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868B1 - Apparatus for sealing pip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al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868B1
KR101538868B1 KR1020130163619A KR20130163619A KR101538868B1 KR 101538868 B1 KR101538868 B1 KR 101538868B1 KR 1020130163619 A KR1020130163619 A KR 1020130163619A KR 20130163619 A KR20130163619 A KR 20130163619A KR 101538868 B1 KR101538868 B1 KR 101538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ling
plate
support fram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5555A (en
Inventor
김규식
이기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868B1/en
Publication of KR2015007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5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06Flue or fire tubes; Accessories therefor, e.g. fire-tube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5Sealing the pipe being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F22B1/181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gas-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폐열회수보일러 설비 내의 고온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열회수보일러의 내부와 외부를 동시에 밀폐할 수 있는할 수 있는 배관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 실링장치는,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의 설비케이스와 이 설비케이스를 관통하는 배관 사이의 틈새부위를 실링하는 배관 실링장치로서,
상기 설비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상기 틈새부위를 둘러싸며 구비되어 상기 설비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상기 틈새부위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실링부; 및
상기 설비케이스 외부에 상기 배관을 둘러싸며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시 상기 배관과 동일하게 거동하여 상기 틈새부위를 실링하는 2차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실링부는, 상기 설비케이스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둘러싸는 제1밀착부재와, 상기 제1밀착부재를 둘러싸며 구비되는 제2밀착부재와, 상기 제2밀착부재를 둘러싸며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밀착부재 및 제2밀착부재는 상기 배관의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배관과 동일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seal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seal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so as to prevent a high-temperature gas in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installation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 piping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ing sealing apparatus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facility case of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facility and a pipe passing through the facility case,
A primary sealing part surrounding the clearance formed in the equipment case to prevent hot gas generated in the equipment cas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along the clearance; And
And a secondary sealing part which surrounds the pipe on the outside of the equipment case and behaves like the pipe when the pipe is expanded or contracted to seal the clearance part,
The secondary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quipment case and surrounding the pipe, a second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sealing member, and a second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sealing member, Comprising a stationary plate,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are resilient so that they can behave in the same manner as the pipe when the pipe shrinks or expands.

Description

배관 실링장치{APPARATUS FOR SEALING PIPE}[0001] APPARATUS FOR SEALING PIPE [0002]

본 발명은 가스유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열에 의해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는 배관에 대해 유동적으로 씰링 가능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폐열회수보일러 설비 내의 고온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leakage preven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s leakage preventing device that can realize a fluid sealable structure for a pipe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by high heat, To a piping seal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ischarge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LNG 복합발전은 청정 가스인 LNG를 원료로 사용하여 가스터빈을 가동하여 전력을 생산한다.In general, LNG combined-cycle power plants produce electricity by operating gas turbines using LNG, a clean ga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발전설비는 필터(10)에서 가스를 여과하고, 폐열회수보일러 설비(30: HRSG)를 이용하여 가스터빈(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로부터 고온의 스팀으로 생산하고, 생산된 스팀을 스팀터빈으로 보내 2차 전력을 생산한다. 예컨대, 폐열회수보일러 설비(30: HRSG)에서는 수관이 상부 각 드럼에 정해진 배열에 의해 설치되며, 고온의 배기가스가 수관 외부를 지나면서 수관 내부의 순수를 증발시킴에 따라 고온의 스팀이 생산된다.As shown in FIG. 1, this power generation facility filters the gas in the filter 10 and produces it from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gas turbine 20 into hot steam using the waste heat recovery boiler facility 30 (HRSG) And the produced steam is sent to the steam turbine to produce secondary power. For example, in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HRSG) 30, a water tube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n the upper drum, and hot steam is produced as the exhaust gas passes through the outside of the water tube and evaporates the pure water inside the water tube .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에서, 설비케이스(31)와 배관(32)은 벨로우즈커버(33)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보일러 설비의 내부 열을 차단하고, 설비케이스(31)과 배관(32) 간의 열 수축/팽창이 보상되도록 한다. 이는 폐열회수보일러 자체 중량 및 설비 가동/중지시의 온도편차에 의해 자체적으로 상,하로 신축하고 전후좌우로 요동하기 때문이다.2, in the conventional waste heat recovery boiler equipment, the equipment case 31 and the pipe 32 are connected through the bellows cover 33 to block the internal heat of the boiler equipment, So that the heat shrinkage / expansion between the case 31 and the pipe 32 is compensat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waste heat recovery boiler is self-expanding and contracting by its own weight and the temperature fluctuation at the time of operation / stoppage of the plant, and it swings forward, backward and leftward and rightward.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설비의 설비 가동/중지 패턴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벨로우즈 커버가 보일러 설비내 급격한 온도로 인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벨로우즈 커버의 주름부에서 손상(L)이 발생되고, 결국, 손상된 주름부를 통해 가스가 유출되어, 보일러 설비의 내부 열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However, as shown in FIG. 3, as the operation / stop pattern of the boiler facility is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bellows cover repeatedly shrinks and expands due to the sudden temperature in the boiler facility, L) is generated, and as a result, the gas flows out through the damaged corrugated portion, and the internal heat of the boiler facility can not be properly block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종래의 "배관 실링장치(등록특허 10-1065845호)" 및 "배관 실링장치(등록특허 10-1266469)"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A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specifically known in the conventional "piping sealing apparatus (registered patent 10-1065845)" and "piping sealing apparatus (registered patent 10-1266469) ".

종래의 "배관 실링장치(등록특허 10-1065845호)"는, 배관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틈새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틈새를 통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스팀 배관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 되며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배관이 지나가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양 선단에 수평 돌출 형성되어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채널을 이루는 가이드부재와, 외부케이스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끼워져 가이드부재에 대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 실링부재와, 실링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배관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링패드와, 외부케이스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배관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는 배관 실링장치를 제시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piping sealing apparatus (Patent No. 10-1065845") is a system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gaps even when the piping moves, thereby preventing the fluid from flowing through the gap. An outer case having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passing through the pipe, and a channel horizontally protruding at both end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A sealing member which i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And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aling member toward the pipe, .

하지만, 이 기술은 배관이 지나가는 외부케이스에 실링부재를 배관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설치하는 구조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탄성스프링, 실링부재, 실링패드를 외부케이스에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되며, 배관의 측방향으로 큰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변 온도가 약 560℃에 달하기 때문에 탄성스프링이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However, this techniqu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case through which the piping passes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aling member toward the pipe. In order to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out, a separate elastic spring, a sealing memb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case where a large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ipe can not be effectively coped with. Further, since the ambient temperature reaches about 560 占 폚,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astic spring can not play a normal role.

종래의 "배관 실링장치(등록특허공보 10-1266469)"에서는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에 설치된 설비플레이트의 관통구와 관통구를 통과하는 배관 사이에 형성된 틈새부위를 실링하여 열 수측/팽창에 따른 벨로우즈관의 파손을 방지하여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배관 실링장치를 제시 하였다.In the conventional "piping sealing apparatus (Patent Registration No. 10-1266469"), a gap formed between a through hole of a facility plate installed in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facility and a pipe passing through a through hole is sealed to form a bellows pipe A piping sealing device that can operate the equipment stably by preventing damage is proposed.

하지만, 이 기술은 폐열회수보일러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되, 노후 또는 충격 등에 의한 파손시에는 가스의 유출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is technology has the problem that the heat inside the waste heat recovery boiler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but the outflow of gas can not be blocked in case of breakage due to aging or impact.

한국등록특허 10-1065845 (2011. 09. 09)Korean Patent No. 10-1065845 (September 09, 2011) 한국등록특허 10-1266469 (2013. 05. 15)Korean Patent No. 10-1266469 (Feb.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열회수보일러 설비 내의 고온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폐열회수보일러의 내부와 외부를 동시에 밀폐하는 배관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ing seal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seal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so as to prevent a high temperature gas in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installation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실링장치는,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의 설비케이스와 이 설비케이스를 관통하는 배관 사이의 틈새부위를 실링하는 배관 실링장치로서, 상기 설비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상기 틈새부위를 둘러싸며 구비되어 상기 설비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상기 틈새부위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실링부 및 상기 설비케이스 외부에 상기 배관을 둘러싸며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시 상기 배관과 동일하게 거동하여 상기 틈새부위를 실링하는 2차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실링부는, 상기 설비케이스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둘러싸는 제1밀착부재와, 상기 제1밀착부재를 둘러싸며 구비되는 제2밀착부재와, 상기 제2밀착부재를 둘러싸며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밀착부재 및 제2밀착부재는 상기 배관의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배관과 동일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pipe sealing apparatus for sealing a clearance between a facility case of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facility and a pipe passing through the facility case, A first sealing part surrounding the first casing and surrounding the first casing to prevent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in the casing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long the clearance, and a first sealing part surrounding the casing outside the casing, And a second sealing part for sealing the clearance part by ac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pipe during contraction, and the secondary sealing part includes a first contac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quipment case and surrounding the pipe, A second contact member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contact member; and a fixing plate surrounding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said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lasticity to the same behavior and the pip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ipe.

삭제delete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 외측에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설비케이스에 고정 체결되되,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And a support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xture plate and fixed to the fixture ca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ture plate so as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fixture plate.

상기 지지프레임은 측벽 및 상면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제1밀착부재 및 제2밀착부재가 수용되며, 그 중심부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frame is formed as a side wall and an upper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s ar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frame,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to penetrate the pipe.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팽창시 상기 배관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meter of the hollow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a maximum diameter that the pipe can have when the pipe expands.

상기 제1밀착부재 및 제2밀착부재의 상면에는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압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을 관통하며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pressing plat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essing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상기 가압부재는, 제1가압플레이트 및 제2가압플레이트로 분할되고, 상기 배관의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 및 제2가압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ing member is divided into a first pressing plate and a second pressing plate and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so that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ipe shrinks or expands .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고온의 가스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safety of an operator by preventing gas leakage at a high temperature.

둘째, 본 발명은 고온의 가스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주변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eripheral equipment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gas leakage at a high temperature.

셋째, 본 발명은 폐열회수보일러 내에 존재하는 고온의 가스를 2중으로 밀폐함으로써 밀폐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ird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sealing effect by sealing the high-temperature gas existing in the waste heat recovery boiler in a double manner.

넷째,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maintain.

도 1은 종래의 폐열회수보일러 설비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벨로우즈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벨로우즈커버가 손상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플레이트 및 실링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실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te heat recovery boiler facility,
2 shows a conventional bellows cover,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bellows cover is damaged,
4 is a plan view showing a sealing plate and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ppli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배관 실링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iping sea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의 설비케이스(200)와, 이 설비케이스를 관통하는 배관(300) 사이의 틈새부위(L1)를 실링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실링장치는, 1차 실링부(100) 및 2차 실링부(5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a piping seal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aling a clearance portion L1 between a facility case 200 of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facility and a pipe 300 penetrating the facility case, The apparatus includes a primary sealing portion (100) and a secondary sealing portion (500).

1차 실링부(100)는, 설비케이스(200) 내부에 형성된 틈새부위(L1)를 둘러싸며 구비되어 설비케이스(200) 하단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틈새부위(L1)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The primary sealing part 100 surrounds the clearance part L1 formed in the equipment case 200 so that the high temperature gas generated at the lower end of the equipment case 200 flows out to the outside along the clearance part L1 There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damaged.

이러한 1차 실링부(100)는, 벨로우즈관(110), 실링플레이트(120) 및 실링부재(130)를 포함한다.The primary sealing portion 100 includes a bellows pipe 110, a sealing plate 120, and a sealing member 130.

벨로우즈관(111)은 전체적으로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의 설비케이스(200)와 배관(300) 사이에 형성된 틈새부위(L1)를 감싸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며, 배관(300)이 고열에 의해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면 벨로우즈관(110) 역시 동일한 방향을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여 충격을 받지 않게 된다.The bellows pipe 111 is formed as a cylindrical pipe which covers a clearance L1 formed between the equipment case 200 of the waste heat recovery boiler and the pipe 300. The pipe 300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The bellows pipe 110 also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nd is not subjected to the shock.

이러한 벨로우즈관(110)은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벨로우즈커버(111)와, 배관(300)의 측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실링커버(112)로 구성된다.The bellows pipe 110 is constituted by a bellows cover 111 which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aling cover 112 which can flow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ipe 300.

벨로우즈커버(111)의 상단부는 틈새부위(L1)가 형성된 설비케이스(200) 주위에 용접되고, 그 내부에는 배관(300)이 관통되며, 측벽에는 주름부(113)가 마련된다. The upper end of the bellows cover 111 is welded around the equipment case 200 in which the gap portion L1 is formed and the pipe 300 penetrates through the bellows cover 111 and the wrinkle portion 113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주름부(113)는 배관(300)의 상하방향으로 요부 및 홈부가 교호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주름 형태를 이루는데, 이러한 주름부(113)는 벨로우즈커버(111)의 상, 하방향 진동시 접혀지거나 펴지는 신축 작용을 구현함으로써, 배관(300)의 수축/팽창 시에도 설비케이스(200)와 배관(300) 간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The corrugated portion 113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cave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in a continuous fash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pe 300. The corrugated portion 113 is folded when the bellows cover 111 is vibr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he connecting state between the equipment case 200 and the pipe 300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when the pipe 300 contracts or expands.

실링커버(112)는 벨로우즈커버(111)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는 배관(300)의 외주면과 이격틈(L2)을 유지하는 유동구(10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틈(L2)은 배관(300)의 수축/팽창 정도를 고려하여 배관(300)이 최고로 팽창되었을 때의 직경을 근거로 하여 형성되도록 한다.The sealing cover 112 is formed of a cylindrical tu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ellows cover 111. A flow port 10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cover 112 to maintain a clearance L2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The spacing gap L2 is formed based on the diameter of the pipe 300 when the pipe 300 is expanded to the maximum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ntraction / expansion of the pipe 300.

실링커버(112)의 내부에는 배관(300)의 수직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평유로부(114)가 마련된다. 수평유로부(114)는 실링커버(112) 내에서 실링플레이트(120)의 이동이 가능한 유동공간으로, 실링커버(112)의 내부공간이 측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The sealing cover 112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pe 300. The horizontal channel portion 114 is formed as a fluid space through which the sealing plate 120 can move within the sealing cover 112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aling cover 112 is laterally expanded.

이에 따라, 배관(300)이 상하방향으로 수축/팽창할 시 벨로우즈커버(111)의 주름부(113)가 신축되면서 실링기능을 유지하게 되며, 배관(300)이 측방향으로 수축/팽창할 시에도 후술하는 실링플레이트(120)가 실링커버(112)의 수평유로부(114)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실링기능을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ipe 300 is contracted / expa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rrugated portion 113 of the bellows cover 111 is expanded and contracted to maintain the sealing function. When the pipe 300 is laterally contracted / expanded The sealing plate 120 described later also moves laterally along the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of the sealing cover 112 to maintain the sealing function.

실링플레이트(120)는 배관(300)의 외주면에서 원반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실링커버(112)의 수평유로부(114)에 유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실링플레이트(120)의 상, 하면에는 수평유로부(114)의 상, 하 내벽에 접촉되어 실링효과를 제공하는 실링부재(130)가 마련된다.The sealing plate 120 protrudes in the shape of a disk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and is positioned so as to be able to flow in the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of the sealing cover 112.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aling plate 120 ar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130 that contacts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s of the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to provide a sealing effect.

실링부재(130)는 실링커버(112)의 수평유로부(114)에 위치되어 수평유로부(114)를 이동하는 가스의 이동경로를 밀폐하며, 이러한 실링부재(130)는 복수 개의 실링부재(130)로 구성되어 수평유로부(114)를 다중으로 실링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The sealing member 130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of the sealing cover 112 to seal the movement path of the gas moving in the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The sealing membe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130 to seal the horizontal flow path portion 114 more effectively.

즉, 실링부재(130)는 실링플레이트(120)의 상, 하면에서 돌출되어 선단부가 실링커버(112)의 내벽에 밀착되는 제1실링부재(130a)와, 실링커버(112)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선단부가 실링플레이트(120)의 상, 하면에 밀착되는 제2실링부재(130b)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member 130 includes a first sealing member 130a protruding from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ealing plate 120 so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12, And a second sealing member 130b whose front en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aling plate 120.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1실링부재(130a) 및 제2실링부재(130b)를 수평유로부(114)에 교호로 배치함으로써, 수평유로부(114) 내 가스의 유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first sealing member 130a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130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so that the flow of gas in the horizontal flow passage portion 114 can be blocked more effectively Respectively.

이에 따라, 이격틈(L2)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실링플레이트(120)의 하측에 위치된 제1실링부재(130a) 및 제2실링부재(130b)에 의해 1차 차단되고, 실링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위치된 제1실링부재(130a) 및 제2실링부재(130b)에 의해 2차 차단될 수 있다.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clearance L2 is firstly intercepted by the first sealing member 130a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130b positioned below the sealing plate 120, 120 by a first sealing member 130a and a second sealing member 130b located on the upper side.

즉, 배관(300)이 수직으로 팽창하게 되면 배관(300)의 외주면에 돌출 구비된 실링플레이트(120)의 위치가 배관(300)의 팽창 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실링플레이트(120)의 상단에 구비된 제1실링부재(130a)가 실링커버(112)의 상단 내벽과 접하게 되고, 실링커버(112)의 상단 내벽에 구비된 제2실링부재(130b)가 실링플레이트(120) 상면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이격틈(L2)를 통해 유입된 고온의 가스가 이동하지 못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ipe 300 is vertically expanded, the position of the sealing plate 120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moves along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pipe 300, The first sealing member 130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wall of the sealing cover 112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130b provided on the upper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1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The high-temperature gas introduced through the gap L2 can not move.

또한, 배관(300)이 수직으로 수축하게 되면 실링플레이트(120)의 위치 또한 배관(300)의 수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실링플레이트(120)의 하단에 구비된 제1실링부재(130a)가 실링커버(1120)의 하단 내벽과 접하게 되고, 실링커버(112)의 하단 내벽에 구비된 제2실링부재(130b)가 실링플레이트 하면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이격틈(L2)을 통해 유입된 고온의 가스가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Since the position of the sealing plate 120 also moves along the contraction direction of the pipe 300 when the pipe 300 is vertically contracted, the first sealing member 130a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plate 120 The second sealing member 130b provided at the lower end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12 contacts the lower end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120 and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The gas will not move.

한편, 본 발명은, 제3실링부재(150) 및 스프링(160)을 포함하고, 실링플레이트(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실링플레이트(120a) 및 제2실링플레이트(120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sealing member 150 and a spring 160. The sealing plate 120 includes a first sealing plate 120a and a second sealing plate 120b having the same shape .

즉, 제1실링플레이트(120a) 및 제2실링플레이트(120b)는 실링플레이트(120)의 전체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며, 서로를 겹친 후 볼트(를 체결하게 되면 상술한 원반 형상의 실링플레이트(120)가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sealing plate 120a and the second sealing plate 120b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sealing plate 120, and when the bolts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ealing plate 120 is formed.

이러한 실링플레이트(120)의 외주면 중 제1실링플레이트(120a)와 제2실링플레이트(120b)가 접하는 측면에는 제3실링부재(150)가 체결되어 실링커버(112) 내벽과 지속적으로 접하게 되며, 제3실링부재(150)와 실링플레이트(120)는 스프링(160)을 매개로 연결된다.A third sealing member 150 is fastened to th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20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lates 120a and 120b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12, The third sealing member 150 and the sealing plate 120 are connected via a spring 160.

즉, 배관(300)이 측방향으로 수축/팽창을 하게 되면 실링플레이트(120)의 위치 또한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변동되는 이동거리 만큼을 스프링(160)이 탄성적으로 변하면서 제3실링부재(150)를 가압하여 제3실링부재(150)가 실링커버(112)의 내벽과 지속적으로 접함으로써 실링효과가 유지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ipe 300 contracts / expand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sealing plate 120 also changes. At this time, the spring 160 elastically changes by the shifting distance, 150 are pressed so that the third sealing member 150 is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12 to maintain the sealing effect.

또한, 실링커버(120) 내벽과 접하는 제3실링부재(150)의 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엣지홈(15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edge groove 150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third sealing member 150 that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20. [

이렇게 엣지홈(150a)이 형성됨으로써 제3실링부재(150)와 실링커버(120) 내벽이 접하는 부분은 하나의 면이 아닌 두 개의 면으로 형성되며, 첫 번째 접촉면을 통과한 고열의 가스는 첫 번째 면과 두 번째 면의 사이에 형성된 엣지홈(150a)에 갇힌 후 와류현상에 의해 두 번째 면을 통과할 확률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As the edge groove 150a is formed, the portion where the third sealing member 150 and the inner wall of the sealing cover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as two surfaces rather than one surface. The probability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by the vortex phenomenon is sharply reduced after being trapped in the edge groove 150a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상술한 1차 실링부(100)는 배관(300)과 설비케이스(200)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설비케이스(200) 하단부에 형성된 틈새부위(L1)를 직접적으로 밀폐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밀폐하였다.The primary sealing portion 100 is indirectly sealed without directly sealing the gap portion L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quipment case 200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pipe 300 and the equipment case 200. [

여기에서 말하는 구조적인 한계란, 설비케이스(200) 하단부의 온도가 약 560℃이기 때문에 배관(300)의 수축/팽창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배관(300)의 수축/팽창을 고려하여 틈새부위(L1)는 필연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즉, 틈새부위(L1) 자체를 직접적으로 밀폐하는 것은 기술적인 제약으로 인해 주변을 둘러싸는 간접적인 방법을 행하는 것이다.The structural limitation here i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end of the equipment case 200 is about 560 DEG C, so that contraction / expansion of the pipe 300 is inevitably caused. In consideration of contraction / expansion of the pipe 300, The region L1 is inevitably formed. That is, the direct sealing of the crevice area (L1) itself is an indirect method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because of technical limitations.

하지만, 1차 실링부(100)를 구비한다 하여도 장치의 노후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1차 실링부(100)에 미세한 크랙 또는 틈이 형성되면, 고온의 가스가 그대로 설비케이스(200)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설비 파괴, 작업자 안전사고 등이 발생도니다.However, even if the primary sealing part 100 is provided, if minute cracks or gaps are formed in the primary sealing part 100 due to aging, impact, or the like of the device, the high temperature gas is directly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equipment case 200 It is discharged, destruction of neighboring facilities, and safety accident of workers occur.

따라서, 후술하는 2차 실링부(500)는 설비케이스(200) 외부에서 틈새부위(L1)를 직접적으로 밀폐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이는 1차 실링부(100)에서 1차적으로 고온의 가스를 씰링하였기 때문에 2차 실링부(500)에는 고온의 가스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the secondary sealing par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irectly seals the gap part L1 from the outside of the equipment case 200. This is because the primary sealing part 100 is provided with a high- The high-temperature gas is not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ary sealing portion 500, which is possible.

이러한 2차 실링부(500)는 제1밀착부재(510), 제2밀착부재(520) 및 고정플레이트(530)를 포함한다.The secondary sealing portion 500 includes a first sealing member 510, a second sealing member 520, and a fixing plate 530.

제1밀착부재(510)는 설비케이스(200) 상면에 구비되어 설비케이스(200) 외부로 노출된 배관(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설비케이스(200) 하단부에서 유출되는 미세한 고온의 가스를 직접적으로 차단하게 된다.The first contact member 5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quipment case 200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quipment case 200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a minute high temperature gas flowing out from the lower end of the equipment case 200 It is directly blocked.

제2밀착부재는(520)는 제1밀착부재(51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밀착부재(510)를 둘러싸며 설비케이스(200) 상면에 구비된다.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and surrounds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quipment case 200.

이러한 제1밀착부재(510) 및 제2밀착부재(520)는 배관(300)의 수축/팽창 시 배관과 동일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s 510 and 520 have heat resistance and elasticity so as to behave in the same manner as the pipe during contraction / expansion of the pipe 300.

즉, 배관(300)이 측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면 제1밀착부재(510) 또한 배관(300)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늘어나게 되며, 제2밀착부재(520)는 제1밀착부재(510)와 동일하게 늘어나되 제1밀착부재(510)가 받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pipe 300 is expa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also extend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is extended from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So that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functions to absorb the impact of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배관이 다시 측방향으로 수축하게 되면 제1밀착부재(510) 및 제2밀착부재(520) 또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면서 배관(300)의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링효과가 유지되는 것이다.When the pipe is further contra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are continuous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while returning to the original shape, thereby maintaining the sealing effect will be.

이러한 제2밀착부재(520)의 외측에는 설비케이스(200) 상면에 구비되어 제2밀착부재(520)를 감싸고 있는 고정플레이트(530)가 구비된다.A fixing plate 53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quipment case 200 and surrounding 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is provided outside 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고정플레이트(530)는 배관(300)의 측방향 팽창시 제2밀착부재(520)가 일정 이상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해줌과 동시에 제2밀착부재(520)의 위치가 심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fixing plate 530 fixes 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not to deform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during the lateral expansion of the pipe 300 and prevents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from being seriously fluctuated.

고정플레이트(530)의 외측에는 고정플레이트(5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설비케이스(200)에 고정 체결되는 지지프레임(580)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580)은 고정플레이트(53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배관(300)의 측방향 팽창시 고정플레이트(5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And a support frame 580 fixed to the equipment case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530 is provided outside the fixing plate 530. The support frame 580 is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530 and prevents the fixing plate 530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pipe 300 is laterally expanded.

또한, 이러한 지지프레임(580)은 측벽 및 상면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제1밀착부재(510) 및 제2밀착부재(520)가 수용되며, 그 중심부에는 배관(300)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The support frame 580 is formed as a sidewall and an upper surface in which a first contact member 510 and a second contact member 520 are accommodated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o allow the pipe 300 to pass therethrough do.

이때, 지지프레임(580)의 상면과 제1밀착부재(510), 제2밀착부재(5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580)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은 배관(300)의 팽창시 배관(300)이 가질수 있는 최대 직경 이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8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s 510 and 520, and the hollow diamet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8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pe 300 Is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that the piping 300 can have.

이렇게 지지프레임(580) 하단부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가압부재(590)가 위치하게 되며, 지지프레임(580)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을 배관(300)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배관이 수축/팽창 하여도 지지프레임(580)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A hollow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80 to be larger than a maximum diameter that the pipe 300 can have, So that the pip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580 even when the pipe is contracted / expanded.

한편, 제1밀착부재(510)와 제2밀착부재(520)의 상면에는 가압플레이트(550)가 구비되어 배관(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지지프레임(580)의 상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압부재(590)가 지지프레임(580)의 상면을 관통하며 구비되어 가압플레이트(530)를 가압하게 된다.A pressure plate 55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member 5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520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80 h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590 are provid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80 to press the pressing plate 530.

가압부재(590)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580)의 상면을 관통하는 몸체(591)와, 지지프레임(580) 외측으로 돌출된 몸체(591)의 끝단에 형성된 머리(592)를 포함하며,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머리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하다.The pressing member 590 includes a body 591 formed with a thread and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80 and a head 592 formed at an end of a body 591 protruding outside the support frame 580 , It is desirable that the shape of the head is polygonal so as to be easily rotated.

또한, 지지프레임(580) 내측으로 돌출된 몸체의 끝단에는 상술한 가압플레이트(550)를 가압하되 그 가압력이 가압플레이트(550) 전체에 가해질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on the end of the body protruding into the support frame 580 so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late 550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pressing plate 550 .

이러한 가압플레이트(550)는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제1가압플레이트(560) 및 제2가압플레이트(5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가압플레이트(560)의 양 끝단과 제2가압플레이트(570)의 양 끝단이 각각 접하며 배관(300)의 외주면을 둘러싸게 된다.The pressing plate 55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For example, the pressing plate 550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plate 560 and a second pressing plate 570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pressure plate 560 and both ends of the second pressure plate 57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0.

가압플레이트(550)는 배관(300)이 수직 방향으로 수축/팽창 시 제1밀착부재(510) 및 제2밀착부재(520)가 동일한 방향을 따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제1가압플레이트(560)와 제2가압플레이트(570)로 형성됨에 따라 배관(300)의 측방향 수축/팽창 시 서로 접촉해 있던 제1가압플레이트(560)와 제2가압플레이트(570)가 분리되면서 배관(300)의 수축/팽창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pressing plate 550 prevent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s 510 and 520 from being de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pipe 300 is contracted or expa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ressing plate 560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57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the lateral contraction / expansion of the pipe 300 are separated from the pipe 3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hrinking / expanding direction of the shrinking / expanding member.

한편, 상술한 가압부재(590)는 배관(300)의 수축/팽창 시 제1가압플레이트(560) 및 제2가압플레이트(570)가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pressing member 590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so that the first pressing plate 560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570 can be moved laterally when the pipe 300 is contracted / expanded Do.

즉, 가압부재(590)는 그 몸체(591)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지지프레임(58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게 되는데, 머리(592)를 회전시켜 가압부재(590)가 제1가압플레이트(560) 및 제2가압플레이트(570)를 가압하는 적절하게 조절하면 가압부재(590)가 제1가압플레이트(560) 및 제2가압플레이트(570)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는 것이 아닌, 배관(300)의 수직 방향 수축/팽창 시 제1가압플레이트(560) 및 제2가압플레이트(570)가 수직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측방향으로는 움직이게 된다.
That is, the pressing member 59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580 by the thread formed on the body 591, and the pressing member 590 rotates the head 592 so that the first pressing plate 56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plate 570, the pressurizing member 590 presses the first pressurizing plate 56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plate 570 with a strong force, The first pressure plate 560 and the second pressure plate 570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o 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300)의 수직 방향 및 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면서 배관 및 설비케이스 사이를 다중으로 실링하여, 열 팽창으로 인한 배관의 수축 및 팽창시에도, 배관 및 설비케이스의 긴밀한 밀봉이 유지될 수 있고, 배관 및 설비케이스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벨로우즈관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ing and the equipment case are sealed in multiple while realizing a structure capable of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iping 300, so that even when the piping shrinks and expands due to thermal expansion, Tight sealing of the equipment case can be maintained and breakage of the bellows pip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ipe and the equipment cas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1차 실링부 110 : 벨로우즈관
120 : 실링플레이트 130 : 실링부재
200 : 설비케이스 300 : 배관
500 : 2차 실링부 530 : 고정플레이트
550 : 가압플레이트 580 : 지지프레임
590 : 가압부재
100: Primary sealing portion 110: Bellows tube
120: sealing plate 130: sealing member
200: equipment case 300: piping
500: Secondary sealing part 530: Fixing plate
550: pressure plate 580: support frame
590: pressing member

Claims (8)

폐열회수보일러 설비의 설비케이스와 이 설비케이스를 관통하는 배관 사이의 틈새부위를 실링하는 배관 실링장치로서,
상기 설비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상기 틈새부위를 둘러싸며 구비되어 상기 설비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상기 틈새부위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실링부; 및
상기 설비케이스 외부에 상기 배관을 둘러싸며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시 상기 배관과 동일하게 거동하여 상기 틈새부위를 실링하는 2차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실링부는, 상기 설비케이스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둘러싸는 제1밀착부재와, 상기 제1밀착부재를 둘러싸며 구비되는 제2밀착부재와, 상기 제2밀착부재를 둘러싸며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밀착부재 및 제2밀착부재는 상기 배관의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배관과 동일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실링장치.
A piping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facility case of a waste heat recovery boiler facility and a pipe passing through the facility case,
A primary sealing part surrounding the clearance formed in the equipment case to prevent hot gas generated in the equipment cas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along the clearance; And
And a secondary sealing part which surrounds the pipe on the outside of the equipment case and behaves like the pipe when the pipe is expanded or contracted to seal the clearance part,
The secondary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quipment case and surrounding the pipe, a second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sealing member, and a second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sealing member, Comprising a stationary plat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s have elasticity so that they can behave in the same manner as the pipe when the pipe shrinks or expand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 외측에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설비케이스에 고정 체결되되,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배관 실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xture plate and secured to the fixture ca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ture plate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fixture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측벽 및 상면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제1밀착부재 및 제2밀착부재가 수용되며, 그 중심부에는 상기 배관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실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formed as a side wall and an upper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s ar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frame,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to penetrate the pip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팽창시 상기 배관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실링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hollow diamet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 maximum diameter that the pipe can have when the pipe expand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부재 및 제2밀착부재의 상면에는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압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을 관통하며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실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ressing plat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pipe sealing device is a pipe seal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분할편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실링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ressure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제1가압플레이트 및 제2가압플레이트로 분할되고, 상기 배관의 수축 또는 팽창시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 및 제2가압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실링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ssing member is divided into a first pressing plate and a second pressing plate and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so that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ipe shrinks or expa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ing sealing device is provided.
KR1020130163619A 2013-12-26 2013-12-26 Apparatus for sealing pipe KR101538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19A KR101538868B1 (en) 2013-12-26 2013-12-26 Apparatus for seal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19A KR101538868B1 (en) 2013-12-26 2013-12-26 Apparatus for seal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555A KR20150075555A (en) 2015-07-06
KR101538868B1 true KR101538868B1 (en) 2015-07-22

Family

ID=5378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619A KR101538868B1 (en) 2013-12-26 2013-12-26 Apparatus for seal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8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071B (en) * 2019-06-27 2020-12-11 安徽道润电子有限公司 High-precision mechanical casting
KR102338706B1 (en) * 2020-05-13 2021-12-13 주식회사 디엠티 Expansion joint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802U (en) * 1981-07-22 1983-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boiler
JPS62118907U (en) * 1986-01-22 1987-07-28
KR100670195B1 (en) * 2004-12-27 2007-01-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Movable Sealing Apparatus
KR101330314B1 (en) * 2012-06-26 2013-11-15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ealing pi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802U (en) * 1981-07-22 1983-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boiler
JPS62118907U (en) * 1986-01-22 1987-07-28
KR100670195B1 (en) * 2004-12-27 2007-01-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Movable Sealing Apparatus
KR101330314B1 (en) * 2012-06-26 2013-11-15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ealing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555A (en)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868B1 (en) Apparatus for sealing pipe
KR101517668B1 (en) Bag Filter for Urtra Temperature
CN104338393B (en) For realizing the filter of gas solid separation
KR101330314B1 (en) Apparatus for sealing pipe
KR101266469B1 (en) Apparatus for sealing pipe
KR101065845B1 (en) Device for sealing pipe
KR101377220B1 (en) Apparatus for sealing pipe
KR100942657B1 (en) Mechanical sleeve type expansion joint of heat recovery system generator
RU2702346C2 (en) Steam discharge device for nuclear power plant
KR20190135819A (en) Penetration piece assembly for exhaust gas piping system of ship
JP7288459B2 (en) Waste heat recovery boiler
CN205534628U (en) Combustion engine exhaust -heat boiler wall pipe high temperature expansion festival
JPH10259902A (en) Sealing structure for penetrated part of boiler ceiling wall
JP5806781B2 (en) Expansion joint in vertical passage
CN101566434B (en) Converter movable hood flexible ring mechanical sealing device and sealing method
CN204730707U (en) Double tubesheet steam heater
KR101166440B1 (en) Insulation structure
KR102077398B1 (en) Bellows establishing method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KR20170143208A (en) Spray Nozzle for Superheater Attemperator
KR200424261Y1 (en) expansion joint with sealing structure
EA027495B1 (en) Method for sealing of gaps in a contact shoe ring and sealing arrangement
KR20190133403A (en) Bellow-type steam trap for reducing watter hammer
CN219159817U (en) Displacement absorbing structure of exhaust pipe
JP6249927B2 (en) Steam turbine
CN205014315U (en) Area tube bank sealing device's exhaust -heat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