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921B1 -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921B1
KR101535921B1 KR1020130090856A KR20130090856A KR101535921B1 KR 101535921 B1 KR101535921 B1 KR 101535921B1 KR 1020130090856 A KR1020130090856 A KR 1020130090856A KR 20130090856 A KR20130090856 A KR 20130090856A KR 101535921 B1 KR101535921 B1 KR 10153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gent
location information
hrs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174A (ko
Inventor
권태경
최양희
조은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9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에이전트가 컨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면 컨텐츠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지 않으면 HRS(Hierarchical Resolution System Server)로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이름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HRS가 상기 제1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에이전트는 상기 위치정보를 갖는 제2에이전트로 상기 컨텐츠 요청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패킷을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CONTENT}
본 발명은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구축된 네트워크와 공존할 수 있는 CCN을 통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컨텐츠 요청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컨텐츠의 효율적인 배치,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로서 CONTENT-CENTRIC NETWORK (이하에서는 'CCN'이라 함)가 제안되고 있다.
즉 CCN은, 통상의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IP 주소 대신 콘텐츠 이름을 사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하여, 라우터는 필요한 경우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요구하는 인근의 새로운 소비자들에게 데이터를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CCN은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엔티티(예를 들어, 스위치 장치)에 포함된 스토리지(storage)를 활용하여, 컨텐츠 복사본을, 복수 개의 엔티티에 위치시키거나, 컨텐츠를 요청하는 말단 사용자단말과 가깝게 위치한 엔티티에 위치시켜둠으로써, 컨텐츠 전달 속도를 증가시키고 컨텐츠 유효성을 증가시키는 효율성을 갖는다. 이는 기존 인터넷과 비교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절감하고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다만, 현재까지 제안된 CCN은, 현재 기구축된 네트워크 시스템(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과는 상이한 패러다임으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기구축된 네트워크와 공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구축된 네트워크와 공존가능한 CCN상에서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터넷의 DNS와 같은) 색인 기반 구조가 적용되는 CCN을 구현하고 상기 CCN 상에서 컨텐츠를 전달함으로써 효율적인 컨텐츠를 전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에이전트가 컨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면 컨텐츠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지 않으면 HRS(Hierarchical Resolution System Server)로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이름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HRS가 상기 제1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에이전트는 상기 위치정보를 갖는 제2에이전트로 상기 컨텐츠 요청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패킷을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한 제1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이름을 전달받으면, 상기 전달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구축된 네트워크와 공존가능한 CCN상에서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래 네트워크로서 대두되는 CCN 이 주는 데이터 전송 성능상의 이점을 취함과 동시에 인터넷과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여 CCN으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의 DNS와 같은) 색인 기반 구조가 적용되는 CCN을 구현하고 상기 CCN 상에서 컨텐츠를 전달함으로써 효율적인 컨텐츠를 전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CCN의 안정적인 보급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기존 인터넷과 비교하여 차별되는 성능들, 즉, 전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절감하고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져 효율적인 컨텐츠 전달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HRS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방법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컨텐츠 전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N)에 대해 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단말(10)로, 상기 요청을 컨텐츠제공자로 전달하고, 컨텐츠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컨텐츠'는, 임의의 형태의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또는 텍스트가 될 수 있다.
컨텐츠 전달 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 HRS(Hierarchical Resolution System Server; 20), 에이전트(30) 및 컨텐츠서버(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N)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N)는, 현존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네트워크인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위치를 식별하고 컨텐츠를 식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N)에 대해 컨텐츠를 요청하는 주체로서, 예를 들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agent; 30)는 콘텐츠 소비자(예를 들어 사용자단말) 또는 컨텐츠 제공자(예를 들어, 컨텐츠서버)로부터 논리적으로 한 홉(hop)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소비자 또는 제공자를 대신하여 콘텐츠 요청 및 전달을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이동은 에이전트를 거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에이전트에는 연결된 단말 노드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인식하여 이에 대해 응답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에이전트는 예를 들어, 라우터, 웹캐시 서버, 프록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버(40)는, 사용자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서, 상기 컨텐츠의 원본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RS(20)는, DNS(Domain Name System Server)와 같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컨텐츠이름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URI 또는 컨텐츠이름에 매칭되는 위치정보(locator)를 등록하고 있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청 시에 컨텐츠의 위치정보(locator)를 리턴할 수 있다. 이러한 HRS(20)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같은 URI 또는 컨텐츠이름에 대한 여러 개의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HRS(20)는 인터넷의 DNS와 같이, 색인 기반 구조를 갖고 있으나, DNS와 그 동작이 상이하다. 즉, DNS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을 관리하고 있어 어떤 FQDN에 대응하는 호스트 주소를 반환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조회하고 전송하는 역할은 해당 호스트와 직접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DNS가 여러 개의 호스트 주소를 반환하는 경우, 각 호스트는 모두 같은 컨텐츠를 담고 있어야(mirroring) 하는 제약을 갖고 있다. 반면 HRS(20)는 URI 또는 컨텐츠이름 자체를 관리하므로 특정 컨텐츠가 여러 컨텐츠서버에 위치하고 있거나, 혹은 단순히 캐시되는 경우에도 관리할 수 있으며, 각 호스트가 모두 같은 컨텐츠를 캐싱해야하는 제약이 없다. 따라서 인기 있는 컨텐츠는 더욱 많은 곳에서부터 전송받을 수 있고 이는 네트워크 전반적인 전송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HRS(20)와 관련하여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HRS(2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HRS(20)는, 컨텐츠인증부(210), 컨텐츠등록부(220) 및 컨텐츠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RS(20)는, 외부의 구성요소 및 내부의 구성요소 서로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인증부(210)는, 컨텐츠의 등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컨텐츠인증부(210)는, 예를 들어, 컨텐츠 등록이 컨텐츠서버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 사전에 합의된 방식(예를 들어, 공개키 기반 인증 방식 등)으로 상기 컨텐츠서버의 자격 유무를 검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인증부(210)는, 예를 들어, 컨텐츠의 등록이 에이전트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 사전에 합의된 방식(예: 공개키 기반 인증 등)으로 기존에 등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컨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컨텐츠인증부(210)는 컨텐츠의 등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등록부(220)는, 컨텐츠인증부(210)에 의해 등록을 인증받은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HRS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컨텐츠등록부(220)는 URI 또는 컨텐츠이름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URI 또는 컨텐츠이름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컨텐츠제공부(230)는, 요청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컨텐츠제공부(230)는, URI 또는 컨텐츠이름을 에이전트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URI 또는 컨텐츠이름에 대응되는 위치정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위치정보가 존재한다면 위치정보를 반환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HRS는 계층적인 구조(예를 들어, 계층 구조의 맨 꼭대기, 즉, 루트 HRS에는 모든 상위 위치정보를 등록할 수 있음)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계층적인 구조에 따라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탐색하고 획득할 수 있다.
반면 컨텐츠제공부(230)는 URI 또는 컨텐츠이름을 에이전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URI 또는 컨텐츠이름에 대응되는 위치정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에이전트로 등록된 위치정보가 없음을 반환(예를 들어 부존재정보를 반환)함으로써, 위치정보를 반환받지 못한 에이전트로 하여금 DNS 등의 통상적인 인터넷 네트워크의 동작에 따라 컨텐츠 저장위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전달 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전달 시스템(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단말에 의해 요청된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해 컨텐츠가 HRS에 기등록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캐싱하고 있는 컨텐츠서버,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단말은 일련의 단계를 거처 컨텐츠를 HRS에 등록할 수 있다.
먼저, 컨텐츠서버, 혹은 컨텐츠를 캐시한 에이전트는, 해당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해 권한이 있는 HRS를 탐색할 수 있다(S310). 이때 권한이 있는 HRS 는, 권한이 있는 DNS를 탐색하는 통상의 알고리즘, 예를 들어, 반복(iterative) 방식 또는 재귀 (recursive) 방식을 적용하여 탐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탐색된 HRS로 에이전트(또는 컨텐츠서버)는 컨텐츠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S320).
즉, HRS는 컨텐츠 등록을 요청받을 수 있으며 HRS는 등록이 요청되는 컨텐츠가 등록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S330).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등록이 컨텐츠서버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 HRS는 사전에 합의된 방식(예를 들어, 공개키 기반 인증 방식 등)으로 상기 컨텐츠서버의 자격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컨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하며, 또한, 상기 컨텐츠의 등록이 에이전트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 사전에 합의된 방식(예: 공개키 기반 인증 등)으로 기존에 등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컨텐츠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방식에 따라 컨텐츠가 등록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340). 여기서, 위치정보는, 컨텐츠의 등록을 요청한 컨텐츠서버로의 접근 경로일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의 등록을 요청한 에이전트의 캐시일 수 있다.
이렇듯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등록되었음을 컨텐츠 등록요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350).
반면, 컨텐츠가 등록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컨텐츠를 등록하지 못하였음을 컨텐츠 등록요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350).
한편, 컨텐츠를 수신하였던 사용자단말 또한, 상기 컨텐츠를 HRS에 등록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은 자신과 연결된 에이전트로 컨텐츠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텐츠 등록 요청을 수신한 에이전트는 상술된 각 단계(S310 내지 S350)를 거쳐 컨텐츠의 등록을 리턴받을 수 있으며, 컨텐츠 등록에 대한 HRS의 응답을 사용자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단말은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는데, 요청된 컨텐츠가 사용자단말로 전달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은 자신과 연결된 에이전트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S410). 이때, 사용자단말은, 기존 인터넷에서 사용하던 URI(예: http://www.snu.ac.kr/)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으며, 또는 CCN상의 컨텐츠이름으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에이전트(또는, 상기 에이전트와 협력하는 타에이전트)는, 상기 컨텐츠를 캐싱할 수 있으며(S420),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S430).
그러나 컨텐츠를 캐싱하고 있지 아니하는 경우에는(S420), 에이전트(또는 상기 에이전트와 협력하는 타에이전트)는, URI 및 컨텐츠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HRS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40). 이때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캐싱하고 있는 HRS를 탐색하는 방법은, DNS를 탐색하는 통상의 알고리즘, 예를 들어, 반복(iterative) 방식 또는 재귀 (recursive) 방식을 적용하여 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청을 수신한 HRS는 요청받은 컨텐츠의 URI 또는 이름으로 등록된 위치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에이전트로 전달할 수 있다(S450). 만약, 요청받은 HRS 혹은 다른 HRS에 컨텐츠의 URI나 컨텐츠이름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존재하지 않음을 상기 에이전트로 전달할 수 있다.
이렇듯 컨텐츠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에이전트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S460). 즉, 에이전트는 위치정보를 갖는 컨텐츠서버, 또는 에이전트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S470). 이때, 위치정보는 복수개 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에이전트 또는 컨텐츠서버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여러 컨텐츠제공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를 수신한 에이전트는 컨텐츠의 캐싱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캐싱이 필요한 경우에는 캐싱할 수 있다. 이때 캐싱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CCN에서, 에이전트가 캐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후, 에이전트는 컨텐츠 수신이 완료되면 사용자단말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도중에, 수신하고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방법에 따른 성능을, 다른 컨텐츠 전달 방법에 따른 성능과 비교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방법이란, HRS가 각 컨텐츠 당 1개의 위치정보를 갖고 있음을 가정(실험 동안에 상기의 가정을 유지)한 SS(단일 위치자 시나리오; single source), 및 HRS가 각 콘텐츠당 4개의 위치정보를 갖고 있음을 가정(실험 동안에 상기의 가정을 유지)한 MS(여러 위치자 시나리오; multiple sources)를 의미한다. 반면, 다른 컨텐츠 전달 방법이란, 제1방법, 즉, CDN(Content Delivery Network; 1개의 AS당 1대의 CDN서버가 존재) 기법 및 제 2방법, 즉, 웹 캐시(web caches) 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능 비교를 위해 다음의 사항을 가정한다.
즉, 6개의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 데이터센터(미국 캘리포니아, 버지니아, 오레곤, 일본 동경, 싱가포르, 아일랜드)를 활용하였으며, 각 데이터센터를 하나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또는 AS(autonomous system)로 가정한다. 그리고 HRS는 서울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음을 가정하며, 추가적으로 다음의 사항도 가정한다.
각 AS의 구성 15개의 에이전트와 15개의 사용자 단말(각 사용자 단말은 하나의 에이전트와 연결)로 구성됨.
같은 AS에 속한 15개의 에이전트들은 서로 협력하여 컨텐츠를 나누어 캐시함.
컨텐츠 분산 랜덤하게 분산된 컨텐츠(200KB/컨텐츠 당)
사용자의 컨텐츠 요청 지수분포를 따름(λ=1/5 sec-1)
컨텐츠의 전체 개수 1000개
컨텐츠 요청 분산 지프(Zipf)의 법칙(파라미터 1.0)
캐시의 크기 전체 컨텐츠 크기의 3%
상술된 가정에서는 HRS 사이의 계층적 구조를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에 대해 서술한다.
먼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다운로드율을 각각 비교하면, CDN(530) 및 웹 캐시(540)와 비교하여, SS(510) 및 MS(520)일 경우 컨텐츠 다운로드 속도가 훨씬 빠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기도가 높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에이전트가 사용자단말에 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HRS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도 CCN의 구현이 가능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네트워크 내의 스토리지에 의해 서비스된 요청의 개수(610) 및 컨텐츠서버에 의해 서비스된 요청의 개수(620)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DN(530) 및 웹 캐시(540)와 비교하여, SS(510) 및 MS(520)일 경우에, 네트워크 내의 스토리지에 의해 서비스된 요청 개수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HRS가 컨텐츠 당 갖고 있는 위치정보가 많을수록 더 높은 개수로 네트워크 내의 스토리지에 의해 요청이 서비스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HRS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도 CCN의 구현이 가능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단말
20: HRS
30: 에이전트
40: 컨텐츠서버

Claims (10)

  1. 사용자단말로부터 제1에이전트가 컨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면 컨텐츠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지 않으면 HRS(Hierarchical Resolution System Server)로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이름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HRS가 상기 제1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에이전트는 상기 위치정보를 갖는 제2에이전트로 상기 컨텐츠 요청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패킷을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 패킷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의 부존재를 알리는 부존재 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여, DNS 동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저장위치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이전트가 상기 HRS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등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가 등록가능한 경우에 한해 상기 제2에이전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RS는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1에이전트는 복수개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방법.
  8. 사용자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 패킷을 수신한 제1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에이전트가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이름을 전달받으면, 상기 전달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제공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의 부존재를 알리는 부존재 정보를 상기 제1에이전트로 전달하여, DNS 동작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저장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캐싱하는 제2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의 등록을 요청받도록 구성되는 컨텐츠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을 요청받으면 상기 컨텐츠의 등록가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등록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컨텐츠가 등록가능한 경우에 한해 상기 제2에이전트의 위치정보를 컨텐츠에 대응시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 전달 시스템.
KR1020130090856A 2013-07-31 2013-07-31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153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56A KR101535921B1 (ko) 2013-07-31 2013-07-31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56A KR101535921B1 (ko) 2013-07-31 2013-07-31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174A KR20150015174A (ko) 2015-02-10
KR101535921B1 true KR101535921B1 (ko) 2015-07-13

Family

ID=5257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856A KR101535921B1 (ko) 2013-07-31 2013-07-31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29A (ko) * 2002-10-24 2004-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ls 가상사설망에서 이동서비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29A (ko) * 2002-10-24 2004-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ls 가상사설망에서 이동서비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효기 외 4명, 게이트웨이 기반 인터넷/컨텐츠 중심 네트워크 연동 구조, 한국통신학회2011년도 추계종합학술발표회, 196-197 페이지 *
정효기 외 4명, 게이트웨이 기반 인터넷/컨텐츠 중심 네트워크 연동 구조, 한국통신학회2011년도 추계종합학술발표회, 196-197 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174A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348B2 (en) Managing resources using resource expiration data
US10601767B2 (en) DNS query processing based on application information
US9608957B2 (en) Request routing using network computing components
US9191458B2 (en) Request routing using a popularity identifier at a DNS nameserver
US9734472B2 (en) Request routing utilizing cost information
US8156243B2 (en) Request routing
US10601944B2 (en) Accurate caching in adaptive video streaming based on collision resistant hash applied to segment contents and ephemeral request and URL data
Majeed et al. Multimedia streaming in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A survey and future perspectives
US20140074961A1 (en) Efficiently Delivering Time-Shifted Media Content via Content Delivery Networks (CDNs)
US9479607B2 (en) Content caching and delivering system with traffic of repetitively requested content reduced
JP6205765B2 (ja)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プログラム、映像配信方法及び映像配信システム
Ramakrishnan et al. Adaptive video streaming over ccn with network coding for seamless mobility
KR101535921B1 (ko) 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4670A (ko) 가변 연결성을 갖는 모바일 환경을 위한 마이크로 캐시 방법 및 장치
US8756272B1 (en) Processing encoded content
Meng et al. Elastic caching solutions for content dissemination services elastic caching solutions for content dissemination services of ip-based internet technologies prospective
Alsaffar et al. Multimedia delivery mechanism framework for smart devices based on mega data center and micro data center in PMIPv6 environment
KR101861725B1 (ko)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66641A (ko) Icn 시스템에서의 푸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