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950B1 -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950B1
KR101535950B1 KR1020140040947A KR20140040947A KR101535950B1 KR 101535950 B1 KR101535950 B1 KR 101535950B1 KR 1020140040947 A KR1020140040947 A KR 1020140040947A KR 20140040947 A KR20140040947 A KR 20140040947A KR 101535950 B1 KR101535950 B1 KR 10153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ailure
pulse
counter
unit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102014004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불량으로 인한 아크 발생시 아크 전압을 검출할 수 있고, 부하 특성에 따른 노이즈가 미약한 소정 위상 범위에서의 펄스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접촉 불량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접촉 불량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촉 불량 검출 장치는, 옥내 배선의 누전차단기 후단부에 배치되어 선간에 발생하는 접촉 불량에 의한 아크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옥내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전압에 포함된 소정 전압 레벨 이하의 노이즈 펄스를 통과시키는 고역 통과 필터부;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노이즈 펄스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전원전압의 위상 중 제로 크로스 점으로부터 소정 위상까지 포함된 펄스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펄스통과부; 상기 펄스통과부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전압의 기본파가 제1 개수에 도달하기까지 상기 전원전압에 포함된 펄스를 제2 개수 이상 카운트하면 접촉 불량 검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접촉 불량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하거나 누설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경보동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CONTACT FAILURE DETECTION DEVICE BY COUNTING PULSES}
본 발명은 접촉 불량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회로에서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아크 또는 스파크 발생을 검출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키도록 누설전류 경로를 생성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체 화재발생의 약 30%가 전기화재이며, 그 중 60% 이상이 배선계통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배선계통의 이상으로 인한 화재 중 대다수가 접촉불량으로 인한 과열, 아크 또는 선간 절연불량으로 인한 트래킹/아크 사고이다.
이와 같은 배선계통의 사고는 일반적으로 예방점검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선간 절연물이 오염되거나 탄화되어 발생하는 절연불량은 일종의 부하전류이므로 기존의 접지 간 절연측정기 또는 누전차단기로는 측정할 수 없다.
이러한 선간 절연불량, 즉, 선간 누전의 경우, 미세한 전류의 아크방전이기 때문에 밝은 곳에서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고, 어두운 경우에만 미세한 실과 같은 아크방전이 지속되며, 아크열에 의하여 절연물이 탄화되면 부도체가 도체로 변한다.
또한 아크방전의 특성상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는 궤도를 따라 방전이 이루어지는 때문에 트래킹 아크라고도 한다. 즉, 낙뢰시 낙뢰아크의 모양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구불구불한 형상과 유사하다. 이러한 트래킹 아크의 경우 아크전류가 너무 작아 일반적인 아크검출 기술로는 감지할 수 없는데, 일반적인 아크차단기는 부하측으로 흐르는 전류파형의 형상 및 방전 시 발생하는 왜파(歪波)전류의 크기 및 전압 각도에 기준하여 아크전류인지 정상적인 부하전류인지 구분하는데, 아크전류가 작은 경우 전력에 포함된 노이즈와 구분할 수 없어서 미세한 전류인 트래킹 아크를 탐지하기는 불가능하다.
현행 아크차단기 또는 아크경보기의 인증규정에도 부하전류 5암페어[A]를 기준으로 인증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5암페어[A]는 매우 큰 전류값이어서 접촉 불량으로 인해 절연물의 탄화가 상당 수준으로 진행된 상태로 전기화재를 예방하는 차원의 전류값 수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914999호의 저압 옥내전로의 아크검출형 차단기는 저주파 및 고주파 영역에서 선형적 특성을 유지하며, 병렬 아크 전류에 의한 화재를 포함한 손상을 방지하고 병렬 아크에 의한 순시적 대전류를 검출하며, 전류를 검출 파라미터로 사용해서 병렬 아크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CT); 위 전류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부; 위 적분부에 의해 적분된 신호에서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류를 제한하는 필터부; 위 필터부를 통과한 신호를 전파정류하는 정류부; 위 정류부에서 정류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위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위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압을 인가받아 도통하며 게이트에 전류신호가 직접 인가되는 SCR; 및 위 SCR의 애노드측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차단기를 동작시켜 회로를 차단시키는 트립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13-0095947호에 개시된 저압 옥내 전로의 아크 검출장치는, 외부전압 입력라인과 부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CT; 상기 CT로부터 아크 결함에 의한 전류를 검출하는 아크검출부; 상기 전원 라인에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의 위상을 검출하는 전압위상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전압위상과 전류를 비교하여 아크인식구간의 전압위상에서 전류에 아크가 발생되면 아크특성으로 판단하고, 그외 구간의 전압위상에서 전류에 아크가 발생되면 부하특성으로 판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전류를 검출하여 아크를 검출하는 장치는, 변류기(CT)를 사용하기 때문에 변류기 내 코어에 자기포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부하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값이 달라져 검출감도가 변할 수밖에 없다. 또한, 부하측에 설치된 캐패시터(예컨대, 전원장치에 결합되는 캐패시터, EMI 필터에 필요로 하는 캐패시터, 정온열선과 결합되는 캐패시터, 또는 역률개선 및 노이즈 제거용으로 사용되는 캐패시터)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에 포함된 전체 고조파분이 흐르게 되어 고감도로 검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수 암페어 이상의 경우에만 적용된다. 또한, 변류기를 사용하면 전원을 통과시키므로 설치하거나 이동 등에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14999호 저압 옥내전로의 아크검출형 차단기 한국공개특허 10-2013-0095947호 아크 검출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불량으로 인한 아크 발생시 아크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접촉 불량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하특성에 따른 노이즈가 미약한 소정 위상 범위에서의 펄스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접촉 불량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는, 옥내 배선의 누전차단기 후단부에 배치되어 선간에 발생하는 접촉 불량에 의한 아크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옥내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포함된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의 노이즈 펄스를 통과시키는 고역 통과 필터부;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노이즈 펄스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교류전원의 위상 중 제로 크로스 점으로부터 소정 위상까지 포함된 펄스에 한하여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펄스통과부; 상기 펄스통과부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교류전원에 포함된 펄스를 카운트하여 접촉 불량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접촉 불량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누설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경보동작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 위상이라 함은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크로스 점을 기준하여 20 내지 30도이거나, 200 내지 210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가 제2 개수에 도달하면 제1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카운터; 및 상기 제2 카운터의 출력에 리셋되고,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가 상기 제2 개수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교류전원에 포함된 펄스가 제1 개수 이상 카운트되면 접촉 불량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카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는 상기 제2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상태 신호에 응답하여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옥내 배선은 접지(G)측과 두 가닥의 전원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측과 상기 두 가닥의 전원라인 사이에 각각 동일 방향으로 접속된 일방향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누설전류 경로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설전류 경로생성부와 상기 접지(G)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설전류를 제한하는 누설전류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폭부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카운터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소정의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발진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카운터의 리셋 터미널에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에 대하여 영전위로부터 시작하는 첫번째 주기에 포함된 스파크 또는 아크를 카운트하지 않도록 구성된 지연 회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류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하전류와 무관하기 때문에 해당 배선회로의 중간이나 종단, 또는 멀티콘센트 등 그 설치 위치에 제약받지 않으며, 정상적인 스위치의 접촉 상태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스파크/아크에 대해서는 감지하지 않고, 연속적이거나 반복적인 경우에 작동한다.
특히, 용량성 부하 또는 유도성 부하의 접촉 불량 검출에 더욱 효과적으로, 예컨대, 0.1 마이크로 패럿 정도의 캐패시터가 내장된 EMI 필터, 수 와트 이내의 전원용 변압기, 모터 등에서 양호한 특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 검출용 전체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아크 시험 장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이 있는 경우 고조파 측정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 검출 장치도,
도 5는 접촉 불량 검출 장치의 주요부 타이밍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 검출 장치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무부하 및 부하시 접촉 불량이 없는 경우 고조파 측정 파형도이다.
도 1A는 무부하시 고조파 측정 파형도로서, 220볼트의 교류 사인파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하이 패스 필터를 통과하면 교류 전압에 0.5 볼트 이하의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에 12볼트 50와트의 백열전구를 배치시켜 점등시 고조파 측정 파형도로서, 위상 30도 이후에서 1 볼트 이내의 고조파 성분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1C는 핸드 드릴을 부하로 사용하는 경우 고조파 측정 파형도로서, 위상 26도 이후에서 5볼트 이하의 고조파 성분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1D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에 36W*2개의 형광등을 배치시켜 점등시 고조파 측정 파형도로서, 위상 26도 이후에서 5볼트 이하의 고조파 성분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는 측정 가능한 모든 전기 부하는 위상 25도를 넘어선 지점에서 고조파 성분의 노이즈가 발생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순시 전압이 0볼트 근처인 경우에는 노이즈 발생의 소스가 미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접촉 불량이 존재하는 경우, 위상 0도 내지 25 사이에서도 순시 전압의 크기에 무관하게 고조파 성분의 노이즈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아크 시험 장치 블럭도이다.
직렬연결된 시험부하와 아크 발생기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고, 아크 발생기는 UL-1699 아크 발생 기준을 적용하여 시험한다. 여기서, UL-1699 아크 발생 기준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고, 본 발명의 본질을 흐릴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이 있는 경우 고조파 측정 파형도이다.
도 3A는 0.1마이크로패럿의 캐패시터를 선간으로 내장한 EMI 필터의 전원측 고조파 측정 파형도로서, 용량성 부하인 EMI 필터에서는 접촉 불량시 전원 전압의 위상각과 무관하게 고조파 성분의 노이즈가 심하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3B는 15W/m 에너지를 발생하는 정온열선의 고조파 측정 파형도로서, 정온열선은 수도배관의 동파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폴리머 소재이다. 정온열선의 선간 정전용량은 1미터 당 0.1마이크로 패럿일 정도로 큰데, 용량성 부하인 정온열선에서는 접촉 불량시 15볼트 이상의 매우 큰 고조파 성분의 노이즈가 전원 전압의 위상각과 무관하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온열선은 대체적으로 최소 10미터이상을 사용하므로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도 3C는 10와트(W)급 소형 팬 모터의 고조파 측정 파형도로서, 유도성 부하인 팬 모터에서는 접촉 불량시 역기전력에 의해 15볼트 이상의 매우 큰 고조파 성분의 노이즈가 전원 전압의 위상각과 무관하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결국, EMI 필터나 정온열선과 같이 부하 종단에 병렬로 캐패시터를 접속하고, 위상각 0도 부근의 아크 펄스 수를 측정하면 부하 종별에 무관하게 접촉 불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 종단에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하는 규정을 전기안전 관련 규정에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 검출 장치도이고, 도 5는 접촉 불량 검출 장치의 주요부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 검출 장치는, 서지보호부(405), 고역 통과 필터부(410), 증폭보호부(413), 증폭부(415), 동작전원발생부(420), 펄스통과부(425), 카운터부(430), 리셋부(435), 경보동작부(440), 누설전류 경로생성부(445), 누설전류제한부(450), 누설전류단속부(455), 및 기능테스트스위치(460)를 포함한다.
서지보호부(405)는 입력 전원라인(L, N) 및 접지라인(G)과 병렬연결되고, MOV(금속 산화물 바리스터)일 수 있다.
고역 통과 필터부(410)는 전원에 포함된 소정 전압 레벨 이하의 노이즈 펄스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증폭보호부(413)는 고역 통과 필터부(410)의 출력측과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고역 통과 필터부(410)를 통과하는 소정 전압 레벨(예컨대, 12V) 이상의 노이즈 펄스를 전원측의 서지보호부(405)로 보냄으로써 증폭용 인버터(U1)를 보호한다.
증폭부(415)는 고역 통과 필터부(410)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고역 통과 필터부(410)를 통과하는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의 노이즈 펄스에 대하여 증폭하고, 기능테스트스위치(460)가 턴온되는 경우, 기능 테스트를 위하여 발진 기능을 수행한다.
동작전원발생부(420)는 전원라인(L, N)과 병렬로 연결되어 동작 전원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도면 부호 P2는 PTC 소자이다.
펄스통과부(425)는 0 내지 25도의 위상 범위에 포함된 펄스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5의 타이밍도를 참조하면, 인버터(U3)는 전원전압의 상반주기(위상 0~180도)에서는 "Low(0)"을, 또는 전원전압의 하반주기(위상 180~360도)에서는 "High(1)"을 출력한다(N2).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가 위상에 무관하게 고르게 분포되었다고 가상하면(N3), 노아게이트(U4)는 입력이 "Low(0)", "Low(0)"일 때, "High(1)"을 출력한다(N4). 저항 R10과 캐패시터 C8의 시정수를 이용하여 인버터(U5)는 인버터(U3)의 출력보다 소정 시간 지연된 구형파를 출력한다(N5). 이때, 저항 R10과 캐패시터 C8의 시정수가 약 위상각 25도에 해당될 수 있다. 인버터(U5)와 노아게이트(U4)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낸드게이트(U6)는 위상각 0도 내지 25도 이내에서 발생한 고조파 성분의 노이즈가 있을 때 "Low(0)"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각 180도 내지 205도 이내에서 발생한 고조파 성분의 노이즈를 검출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카운터부(430)는 펄스통과부(425)의 후단에 제1 및 제2 리플 카운터를 구비하고, 제1 리플 카운터(IC1)는 노이즈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소정 개수 이상이면 "H"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리플 카운터(IC2)는 전원전압의 주파수를 카운트하여 제1 리플 카운터(IC1)의 계수 시간을 결정한다. 즉, 전원전압의 주파수가 60Hz 이므로 제2 리플 카운터(IC2)는 0.53초가 경과되는 32번째 주기에 이르면 "H"상태 신호를 출력하여 자기 자신 및 제1 리플 카운터(IC1)를 리셋시키고, 제1 리플 카운터(IC1)는 0.53초 이내에 64개 이상의 노이즈 펄스가 카운트 되면 "H"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리셋부(435)는 제2 리플 카운터(IC2)의 출력과 리셋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는 프로그램 가능 단접합 트랜지스터(PUT)를 포함한다.
즉, 펄스통과부(425) 내 낸드게이트(U6)의 펄스 출력이 "L" 상태 신호로 천이하는 순간, PUT가 턴온되어 제1 및 제2 리플 카운터는 reset 상태에서 set 상태로 전환되고, 제2 리플 카운터(IC2)가 "H"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PUT는 역전압에 의해 턴오프되어 리셋 상태로 전환된다.
경보동작부(440)는 제1 리플 카운터(IC1)의 출력에 연결되는 부저 및 릴레이 코일을 포함한다. 부저와 병렬연결된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부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릴레이코일(RL1)이 동작하여 전원라인(L 또는 N)과 접지라인(G)을 단락시킴으로써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
누설전류 경로생성부(445)는 접지라인(G)과 두 가닥의 전원라인(L, N) 사이에 각각 동일 방향으로 접속된 일방향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접지라인(G) 측에서 두 가닥의 전원라인(L, N) 측으로 각각 순방향을 갖는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두 가닥의 전원라인(L, N) 측에서 접지라인(G) 측으로 각각 순방향을 갖는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가닥의 전원라인(L, N) 중 어느 것이 핫 라인(H)인지를 아는 조건하에서, 핫 라인(H)과 접지라인(G) 사이를 단락시켜 놓음으로써, 릴레이코일이 동작하면 누설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누설전류제한부(450)는 릴레이접점과 직렬 연결된 PTC소자를 포함하며,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 발생 시에 릴레이가 동작하는 경우, 접지로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누전차단기의 고장 또는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막대한 누설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면 과열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PTC소자는 누설전류가 흘러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이 급속히 커져 누설전류를 신속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TC소자 하나만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PTC소자를 복수로 이용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PTC소자와 NTC소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NTC소자를 단수 또는 복수로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누설전류단속부(455)는 접지라인(G)과 릴레이접점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S1)로서, 스위치(S1)를 온시키면 접점 불량으로 인한 아크 발생시 누설전류가 흐르고, 스위치(S1)를 오프시키면 경보음만 발생하고, 누설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기능테스트스위치(460)는 캐패시터(C3)와 코일(L1) 간에 전류 경로를 단속하고, 캐패시터(C3)와 코일(L1)의 주파수에 따라 발진시켜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용 누름 스위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불량 검출 장치도로서, 도 4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카운터부(630)를 리셋시키는 부분이 상이하다.
즉, 도 6에서는 제1 리플 카운터(IC1)의 리셋 터미널에 저항(R12)과 캐패시터(C9)를 연결함으로써 제1 리플 카운터(IC1)의 동작 개시가 지연된다.
부연 설명하면, 펄스통과부(625) 내 낸드게이트(U6)의 펄스 출력이 "L" 상태 신호로 천이하는 순간, PUT가 턴온되어 제2 리플 카운터가 reset 상태에서 set 상태로 전환되고, 소정 시간(저항(R12)과 캐패시터(C9)에 의한 시정수)이 경과한 후 제1 리플 카운터는 reset 상태에서 set 상태로 전환되며, 제2 리플 카운터(IC2)가 "H"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PUT는 역전압에 의해 턴오프되어 reset 상태로 대기한다.
이에 따라, 저항(R12)과 캐패시터(C9)의 시정수 만큼 제1 리플 카운터(IC1)의 reset 지연으로 온오프시 발생하는 스파크 또는 아크에 대해서는 카운트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1Hz(16ms) 동안의 펄스를 카운트하지 않음으로써 온오프 스위칭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호한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은 1ms 이내에서 이루어지지만, 노후된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은 2ms 이상인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405: 서지보호부 410: 고역 통과 필터부
413: 증폭보호부 415: 증폭부
420: 동작전원발생부 425: 펄스통과부
430: 카운터부 435: 리셋부
440: 경보동작부 445: 누설전류 경로생성부
450: 누설전류제한부 455: 누설전류단속부
460: 기능테스트스위치

Claims (8)

  1. 옥내 배선의 누전차단기 후단부에 배치되어 선간에 발생하는 접촉 불량에 의한 아크를 검출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옥내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포함된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의 노이즈 펄스를 통과시키는 고역 통과 필터부;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역 통과 필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노이즈 펄스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교류전원의 위상 중 제로 크로스 점으로부터 소정 위상까지 포함된 펄스에 한하여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펄스통과부;
    상기 펄스통과부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교류전원에 포함된 펄스를 카운트하여 접촉 불량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접촉 불량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누설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경보동작부
    를 포함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상이라 함은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크로스 점을 기준하여 20 내지 30도이거나, 200 내지 2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 개수가 제2 개수에 도달하면 제1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카운터; 및
    상기 제2 카운터의 출력에 리셋되고,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가 상기 제2 개수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교류전원에 포함된 펄스가 제1 개수 이상 카운트되면 접촉 불량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카운터
    를 포함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는 상기 제2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상태 신호에 응답하여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 배선은 접지(G)측과 두 가닥의 전원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측과 상기 두 가닥의 전원라인 사이에 각각 동일 방향으로 접속된 일방향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누설전류 경로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경로생성부와 상기 접지(G)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설전류를 제한하는 누설전류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카운터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소정의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발진부를 더 포함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터의 리셋 터미널에 상기 교류전원의 기본파에 대하여 영전위로부터 시작하는 첫번째 주기에 포함된 스파크 또는 아크를 카운트하지 않도록 구성된 지연 회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KR1020140040947A 2014-04-07 2014-04-07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KR10153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947A KR101535950B1 (ko) 2014-04-07 2014-04-07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947A KR101535950B1 (ko) 2014-04-07 2014-04-07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950B1 true KR101535950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947A KR101535950B1 (ko) 2014-04-07 2014-04-07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95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565A (ko) * 2014-11-21 2016-06-0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회로를 가진 접촉 불량 검출이 가능한 한류 장치
KR102066713B1 (ko) 2019-09-03 2020-01-15 김성웅 선로별 아크 감지 장치
KR102164483B1 (ko) 2019-09-03 2020-10-12 김동균 감쇠 진동을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KR102263448B1 (ko) 2020-01-16 2021-06-09 김동균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장치
KR102284521B1 (ko) 2021-06-30 2021-08-02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휴대형 아크 펄스 탐지 장치 및 그에 고주파 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펄스 발신기
KR102299444B1 (ko) 2020-03-18 2021-09-07 김동균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KR102324980B1 (ko) 2021-08-26 2021-11-11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이상 전류 검출 장치
KR20220163043A (ko) 2021-06-02 2022-12-09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KR20230114589A (ko) 2022-01-25 2023-08-01 김동균 감도 조정이 가능한 아크 펄스 감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한 누전 차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611A (ko) * 2011-08-11 2013-02-20 (주) 예스텔레콤 아크 펄스 타이밍을 이용한 아크 결함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611A (ko) * 2011-08-11 2013-02-20 (주) 예스텔레콤 아크 펄스 타이밍을 이용한 아크 결함 검출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565A (ko) * 2014-11-21 2016-06-0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회로를 가진 접촉 불량 검출이 가능한 한류 장치
KR101691399B1 (ko) 2014-11-21 2017-01-1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회로를 가진 접촉 불량 검출이 가능한 한류 장치
KR102066713B1 (ko) 2019-09-03 2020-01-15 김성웅 선로별 아크 감지 장치
KR102164483B1 (ko) 2019-09-03 2020-10-12 김동균 감쇠 진동을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KR102263448B1 (ko) 2020-01-16 2021-06-09 김동균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장치
KR102299444B1 (ko) 2020-03-18 2021-09-07 김동균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KR20220163043A (ko) 2021-06-02 2022-12-09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KR102284521B1 (ko) 2021-06-30 2021-08-02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휴대형 아크 펄스 탐지 장치 및 그에 고주파 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펄스 발신기
KR102324980B1 (ko) 2021-08-26 2021-11-11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이상 전류 검출 장치
KR20230114589A (ko) 2022-01-25 2023-08-01 김동균 감도 조정이 가능한 아크 펄스 감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한 누전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950B1 (ko) 펄스 카운트를 이용한 접촉 불량 검출 장치
US11831139B2 (en) Processor-based circuit interrupting devices
CN1328588C (zh) 漏电保护装置寿命终止智能检测方法及其设备
US7180299B2 (en) Arc fault detector
US20070091520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having an integrated variable timer
US8743513B2 (en) Arc fault detector for AC or DC installations
AU2012210253B2 (en) Fuse continuity detection
US20100073832A1 (en) Power cutoff device automatically operated upon occurrence of spark on electric wire
CN112736856A (zh) 一种保护负载电路的方法
CN103415972A (zh) 用于检测并联电弧故障的方法、系统和装置
JP2005049326A (ja) アーク故障検出装置
JP6000193B2 (ja) Dcアーク検知装置
US20090086387A1 (en) Circuit interrupter
JP6797984B2 (ja) 瞬間地絡停電保護及び漏電警報機能を有する漏電遮断器
CA2560791A1 (en) Arc fault detector
KR101691399B1 (ko) 지연 회로를 가진 접촉 불량 검출이 가능한 한류 장치
KR101487426B1 (ko) 분전반의 전기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유비쿼터스형 분전반
KR101527366B1 (ko) 접촉 불량에 의한 아크 검출 회로
KR102164483B1 (ko) 감쇠 진동을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JP2012008139A (ja) トラッキング電流検出装置
KR101464246B1 (ko) Zct를 이용한 아크 검출 차단기
US10103536B2 (en) Circuit for detecting arc due to contact inferiority
EP1482317B1 (en) Earth resistance measurement instrument by neutral-to-earth loop and measurement procedure
KR102263448B1 (ko)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장치
KR102520900B1 (ko) 외부 자계 유도를 이용한 아크 감지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