(20)를 기점으로 조립나사(70)와 인서트(11)가 서로 개별 결합되면서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sion protrusion 21 is an assembly screw 70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20. The insert 11 includes a hollow portion 77 allowing entry of the assembly screw, A screw portion 71 for screwing the screw with the assembly scre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projecting blade 18 for restricting slide movemen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prevent displacement on the brick body 10 , The assembly screw (70) and the insert (11)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support plate body (20) as a starting point to induce mutual coupling of the brick body (10) and the support plate body bri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1)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지지편(37);과, 지지편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이 되도록 양측으로 분할하여 하향 연장되는 펼침날부(38);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11)는 펼침날부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88);와, 중공부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펼침날부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고정턱(15);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펼침날부(38)는 중공부(88)로 진입되면서 지지편(37) 방향으로 가압되고 고정턱(15)에 이르면서 가압의 상쇄로 인한 위치 복귀가 실시되어 해당 고정턱에 펼침날부의 양단이 구속되면서 인서트(11)와 돌출돌부(21)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황토벽돌.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21 includes a supporting piece 37 having the same thickness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20 and a spreading blade portion 3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ing piece, The insert (11) has a hollow portion (88) where entry of the spreading blade can be allowed; a fixing jaw (15) provided in an expanded space as compared with the hollow portion and positional restraint of the spreading blade is performed; The spreading blade portion 38 enters the hollow portion 88 and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iece 37 and reaches the fixing jaw 15 so that the positional return is performed due to the offset of the pressing force, Wherein both ends of the unfolded blade portion are constrained so that the mutual coupling of the insert (11) and the projecting projecting portion (21) is induced.
KR1020140167295A 2014-11-27 2014-11-27 Assembly type ocher brick KR1015388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295A KR101538894B1 (en) 2014-11-27 2014-11-27 Assembly type ocher br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295A KR101538894B1 (en) 2014-11-27 2014-11-27 Assembly type ocher br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894B1 true KR101538894B1 (en) 2015-07-22

Family

ID=5387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295A KR101538894B1 (en) 2014-11-27 2014-11-27 Assembly type ocher br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89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836B1 (en) * 2015-07-30 2016-06-02 심광선 Assembly thpe casket and method for casket
KR20170019746A (en) * 2015-08-12 2017-02-22 배숙환 Yellow soil panel of built up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WO2018012658A1 (en) * 2016-07-15 2018-01-18 김응철 Wall-fixed functional brick
CN108018860A (en) * 2016-10-30 2018-05-11 湖北文理学院 A kind of protection against erosion concrete bri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65U (en) * 1997-08-06 1997-11-10 여광각 Improved clay brick
KR200234869Y1 (en) * 2001-03-10 2001-10-06 김성인 Brick Facing Panel
KR200317122Y1 (en) * 2003-03-20 2003-06-25 주식회사 류림스톤 Stone Block for Absorbing and Excluding of Sounds
KR20090118780A (en) * 2008-05-14 2009-11-18 권화숙 The bricks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65U (en) * 1997-08-06 1997-11-10 여광각 Improved clay brick
KR200234869Y1 (en) * 2001-03-10 2001-10-06 김성인 Brick Facing Panel
KR200317122Y1 (en) * 2003-03-20 2003-06-25 주식회사 류림스톤 Stone Block for Absorbing and Excluding of Sounds
KR20090118780A (en) * 2008-05-14 2009-11-18 권화숙 The bricks pane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836B1 (en) * 2015-07-30 2016-06-02 심광선 Assembly thpe casket and method for casket
WO2017018780A1 (en) * 2015-07-30 2017-02-02 심광선 Prefabricated coffin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20170019746A (en) * 2015-08-12 2017-02-22 배숙환 Yellow soil panel of built up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KR101713429B1 (en) 2015-08-12 2017-03-07 배숙환 Yellow soil panel of built up type
WO2018012658A1 (en) * 2016-07-15 2018-01-18 김응철 Wall-fixed functional brick
CN108018860A (en) * 2016-10-30 2018-05-11 湖北文理学院 A kind of protection against erosion concrete bri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894B1 (en) Assembly type ocher brick
US11801622B2 (en)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US20160010341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floor and wall tile installation
WO2009072795A2 (en) Brick usable as a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same
EA201270482A1 (en) PROFIL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FILE ELEMENT
KR102054578B1 (en) Decorative body fixing panel for building
KR101365959B1 (en) Tile type in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
CA2902701C (en) Disposable formwork for making ventilated loose stone foundation and a ventilated loose stone foundation comprising said formwork
KR101620192B1 (en) Assembly type ocher brick
KR200234575Y1 (en) a artificial stone
CN104790627A (en) Dry hanging device and fabrication technology of external tiles
JP4558917B2 (en) Floor laying frame
KR101337433B1 (en) Decoration block f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NL1028942C1 (en) Tile mat for laying floor tiles, comprises elastic material and preferably has jigsaw piece type connecting members on all four sides
US20240140003A1 (en)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KR101874687B1 (en) Wall attached type functional brick
RU159257U1 (en) MOBILE FORMWORK FOR MAKING Paving Slabs DIRECTLY IN PLACE
EP2426288A1 (en) Ceramic cladding and linear elements to obtain it
KR101744295B1 (en) Block assembly
JP3190726U (en) Comedy
JP2008308912A (en) Floor fac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floor facing material
EP2944743B1 (en) Mortar joint spacer
JP5334396B2 (en) Lightweight roof tile
KR101377659B1 (en) Decoration block for construcyion materials
KR200481493Y1 (en) Connection type outer material having stopper of outer wall for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