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97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97B1
KR101537697B1 KR1020090002062A KR20090002062A KR101537697B1 KR 101537697 B1 KR101537697 B1 KR 101537697B1 KR 1020090002062 A KR1020090002062 A KR 1020090002062A KR 20090002062 A KR20090002062 A KR 20090002062A KR 101537697 B1 KR101537697 B1 KR 10153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arphone plug
main body
earphon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2668A (en
Inventor
박상율
최항준
김태완
성창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97B1/en
Publication of KR2010008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잭; 및 상기 이어잭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잭은,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캡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캡 장착부; 및 상기 삽입홀의 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body; An earphone jack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having an earphone plug inserted therein; And a cap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so as to cover the ear jack, wherein the ear jack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A cap mounting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mounting space for the cap; And a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at an inlet of the insertion hole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phone plug when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0001]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잭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ear jacks for connecting earphones.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and is implemented as a multimedia device .

이와 같은 멀티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에 스피커 이외에도 이어폰과의 연결을 위한 이어잭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음향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3.5 파이(pi) 이어폰 플러그를 적용할 수 있는 이어잭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이 증가하는 추세이다.In order to realize such a multimedia function, it is common that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ar jack for connection with an earphone, in addition to a speaker. In recent years, an ear jack capable of applying a 3.5 pi (pi) earphone plug to increase the output of sound has been increasingly mounted on portable terminals.

도 1a는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 3.5 파이(pi) 이어폰 플러그를 갖는 이어폰과 이어잭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이어폰 플러그가 이어잭에 장착된 것을 보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nd an ear jack having a 3.5 pi (pi) earphone plug having a general shape, and Fig. 1B is a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n earphone plug mounted in an ear jack.

이어폰(10)은 도전성 재질의 이어폰 플러그(11)와, 이어폰 플러그(11)의 단부에 형성되는 비도전성 재질의 그립부(12)를 포함한다. 여기서, 3.5 파이 이어폰 플러그(10)는 국제적으로 규격화된 길이(d)를 갖는다.The earphone 10 includes an earphone plug 11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grip portion 12 of a non-conductive material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earphone plug 11. Here, the 3.5 phi earphone plug 10 has an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length d.

이어잭(20)은 단말기 바디(30)의 내부의 인쇄회로기판(31)에 장착되며, 이어잭(20)에는 이어폰 플러그(11)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1)이 형성된다. 이어잭(20)은 이어폰 플러그(10)의 길이(d) 때문에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질 것을 요한다. The ear jack 2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inside the terminal body 30 and the jack 2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21 into which the earphone plug 11 is inserted. The ear jack 20 needs to have a certain length because of the length d of the earphone plug 10.

도 1b의 도시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를 위하여 삽입홀(21)의 입구를 한정하는 입구부(22)가 단말기 바디(3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된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이어잭(20) 내부로 이물이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단말기 바디(30)에 이어잭(20)을 덮는 캡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그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As shown in FIG. 1B, in order to miniaturize the portable terminal, an inlet portion 22 defining an inlet of the insertion hole 21 is generally protruded 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30. In this case, foreign matter may enter the ear jack 20.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ap covering the jack 20 to the terminal body 30.

캡의 배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이어잭(20)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이어잭(20)을 단말기 바디(3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장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어잭(20)의 길이에 대한 제약 때문에 이어잭(20)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기가 힘들다. 또한, 이어잭(20)을 단말기 바디(3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어폰(10)의 삽입시 단말기 바디(30)와 그립부(22)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말기 바디(30)에 그립부(12)의 배치 공간을 형성시켜야 하며, 이는 단말기 바디(30)의 외관을 미려하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re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size of the ear jack 20 is reduced or the ear jack 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30 in order to provide a space for arranging the cap.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of the ear jack 20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length of the ear jack 20. [ In addition, when the earphone 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30,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terminal body 30 and the grip portion 22 when the earphone 10 is inserted, It is necessary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for the terminal body 12, which may render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30 unfamiliar.

본 발명은 규격화된 사이즈의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잭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있어서, 이어잭을 덮기 위한 캡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ar jack for connecting earphones of a standardized size, in which a cap for covering ear jacks can be applied.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잭; 및 상기 이어잭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잭은,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캡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캡 장착부; 및 상기 삽입홀의 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phone jack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having an earphone plug inserted therein; And a cap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so as to cover the ear jack, wherein the ear jack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A cap mounting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mounting space for the cap; And a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at an inlet of the insertion hole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phone plug when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캡의 장착을 위한 캡 장착홈이 형성되고,상기 본체부는 상기 캡 장착홈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A cap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cap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main body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p mounting groove.

상기 본체부는 상기 캡 장착부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장착홈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cap mounting portion is positioned on a mounting groove of the terminal body.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규격화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플러그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earphone plug has a standard length, and the body portion may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lug portion.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피 커 단자들과, 상기 제2스피커 단자의 외측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speaker terminals arranged in order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and a ground terminal disposed outside the second speaker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outside the ground terminal Lt; RTI ID = 0.0 > a < / RTI >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단말기 바디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cutting portion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terminal body may be formed on the body portion.

상기 이어잭에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된 인쇄기판에 체결시키는 체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ar jack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fastening the main body to a printed board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본 발명은 규격화된 사이즈를 갖는 이어폰 플러그를 수용하는 이어잭의 본체부에 캡 장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이어잭을 덮기 위한 캡을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structure capable of applying a cap for covering a ear jack to a terminal by forming a cap attaching portion in a main body portion of an ear jack accommodating an earphone plug having a standardized size.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플러그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를 삽입홀 입구부에 구비시킴으로써 본체부의 길이 축소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reduction in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by providing a connection terminal in the insertion hole inlet portion that contacts the earphone plug.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체결부를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과의 체결력을 강화하였으며, 본체부에 커팅부를 형성하여 단말기 바디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structure in which a fastening part is formed in a main body part to strengthen a fastening force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utting part i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 terminal body.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 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바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기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의 단말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that is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10. Hereinafter, a slide type terminal in which first and second bodies are slidably connected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erminals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120 )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T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in an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0 and the rear case 120. [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0 and the rear case 120.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 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3,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or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etc.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13 further includes a touch screen, It may also be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Can be implemented.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the case of the second body 1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10. [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4),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include a third operating unit 124, an acoustical input unit 125, and an interface 126.

제1 내지 제3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portions 116, 123, and 1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embodi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the user, or may be implemented by a wheel, a jog system, a joystick, or the like .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4)는 제1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ing,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numbers, charac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operation unit 124 may operate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or the like.

음향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in order to receive voice, sound, etc. of the user.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126 is a path through which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6 may be a wired or wireless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etc.) And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1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1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rear case 122 side. The power supply 127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example, for charging, as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28)는 제1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further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see FIG. 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low pixels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제2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9)는 제2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9 and a mirror 1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flash 129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mirror unit 130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rear case 122. [

제2음향출력부(131)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urther, on one side of the rear case 122,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32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132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body 120.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A part of the slide module 133 which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disposed on the rear case 112 side of the first body 110.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3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121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is figure.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8) 등이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and the like are disposed in the second body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128 to 132 described as being arranged in the rear case 1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mainly the rear case 112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it.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in the rear case 112 in the closed state is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20. Furth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제2바디(120)에는 이어폰(140)과의 연결을 위한 이어잭(150)과, 이어잭(150)을 덮는 캡(160)이 장착된다.The second body 120 is provided with an ear jack 150 for connection with the earphone 140 and a cap 160 covering the ear jack 150.

이어폰(140)은 휴대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음향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어잭(1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어폰(140)은 이어잭에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어폰 플러그(141)와, 이어폰 플러그(14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절연성 재질의 그립부(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폰 플러그(141)는 3.5 파이(pi) 플러그로서, 규격화된 사이즈와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earphone 140 i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ar jack 150. The earphone 140 includes an earphone plug 141 of a conductive material inserted into the ear jack and a grip portion 142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earphone plug 141. Here, the earphone plug 141 is a 3.5 pi plug, and can have a standardized size and length.

캡(160)은 이어잭(150)의 삽입홀을 덮을 수 있도록 제2바디(120)에 장착되 며, 제2바디(1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대 이동(예를 들어, 회전 이동, 슬라이드 이동 등)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cap 160 is mounted on the second body 120 so as to cover the insertion hole of the ear jack 150 and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second body 120 or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second body 120, Slide movement, etc.).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이어잭에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어잭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캡 장착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이어잭의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arphone plug is inserted into an ear jack.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 jack showing a shape of a cap attaching por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어잭(150)은 본체부(151)와, 캡 장착부(152), 및 접속 단자(153)을 포함한다.4 to 6, the ear jack 150 includes a body portion 151, a cap mounting portion 152, and a connection terminal 153.

본체부(151)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어폰 플러그(141)이 삽입되는 삽입홀(154)를 구비한다. 삽입홀(154)은 이어폰 플러그(14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홀(154)는 이어폰 플러그(141)가 삽입되는 통로가 되며,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시 이어폰 플러그(141)를 지지한다.The main body 151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and has an insertion hole 154 into which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15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phone plug 141. The insertion hole 154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and supports the earphone plug 141 when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제2바디(120)에는 캡(160)의 장착을 위한 캡 장착홈(136)이 형성되고, 본체부(151)는 캡 장착홈(136)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체부(151)는 삽입홀(154)의 입구가 캡 장착홈(136)을 향하도록 제2바디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35)에 장착될 수 있다.A cap mounting groove 136 for mounting the cap 160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120 and a main body portion 151 is disposed inside the cap mounting groove 136. The main body part 151 can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nside the second body so th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hole 154 faces the cap mounting groove 136. [

도 7을 참조하면, 캡 장착부(152)는 캡(16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본체부(151)의 선단에 형성된다. 캡 장착부(152)는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의 입구부(22)에 해당하는 공간에 형성된다. 즉, 캡 장착부(152)는 입구부(22)가 제거된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7, the cap mounting portion 152 is formed at the tip of the main body portion 151 to provide a mounting space for the cap 160. As shown in Fig. The cap mounting portion 152 is formed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ion 22 of Fig. 1A,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That is, the cap mounting portion 152 can be formed in the space from which the inlet portion 22 is removed.

본체부(151)는 캡 장착부(152)가 캡 장착홈(136)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부(151)는 이어폰 플러그(141)의 길이(d), 구체적으로 이어폰 플러그(141)의 끝단으로부터 걸림턱(143)까지의 길이(d)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51)에는 이어폰 플러그(141)가 전체 길이(d)만큼 모두 삽입되지 않고, 일부는 삽입되지 않는다. 제2바디(120)의 캡 장착홈(136) 주변에는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되지 않은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151 is disposed so that the cap mounting portion 152 is positioned on the cap mounting groove 136. [ The main body 151 may have a length d shorter than the length d of the earphone plug 141, specifically, the length d from the end of the earphone plug 141 to the engaging protrusion 143. Therefore, the earphone plug 141 is no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51 by the entire length d, and a part thereof is not inserted.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uninserted portion of the earphone plug 141 and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earphone plug 141 may be formed around the cap mounting groove 136 of the second body 120.

접속 단자(153)는 삽입홀(154)의 입구부(155)에 배치되며, 인쇄회로기판(135)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135)에 연결된다. 접속 단자(153)는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시 이어폰 플러그(14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이어폰 플러그(141)와 인쇄회로기판(1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The connection terminal 153 is disposed at the entrance 155 of the insertion hole 154 and extends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to b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The connection terminal 153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phone plug 141 when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arphone plug 14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본 발명과 관련된 접속 단자(153)는 본체부(151)의 내부에 위치하지 않고, 본체부(151)의 길이가 감소한 것에 대응되도록 본체부(151)의 선단에 위치한다. 접속 단자(153)의 단부에는 이어폰 플러그에 접촉하는 돌출부(153a)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153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main body part 151 so as to correspond to a decrease in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art 151 without being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part 151. [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3, a protrusion 153a contacting the earphone plug may be formed.

본체부(151)에는 접속 단자(153)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벽(156)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156)은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시 이어폰 플러그(141)를 향하는 제1면(156a)과, 이어폰 플러그(141)의 인출 방향을 향하는 제2면(156b)을 구비한다. 접속 단자(153)의 단부는 제1면(156a)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시 이어폰 플러그(141)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 되도록 구성된다. 지지벽(156)의 제1면(156a)은 접속 단자(153)가 일정 거리 이상 변형되지 않도록 접속 단자(153)의 단부를 지지한다.The body portion 151 may be formed with a support wall 156 for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3. The support wall 156 has a first surface 156a facing the earphone plug 141 and a second surface 156b facing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earphone plug 141 when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Th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3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156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ing the earphone plug 141 when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The first surface 156a of the support wall 156 supports th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3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153 is not deformed beyond a certain distance.

본체부(151)에는 제2바디(120)의 내벽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커팅부(158')가 형성된다. 커팅부(158')는 이어잭(150)이 제2바디(120)의 내벽면과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됨에 따른 본체부(151)와 제2바디(120)와의 간섭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체부(151)의 길이 감소에 따른 본체부의 배치 공간이 제약을 완화할 수 있다. 커팅부(158')는 제2바디(120)의 내벽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51)의 선단 주변에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dy portion 151 is formed with a cutting portion 158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The cutting portion 158 'is provided for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ain body 151 and the second body 120 as the ear jack 150 is arrang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This can alleviate the restri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151. [ The cutting portion 158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inner wall shape of the second body 120, or may be form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151.

본체부(151)의 일면에는 본체부(151)를 인쇄회로기판(135)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58)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58)는 본체부(151)의 측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58)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스크루 홀(159)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51)는 접속 단자(153)가 인쇄회로기판(135)에 표면 실장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3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체결부(158)를 본체부(151)에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본체부(151)의 길이 감소에 따른 체결력의 저하를 보강하였다.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51, a fastening portion 158 for fastening the body portion 151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may be formed. The fastening portion 158 may be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51. The fastening portion 158 may be formed with a screw hole 159 for screw tightening. The main body 151 can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by surface mounting the connection terminals 153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The main body 151 can be further fixed to the main body 151 So that the lowering of the fastening forc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51 is reinforced.

도 8은 이어잭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이어잭의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of the ear jack with the jack plug inserted.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폰 플러그(141)가 제1 내지 제4극(141a 내지 141d)을 구비하는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며, 각 극들 사이에는 절연성 재질의 구획 라인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극(141a 내지 141d)은 각각 L극, R극, 그라운드 극, 마이크 극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earphone plug 141 has the first to fourth poles 141a to 141d, and a partition lin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poles. The first to fourth poles 141a to 141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L-pole, an R-pole, a ground pole, and a microphone pole, respectively.

본체부(151)의 내부에는 이어폰 플러그(141)에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들이 배치된다. 이들 복수의 단자들은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시 이어폰 플러그(141)의 극들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된다.A plurality of terminal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earphone plug 141, are disposed inside the body 151.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figured to respectively contact the poles of the earphone plug 141 when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단자들은 삽입홀(154)의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제1스피커 단자(171a), 제2스피커 단자(171b), 및 그라운드 단자(171c)를 포함한다. The terminals include a first speaker terminal 171a, a second speaker terminal 171b, and a ground terminal 171c, which are disposed in order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154.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171a,171b)는 이어폰 플러그(141)의 L극(141a)과 R극(141b)에 접촉되어 이어폰(140)의 오른쪽과 왼쪽 스피커로 음향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라운드 단자(171c)는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시 이어폰 플러그(141)의 그라운드 극(141c)에 접촉된다.The first and second speaker terminals 171a and 171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pole 141a and the R-pole 141b of the earphone plug 141 so that signals related to the sound are transmitted to the right and left speakers of the earphone 140 do. The ground terminal 171c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pole 141c of the earphone plug 141 when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앞서 설명된 삽입홀(154) 입구에 배치된 접속 단자(153)는 마이크 단자(153)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 단자(153)는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시 이어폰 플러그(141)의 마이크 극(141d)에 접촉된다.The connection terminal 153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hole 154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as a microphone terminal 153. The microphone terminal 15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icrophone pole 141d of the earphone plug 141 when the earphone plug 141 is inserted.

제1스피커 단자(171a), 제2스피커 단자(171b), 그라운드 단자(171c), 및 마이크 단자(153)는 인쇄회로기판(135)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135)에 표면 실장될 수 있다.The first speaker terminal 171a, the second speaker terminal 171b, the ground terminal 171c and the microphone terminal 153 may exten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and may be surfac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어잭의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of an ear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이어잭은 접속 단자(253)를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The ear jack associated with this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nection terminal 253.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본 실시예와 관련된 접속 단자(253)는 제1면(156a)에서 제2면(156b)를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부(253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접속 단자(253)의 단부는 지지벽(156)의 제2면(156b)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connection terminal 253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ent portion 253b bent from the first surface 156a toward the second surface 156b. With this structure, th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253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rface 156b of the support wall 156. [

본 발명과 관련된 접속 단자(253)는 본체부(151)의 외면에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어폰 플러그(141)의 삽입 과정에서 이어폰 플러그(141)의 단부와 접촉되기 쉽다. 접속 단자(253)는 제2면(156b)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어폰 플러그(141)의 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꺾이거나 영구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terminal 253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51, it is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earphone plug 141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arphone plug 141. The connection terminal 253 is held by the second surface 156b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permanently deformed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of the earphone plug 141. [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8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8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85), 메모리(18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0,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an acoustic input unit 125, a display unit 113, A sensing unit 186, an interface 126,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a memory 184, a power supply unit 127, and a control unit 180.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무선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3)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 from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transmission unit 18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and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this purpose; 183).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provide the control unit 180 with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include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are stored in the memory 18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

음향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18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The sound input unit 1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is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In the record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84. [

음향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I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the UI, and the GUI.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receiv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ommunication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Converts the stored sound data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센싱유닛(18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86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senses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nd outpu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8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controlled. And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127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 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6 may be any type of interface card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8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84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Such memory 184 includes the concept of a generally known hard disk,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receives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s and convert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s into broadcast data types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 broadcast data formats to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receives additional data (e.g., EPG (Electric Program Guide), channel list, etc.) related to broadcast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4. [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7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a는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 3.5 파이(pi) 이어폰 플러그를 갖는 이어폰과 이어잭의 사시도.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nd ear jack having a 3.5 pi (pi) earphone plug having a general shape; FIG.

도 1b는 이어폰 플러그가 이어잭에 장착된 것을 보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1B is a cross-sec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earphone plug is shown mounted to an ear jac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의 플러그와 이어잭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and ear jack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5는 이어잭에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tion of a state in which an earphone plug is inserted into an ear jack;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어잭의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 jack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캡 장착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이어잭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 jack showing the shape of a cap mounting portion;

도 8은 이어잭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이어잭의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of the ear jack with the jack plug inserted thereafte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어잭의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of an ear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단말기 바디;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잭; 및An earphone jack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having an earphone plug inserted therein; And 상기 이어잭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캡을 포함하고,And a cap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o cover the ear jack, 상기 이어잭은,The ear jack,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본체부;A main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캡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캡 장착부; 및A cap mounting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mounting space for the cap; And 상기 삽입홀의 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at an inlet of the insertion hole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phone plug when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캡의 장착을 위한 캡 장착홈이 형성되고,A cap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cap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상기 본체부는 상기 캡 장착홈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main body is disposed inside the cap moun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부는 상기 캡 장착부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장착홈 상에 위치하도 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main body part is disposed such that the cap mounting part is positioned on a mounting groove of the terminal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규격화된 길이를 가지며,The earphone plug has a standard length,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main body part has a length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earphone plu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들과, 상기 제2스피커 단자의 외측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단자를 더 포함하고,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speaker terminals arranged in order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and a ground terminal disposed outside the second speaker terminal,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a microphone terminal disposed outside the groun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접속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wall for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지지벽은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이어폰 플러그를 향하는 제1면과,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인출 방향을 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고,Wherein the supporting wall has a first surface facing the earphone plug when the earphone plug is inserted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earphone plug,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제2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제1면에서 제2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has a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second surface from the first surfac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단말기 바디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at least one cutting portion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terminal body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은,2. The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된 인쇄기판에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astening the main body to a printed board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체결부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스크루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 hole for fastening the screw.
KR1020090002062A 2009-01-09 2009-01-09 Portable terminal KR101537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62A KR101537697B1 (en) 2009-01-09 2009-01-09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62A KR101537697B1 (en) 2009-01-09 2009-01-09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68A KR20100082668A (en) 2010-07-19
KR101537697B1 true KR101537697B1 (en) 2015-07-22

Family

ID=4264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062A KR101537697B1 (en) 2009-01-09 2009-01-09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69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86Y1 (en) * 2003-01-06 2003-04-21 주식회사 파워넷 An earphone jack improved in a contact stability
KR20050048342A (en) * 2003-11-19 2005-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Earphone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654033B1 (en) * 2005-12-16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86Y1 (en) * 2003-01-06 2003-04-21 주식회사 파워넷 An earphone jack improved in a contact stability
KR20050048342A (en) * 2003-11-19 2005-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Earphone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654033B1 (en) * 2005-12-16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68A (en)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5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2991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7761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54240B1 (en) Earj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59024B1 (en) Mobile terminal
KR101404743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10153769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474442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76110A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3258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80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01688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3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602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5900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0475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5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5276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602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1529919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