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964B1 -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 Google Patents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964B1
KR101535964B1 KR1020140045762A KR20140045762A KR101535964B1 KR 101535964 B1 KR101535964 B1 KR 101535964B1 KR 1020140045762 A KR1020140045762 A KR 1020140045762A KR 20140045762 A KR20140045762 A KR 20140045762A KR 101535964 B1 KR101535964 B1 KR 10153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mobile device
signal
controller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정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4004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체의 상태를 탐지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송이 가능하고 그리고 보청기로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데이터와 제어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진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10)는 모바일 기기(M) 및 보청기(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중계 유닛(11); 중계 유닛(11)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어 유닛(12); 및 인체 상태의 탐지 신호를 제어 유닛(12)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13)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M)에서 재생되는 소리 신호와 제어신호는 중계 유닛(11)을 경유하여 상기 보청기(20)로 전달되고, 상기 중계 유닛(11)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센서(13)의 작동을 개시하고 그리고 상기 탐지 신호는 상기 중계 유닛(11)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다.

Description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Wearable Type Wireless Hearing Aid Gateway Having Function for Detection of Human Body Condition}
본 발명은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체의 상태를 탐지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송이 가능하고 그리고 보청기로 모바일 기기의 오디오 데이터와 제어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진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청력 보조 또는 난청 해소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보청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또는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보청기는 다양한 전자기기와 융합되어 기능적으로 향상되거나 또는 새로운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모바일 기기의 발달과 함께 보청기는 모바일 기기와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기기와 보청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청기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이어폰도 마찬가지로 기능 향상 및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도록 개발되고 있다.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기능 향상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번호 제2005-0000819호 ‘건강 자가진단이 가능한 휴대단말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양쪽 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수음부가 구비된 이어폰을 사용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한쪽 수음부에 내장되어 귓속의 고막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이어폰의 다른 쪽 수음부에 내장되어 귓속으로부터 맥박의 진동을 분 단위로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와;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증폭하고 정류하여 상기 적외선 신호에 가까운 신호로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와; 임의로 설정이 가능한 조작 입력부와; 연령별 및 남녀별 표준 맥박 횟수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측정 결과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하는 표시 부분과; 바이오리듬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그램 및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바이오리듬 데이터베이스와; 그리고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화하여 제어하고, 상기 진동 감시 센서로부터 감지된 맥박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하고, 상기 진동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맥박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표준 맥박 회수와 비교 분석하여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한편, 상기 조작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생년월일 및 측정 날짜를 토대로 상기 바이오리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해당 바이오리듬을 추출하는 신호처리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와 상기 진동 감지 센서는 설정에 따라 각각 구동되거나 동시에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자가 진단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신체 상태의 탐지 가능한 보청기 또는 이어폰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번호 제2008-0088217호 ‘알람 기능을 갖는 맥박 감지 이어폰’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보청기의 기능을 가진 이어폰에 있어서, 보청기의 기능을 가지고 귓속 및 귀 주변부로부터 맥박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한 맥박 수를 휴대 단말기나 무전기에 송신하는 이어 폰; 및 상기 이어폰에서 송신한 맥박 수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표준 맥박 수와 비교한 후 맥박 수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으며 작동하지 않고,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거나 변화 폭이 심하면 미리 저장된 병원과 119에 자동으로 알람을 주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알람 기능을 갖는 맥박 감지 이어폰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어폰의 맥박 측정 기능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공개특허번호 제2010-0062736호 ‘이어폰 기반 무구속 심박수 측정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음으로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혈류량을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가 내방된 이어폰; 상기 측정된 혈류량의 신호에서 상기 동 잡음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부분, 상기 동 잡음이 제거된 혈류량 신호를 기초로 심박 회수를 산출하는 심박 회수 산출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심박 회수 측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의 경우 모바일 기기와 보청기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보청기는 귀에 착용되고 모바일 기기는 주머니 또는 가방에 소지되므로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보청기를 제어하기 어렵다. 또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통화음 또는 음악이 보청기로 전달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통화음 또는 음악을 보청기로 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체온 센서와 같은 것이 보청기에 배치되는 경우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체온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사용자의 체온을 반영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은 이에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문헌1: 공개특허번호 제2005-0000819호(레인보우 스케이프 주식회사, 2005년01월06일) 건강 자가진단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선행문헌2: 공개특허번호 제2008-0088217호(한범욱, 2008년10월02일 공개) 알람기능을 갖는 맥박감지 이어폰 선행문헌3: 공개특허번호 제2010-0062736호(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11년06월10일) 이어폰 기반 무구속 심박수 측정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청기와 모바일 기기를 서로 연결하면서 이와 동시에 생체 센서가 설치되어 인체 상태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는 모바일 기기 및 보청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중계 유닛; 중계 유닛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어 유닛; 및 인체 상태의 탐지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되는 소리 신호와 제어신호는 중계 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보청기로 전달되고, 상기 중계 유닛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센서의 작동을 개시하고 그리고 상기 탐지 신호는 상기 중계 유닛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지 신호는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중계 유닛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탐지 정보는 상기 보청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중계 유닛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된 생체 센서의 탐지 신호에서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된 메시지를 상기 보청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극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자극 유닛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모바일 기기와 보청기를 서로 연결하여 보청기의 작동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생체 센서가 배치되어 인체의 상태가 항상 탐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 사용자와 보청기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원격지에 보청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달하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다양한 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보청기에 설치된 부가 기기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의 기능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작동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제어기(10)는 모바일 기기(M) 및 보청기(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중계 유닛(11); 중계 유닛(11)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어 유닛(12); 및 인체 상태의 탐지 신호를 제어 유닛(12)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13)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M)에서 재생되는 소리 신호는 중계 유닛(11)을 경유하여 상기 보청기(2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20)는 귓속형(in the Canal), RIC(Receiver in Canal) 또는 RIE(Receiver in the ear) 보청기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20)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와 유사한 신호 처리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청기(20)는 이와 같이 청력 보조 또는 청력 보완 기능을 위하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와 유사한 신호 처리 장치를 가진 이어폰 또는 헤드셋과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M)는 셀 폰, 스마트 폰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PDA)와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미디어 재생이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진 임의의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M)는 바람직하게 자체적으로 운영체제를 가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이 가능한 휴대용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전자기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는 보청기 제어기(10)를 통하여 무선으로 보청기(20)와 통신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와 제어기(10) 또는 제어기(10)와 보청기(20)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통신 수단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기기(M)에 보청기(20)의 작동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고 보청기(20)의 작동은 모바일 기기(M)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청기(20)는 자체적으로 작동 스위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원 연결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20)와 모바일 기기(M)는 제어기(10)를 통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하고 제어기(10)는 보청기(20) 또는 모바일 기기(M)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칩(15a, 15b)을 통하여 보청기(20) 및 모바일 기기(M)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칩(15a, 15b)은 하나의 칩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동글(dongle)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기(10)는 모바일 기기(M)와 보청기(20)의 통신을 매개하는 한편 제어 유닛(12)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모바일 기기(M) 또는 보청기(2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어기(10)는 서로 다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구분하여 정해진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기기(M), 제어기(10) 및 보청기(20)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각각 구분되는 신호 구분 비트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전송 대상이 되는 전송 구분 비트를 가질 수 있다. 제어기(10)는 신호 분류 유닛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기기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신호 분류 유닛에서 처리되어 목표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12)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중앙 처리 장치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제어 유닛(12)은 제어기(10)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생체 센서(13)는 예를 들어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체온 센서, 맥박 센서 또는 혈압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13)은 인체의 정해진 두 지점 사이의 전류 흐름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 센서 또는 특정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반응 탐지 센서와 같은 인체 상태의 탐지가 가능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센서가 될 수 있다. 생체 센서(13)는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인체의 서로 다른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체 센서(13)는 인체 상태의 탐지가 가능한 임의의 센서를 의미하고 본 발명은 생체 센서(13)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생체 센서(13)에서 탐지된 신호는 제어 유닛(12)을 경유하여 중계 유닛(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유닛(11)은 전송된 탐지 신호를 분류하여 모바일 기기(M)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가 제어기(10)에 설치되어 생체 센서(13)에서 탐지된 값과 비교될 수 있다. 다만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는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될 수 있다.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소의 체온, 외부 환경에 따른 신체 상태의 변화, 맥박 수 또는 평소의 혈압 수치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는 사용자에게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건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는 사용자와 인체 상태와 관련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는 생체 센서(13)에서 전달되는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위험한 값에 해당되는 위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2)은 생체 센서(13)에서 탐지 신호가 전송되면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비교하고 그리고 정상, 위험 상태 또는 주의 상태에 해당되는 코드를 부여하여 중계 유닛(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분류는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13)에 의하여 탐지된 신호는 제어 유닛(12)을 통하여 중계 유닛(11)으로 전송될 수 있고 그리고 중계 유닛(11)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되어 분석될 수 있다. 자극 유닛(16)은 제어 유닛(12)의 지시에 따라 필요한 자극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저주파 발생 소자, 열 발생 소자 또는 미세 전류 발생 소자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자극 소자가 제어기(10)에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자극 소자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기(10)는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착신 음과 같은 소리 신호를 보청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는 모바일 기기(M)에서 입력되는 보청기 작동 명력을 보청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0)는 자체적으로 생성된 정보를 모바일 기기(M)로 전송하거나, 모바일 기기(M)의 신호를 보청기(20)로 전송하거나 또는 보청기(20)에서 발생된 신호를 제어 유닛(12) 또는 모바일 기기(M)로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어기(10)는 보청기(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모바일 기기(M)로 전송할 수 있다. 보청기(20)에 예를 들어 인체 센서 소자(21) 또는 자극 소자(22)가 설치될 수 있다. 인체 센서 소자(21)는 예를 들어 체온 센서, 맥박 센서, 혈압 센서 또는 생체 전류 측정 센서와 같이 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센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체온 센서는 적외선 온도계와 같은 비접촉식 온도계 또는 IC 온도 센서, CRT 센서(Critical Temperature Resistor), PTC 센서(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열전대 센서 또는 측온 저항체 온도 센서와 같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센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인체 센서 소자(21)는 생체 센서(13)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극 소자(22)는 자극 유닛(16)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가 될 수 있다. 센서 소자(21)로부터 탐지된 값은 중계 유닛(11)을 경유하여 제어 유닛(12)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자극 소자(22)의 작동은 모바일 기기(M) 또는 제어 유닛(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작동 신호는 중계 유닛(11)을 통하여 보청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기기(M) 또는 제어 유닛(12)에 의하여 센서 소자(21) 또는 자극 소자(22)의 작동 여부가 탐지될 수 있고 그리고 탐지 신호가 보청기(20)로부터 모바일 기기(M) 또는 제어 유닛(12)으로 중계 유닛(11)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유닛(11)은 모바일 기기(M), 제어기(10) 및 보청기(20) 사이의 데이터, 탐지 신호, 소리 신호 또는 명령을 통신을 매개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기(10)에 작동 표시 등(17)이 설치될 수 있다. 작동 표시 등(17)은 제어기(10) 자체의 작동 여부, 생체 센서(13)의 작동 여부, 모바일 기기(M)의 작동 상태 또는 보청기(2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표시 등(17)은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기(10)에 스위치(18)가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18)는 제어기(10)의 동작 또는 보청기(20)의 동작을 모바일기기(M)와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제어기(10)와 보청기(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부가적으로 다양한 기능 소자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어기(10)은 손목 착용 밴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체에 착용 가능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어기(1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즉시 살펴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제어기(10)는 목걸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필기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어기(10)는 모바일 기기(M)와 통신 가능하고(TR1) 이와 동시에 보청기(20)와 통신 가능하다(TR2). 제어기(10)에 작동 표시 등(17)이 설치될 수 있고 또한 표시 창(W)이 설치될 수 있다. 표시 창(W)은 모바일 기기(M), 제어기(10) 또는 보청기(20)의 현재 작동 상태 또는 작동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로부터 멀티미디어가 재생되고 그리고 멀티미디어의 소리 신호가 보청기(20)로 전달되는 상태라면 표시 창(W)에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센서가 작동 중이라면 탐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기(10)의 작동을 위한 입력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수단은 터치 방식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시 창(W)을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는 자체 전원을 가질 수 있다.
제어기(1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제어기(10)의 작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센서(13A, 13A)는 적어도 2개의 센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생체 센서(13A, 13A)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동일 센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센서는 맥박 센서가 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센서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체온 센서가 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센서는 제2 위치에 배치된 다른 체온 센서가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에 작동 조건 어플리케이션(AP1), 전송 조건 어플리케이션(AP2), 비교 어플리케이션(AP3) 및 메시지 발송 어플리케이션(AP4)이 설치될 수 있다. 작동 조건 어플리케이션(AP1)은 예를 들어 제1 생체 센서(13A) 및 제2 생체 센서(13A)의 작동 개시 및 중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송 조건 어플리케이션(AP2)은 탐지된 생체 신호의 분석 결과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전송 대상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비교 어플리케이션(AP3)은 탐지된 생체 신호와 미리 저장된 생체 신호를 비교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에 대한 생체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발송 어플리케이션(AP4)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이를 보청기(2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24)로 전송하여 리시버(2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동 조건 어플리케이션(AP1)에 의하여 센서 작동 개시 신호가 무선을 통하여 중계 유닛(11)으로 전송되면 중계 유닛(11)은 제1 생체 센서(13A)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생체 센서(13A)는 탐지된 신호를 중계 유닛(11)으로 전송하고 다시 중계 유닛(11)에 의하여 탐지된 생체 신호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의 비교 어플리케이션(AP2)에 의하여 탐지된 생체 신호가 미리 저장된 생체 상태 데이터와 비교되고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전송 여부, 전송 대상 또는 메시지 발생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생체 센서(13B)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자극 유닛(16, 22)이 보청기(20) 또는 제어기(10)에 부착되어 있다면 자극 유닛(16, 22)의 작동 여부가 마찬가지로 결정될 수 있다. 자극 유닛(16, 22)은 예를 들어 초음파 발생 장치. 미세전류 발생 장치 또는 적외선 발생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인체 치료를 위하여 사용자에 신체에 부착된 장치를 의미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에 이와 같은 자극 유닛(22)의 작동을 개시시킬 수 있는 센서 연결 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기기(M)의 지시에 따라 자극 유닛(22)의 작동 또는 작동 중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메시지 발생 어플리케이션(AP4)은 비교 어플리케이션(AP3)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필요한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신체 상태를 알려주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해당 지역과 관련된 기상 정보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가 중계 유닛(11)을 통하여 전송되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4)는 다른 멀티미디어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제거하고 우선적으로 메시지를 리시버(2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생체 센서(13A)는 모바일 기기(M)의 작동 지시에 따라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제2 생체 센서(13B)는 제1 생체 센서(13A)로부터 탐지된 값에 기초하여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생체 센서(13A) 또는 제2 생체 센서(13B)의 작동 여부가 모바일 기기(M)의 작동 지시에 따라 작동이 되도록 하는 것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한편 생체 센서(13A, 13B) 작동 자체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보청기 작동의 오류 또는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작동 개시 신호는 제어기(10)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생체 센서(13A, 13B)에서 탐지된 생체 신호에 따라 보청기(20)의 작동 조건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된 신체의 작동 상태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의 유입 또는 외부 잡음의 유입이 나쁜 영향을 미친다면 보청기(20)의 볼륨 또는 다른 기능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청기(20)의 작동이 생체 신호의 탐지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필요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그리고 전송 조건 어플리케이션(AP2)을 통하여 관련자에게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는 비교 어플리케이션(AP3)과 유사한 기능을 하거나 또는 비교 어플리케이션(AP3)에서 필요한 사용자의 인체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13A, 13B)에서 탐지된 생체 신호에 따라 위험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 유닛(12)은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에서 필요한 정보를 모바일 기기(M)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센서(13A, 13B)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기기(M)와 보청기(20)의 작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작동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 유닛의 작동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P31) 그리고 제어기에 설치된 생체 센서의 작동을 위하여 생체 센서의 작동 신호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생체 센서의 작동 조건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 주기, 외부 온도 변화 또는 장소 이동에 따른 환경 변화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조건은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저장이 될 수 있다.
작동 개시 신호가 전송되면 제1 생체 신호의 작동 개시를 위한 신호가 중계 유닛으로부터 제어기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탐지된 신호가 모바일 기기로 전송이 되어 위에서 설명이 된 비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P33) 그리고 전송 조건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상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331). 만약 이상이 없다면(NO) 제1 생체 유닛의 작동이 중지되고 그리고 다시 작동 개시 신호가 수신이 될 때까지 제1 생체 유닛은 작동 중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YES) 중계 유닛은 제2 생체 센서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P34). 그리고 제2 생체 센서의 비교 신호가 중계 유닛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P35). 그리고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비교 신호에 따라 자극 유닛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P351). 만약 자극 유닛의 작동이 요구되지 않는다면(NO) 모바일 기기에서 제1 생체 센서 및 제2 생체 센서로부터 탐지된 신호의 분석 결과를 관련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P37). 이와 달리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고 그리고 자극 유닛이 작동될 필요가 있다면(YES) 자극 유닛이 작동되는 한편 사용자에게 관련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P36).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진단 신호가 관련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P37). 이와 같은 과정에서 중계 유닛은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모바일 기기로부터 보청기로 전송되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소리 신호와 같은 것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보청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멀티미디어의 재생 과정에서 통신 착신 음이 수신되면 제어기를 이를 표시 창 또는 작동 표시 등으로 표시하는 한편 보청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신호를 적절히 제어하여 보청기로 전송하는 한편 생체 센서를 통하여 인체 상태를 탐지하여 사용자 또는 관련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제어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생체 센서에 의하여 인체의 상태를 탐지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의 활용성을 넓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와 동시에 생체 센서가 모바일 기기와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이와 동시에 보청기에 설치된 제어 유닛의 적용으로 인하여 생체 센서의 작동의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보청기 제어기 11: 중계 유닛
12: 제어 유닛 13, 13A, 13B: 생체 센서
14: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 15a, 15bb: 통신 칩
16: 자극 유닛 17: 작동 표시 등
18: 스위치 20: 보청기
21: 인체 센서 소자 22: 자극 소자
24: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25: 리시버

Claims (5)

  1. 모바일 기기(M) 및 보청기(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중계 유닛(11);
    중계 유닛(11)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어 유닛(12); 및
    인체 상태의 탐지 신호를 제어 유닛(12)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13)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M)에서 재생되는 소리 신호와 제어신호는 중계 유닛(11)을 경유하여 상기 보청기(20)로 전달되고; 상기 중계 유닛(11)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 센서(13)의 작동을 개시하고; 그리고 상기 탐지 신호는 상기 보청기(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탐지 신호는 상기 중계 유닛(11)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2. 청구항 1에서 있어서,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지 신호는 인체 상태 데이터베이스(14)의 데이터는 중계 유닛(11)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 유닛(11)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된 생체 센서(13)의 탐지 신호에서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M)에서 발생된 메시지를 상기 보청기(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자극 유닛(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자극 유닛(16)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KR1020140045762A 2014-04-17 2014-04-17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KR10153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762A KR101535964B1 (ko) 2014-04-17 2014-04-17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762A KR101535964B1 (ko) 2014-04-17 2014-04-17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964B1 true KR101535964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762A KR101535964B1 (ko) 2014-04-17 2014-04-17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9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660A (ko) * 2005-01-13 2006-07-19 주식회사 락테크놀로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1122767B1 (ko) * 2010-02-25 2012-03-27 박의봉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660A (ko) * 2005-01-13 2006-07-19 주식회사 락테크놀로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1122767B1 (ko) * 2010-02-25 2012-03-27 박의봉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92094B (zh) 包括位置识别单元的助听装置
CN104378707B (zh) 一种耳机及具有体温监控功能的穿戴类电子产品
KR102343269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20230297169A1 (en) Measurement of Facial Muscle EMG Potentials for Predictive Analysis Using a Smart Wearable System and Method
US201603313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nore detection and correction
DE602004018911D1 (de) Akustische fernmessvorrichtung für intrakorporelle kommunikation
KR102314644B1 (ko)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302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54845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127055A1 (en) Associating broadcasting device data with user account
KR101764816B1 (ko)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KR20130126760A (ko) 인체 착용밴드에서의 직물형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159389A1 (en) Binaural Hearing System for Identifying a Manual Gestur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CN204131693U (zh) 一种耳机及具有体温监控功能的穿戴类电子产品
CN108781320A (zh) 具有丢失检测功能的无线身体佩戴式个人设备
US20090157325A1 (en)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KR101790944B1 (ko) 원격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US202300516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ear-worn devices
CN106236019A (zh) 一种基于多智能传感器的女性保健测试内衣
KR101535964B1 (ko)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KR101906550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US11812213B2 (en) Ear-wearable devices for control of other devices and related methods
WO2018218967A1 (zh) 一种假牙装置及其工作方法、终端、信号交互系统
KR102044401B1 (ko)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US202200202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