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271B1 - 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 Google Patents

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271B1
KR101537271B1 KR1020150021710A KR20150021710A KR101537271B1 KR 101537271 B1 KR101537271 B1 KR 101537271B1 KR 1020150021710 A KR1020150021710 A KR 1020150021710A KR 20150021710 A KR20150021710 A KR 20150021710A KR 101537271 B1 KR101537271 B1 KR 10153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sealing
sealing wi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원
송경호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5002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2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meter sealing device and a meter sealing method. The meter sealing device, which comprises a meter body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water consumption, and a body cover for protecting the meter body, comprises: at least one sealing wire which penetrates through a region in which the meter body and the body cover are overlapped; an object to be inserted which has a guide coupling part, whose upper part is opened, in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a first body integrally connected with one end of the sealing wire,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first body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guide coupling part; and an inserting object which has a second body which has an elastic hook piece, whose outer end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guide coupling part to prevent the second body from being separated outward, protru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is pressurized to be disposed on the guide coupling part to generate fixing force to fix the sealing wire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guide coupling part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Description

계량기용 봉인장치 및 봉인방법{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

본 발명은 계량기의 봉인에 사용되는 장치 및 봉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체적인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도 계량기와 같은 계량기기에 대한 봉인작업을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현장에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및 봉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used for sealing a meter and a seal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constituent par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such as a water me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and a sealing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more simply and quickly.

일반적으로 수도계량기와 같은 계량기를 봉인하는 장치는 계량기를 보호하면서 수도 사용량의 변경 및 조작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In general, a device for sealing a meter such as a water met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meter from being changed and manipulated while protecting the meter.

즉, 수돗물이 공급되는 가정집이나 건물에는 반드시 계량기가 부설되며, 이러한 계량기에 지시된 눈금은 사용자나 공급자가 모두 인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other words, a meter is installed in a house or a building where tap water is supplied, and the scale indicated on the meter can be recognized and confirmed by both the user and the supplier.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매월 사용지침을 체크함으로서 간혹 자신에게 사용량 이외로 부과되는 부당징수요금에 대해 대처할 수 있고, 공급자는 정확한 사용량을 월별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요금을 징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pe with unfair collection fees other than the usage amount by checking the monthly usage guide by himself / herself, and the supplier can collect the usage fee to the user by calculating the accurate usage amount monthly.

이러한 계량기의 지침이 사용요금을 산정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공급자는 일부 사용자에 의한 계량기의 눈금조작을 방지하고, 계량기의 내부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봉인을 하고 있다.Since the guidelines of these meters are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usage fee, the supplier seals to prevent scale manipulation of the meter by some users and to prevent internal breakage of the meter.

통상적인 봉인방법은 계량기의 본체를 덮는 커버와 고정판에 형성된 체결편의 끼움공에 일정길이의 봉인선을 통과시킨 다음, 검자가 낙인된 봉인구의 끼움홈에 끼워 연결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해 봉인구를 압착시켜 봉인을 하였다. A typical sealing method is to pass a seal line of a certain length through a cover covering the main body of the meter and a fastening bolt formed on the fastening plate and then inserting the rod into the fitting groove of the sealing mouth struck by the probe,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봉인방법은 봉인선이 두세 가닥 정도의 가는 철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에 의한 단락 가능선이 극히 높을 뿐만 아니라 봉인선을 통과시킨 후 봉인구의 끼움홈에 끼워 연결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해 봉인구를 압착시켜 봉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계량기에 대한 봉인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aling method, the sealing wire is composed of a thin wire of about two or three strands, and as time elapses, a short circuit line due to corrosion is extremely high,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sealing wire, It is very troublesome to seal the meter because it is required to squeeze the rod population by using the tool.

(특허문헌 1) KR10-1156143 B1 (Patent Document 1) KR10-1156143 B1

특허문헌 1에는 임의로 봉인을 해제하기 위해 강압적으로 봉인와이어를 반복적으로 꺾어도 절단이 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봉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eal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place where the work space is small, while preventing cutting even if the sealing wire is repeatedly bent so as to release the sealing arbitraril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봉인장치는 봉인와이어의 단부를 봉인와이어홀, 여유홀, 봉인구멍으로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다음, 공구고정홀에 별도의 공구를 끼워 봉인몸체를 고정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공구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고, 봉인작업시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ealing apparatus,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sealing wire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ealing wire hole, the clearance hole and the sealing hole, and then the sealing body is fixed by inserting a separate tool into the tool fixing hole,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very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in sealing operation.

또한, 상기 봉인와이어의 단부를 계량기의 봉인구멍을 관통시켜서 팽팽하게 잡아당긴 후, 봉인몸체의 암나사부에 봉인볼트손잡이의 수나사부를 체결하여 부하가 걸리면 수나사부와 연결된 절단요부가 절단되면서 수나사부가 봉인몸체에 나사 삽입 체결된 상태로 봉인되기 때문에 계량기의 봉인작업시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when the end of the sealing wire is pierced through the sealing hole of the meter, and the male thread portion of the sealing bolt handle is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 portion of the sealing body, the cut recess portion connected to the male thread portion is cut, Since the body is sealed with screws inserted there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working time is long when the meter is sealed and inconvenient in use.

따라서, 수도계량기에 설치된 봉인을 해제하기 위해 강압적으로 봉인와이어를 반복해서 꺾어도 쉽게 절단되지 않으면서, 지하에 함몰되어 있는 수도계량기의 봉인이 부식이 되지 않으면서 기기에 봉인하기 위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수도계량기용 봉인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ot easy to break even if the sealing wire is repeatedly bended to break the seal installed in the water meter, so that the seal of the water meter which is depressed in the underground is not corroded, A sealing device for a water meter is required to provide a convenience of work so that it can be installed by working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도 계량기와 같은 계량기기에 대한 봉인작업을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현장에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및 봉인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constituent par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ling machine for a metering machine,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and a sealing method which can be easily and quickly carried ou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도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계량본체와, 이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계량기를 봉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본체와 본체커버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인용 와이어 ;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제1몸체에 상부로 개방된 일정깊이의 안내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상기 안내결합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몸체에 관통형성한 피삽입체 ; 및 상기 안내결합부에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걸리는 탄성걸림편을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제2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결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사이에 개재된 봉인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안내결합부에 압입 배치되는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제공한다.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sealing a meter including a metering body for measuring and indicating water usage and a main cover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metering body, At least one sealing wire passing through the overlapping area; Wherein the sealing wire is formed with a guide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pened to an upper portion of a first body to which one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tegrally connect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passes, A body to be inserted through the body; And a second body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that an outer end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elastically contacts with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difficul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And an insertion body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sealing wire interposed in the guide engag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결합부는 상기 제2몸체의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안내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안내공과, 상기 관통홀이 노출되고 바닥면이 밀폐된 결합공 및 상기 안내공과 결합공사이의 경계영역에 상기 탄성걸림편의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단턱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guid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guide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elastic engaging piece of the second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contacted and guided, an engaging hole having the through hole exposed, a bottom surface of which is closed, And an engagement step where the outer end of the elastic engagement piece is elastically hooked.

바람직하게, 상기 제2몸체는 외부면에 상기 안내공과의 접촉시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탄성걸림편이 배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전체적인 외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도록 함몰형성되는 체적보상용 요홈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second body has a groove for volume compensa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so as to maintain an overall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with an elastic catch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when the second body contacts the guide hole .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체는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의 상단입구에 형성된 단차홈에 배치되는 돌출턱을 제2몸체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구비한다. Preferably, the insert has a protruding jaw disposed in a stepped groove formed in an upper end opening of the guide hole so as to cove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피삽입체는 상기 관통홀과 마주하는 결합공의 내주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용 관통홀을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to-be-inserted body has at least one through-hole for through-hole formed throug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engaging hole facing the through-hole.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체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외부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제2몸체의 하부단에 밀착용 고정돌기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insert has a fixing protrusion for close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so as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wir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용 고정돌기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와의 접촉시 연신되는 와이어몸체와 접하도록 산단면상으로 구비된다.More preferably, the tight fitt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ire so as to contact with the wire body which is elongated in contact with the sealing wire.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결합부는 상기 제2몸체 하단이 삽입배치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외경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내부결합공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내부진입된 봉인용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1와이어배치홈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guide coupl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coupling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ner hole of the inner coupling hole, And a first wire disposition groove formed so as to be recessed so as to dispose the sealing wire therein.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결합부는 바닥면에 상기 제2몸체 하단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안착부에 대응삽입되어 배치되도록 일정높이 돌출형성된 융기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guid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rais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depth.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융기부는 상부면에 내부진입된 봉인용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2와이어배치홈을 구비한다.More preferably, the ridge portion has a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 that is formed so as to be recessed so that a sealing wire that is internally entered into the upper surface is disposed.

또한, 본 발명은 수도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계량본체와, 이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계량기를 봉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삽입체의 제1몸체에 함몰형성된 안내결합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체의 제2몸체를 대응 삽입하여 상기 제2몸체 일부가 상기 안내결합부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제2몸체의 나머지가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탄성걸림편이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걸림배치되는 대기단계 ; 상기 제1몸체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된 봉인용 와이어를 상기 안내결합부의 결합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몸체에 관통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봉인용 와이어를 결합공내에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단계 및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과 결합공사이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상기 제2몸체의 탄성걸림편이 걸림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결합공의 바닥면에서 밀착되도록 상기 피삽입체에 대하여 삽입체를 직하부로 가압하여 압입하는 압입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본체와 본체커버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봉인용 와이어를 관통배치하여 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aling a meter including a metering body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 water usage amount and a body cover covering and covering the metering body, the method including seal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body of the to- Wherein the second body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uide engaging portion by correspondingly inserting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throug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such that the remainder of the second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A waiting step of resiliently contacting and engag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The sealing wire having one end fix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And the elastic hooks of the second body are hooked and connected to the hooking step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aling wire of the second body, And a press-in step of press-fitting the insert to the under-inserted body so that the weighing body and the main cov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ealing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 배치단계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시킨 봉인용 와이어를 상기 관통홀과 마주하는 인출용 관통홀을 통해 외부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wire disposing step includes a step of withdrawing the sealing wire, which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through a through hole for facing the through ho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자유단 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된 다음 마주하는 인출용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봉인용 와이어의 길이중간은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공내에 배치된다. More preferably, the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entered in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hole or the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enters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acing through- And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sealing wire is disposed in the engagement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압입단계는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결합공의 바닥면에서 밀착될 때, 상기 제2몸체의 외경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내부결합공에 피삽입체가 삽입되면서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결합공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된 제1와이어배치홈에 봉인용 와이어가 삽입배치된다. Preferably,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aling wire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the press-fitting step may be performed by inserting an inserting member into the inner engaging hol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And a sealing wire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first wire arrangement groov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engagement ho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바람직하게, 상기 압입단계는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결합공의 바닥면에서 밀착될 때, 상기 결합공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된 융기부는 상기 제2몸체 하단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안착부에 대응삽입되고, 상기 봉인용와이어는 상기 융기부와 안착부사이에 개재된다. Preferably,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aling wire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may b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sealing wire is interposed between the raised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융기부와 안착부사이에 개재되는 봉인용 와이어는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함몰형성된 제2와이어배치홈에 삽입배치된다. More preferably, the sealing wire interposed between the ridge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idge portion.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삽입체의 조립결합부에 몸체일부가 대응삽입되어 안내결합부의 내주면에 탄성걸림편의 탄력적으로 접하여 1차 걸림배치된 상태에서 관통홀 및 인출용 관통홀을 통해 봉인용 와이어를 외부인출한 다음, 삽입체를 직하부로 가압하여 압입함으로써, 삽입체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탄성걸림편이 걸림단턱에 2차 걸림과 동시에 안내결합부의 결합공 바닥면과 삽입체의 하부단사이에 내부진입된 봉인용 와이어를 밀착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계량본체와 본체커버사이의 중첩영역을 통과하는 봉인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본체커버를 불법적으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봉인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1) a part of the body is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and engaging portion of the insert, and the elastic engaging member elastical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sealing wire is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Then, the insert is press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so as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insertion por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quickly carry out the sealing operation so that the main cover can not be opened illegally by using the sealing wire passing through the overlapped area between the metering main body and the main cover.

(2) 봉인용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고정된 피삽입체와, 이에 1차 대응삽입되어 대기상태에서 2차 압입에 의해서 피삽입체에 내부진입된 봉인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삽입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구성 부품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2) an inserting body to which an end of the sealing wire is connected and fixed, and an inserting member for inserting the sealing wire inserted in the inserting body into the inserting body by the secondary press-insertion in a state where the inserting body is inserted thereint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ecause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3) 봉인용 와이어가 삽입배치된 피삽입체에 대하여 삽입체를 압입하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서 작업자가 계량기를 봉인하는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 설치된 계량기에 대한 봉인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봉인작업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3) Since the worker can perform the sealing operation of the meter by a simple operation in which the insertion body is press-fitted into the inserting body in which the wire for sealing is inserted and dispose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ealing operation for the meter installed in the field So that the load of the sealing opera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종단면도이며,
(c)는 A-A선 단면도이고.
(d)는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에서 봉인와이어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종단면도이고,
(b)는 C-C 선 단면도이며,
(c)는 D-D 선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를 이용한 봉인작업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xed state of a sealing wire in a sealing apparatus for a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c) is a DD line sectional view.
6A to 6C are explanatory views illustrating a sealing operation using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량기용 봉인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계량기용 봉인장치는 가정이나 일반건물에서 사용되는 수도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계량본체와, 이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와 같은 계량기기에 대한 불법적인 개방에 의한 조작이나 내부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인용 와이어(110), 피삽입체(120) 및 삽입체(130)를 포함하여 봉인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sealing device for a me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er-sealing device for measuring the usage amount of water used in a home or a general building, The wire 110 to be inserted, the inserting body 120, and the inserter (not shown) to prevent manipulation or internal breakage of the meter unit, such as a water meter, 130).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는 상기 계량본체와 본체커버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관통형성된 연결공(미도시)을 통해 관통하여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와이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aling wire 110 may be formed of a wir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assing through a connec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metering body and the main cover overlap each other.

이러한 봉인용 와이어(110)는 외력에 기인하는 단선이나 절단이 곤란하도록 금속소재 또는 특수소재로 이루어지는 일정길이를 갖는 선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wire 110 is made of a wire member having a certain length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pecial material so that breaking or cutting due to an external force is difficult.

상기 피삽입체(120)는 계량기기에 대한 봉인작업 후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를 확고히 고정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봉인용 와이어의 불법적인 외부인출이 곤란하도록 상기 삽입체(130)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는 피결합 구조물이다. The inserting body 120 is firmly fixed to the sealing wire 110 after the seal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meter, so that it is difficult to illegally pull out the sealing wire by an external force, Is a bonded structure.

이러한 피삽입체(120)는 성형시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의 일단인 고정단이 일체로 매입되어 연결고정되는 제1몸체(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121)에는 상기 삽입체(130)가 도면상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대응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일정깊이의 안내결합부(122)를 함몰형성한다. The inserted body 120 includes a first body 121 integrally fix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sealing wire 110 at the time of molding, The guide 130 engages with the guide coupling part 122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which is opened upward so that the guide 130 can be vertically inserted and coupled vertically downward.

이러한 제1몸체(121)의 외부면에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의 타단인 자유단이 통과하는 관통홀(125)을 상기 안내결합부(122)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한다.A through hole 125 through which the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110 passe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2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coupling part 122.

여기서, 상기 안내결합부(122)는 상기 삽입체(130)의 외부면이 접하여 안내통과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안내공(123)과, 상기 관통홀(125)이 노출되고 바닥면이 밀폐된 결합공(124)을 포함한다. The guide coupling part 122 includes a guide hole 123 penetratingly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130 is in contact therewith and a guide hole 123 in which the through hole 125 is exposed, (124).

상기 안내공(123)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체(130)의 대응삽입시 그 외부면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탄성걸림편(133)의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접해지거나 상기 탄성걸림편의 외측단이 임시적으로 걸림배치되는 걸림홈(123a)을 함몰형성함으써, 상기 삽입체가 자중에 의해서 상기 결합공까지 하강되어 결합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걸림편(133)의 외측단과 상기 안내공(123)의 내부면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또는 상기 탄성걸림편과 걸림홈간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삽입체의 몸체 하단일부가 상기 안내공(123)에 삽입되어 걸림배치된 상태로 상기 삽입체(130)는 상기 피삽입체(120)와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피삽입체의 관통홀(125)을 통해 봉인용 와이어의 단부를 진입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nner end of the guide hole 123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outer end of the elastic retaining piece 133 that is slantingly extended outward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le 123 when the insertion body 130 is inserted correspondingly or the outer end of the elastic retaining piece is temporarily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prevent the insertion member from being lowered and joined to the coupling hole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elastic retaining member 133 and the gu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3 and engaged and disengaged from the insert 123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123 or the engagement between the elastic engagement piece and the engagement groove, 130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with the to-be-inserted body 120, and in this state, the worker moves the end of the sealing wire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of the to- Which it will be done under it.

이때,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121)에 관통형성된 관통홀(125)은 상기 삽입체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결합공(124)을 통해 노출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봉인용 와이어의 자유단을 상기 삽입체와의 간섭없이 결합공(124)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through hole 125 formed through the first body 121 of the inserted body 120 is expos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24 without being overlapped with the inserted body, The free end of the wire can enter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124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sertion body.

또한,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121)는 상기 관통홀(125)을 통과하여 상기 안내결합부의 결합공 내부로 진입한 봉인용 와이어(110)의 선단인 자유단을 파삽입체의 외부로 인출시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125)과 마주하는 결합공의 내주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용 관통홀(125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body 121 of the to-be-inserted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coupling part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and the free end, which is the tip of the sealing wire 110, And at least one through-hole 125a for passing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facing the through hole 125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eve.

그리고, 상기 안내공(123)은 상기 결합공(124)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홀로 형성되는바, 상기 안내공(123)과 결합공(124)간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삽입체의 하부단이 결합공의 바닥면과 접하기 위한 추가적인 압입 삽입시 상기 안내공이 내주면을 따라 하강되전 탄성걸림편(133)이 압입된 삽입체의 외부이탈을 곤란하도록 2차로 걸리는 걸림단턱(122a)을 형성하게 된다. The guide hole 123 is formed as a through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124.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uide hole 123 and the coupling hole 124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124, When the lowe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le is lower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engaging step 122a, which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133,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삽입체(130)가 안내결합부(122)의 안내공을 통해 1차 안내삽입된 다음, 상기 결합공을 통해 2차 압입되어 봉인용 와이어(110)를 고정하도록 상기 결합공(124)의 바닥면까지 하부단이 접하게 될때, 상기 탄성걸림편(133)과 걸림단턱(122a)간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삽입체를 역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에 의해 피삽입체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봉인용 와이어와 접하여 발생하는 고정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insert 130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of the guide coupling part 122, and then is press-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to fix the sealing wire 110, 124 is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the object to be inserted by the external force pulling the insert in the opposite direction due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resiliently engaging piece 133 and the engagement step 122a when the lowe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 And at the same time, the holding force generated in contact with the sealing wire is maintained.

상기 삽입체(130)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와 하부단이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피삽입체에 형성된 안내결합부(122)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1차 안내삽입된 다음, 2차로 압입되는 삽입구조물이다. The insertion member 130 is firstly inserted through the open mouth of the guide coupling part 122 formed on the to-be-inserted body so that the sealing wire 1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thereof to generate a fixing force, It is an insert structure that is press-fitted into the car.

이러한 삽입체(130)는 상기 안내결합부(122)의 안내공(123) 내주면과 접하여 삽입시 탄력적으로 오므려지고, 상기 결합공에서 외측으로 벌어지져 상기 걸림홈(123a)에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걸림단턱(122a)에 탄력적으로 걸림배치되는 탄성걸림편(133)을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제2몸체(131)를 포함한다. Such an insertion body 130 elastic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3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122 and is elastically released from the insertion hole and flares outward from the coupling hole to be difficult to be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123a And a second body 13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engaging piece 133 to be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engaging step 122a.

여기서, 상기 탄성걸림편(133)은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판으로 구비되고, 이러한 탄성판은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elastic catching piece 133 is formed as an elastic plate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elastic plate is shown to be continuou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ay be provided non-continuously.

또한, 상기 탄성걸림편(133)은 상기 안내공과의 접촉시 내측으로의 오므림과 상기 결합공과의 대응시 외측으로의 벌림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개형성된 절개영역(133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resiliently retaining piece 133 is provided with a cut-out region 133a formed so as to be able to smoothly open outwardly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resiliently retaining piece 133 and the engaging hole is made in contact with the guide hole desirable.

그리고, 상기 탄성걸림편(133)과 대응하는 제2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안내공과의 접촉시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탄성걸림편이 배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전체적인 외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도록 함몰형성되는 체적보상용 요홈(131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n elastic retaining piece, which is held inward when the retaining piece comes in contact with the guide hole,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retaining piece 133 so that the overall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is kept constan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volume compensation groove 131a.

이에 따라, 상기 안내공(123)에 대응삽입된 삽입체(130)의 압입시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탄성걸림편(133)이 상기 체적보상용 요홈(131a)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안내공에 삽입배치된 삽입체의 외경크기를 안내공의 외경크기와 대략적으로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삽입체를 직하부로 가압하여 결합공에 최종적으로 결합하는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elastic catching piece 133, which is held inward when the insertion body 130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3 is press-fitted, is disposed in the volume compensation groove 131a,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ed insert is made approximate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so that the operation of finally pressing the insert to the lower portion and finally coupling the insert to the coupling hole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상기 제2몸체(131)는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안내결합부(122)와 동일한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내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된 제2몸체의 회전이 곤란하도록 삼각, 사각 또는 오각과 같은 다각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though the second body 131 is illustrated as having the same circular cross section as the guide coupling portion 122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difficult to rotate the second body inserted into the guide coupling portion Such as a triangular, square, or pentagonal cross-section.

이에 따라, 상기 삽입체(130)의 제2몸체(131)는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과 결합공사이의 경계영역에 형성된 걸림단턱(122a)에 탄성걸림편이 걸림배치되도록 압입되면, 상기 결합공(124) 바닥면에 놓여지도록 진입된 봉인용 와이어의 자유단이나 길이중간과 상기 제2몸체(131)의 하부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관통홀(125)을 통해 진입된 봉인용 와이어(110)가 역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확고히 밀착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When the second body 131 of the insert 130 is press-fitted so that the resilient hold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step 122a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uide hole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work, The middle portion of the free end or the length of the sealing wire tha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3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aling wire 110 enter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as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firmly tightly fixing it so as not to be drawn out.

여기서, 상기 결합공(124)의 바닥면과 상기 제2몸체(131)의 하부단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대상물인 봉인용 와이어(110)는 상기 관통홀(125)을 통해 상기 안내결합부의 결합공(124)내부로 진입된 자유단이 상기 제2몸체(131)의 하부단과 접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관통홀(125)을 통해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된 다음 마주하는 인출용 관통홀(125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길이중간이 상기 제2몸체(131)의 하부단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wire 110, which is a fixed object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24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3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The free e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24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31 or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The middle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econd body 1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31.

그리고, 상기 삽입체(130)는 상기 안내공의 상단입구에서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상기 삽입체의 제2몸체 외부면사이를 덮어 이들간의 결합부위를 통해 이물이 내부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123)의 상단입구에 형성된 단차홈(123a)에 삽입배치되는 돌출턱(132)을 제2몸체(131)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ert 130 covers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le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A protruding protrusion 132 inserted into a stepped groove 123a formed at an upper end opening of the guide hole 123 may be provided on an upper outer edge of the second body 131. [

한편, 상기 삽입체(130)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외부면과 접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를 고정하는 외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외부면과 접하는 밀착용 고정돌기(135)를 상기 제2몸체(131)의 하부단에 구비한다. The inserting body 130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wire so as to increase an external force for fixing the sealing wire 110 by increasing an area of the inserting wire 130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wire, (135)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31).

이러한 밀착용 고정돌기(135)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와의 접촉시 연신되는 와이어몸체 일부와 접하여 상기 봉인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외력을 가일층 높일 수 있도록 환고리형 산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ight fitting fixing protrusion 135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so that the external force for fixing the sealing wir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wire body that is extended when the sealing fixing protrusion 13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 wire 110 is increased .

이때, 상기 제2몸체(121)의 하부단이나 상기 밀착용 고정돌기(135)의 환고리형 산단면들사이에는 고정대상물이 봉인용 와이어와의 마찰력을 보다 크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금속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추가로 구비하거나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21 and the ring-shaped mountain-shaped end faces of the tight fitting protuberance 135, a rubber or metal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fill or charge a coating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한편,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121)에 형성되는 결합공(124)에는 상기 삽입체(130)의 제2몸체(131) 하단이 삽입배치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외경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내부결합공(126)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결합공(126)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통홀(125)과 연결되어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가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1와이어배치홈(126a)을 구비한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31 of the insert body 130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31 of the insert body 130 in the coupling hole 124 formed in the first body 121 of the inserted body 120, And an inner engaging hole 126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inner engaging hole 126. The inner engaging hole 126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ngaging hole 126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25, 1 wire placement groove 126a.

이에 따라,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121)에 형성되는 결합공(124)을 통해 상기 삽입체(120)의 제2몸체 하단이 내부결합공(126)에 대응삽입되면, 상기 관통홀(125)을 통해 내부결합공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제1와이어배치홈(126a)에 배치되어 노출되는 봉인용 와이어의 일부와 상기 제2몸체 외부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봉인용 와이어의 인출이 곤란하게 하는 외력을 추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1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engaging hole 126 through the engaging hole 124 formed in the first body 121 of the inserted body 120, A part of the sealing wir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and disposed in the first wire arrangement groove 126a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vide an external for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raw.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배치홈(126a)은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의 자유단이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용 관통홀(125a)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결합공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wire arrangement groove 126a may be recess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ngagement hole so that the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110 is connected to the outflow through hole 125a, .

또한,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121)에 형성되는 결합공(124)의 바닥면에는 상기 삽입체의 제2몸체 하단에 함몰형성된 안착부(137)에 대응배치되도록 일정높이 돌출형성된 융기부(127)를 구비하고, 상기 융기부(127)의 상부면에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2와이어배치홈(127a)을 구비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124 formed in the first body 121 of the inserted body 12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height)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portion 13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ed body, And a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 127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7 such that the sealing wire is disposed.

이에 따라,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121)에 형성되는 결합공(124)을 통해 상기 삽입체(120)의 제2몸체(131) 하단이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137)와 융기부(127)간의 대응결합되면, 상기 관통홀(125)을 통해 내부결합공(126)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봉인용 와이어(110) 단부가 올려지거나 상기 인출용 관통홀(125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봉인용 와이어의 길이중간이 상기 융기부(127)의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의 길이중간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위를 다수 위치에 자연스럽게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피삽입체의 제1몸체와 삽입체의 제2몸체사이에 개재되는 봉인용 와이어의 외부인출을 가일층 곤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131 of the insertion body 120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24 formed in the first body 121 of the inserted body 120 so that the seating portion 13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131, The end portion of the sealing wire 110 is lifted u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otruded portion A bent portion bent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to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sealing wire 110 in a state in which the middle of the sealing wire drawn out through the hole 125a is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7 It is possible to make the outward drawing of the sealing wi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ody of the to-be-inserted body and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more difficult.

이와 더불어, 상기 제2와이어배치홈(127a)에 배치되어 노출되는 봉인용 와이어의 일부와 상기 안착부의 내부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봉인용 와이어의 인출이 곤란하게 하는 외력을 상기 안착부와 융기부간의 대응결합에 의한 절곡과 더불어 추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external force, which is difficult to pull out of the sealing wire, is generated between a portion of the sealing wire exposed in the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 127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is additionally provided along with the bending by the corresponding coupling.

또한, 상기 관통홀(125) 또는 인출용 관통홀(125a)을 통과하는 봉인용 와이어의 자유단은 상기 관통홀 또는 인출용 관통홀을 통과한 다음, 역방향으로 인출시 걸림이 발생하도록 화살촉과 같은 날개(115)를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125 or the through-hole for through-drawing 125a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hole or through-hole for withdrawal,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the blade 115.

상기 피삽입체(120)의 성형시 그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봉인용 와이어(110)의 고정단은 상기 제1몸체(121)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돌기를 형성하거나 화살촉과 같은 날개를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ed end of the sealing wire 110 integral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ed body 120 may be formed with protrusion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first body 121, .

상기한 구성을 갖는 계량기용 봉인장치(100)를 이용하여 계량기의 계량본체와 이를 덮도록 조립된 본체덮개사이에 봉인용 와이어를 연결하여 봉인함으로써, 상기 본체덮개를 개방하여 계량본체를 불법적으로 조작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하는 작업은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단계, 와이어 배치단계 및 압입단계를 포함한다. By connecting the sealing wire between the metering main body of the meter and the main body cover assembled to cover the metering main body by using the sealing device 100 for a me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ain body cover is opened to unlawfully operate the main body Sealing so as to be confirmed while avoiding or damaging the sealing member includes an atmospheric step, a wire disposing step and an indenting step, as shown in Figs. 6A to 6C.

상기 대기단계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된 안내결합부(122)를 제1몸체(121)에 함몰형성한 피삽입체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체(130)의 제2몸체(131)를 대응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돌출형성한 탄성걸림편(133)이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123) 내주면에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1차로 걸림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체의 제2몸체 일부는 상기 안내공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제2몸체의 나머지는 상기 피삽입체의 제1몸체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6A,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121 of the insertion body 130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be inserted, When the body 131 is inserted correspondingly, the elastic engaging piece 133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elastically contac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23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with the outer end thereof elastically A part of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while the rest of the second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of the inserted body.

이러한 대기상태에 상기 삽입체(130)의 제2몸체의 하부단은 상기 안내공이나 상기 결합공과 안내공간의 경계영역에 대략 위치됨으로써,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제1몸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관통홀(125)과 인출용 관통홀(125a)은 결합공의 내부에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겹쳐지지 않고 노출되는 것이다. In this standby stat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130 is positioned substantially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uide hole or the coupling hole and the guide spa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130 is insert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The hole 125 and the through hole 125a for withdrawal are exposed without being overlapped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inside the coupling hole.

상기 와이어 배치단계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에 일단인 고정단이 일체로 연결된 봉인용 와이어(110)의 타단인 자유단을 상기 제1몸체에 관통형성된 관통홀(125)을 통해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시킨 다음, 상기 관통홀과 마주하는 인출용 관통홀(125a)을 통해 봉인용 와이어의 자유단을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피삽입체의 결합공내에 봉인용 와이어의 일부를 배치한다.6B, when the worker places the free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110,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the first body of the body 120 to be inserted, And then the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5a facing the through hole so as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formed in the body, A part of the sealing wire is arrang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sealing wire.

여기서,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는 상기 관통홀 및 인출용 관통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결합공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된 제1,2와이어배치홈(126a,127a)과 일대일 대응하게 된다. Here, the sealing wire 110 corresponds one-to-one with the first and second wire disposition grooves 126a and 127a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ngaging ho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hole and the through-hole.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피삽입체(120)의 제1몸체에 제2몸체의 일부가 삽입되어 대기하고 있는 삽입체(130)를 직하부로 가압하여 압입하는 압입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결합공내로 삽입되는 삽입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밀착되면서 이를 외부인출이 곤란하도록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performs an indenting step of press-fitting the inserted body 130, which is waiting for a part of the second body, into the first body of the body-to-be-embodied body 120, The lower end of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sealing wire are closely contacted and can be fixed in position such that it is difficult to pull out the seal.

즉, 상기 압입단계는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외부노출된 삽입체의 제2몸체를 직하부로 가압하여 압입하게 되면, 상기 안내공의 내주면에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걸림배치되어 있던 걸림탄성편이 하강되면서 상기 안내공과 결합공간의 경계영역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삽입체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2차로 걸림배치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C, when the operator presses and pushes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ed body exposed to the outside, the outer end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so as to be elastically contacted The engaging elastic piece is lowered so that the engaging step is formed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guide hole and the engaging space.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체(130)의 하강압입시 하강되는 제2몸체 하부단과 접해지는 봉인용 와이어(110)를 결합공의 바닥면까지 끌어내리게 되고, 상기 삽입체의 제2몸체 하단부가 결합공의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에 형성된 밀착용 고정돌기와 결합공 바닥면사이에 개재되는 봉인용 와이어를 외측에서 당김시에도 외부인출이 곤란하도록 밀착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켜 봉인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wire 110 for sealing,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which is lowered when the insertion body 130 is lowered and press-fitted, is low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sealing wire is tight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in such a manner that it is difficult to pull out the sealing wire interposed between the sealing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

이와 더불어, 상기 삽입체(130)의 제2몸체 하부단과 접하여 고정되는 봉인용 와이어(110)는 상기 관통홀(125)의 출구단, 상기 제2몸체 하부단 양측 및 상기 인출용 관통홀(125a)의 입구단과 더불어 상기 융기부(127)와 안착부(137)간의 결합에 의해서 다수의 절곡부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2와이어배치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에 밀착고정됨으로써, 상기 삽입체와 피삽입체의 결합에 의한 봉인작업이후 상기 봉인용 와이어가 외력에 의해서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ling wire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1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end of the through hole 125,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lower end, And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are form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127 and the seating portion 137, and are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by being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s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wire from being forcibly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after the sealing operation by the engagement of the insert and the body to be inserted.

한편, 상기 안내결합부(122)를 구성하는 각각의 안내공(123)과 결합공(124)은 서로 동일한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내공은 사각단면상 또는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체와 동일한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상기 결합공은 상기 삽입체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내부공간을 갖추어 상기 삽입체의 외부면과 접하지 않는 형태의 자유로운 단면상으로 상기 안내공과 다른 단면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Each of the guide holes 123 and the engaging holes 124 constituting the guide coupling portion 122 are shown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al shape as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uide holes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a circular cross section Wherein the engaging hole has an inner space having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insert, and has a free end surface in a shape free of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 It can be designed in a sectional view.

또한, 상기 봉인용 와이어(110)가 통과하는 관통홀(125)의 출구단과 상기 인출용 관통홀(125a)의 입구단은 상기 피삽입체의 내부로 압입되는 삽입체(130)의 제2몸체 하부단과 접하여 고정되는 봉인용 와이어의 절곡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집중에 기인하는 와이어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나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let end of the through hole 125 through which the sealing wire 110 passes and the inlet end of the outlet through hole 125a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 130,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so as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wir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at the bending portion of the sealing wire fixed to the lower end.

그리고, 상기 삽입체(130)의 제2몸체(131) 하부단 테두리와 상기 결합공의 바닥면 외측테두리에도 상기 피삽입체의 내부로 압입되는 삽입체의 하부단과 접하여 고정되는 봉인용 와이어의 절곡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집중에 기인하는 와이어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나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edge of the second body 131 of the insert 130 and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are also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insert which is press-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so as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wir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in the reg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봉인용 와이어
120 : 피삽입체
121 : 제1몸체
122 : 안내결합부
122a : 걸림단턱
123 : 안내공
124 : 결합공
125 : 관통홀
125a : 인출용 관통홀
126 : 내부결합공
126a : 제1와이어배치홈
127 : 융기부
127a : 제2와이어배치홈
130 : 삽입체
131 : 제2몸체
132 : 돌출턱
133 : 탄성걸림편
135 : 밀착용 고정돌기
137 : 안착부
110: wire for sealing
120: blood insertion body
121: First body
122: guide coupling portion
122a:
123: guide ball
124:
125: Through hole
125a: through hole for drawing
126: Inner coupling ball
126a: first wire arrangement groove
127: ridge
127a: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
130: insert
131: Second body
132: protruding jaw
133: Elastic locking piece
135: Fixing projection for close contact
137:

Claims (16)

수도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계량본체와, 이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계량기를 봉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본체와 본체커버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인용 와이어 ;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제1몸체에 상부로 개방된 일정깊이의 안내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상기 안내결합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몸체에 관통형성한 피삽입체 ; 및
상기 안내결합부에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걸리는 탄성걸림편을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제2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결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사이에 개재된 봉인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안내결합부에 압입 배치되는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결합부는 상기 제2몸체 하단이 삽입배치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외경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내부결합공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내부진입된 봉인용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1와이어배치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An apparatus for sealing a meter including a metering body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 water usage amount and a main cover for covering and covering the metering body,
At least one sealing wire passing through a region where the metering body and the body cover overlap each other;
Wherein the sealing wire is formed with a guide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pened to an upper portion of a first body to which one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tegrally connect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passes, A body to be inserted through the body; And
And a second body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elastically contacts with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difficul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And an insertion body which is press-fitted in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intervening sealing wire,
Wherein the guide coupl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coupling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ner hole of the inner coupling hole, And a first wire arrangement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sealing wire is disposed.
수도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계량본체와, 이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계량기를 봉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본체와 본체커버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인용 와이어 ;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제1몸체에 상부로 개방된 일정깊이의 안내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타단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상기 안내결합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몸체에 관통형성한 피삽입체 ; 및
상기 안내결합부에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걸리는 탄성걸림편을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제2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결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사이에 개재된 봉인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안내결합부에 압입 배치되는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결합부는 바닥면에 상기 제2몸체 하단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안착부에 대응삽입되어 배치되도록 일정높이 돌출형성된 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An apparatus for sealing a meter including a metering body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 water usage amount and a main cover for covering and covering the metering body,
At least one sealing wire passing through a region where the metering body and the body cover overlap each other;
Wherein the sealing wire is formed with a guide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pened to an upper portion of a first body to which one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tegrally connect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passes, A body to be inserted through the body; And
And a second body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elastically contacts with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difficul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And an insertion body which is press-fitted in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intervening sealing wire,
Wherein the guide coupling part has a protrus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dept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결합부는 상기 제2몸체의 탄성걸림편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안내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안내공과, 상기 관통홀이 노출되고 바닥면이 밀폐된 결합공 및 상기 안내공과 결합공사이의 경계영역에 상기 탄성걸림편의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uid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guide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elastic engaging piece of the second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contacted and guided, an engaging hole having a through hole exposed, a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Wherein the outer end is elastically hook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외부면에 상기 안내공과의 접촉시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탄성걸림편이 배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전체적인 외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도록 함몰형성되는 체적보상용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body has a groove for volume compensa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so as to maintain an overall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with an elastic retaining piec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when the second body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hole.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의 상단입구에 형성된 단차홈에 배치되는 돌출턱을 제2몸체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sert has a protruding jaw disposed at the stepped groove formed in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guide hole so as to cove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t the upper outer edge of the second body Features a sealing device for a me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삽입체는 상기 관통홀과 마주하는 결합공의 내주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용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o-be-inserted body has at least one through-hole for through-hole formed throug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engaging hole facing the through-ho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외부면과 접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키도록 제2몸체의 하부단에 밀착용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sert has a fixing protrusion for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wire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용 고정돌기는 상기 봉인용 와이어와의 접촉시 연신되는 와이어몸체와 접하도록 산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tight fitt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an end face in contact with the wire body to be elongated upon contact with the sealing wi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부면에 내부진입된 봉인용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2와이어배치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so as to arrange the sealing wire inside the upper surface thereof.
수도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계량본체와, 이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계량기를 봉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삽입체의 제1몸체에 함몰형성된 안내결합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체의 제2몸체를 대응 삽입하여 상기 제2몸체 일부가 상기 안내결합부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제2몸체의 나머지가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탄성걸림편이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걸림배치되는 대기단계 ;
상기 제1몸체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된 봉인용 와이어를 상기 안내결합부의 결합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몸체에 관통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봉인용 와이어를 결합공내에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단계 및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과 결합공사이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상기 제2몸체의 탄성걸림편이 걸림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결합공의 바닥면에서 밀착되도록 상기 피삽입체에 대하여 삽입체를 직하부로 가압하여 압입하는 압입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단계는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결합공의 바닥면에서 밀착될 때, 상기 제2몸체의 외경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내부결합공에 피삽입체가 삽입되면서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결합공의 내주면에 함몰형성된 제1와이어배치홈에 봉인용 와이어가 삽입배치되어 상기 계량본체와 본체커버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봉인용 와이어를 관통배치하여 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방법.
A method of sealing a meter including a metering main body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 water usage amount and a main cover for covering and covering the metering main body,
The second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coupling portion by inserting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ion body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body of the inserted body and the rest of the second body is inserted A waiting step in which an elastic catch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expos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engaged;
The sealing wire having one end fix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A wire disposing step of disposing
The elastic hooks of the second body are hooked on the hooking step formed between the hooking step and the guide hole of the guide coupling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aling wire are closely conta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And a press-fitting step of press-fitting the insert into the lower portion,
Wherein wh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aling wire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the inserted body is inserted into the inner coupling hol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first wire arrangement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ngagement ho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ole so that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and sealed in a region where the weighing main body and the main cover overlap with each other. A sealing method for a meter.
수도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계량본체와, 이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계량기를 봉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삽입체의 제1몸체에 함몰형성된 안내결합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체의 제2몸체를 대응 삽입하여 상기 제2몸체 일부가 상기 안내결합부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제2몸체의 나머지가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탄성걸림편이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걸림배치되는 대기단계 ;
상기 제1몸체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된 봉인용 와이어를 상기 안내결합부의 결합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몸체에 관통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봉인용 와이어를 결합공내에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단계 및
상기 안내결합부의 안내공과 결합공사이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상기 제2몸체의 탄성걸림편이 걸림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결합공의 바닥면에서 밀착되도록 상기 피삽입체에 대하여 삽입체를 직하부로 가압하여 압입하는 압입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단계는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봉인용 와이어가 결합공의 바닥면에서 밀착될 때, 상기 결합공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된 융기부는 상기 제2몸체 하단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안착부에 대응삽입되고, 상기 봉인용와이어는 상기 융기부와 안착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계량본체와 본체커버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봉인용 와이어를 관통배치하여 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방법.
A method of sealing a meter including a metering main body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 water usage amount and a main cover for covering and covering the metering main body,
The second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coupling portion by inserting the second body of the insertion body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body of the inserted body and the rest of the second body is inserted A waiting step in which an elastic catch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expos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of the guide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engaged;
The sealing wire having one end fix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A wire disposing step of disposing
The elastic hooks of the second body are hooked on the hooking step formed between the hooking step and the guide hole of the guide coupling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aling wire are closely conta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And a press-fitting step of press-fitting the insert into the lower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sealing wire is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sealing wire is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weighing main body and the main cover overlap each other to seal the weighing wire.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배치단계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시킨 봉인용 와이어를 상기 관통홀과 마주하는 인출용 관통홀을 통해 외부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step of arranging the wires includes the step of withdrawing the sealing wire that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for facing the through ho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봉인용 와이어의 자유단 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공의 내부로 진입된 다음 마주하는 인출용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봉인용 와이어의 길이중간은 상기 제2몸체의 하부단과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공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entered in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or a free end of the sealing wire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 facing which enters into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middle of the length is disposed in the engagement hole so as to correspon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와 안착부사이에 개재되는 봉인용 와이어는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함몰형성된 제2와이어배치홈에 삽입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용 봉인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aling wire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inserted and disposed in a second wire arrangement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21710A 2015-02-12 2015-02-12 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KR101537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10A KR101537271B1 (en) 2015-02-12 2015-02-12 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10A KR101537271B1 (en) 2015-02-12 2015-02-12 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271B1 true KR101537271B1 (en) 2015-07-16

Family

ID=5388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710A KR101537271B1 (en) 2015-02-12 2015-02-12 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27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380A1 (en) *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아모센스 Container sealing device
KR20200104058A (en)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KR20210107595A (en) * 2019-02-22 2021-09-01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599A (en) * 1999-10-09 2001-05-07 김암규 Sealing mechanism for meter
KR200428247Y1 (en) * 2006-07-05 2006-10-12 김준호 Sealing apparatus
KR20070000958U (en) * 2007-08-09 2007-08-29 주식회사 델타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machine
KR20130012705A (en) * 2011-07-26 2013-02-05 김진설 Measuring instrument sea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599A (en) * 1999-10-09 2001-05-07 김암규 Sealing mechanism for meter
KR200428247Y1 (en) * 2006-07-05 2006-10-12 김준호 Sealing apparatus
KR20070000958U (en) * 2007-08-09 2007-08-29 주식회사 델타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machine
KR20130012705A (en) * 2011-07-26 2013-02-05 김진설 Measuring instrument seal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380A1 (en) * 2019-02-22 2020-08-27 주식회사 아모센스 Container sealing device
KR20210107595A (en) * 2019-02-22 2021-09-01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KR102350452B1 (en) * 2019-02-22 2022-01-12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KR20200104058A (en)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KR102315814B1 (en) 2019-02-26 2021-10-21 주식회사 아모센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271B1 (en) A Sealing Device for Meter and Sealing Method
JP5930396B2 (en) Pipe fitting
CA2628663C (en) Snap together electrical receptacle
WO2016190265A1 (en) Cover unit with rubber stopper, and connector
EP2816161A1 (en) Popup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sink and installation method
CN107404091B (en) Wire clamp
JP2018128272A (en) Watthour meter attachment structure
US10823761B2 (en)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8010350A1 (en) Meter reading device with camera
CA2647734C (en)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JP5218850B2 (en) connector
CN109900942B (en) Single-phase electric energy meter
US20130149889A1 (en) Wall Receptacle Cord Latch
CN210294354U (en) Three-phase electric energy meter
CN213636424U (en) Plug visor convenient to dismantle
WO2013088839A1 (en) Gasket
KR20020045490A (en) A sealing devices for aggregute batcher
KR20100037852A (en)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11187334A (en) Device for preventing dropout of ac cord
KR101127007B1 (en) Connector having block seal fastening structure
JPH0233792Y2 (en)
CN220439471U (en) Button assembly fixture at bottom of keyboard cap
CN217305102U (en) Multifunctional chemical food detection equipment
CN212278289U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same
CN207459275U (en) A kind of line arranges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