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524B1 -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524B1
KR101535524B1 KR1020140065926A KR20140065926A KR101535524B1 KR 101535524 B1 KR101535524 B1 KR 101535524B1 KR 1020140065926 A KR1020140065926 A KR 1020140065926A KR 20140065926 A KR20140065926 A KR 20140065926A KR 101535524 B1 KR101535524 B1 KR 101535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display unit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기
김희송
지형기
김기평
현명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06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4Li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자극이미지가 무자극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저장부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구동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가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으로 되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그림자극 표시 단계 후에 방향을 나타내는 탐침부호가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의 영역이나 무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피검사자에 의하여 입력부에 탐침방향이 입력되면 탐침부호가 디스플레이된 때로부터 탐침방향이 입력된 때까지의 시간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입력시간 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입력시간 저장 단계는 2회 이상 반복되어 실행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A Method Providing Material For Lie Detecting}
본 발명은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의자가 진범인지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고 활용하여 거짓말인지 여부를 탐지하고, 용의자의 진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거짓말 탐지기는 폴리그래프의 일종으로써, 사람의 흥분, 긴장 또는 갈등의 상태를 미리 정의해 놓은 기준에 의하여 감지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흔히 거짓말 탐지검사(Lie Detector)라고 불리는 심리생리검사는 검사관이 질문을 던지면 피검사자의 신체 여러 부분에 부착한 센서를 통해 자율신경계의 미세한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으로, 거짓말 판독 방법(S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 및 제1 감성 정보 수신 단계(S10), 제2 감성 정보 추출 단계(S20), 제1 거짓말 상태 결정 단계(S30), 제2 거짓말 상태 결정 단계(S40) 및 거짓말 음성 추출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감성 정보는 감성 센서로부터 인체 내에서 발생되는 맥파, 혈압, 호흡, 피부 전도도, 근세포 수축의 전위차, 체압, 뇌신경 세포의 생체 자기, 뇌파, 피부 전기 저항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한 결과 정보이다.
도 2는 감성 센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의 감성 센서(30)는 송신측 단말 장치(10)에 장착되어 상대방의 인체(20)에 내포된 생체 신호를 측정하게 된다. 감성 센서(30)는 PGG 센서, ECG 센서, PTT 센서, TDP 센서, MEG 센서 및 EEG 센서, GSR 센서,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음성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S20 단계에서는 S10 단계에서 수신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음성 신호의 성분 중 규칙 변화가 심한 특정 구간에 대해 분석하여 제2 감성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거짓말 탐지 방법은 신체에 각종 기구를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수사현장에 종사하는 사람 모두가 폴리그라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또한 장비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검사를 의뢰하고 받는 데까지 일정 기간이 소요되어, 검사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09831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검사자의 신체에 센서를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검사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고도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자료만 갖추어지면 장소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의 신뢰성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자극이미지가 무자극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저장부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구동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가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으로 되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그림자극 표시 단계 후에 방향을 나타내는 탐침부호가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의 영역이나 무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피검사자에 의하여 입력부에 탐침방향이 입력되면 탐침부호가 디스플레이된 때로부터 탐침방향이 입력된 때까지의 시간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입력시간 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입력시간 저장 단계는 2회 이상 반복되어 실행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그림자극 표시 단계 전에 응시부호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응시부호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표시부는 좌우로 영역이 분할되어,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때, 조합을 이루는 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탐침부호 표시 단계에서 탐침부호는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탐침부호는 1회 이상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고 1회 이상 무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입력시간 저장 단계는 2회 이상 반복되어 실행된 후,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으로부터 편향 계수가 연산되는 단계(연산 단계)를 더 포함하며;
편향계수(F)는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1
식으로 연산 되며,
상기 식에서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2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표시부의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1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3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도 표시부의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2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4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표시부의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3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5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도 표시부의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4 입력시간)을 의미하며; 상기에서 제1 입력시간, 제2 입력시간, 제3 입력시간, 제4 입력시간의 횟수는 동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그림자극 표시 단계에서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0.4초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그림자극 표시 단계에서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1.2초 보다는 길고 1.5초 보다는 짧은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 의하면, 피검사자의 신체에 센서를 부착하지 않고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준비된 자료에 의하여 검사가 실시되므로 검사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고도 피검사자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의 신뢰성 판단의 근거가 되는 자료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거짓말 판독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종래 거짓말 판독 방법에 사용되는 감성 센서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서 응시부호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서 그림자극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서 탐침부호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서 응시부호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서 그림자극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에서 탐침부호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제어부(110)에 연결된 표시부(130, 예, LCD)와, 사용자(검사자와 피검사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으로써 제어부(110)에 연결된 입력부(150, 예, 키보드, 마우스)와, 제어부(110)에 연결된 저장부(170,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30), 입력부(150), 저장부(170)에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제어부(110, 예, 마이컴)로 이루어진다.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검사 시스템의 예로 PC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은 실행 프로그램으로써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실행된다.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별도의 메모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170)에는 복수의 사진 이미지가 저장된다. 사진 이미지는 사건과 관려된 사진이미지(이하에서 '자극이미지'라 한다)와, 사건과 관련이 없는 사진이미지(이하에서 '무자극이미지'라 한다)가 저장된다.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는 각각 복수개가 저장된다. 자극이미지의 예로써 피해자를 촬영한 이미지, 피해자의 사진 이미지, 사건이 일어난 장소를 촬영한 이미지, 사건과 관련된 도구(예, 장갑, 흉기 등)를 촬영한 이미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무자극이미지의 예로서 풍경 사진 이미지, 건물 이미지, 사건과 관련 없는 인물 사진 이미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에는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각각 복수로 미리 저장된다. 상기 조합의 이미지가 입력부(105)를 통한 검사자의 명령에 의하여 표시부(103)에 미리 정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디스플레이된다. 또는 랜덤함수에 의하여 저장부(107)에 저장된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가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으로 되어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은 검사자가 입력부(105)를 통하여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실행되며(ST-110, 시작), 저장부(107)에 저장된 응시부호(A)가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T-120, 응시부호 표시 단계)와, 저장부(107)에 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T-130, 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저장부(107)에 저장된 탐침부호(C)가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T-140, 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피검사자가 입력부(105)를 통하여 탐침부호(C)에 해당하는 입력부(105)의 키를 입력하면(ST-150) 탐침부호(C)가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된 때로부터 피검사자가 키를 입력할 때까지의 시간이 저장부(107)에 저장되는 단계(ST-160, 입력시간 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시부호 표시 단계(ST-120)와, 그림자극 표시 단계(ST-130)와, 탐침부호 표시 단계(ST-140)와, 입력시간 저장 단계(ST-160)가 한 사이클이 되어 복수회 사이클 실행된다. 도 7에서 n은 실행된 사이클 수를, k는 실행될 사이클 수를 나타낸다.
검사자는 피검사자를 본 발명에 따르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의 표시부 앞에 앉도록 하고, 검사 방법에 대하여 숙지시킨 후 검사를 한다. 피검사자에 의한 입력부(105)를 통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탐침부호(C)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시부호 표시 단계(ST-120)에서는 저장부(107)에 저장된 응시부호(A)가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된다. 응시부호 표시 단계는 피검사자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단계로써, 응시부호(A)는 0.5초 동안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제어된다. 상기 응시부호(A)는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 기호가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가 응시부호(A)로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응시부호(A)는 예를 들면 500㎳ 동안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 그림자극 표시 단계(ST-130)가 실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자극 표시 단계(ST-130)에서는 2개의 이미지가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된다. 표시부(103)에는 좌우로 나란하게 2개의 이미지(B1, B2)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7)에 저장된 2개의 이미지(B1, B2)는 좌우로 나란하며 서로 이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5 및 도 6에서 점선 E는 가상 분할 중심선을 도시한 것이다. 2개의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되는 기술은 종래에 실시되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07)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는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을 이루어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된다. 저장부(107)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의 파일이름이 지정되어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이루어져 표시부(103)에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07)에 자극이미지가 10개 저장되고, 무자극이미지가 30개 저장되어, 자극이미지 10개와 무자극이미지 30개 중 10개가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10개의 조합)이 되고 나머지 20개의 무자극이미지가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10개의 조합)이 되어 각 조합이 순서(예, 무자극이미지 파일 이름 순서)에 따라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 된다.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은 반드시 동수일 필요는 없다.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의 조합은 4개 이상이 되도록 복수의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가 저장부에 저장되며,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의 조합이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될 때 자극이미지가 표시부(103)의 좌측과 우측에 동수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의 조합이 4개이고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들이 순서에 따라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될 때 4개의 조합에서, 2개 조합의 자극이미지는 표시부(103)의 좌측 그리고 무자극이미지는 표시부(103)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2개 조합의 자극이미지는 표시부(103)의 우측 그리고 무자극이미지는 표시부(103)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될 때, 1개의 조합이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400㎳보다 짧은 시간이거나, 1,200∼1,500㎳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03)에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진범인 피검사자는 처벌받을 수 있다는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자극이미지에 대하여 경계와 회피 거동을 하며, 400㎳보다 짧은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자극이미지에 시선을 두게 되며, 1,200∼1,500㎳ 범위의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초기에는 자극이미지에 시선을 두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극이미지를 회피하게 된다.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ST-130)가 종료되면, 탐침부호 표시 단계(ST-140)가 실행되어 표시부(103)에는 탐침부호(C)가 디스플레이된다. 탐침부호(C)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성을 가지는 부호(예를 들면, 화살표)가 사용된다. 상기 탐침부호(C)는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된다. 표시부(103)의 분할된 영역 중 좌측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좌측을 향하는 탐침부호(C, 예,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가 디스플레이되고, 우측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우측을 향하는 탐침부호(C, 예, 우측을 향하는 화살표)가 디스플레이된다. 피검사자에 의하여 입력부(105)를 통하여 탐침방향이 입력되면 탐침부호(C)가 디스플레이된 때로부터 입력된 때까지의 시간이 저장부(107)에 저장되는 단계(ST-160)가 실행된다. 왼쪽인 경우에는 자판의 'Z' 키를, 오른쪽인 경우에는 '/' 키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피검사자에 의하여 키가 입력되면 표시부(103)에는 응시부호(A)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에서 응시부호 표시 단계(ST-110), 그림자극 표시 단계(ST-130), 탐침부호 표시 단계(ST-140), 입력시간 저장 단계(ST-160)는 한 싸이클을 이루어, 복수의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차례로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고, 각 조합에 대한 입력 시간이 저장부(107)에 저장된다.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400㎳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고, 이어서 탐침부호(C)가 디스플레이될 때, 복수의 피검사자에 대한 실험 결과,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디스플레이된 후, ⅰ) 탐침부호가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경우(제1 경우)와 ⅱ) 탐침부호가 무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경우(제2 경우)에 진범 용의자의 경우 저장부(107)에 저장된 입력 시간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제1 경우의 입력 시간이 제2 경우의 입력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1,200∼1,500㎳ 범위의 시간 동안에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되고, 이어서 탐침부호(C)가 디스플레이될 때, 복수의 피검사자에 대한 실험 결과,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디스플레이된 후, ⅰ) 탐침부호가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 경우(제3 경우)와 ⅱ) 탐침부호가 무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경우(제4 경우)에 진범 용의자의 경우 저장부(107)에 저장된 입력 시간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제3 경우의 입력 시간이 제4 경우의 입력 시간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복수의 사이클이 실행되면서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입력 시간이 저장부에 저장된 후, 복수의 입력 시간에 대한 연산이 실행된다(ST-180, 연산 단계). 상기 연산 단계(ST-180)에서는 편향 계수(F)가 연산 된다.
편향 계수(F)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해서 연산된다.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6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7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표시부의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1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8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도 표시부의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2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09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표시부의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3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10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도 표시부의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4 입력시간)을 의미한다.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이 1.25초인 경우에 20명의 유죄 집단과 21명의 무죄집단에 대하여 위와 같은 단계들을 거쳐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시간들로부터 수학식 1에 따라 연산된 편향 계수(F)는 유죄집단에서는 편향 계수가 F=­16.20으로 나타났고, 무죄집단에서는 편향 계수가 F=­4.15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죄집단과 유죄집단에서의 편향 계수(F)가 명백한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00: 검사 시스템 101: 제어부
103: 표시부 105: 입력부
107: 저장부(메모리)

Claims (8)

  1.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자극이미지가 무자극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저장부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구동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이미지와 무자극이미지가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으로 되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그림자극 표시 단계 후에 방향을 나타내는 탐침부호가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의 영역이나 무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피검사자에 의하여 입력부에 탐침방향이 입력되면 탐침부호가 디스플레이된 때로부터 탐침방향이 입력된 때까지의 시간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입력시간 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입력시간 저장 단계는 2회 이상 반복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 전에 응시부호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응시부호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좌우로 영역이 분할되어,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때, 조합을 이루는 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호 표시 단계에서 탐침부호는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탐침부호는 1회 이상 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고 1회 이상 무자극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와, 탐침부호 표시 단계와, 입력시간 저장 단계는 2회 이상 반복되어 실행된 후,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으로부터 편향 계수가 연산되는 단계(연산 단계)를 더 포함하며;
    편향계수(F)는
    Figure 112014051480243-pat00011
    식으로 연산되며,
    상기 식에서
    Figure 112014051480243-pat00012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표시부의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1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13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도 표시부의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2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14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는 표시부의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3 입력시간)을,
    Figure 112014051480243-pat00015
    은 자극이미지가 표시부의 좌우로 분할된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탐침부호도 표시부의 오른쪽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시간(제4 입력시간)을 의미하며; 상기에서 제1 입력시간, 제2 입력시간, 제3 입력시간, 제4 입력시간의 횟수는 동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에서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0.4초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극 표시 단계에서 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과 무자극이미지-무자극이미지 조합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1.2초 보다는 길고 1.5초 보다는 짧은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KR1020140065926A 2014-05-30 2014-05-30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KR10153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26A KR101535524B1 (ko) 2014-05-30 2014-05-30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26A KR101535524B1 (ko) 2014-05-30 2014-05-30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524B1 true KR101535524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26A KR101535524B1 (ko) 2014-05-30 2014-05-30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000B1 (ko) 2017-07-12 2017-11-16 대한민국 피검사자의 진술의 진위를 확인하는 뇌파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02435A (ko) 2016-06-29 2018-01-08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간이용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장치
KR101850707B1 (ko) * 2016-03-16 2018-04-20 대한민국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313A (ja) * 2001-04-28 2004-09-09 マンチェスター メトロポリタン ユニバーシティ 被験者の行動解析
JP2006254424A (ja) * 2005-02-14 2006-09-21 Mitsuhiro Kawasaki 空間情報関連物を携えた「平面画像情報が、目前に迫る5感覚立体化情報処理関連物」
KR100908663B1 (ko) * 2006-11-17 2009-07-22 대한민국 거짓말 탐지용 동공측정장치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용 동공측정방법
KR100953235B1 (ko) * 2001-06-15 2010-04-16 더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펜실바니아 거짓말 및 은닉된 인식, 및 자료에 대한 인지적/감정적반응의 탐지 및 평가를 위한 기능성 뇌 영상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313A (ja) * 2001-04-28 2004-09-09 マンチェスター メトロポリタン ユニバーシティ 被験者の行動解析
KR100953235B1 (ko) * 2001-06-15 2010-04-16 더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펜실바니아 거짓말 및 은닉된 인식, 및 자료에 대한 인지적/감정적반응의 탐지 및 평가를 위한 기능성 뇌 영상법
JP2006254424A (ja) * 2005-02-14 2006-09-21 Mitsuhiro Kawasaki 空間情報関連物を携えた「平面画像情報が、目前に迫る5感覚立体化情報処理関連物」
KR100908663B1 (ko) * 2006-11-17 2009-07-22 대한민국 거짓말 탐지용 동공측정장치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용 동공측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07B1 (ko) * 2016-03-16 2018-04-20 대한민국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방법
KR20180002435A (ko) 2016-06-29 2018-01-08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간이용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장치
KR101961148B1 (ko) * 2016-06-29 2019-03-26 대한민국 간이용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장치
KR101798000B1 (ko) 2017-07-12 2017-11-16 대한민국 피검사자의 진술의 진위를 확인하는 뇌파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emer et al. Fear and physiological arousal during a virtual height challenge—effects in patients with acrophobia and healthy controls
CN106691476B (zh) 基于眼动特征的图像认知心理分析系统
Dowd et al. Motivational components of client reactance
EP20941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specific cognitive-emotional state in a subject
US10667738B2 (en) Brain activity estimation device
JP6503327B2 (ja) 生理状態判定装置及び生理状態判定方法
CN104203100A (zh) 表现评估工具
KR101535524B1 (ko) 거짓말 탐지용 자료 제공 방법
US20070038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reening and indicating individuals with hidden intent
Radwan et al. Quantifying human experience in interior architectural spaces
JP6886140B2 (ja) 不快判定装置
US9754502B2 (en) Stimulus recognition training and detection methods
US20190130077A1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health assessment
KR100341080B1 (ko) 뇌기능 장애 검사/평가/훈련 시스템
KR101961148B1 (ko) 간이용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장치
JP2011078705A (ja) 生体疲労評価装置
Schneider et al. Electrodermal responses to driving maneuvers in a motion sickness inducing real-world driving scenario
Boyce et al. Electrodermal activity analysis for training of military tactics
KR101850707B1 (ko)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방법
Rezki Detecting Lie-A Practical Approach.
Goswami et al. The deception clues in forensic contexts: The lie detection psychology
US202301489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ing subjects for neuropathology associated with covid-19 utilizing a mobile device
Fayed et al. Brain fingerprinting using P300 in the detection of concealed information
Ben-Shakhar Psychophysiological detection of deception: A review of detection methods, recent research and potential forensic applications
Janovsky et al. Measuring the Response of Patients with Type I Diabetes to Stress Bur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