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91B1 -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 Google Patents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91B1
KR101536991B1 KR1020130112616A KR20130112616A KR101536991B1 KR 101536991 B1 KR101536991 B1 KR 101536991B1 KR 1020130112616 A KR1020130112616 A KR 1020130112616A KR 20130112616 A KR20130112616 A KR 20130112616A KR 101536991 B1 KR101536991 B1 KR 10153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projectile
tube
backflow prevention
preven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083A (ko
Inventor
양영록
신재철
김경태
임범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11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2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longitudinally-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rojectile or miss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벽에 발사체에서 분사된 화염이 발사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벽에 화염 역류 방지판이 설치된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은, 내부에 발사체(1)가 장전되도록 상기 발사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사체(1)가 발사되면서 상기 발사체(1)로부터 배출된 화염이 그 후단에 형성된 토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사관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는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발사관(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내측 둘레가 상기 발사체(1)의 둘레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화염 역류 방지판(1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CANISTER HAVING PLATE FOR PREVENTING FLAME FROM FLOWING BACKWARD}
본 발명은 발사체를 발사하는 발사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사체에서 분사된 화염이 발사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벽에 화염 역류 방지판이 설치된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에 관한 것이다.
미사일, 로켓과 같은 중량의 발사체는 발사체의 추진기관에서 연료를 연소하여 발생한 고압가스를 분사하고, 이를 통하여 추진하게 된다.
한편, 발사관은 상기 발사체를 장전하여, 상기 발사체가 발사관의 내부에 발사되도록 한다.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는 순간에는 상기 발사체의 후단으로부 많은 양의 화염이 배출되는데,상기 발사관은 상기 화염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관(100)은 중량의 발사체(1)를 고정하고, 발사체(1)의 비정상 발사시 발사체(1)로부터 배출된 화염(F)이 발사체(1)로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발사관(100)의 토출구(101)의 면적으로 좁게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발사관(100)의 토출구(101)의 단면적이 발사관(100)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사체(1)로부터 배출된 화염이 상기 토출구(10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 같이, 상기 발사체(1)로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상기 발사관(100)의 내부에서 화염이 상기 발사체(1)로 역류하면, 상기 발사체(1)는 열하중을 받기 때문에, 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열보호 설계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상기 발사체(1)의 설계에 제한을 받게 되고, 열보호 설계에 소요되는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배기 가스 연도 덕트를 구비한 미사일 발사대 셀 및 그 미사일 발사대 셀들의 배열체'에 관한 것으로서, 미사일로부터 방출된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덕트를 구비한 미사일 발사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092525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발사관의 내부에서 발사체로부터 화염이 분사되더라도, 분사된 화염이 발사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화염 역류 방지판을 발사관의 내부에 설치한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은, 내부에 발사체가 장전되도록 상기 발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면서 상기 발사체로부터 배출된 화염이 그 후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사관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는 상기 발사관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발사관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내측 둘레가 상기 발사체의 둘레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화염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은 상기 발사관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상기 발사관의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발사관의 토출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에 의하면, 발사체에서 분사된 화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화염으로인한 열하중을 피하기 위해 상기 발사체에 추가적으로 열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열보호 설계가 필요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이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발사체의 발사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발사체가 추진되어 이동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사체로부터 분사된 화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발사관에서 발사체가 발사될 때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발사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에서 발사체가 발사될 때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에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이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에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이 복수로 설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발사체의 발사되는 수단에 역류하는 화염의 양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10)은, 발사체(1)가 장전되는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발사관(1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화염 역류 방지판(12)이 형성된다.
발사관(1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발사체(1)가 장전된다.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 발사체(1)를 장전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은 일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발사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中空)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관(1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사체(1)의 추진기관이 작동하여, 상기 발사체(1)로부터 화염(F)이 분사되면, 상기 발사체(1)가 추진하여 발사되고, 상기 화염이 상기 발사체(1)의 후단에 형성된 토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화염 역류 방지판(12)은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발사관(10)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내측둘레는 상기 발사체(1)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이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벽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후방으로 분사된 화염(F)은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에 차단되어 더 이상 역류하지 못한다.
여기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은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벽에 연결되는 외측단보다 상기 발사체(1)에 인접하게 외치하는 내측단이 상기 발사관(10)의 토출구(11)에 더 가깝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내측단은 외측단보다 상기 발사관(10)의 후단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은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없이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벽과 수직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사관(10)의 내부에 장전된 발사체(1)가 발사를 위해서 추진기관이 작동하면, 상기 발사체(1)의 후단으로부터 화염(F)이 분사된다.
이렇게 분사된 화염(F)은 상기 발사관(10)의 후단으로 분사되어, 일부는 상기 발사관(10)의 토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발사관(10)의 내부로 역류하려 한다. 그러나, 역류하는 화염(F)은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에 의해 차단된다.
즉, 역류하려는 화염은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은 상기 발사관(10)의 토출구(1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화염 역류 방지판(12)에 의해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서 상기 발사체(1)가 발사될 때,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서는 상기 발사체(1)로부터 분사된 화염이 역류하지 않고, 모두 토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서 화염이 상기 발사체(1)로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상기 발사체(1)에 화염의 역류에 의한 열하중을 차단하기 위한 열보호 설계가 불필요해지게 되므로, 상기 발사체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도 감소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은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발사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서 상기 발사체(1)가 추진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발사체(1)로부터 배출되는 화염이 역류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차단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복수의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들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관(10)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각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관(10)의 후단에 가까운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발사관(10)의 후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된 바와 같이, 발사관(10)의 후단에 가장 가까운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길이가 가장 길고, 그 다음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길이가 그 다음으로 길고, 상기 발사관(10)의 후단으로부터 가장 먼 화염 역류 방지판(12")이 가장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도 상관없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관(10)의 후단에 가장 가까운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발사관(10)의 후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역류하는 화염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크다.
또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이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각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들은 하향 경사지게, 즉 발사관(10)의 토출구(11)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들은 모두 동일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들이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되는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의 개수, 각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길이와 설치각도는 상기 발사관(10)의 길이 및 상기 발사체(1)에서 배출되는 화염(F)의 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이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사체(1)가 발사되어,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발사체(1)로부터 배출되는 화염을 순차적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처음에는 상기 토출구(11)와 가장 가까운 화염 역류 방지판(12)에 의해서 화염이 역류하는 것이 차단되지만, 상기 발사체(1)가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발사체(1)의 후단이 순차적으로 다음 화염 역류 방지판(12')(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복수로 설치된 화염 역류 방지판(12)(12')(12")들에 의해서 화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에는 상기 발사관(10)의 내부에 화염 역류 방지판(12)의 유무에 따른 화염의 역류량을 도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보면, 화염 역류 방지판(12)이 없는 경우에는 화염(F)의 역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A)이 있어서, 상기 발사체(1)로 화염(F)이 역류하게 되어 상기 발사체(1)에서 이로 인한 열하중을 저감할 대책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화염 역류 방지판(12)이 설치된 경우에는 일부 화염의 역류가 있을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발사체(1)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화염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화염(F)의 역류에 의한 피해에 대한 대책이 불필요해지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1 : 발사체 10 : 발사관
11 : 토출구 12 : 화염 역류 방지판
100 : 발사관 101 : 토출구
F : 화염

Claims (2)

  1. 내부에 발사체가 장전되도록 상기 발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면서 상기 발사체로부터 배출된 화염이 그 후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발사관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는 상기 발사관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발사관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내측 둘레가 상기 발사체의 둘레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화염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은 상기 발사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발사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발사체의 전단으로 갈수록 상기 발사관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역류 방지판은 상기 발사관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상기 발사관의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발사관의 토출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KR1020130112616A 2013-09-23 2013-09-23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KR10153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616A KR101536991B1 (ko) 2013-09-23 2013-09-23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616A KR101536991B1 (ko) 2013-09-23 2013-09-23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83A KR20150033083A (ko) 2015-04-01
KR101536991B1 true KR101536991B1 (ko) 2015-07-15

Family

ID=5303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616A KR101536991B1 (ko) 2013-09-23 2013-09-23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9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2718A (en) * 1988-10-27 1991-05-07 British Aerospace Public Limited Company Impingement pressure regulator
KR960015752B1 (ko) * 1992-01-16 1996-11-20 휴우즈 에어크라파트 캄파니 자동 작동식 로켓 발사기 셀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2718A (en) * 1988-10-27 1991-05-07 British Aerospace Public Limited Company Impingement pressure regulator
KR960015752B1 (ko) * 1992-01-16 1996-11-20 휴우즈 에어크라파트 캄파니 자동 작동식 로켓 발사기 셀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83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8489B2 (en) Multi-baffled firearm suppressor
US9593900B2 (en) Muzzle brake
US7412917B2 (en) Sound suppressor silencer baffle
US9207033B2 (en) Firearm suppressor baffle
US8522662B2 (en) Controlled-unaided surge and purge suppressors for firearm muzzles
US11326850B2 (en) Suppressor with blowout panel
US90521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age bypass, low operating temperature suppressor for automatic weapons
US8820473B1 (en) Gas dispersion nozzle for a fire arm silencer
US11125523B2 (en) 3-D printable multi-baffled firearm suppressor
US10619963B2 (en) Multi-baffled firearm suppressor
US8166861B2 (en) Shock reduction muzzle brake
US9541345B2 (en) Recoil and muzzle blast controller for firearms
US10520272B1 (en) Cannon recoil inhibitor and impulse noise attenuator
US20140262602A1 (en) Combination flash and acoustic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KR101536991B1 (ko) 화염 역류 방지판을 가진 발사관
KR101405261B1 (ko) 화염 역류 방지 발사관
EP3382318B1 (en) Silencer for a shotgun
RU2675748C1 (ru) Глушитель звука выстрела
US3008378A (en) Powder grain baffle for recoilless rifle
KR101695786B1 (ko) 다연장 발사장치
US20100275763A1 (en) Nozzle
JP4336229B2 (ja) 弾丸の初速を増大させる銃砲身構造
ES2540104T3 (es) Dispositivo propulsor de progresividad regulada
KR20110047317A (ko) 터보차져를 이용한 포의 포미약실부 냉각시스템
BR112019012010B1 (pt) Método e lançador para lançamento de um projé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