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258B1 - 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 Google Patents
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5258B1 KR101535258B1 KR1020140097889A KR20140097889A KR101535258B1 KR 101535258 B1 KR101535258 B1 KR 101535258B1 KR 1020140097889 A KR1020140097889 A KR 1020140097889A KR 20140097889 A KR20140097889 A KR 20140097889A KR 101535258 B1 KR101535258 B1 KR 1015352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base
- upper plate
- pair
- adjusting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device of a bridge and a telescopic joint device having the pre-setting module.
일반적으로, 교량은 동, 하절기와 같은 기온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 재령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프, 활하중에 따른 상부구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교량 상판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In general, bridges are constructed of a plurality of bridging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smoothly accommodat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such as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drying shrinkage and creep due to age of concrete, Respectively.
그러므로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신축이음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an expansion joint is used to smoothly pass the vehicle by connecting the seam between the bridg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where the spacing changes from time to time.
이같은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에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가 서로 마주하도록 시공되어, 교량 상판이 신축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더라도 시공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가 교호하게 돌출된 타단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량 상판 간 벌어진 틈새를 메울 수 있도록 해준다. Such a telescopic joint device is constructed such that a pair of upper plates are opposed to each other between a bridge top plate and an upper plate so that a pair of upper plates alternately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bridge tops can be filled.
한편, 이같은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시공할 때에는 시공 시점을 기준으로 교량의 신축량에 맞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신축이음장치 간 이격을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적인 사항이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시공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다양한 수단들을 동원하여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를 벌려 이격을 주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하였다. In the meantime, when constructing such expansion joints on bridges, it was essential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expansion joints facing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ridge based on the time of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in the past, workers used various means at the construction site to open a pair of upper plates to separate the concrete and put the concrete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condition.
그러나 이같은 임시방편적인 종래의 방법은 많은 작업자들이 동원되어야 하고 작업의 신뢰도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실정이었다.
However, such an ad hoc and conventional method has not been a desirable method in terms of reliability and workmanship.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n improvement pla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joint device for a bridge, which is manufactur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n expansion joint device of a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etting module for a flexible joint of a bridge and a stretch joint device provided with the pre-setting modu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은, 분할된 교량 상판과 교량 상판 사이 이격부위에 시공되며 선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를 담당하여 그에 결합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를 담당하여 그에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되어 이들의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ng joint device, comprising: a pair of upper plates which are installed at a space between a divided bridge upper plate and a bridge upper plate, A first main body mounted on the telescopic joint device for a bridge and having one of the pair of upper plates to be coupled thereto; A second body for receiving and engaging with the other of the pair of upper plates to face the first body; And an adjustment member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the upper plates while changing intervals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제1본체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상면 일부를 감싸면서 후단부에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후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된 제1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본체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상면 일부를 감싸면서 후단부에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후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된 제2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has a first base which surround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forms a first fitting groove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base having a second fitting groov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to be fitted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1베이스 선단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선단부 앞에 하방향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착탈식의 제1구속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2베이스 선단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선단부 앞에 하방향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착탈식의 제2구속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first restraining pin protruding downward in front of a front end of an upper plate which vertically penetrates the first base leading end, And a detachable second restraining pin which is attach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in front of the tip end of the upper plate which vertically penetrates the tip end of the base.
또한, 상기 제1구속핀 및 제2구속핀은 각각 상기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를 관통한 상태로 일부가 하방향 돌출되는 제2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straining pins may have a first body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s, and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body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And a second body part protruding downward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se.
또한,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1베이스의 상면에 세워져서 상기 조절부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2베이스의 상면에 세워져서 상기 조절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that is erec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and engages with one end of the regulating member, and the second body is erec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본체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체결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체결되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may include a first bas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plate and a first coupling unit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base and coupled with one end of the control member, The main body may include a second bas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bas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djustment member.
또한,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는 각각 담당하는 수평플레이트 상면에 볼트체결되는 수평한 평판형 패널이며,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수직한 평판형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re each a horizontal flat plate panel bolted to an upper surface of a horizontal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vertical flat panels .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관통하되, 상기 제1결합부에 대해서는 공회전 하도록 관통하고, 제2결합부에 대해서는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볼트와, 상기 제1결합부를 전후하여 상기 조절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n adjusting bolt threa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idle an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 pair of release preventing member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lt to prevent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from being released.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된 너트 또는 멈춤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so,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may be a nut or a locking nut fixed by welding after being fastened to the adjustment bolt.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각각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제1조절볼트 및 제2조절볼트와, 중간에서 상기 제1조절볼트와 제2조절볼트를 공회전 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adjusting bolt and a second adjusting bolt threa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a second adjusting bolt connecting the first adjusting bolt and the second adjusting bolt in an idling And a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출고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안정되게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elescopic joint of a bridge so that the telescopic joint can precisely set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plates by a simple operation just before the constru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expansion joint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이 장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이 장착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lescopic joint device equipped with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telescopic joint device equipped with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presetting module for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stretch j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for explaining a presetting module for a stretch joi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for explaining a presetting module for a stretch joi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stretch joi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device of a bridg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lescopic joint device having the presetting mo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ctually shown in a smaller scale than the actual dimen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structure.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he terms first and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이 장착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이 장착된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lescopic joint device equipped with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lescopic joint device equipped with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100)은 도시된 것처럼 처음부터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출고되어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며,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직전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프리세팅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신축이음장치가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및 수직부재(220) 및 앵커(230)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은 보다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신축이음장치의 상부플레이트 한 쌍을 이동이나 보관 중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던 연결부재(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300)는 슬라이딩 장공(311)을 갖는 수평패널(310)과 볼트들(320,330)로 구성되었으나 신축이음장치에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조절하여 프리세팅을 할 수 있는 기능은 없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100)은 서로에 마주하는 제1본체(110,120,130) 및 제2본체(140,150,160)와, 상기 제1본체(110,120,130) 및 제2본체(140,150,160)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키는 조절부재(170,180a,180b)를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서, 상기 조절부재(170,180a,180b)에 의해 상기 제1본체(110,120,130) 및 제2본체(140,150,160)에 대해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키면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켜 프리세팅할 수 있다. As shown, the
아래에서는 상기 주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제1본체(110,120,130)는 한 쌍의 신축이음장치 중 하나를 담당하여 결합되며, 제1베이스(110)와, 제1구속핀(120)과, 제1결합부(130)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and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110)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210)의 상면 일부를 감싸면서 후단부에는 상부플레이트의 후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끼움홈(11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베이스(110)는 상부플레이트(210) 상면에 접촉하는 제1판재(110a)와 상부플레이트(210) 후단에 접촉하는 제2판재(110b)와 상부플레이트(210) 하면에 접촉하는 제3판재(110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판재(110a)의 선단부는 상부플레이트(210)의 선단부와 일치한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베이스(110)가 이처럼 제1끼움홈(111)을 구비한 구성에 의해 제1본체(110,120,130)를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상기 제1구속핀(120)은 상기 제1베이스(110)에 형성된 제1끼움홈(111)과 협력하여 상기 제1베이스(110)를 상부플레이트(2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베이스(110) 선단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부플레이트(210)의 선단부 앞에 하방향 돌출되도록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구속핀(120)은 상기 제1베이스(11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몸체부(120a)와 상기 제1몸체부(120a)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110)를 관통한 상태로 일부가 하방향 돌출되는 제2몸체부(12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부(120b)가 상부플레이트(210) 선단부 중 요입된 부위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베이스(110)가 상부플레이트(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The first constraining
또한, 상기 제1본체(110,120,130)의 제1결합부(130)는 수직한 평판형 패널로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110)의 상면에 세워져서 상기 조절너트(17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The
상기 제2본체(140,150,160)는 한 쌍의 신축이음장치 중 제1본체(110,120,130)가 담당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를 담당하여 결합되며, 제2베이스(140)와, 제2구속핀(150)과, 제2결합부(160)로 이루어진다. The
여기서 상기 제2베이스(140)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210)의 상면 일부를 감싸면서 후단부에는 상부플레이트의 후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끼움홈(14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베이스(140)는 상부플레이트(210) 상면에 접촉하는 제1판재(140a)와 상부플레이트(210) 후단에 접촉하는 제2판재(140b)와 상부플레이트(210) 하면에 접촉하는 제3판재(140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판재(140a)의 선단부는 상부플레이트(210)의 선단부와 일치한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베이스(140)가 이처럼 제2끼움홈(141)을 구비한 구성에 의해 제2본체(110,120,130)를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2구속핀(150)은 상기 제2베이스(140)에 형성된 제2끼움홈(141)과 협력하여 상기 제2본체(140,150,160)를 상부플레이트(21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베이스(140) 선단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부플레이트(210)의 선단부 앞에 하방향 돌출되도록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구속핀(150)은 상기 제2베이스(14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몸체부(150a)와 상기 제1몸체부(150a)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2베이스(140)를 관통한 상태로 일부가 하방향 돌출되는 제2몸체부(15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부(150b)가 상부플레이트(210) 선단부 중 요입된 부위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베이스(140)가 상부플레이트(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단, 여기서 주의할 점은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서로 마주하고 있는 상부플레이트(210) 한 쌍의 요입 부위가 서로 교호하게 어긋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구속핀(120)과 제2구속핀(150)의 설치위치도 편차를 두고 어긋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The second constraining
또한, 상기 제2본체(140,150,160)의 제2결합부(160)는 수직한 평판형 패널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베이스(140)의 상면에 세워져서 상기 조절볼트(170)의 타단부와 결합된다.The second
상기 조절부재(170,180a,180b)는 제1본체(110,120,130)의 제1결합부(130) 및 제2본체(140,150,160)의 제2결합부(160)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주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부재(170,180a,180b)는 상기 제1본체(110,120,130)의 제1결합부(130)와 제2본체(140,150,160)의 제2결합부(160)(160)를 관통하되, 상기 제1결합부(130)에 대해서는 공회전 하도록 관통하고, 제2결합부(160)(160)에 대해서는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볼트(170)와, 상기 제1결합부(130)를 전후하여 상기 조절볼트(170)에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180a,18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재(180a,180b)는 간단히 한 쌍의 너트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너트를 제1결합부(130)를 전후하여 조절볼트(170)에 체결한 후 용접 등의 접합작업을 하거나 멈춤너트를 사용하면 된다. 멈춤너트의 경우 조절볼트(170)에 체결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고착하기 때문에 용접 등의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30)에는 조절볼트(170)의 단순 관통을 위하여 텝핑되지 않은 관통공(131)이 형성되고, 제2결합부(160)에는 나사체결되도록 텝핑된 체결공(161)이 형성된다. The adjusting members 170,180a and 180b are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이같은 구성을 갖는 프리세팅모듈(100)의 경우 공장 출하시부터 신축이음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하고 있다가 교량 상판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기 직전에 교량 상판의 온도로 인한 신축 정도를 고려하여 조절볼트(170)를 돌려주기만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신축이음장치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조절하는 프리세팅을 해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절볼트(17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2본체(140,150,160)가 제1본체(110,120,130)를 향해 전진하거나 후퇴하면서 상부플레이트(210) 간 이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지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presetting module for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이다. 9 is a sid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ate view showing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은, 상기 제1본체(110-2)가 상부플레이트(210) 상면에 체결되는 제1베이스(110d)와, 상기 제1베이스(110d)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절부재(170,180a,180b)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e)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본체(140-2)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체결되는 제2베이스(140d)와, 상기 제2베이스(140d)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절부재(170,180a,180b)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40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나머지 조절부재(170,180a,180b)의 구성은 변형 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tt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110d)와 상기 제2베이스(140d)는 각각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210) 상면에 제1볼트(190a) 및 제2볼트(190b)에 의해 볼트체결되는 수평한 평판형 패널이며, 상기 제1결합부(110e)와 상기 제2결합부(140e)는 제1베이스(110d)와 상기 제2베이스(140d)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한 평판형 패널로 구비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제1본체(110-2)와 제2본체(140-2)는 상기 제1결합부(110e)와 제2결합부(140e)가 원거리에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ㄴ'자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결합부(110e)와 제2결합부(140e)가 근거리에 위치하여 서로 배향하는 반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결합부(110e)와 제2결합부(140e)가 각각 제1베이스(110d)와 제2베이스(140d)의 중간 부위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ㅗ'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의 구성은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본체(110-2)와 제2본체(140-2)가 훨씬 단순한 형태로 형성되는 장점이 있지만 제1볼트(190a) 및 제2볼트(190b)를 사용하여 신축이음장치 상부플레이트(210)에 체결하는 관계로 약간의 손상을 야기하는 단점도 있다.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irst body 110-2 and the second body 140-2 are formed in a much simpler shape as compared with the pre-deformation embodiment, but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의 측면도이다. 11 is a side view of a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c joi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모듈은, 제1본체(110-2)와 제2본체(140-2)의 경우 제1변형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조절부재(170a,170b,180c)가 상기 제1결합부(110e) 및 제2결합부(140e)를 각각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제1조절볼트(170a) 및 제2조절볼트(170b)와, 중간에서 상기 제1조절볼트(170a) 및 제2조절볼트(170b)를 각각 공회전 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180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tting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10-2 and the second body 140-2, A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구성은 제1조절볼트(170)와 제2조절볼트(170)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잡힌 대칭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tructure of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a balanced symmetrical structure can be realized without being deviated to the whole by the constitution includ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110-2 : 제1베이스 120 : 제1구속핀
110e, 130 : 제1결합부 140, 140-2 : 제2베이스
150 : 제2구속핀 140e, 160 : 제2결합부
170 : 조절볼트 180a, 180b : 이탈방지부재110, 110-2: first base 120: first restraining pin
110e, 130:
150:
170: Adjusting
Claims (11)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하나를 담당하여 그에 결합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를 담당하여 그에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결합되어 이들의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간 이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상면 일부를 감싸면서 후단부에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후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된 제1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본체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상면 일부를 감싸면서 후단부에는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후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된 제2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1베이스 선단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선단부 앞에 하방향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착탈식의 제1구속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2베이스 선단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담당하는 상부플레이트의 선단부 앞에 하방향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착탈식의 제2구속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And a pair of upper plates which are mounted on the separated portions between the divided bridge upper plate and the bridge upper plate and whose tip portions face each other,
A first body for receiving and coupling one of the pair of upper plates; A second body for receiving and engaging with the other of the pair of upper plates to face the first body; And an adjustment member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upper plates while varying their spacing,
The first body has a first base which surround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has a first fitting groove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base which surrounds a part of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and has a second fitting groov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The first body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first restraining pin which is attach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in front of a tip end of an upper plate which vertically penetrates the first base front end portion, And a detachable second restraining pin protruding downward in front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ich vertically penetrate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plate.
상기 제1구속핀 및 제2구속핀은 각각 상기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 및 제2베이스를 관통한 상태로 일부가 하방향 돌출되는 제2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straining pins and the second constraining pin each have a first body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s and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body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2. The presetting module for a telescoping joint of a brid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etting module comprises: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1베이스의 상면에 세워져서 상기 조절부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2베이스의 상면에 세워져서 상기 조절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that is erec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and engages with one end of the regulating member, and the second body is erec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And a second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end of the bridge.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관통하되, 상기 제1결합부에 대해서는 공회전 하도록 관통하고, 제2결합부에 대해서는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조절볼트와, 상기 제1결합부를 전후하여 상기 조절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djusting member includes an adjusting bolt threa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idle an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 pair of escape prevention member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lts to prevent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from being released.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된 너트 또는 멈춤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is a nut or a detent nut fixed by welding after being fastened to the adjustment bolt.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각각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제1조절볼트 및 제2조절볼트와, 중간에서 상기 제1조절볼트와 제2조절볼트를 공회전 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6. The method of claim 5,
The adjusting member includes a first adjusting bolt and a second adjusting bolt threa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adjusting bolt and the second adjusting bolt idly And the pre-setting module for the expansion joint of the brid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889A KR101535258B1 (en) | 2014-07-31 | 2014-07-31 | 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889A KR101535258B1 (en) | 2014-07-31 | 2014-07-31 | 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5258B1 true KR101535258B1 (en) | 2015-07-09 |
Family
ID=5379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7889A KR101535258B1 (en) | 2014-07-31 | 2014-07-31 | 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5258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0600B1 (en) * | 2018-06-15 | 2019-09-10 | 주식회사 나루기술 | Expansion joint of bridge including hinge type finger plate |
KR102037988B1 (en) * | 2018-12-24 | 2019-10-29 | 이현준 | Expansion joint for drainage bridge |
KR20200019034A (en) * | 2018-08-13 | 2020-02-21 | 구동길 | A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with a Adjusting Height and Presetting |
KR102102393B1 (en) * | 2019-11-07 | 2020-04-20 | 주식회사 펜타드 | Presetting assembly and expansion joint with the same |
KR102169114B1 (en) * | 2020-04-28 | 2020-10-22 | 진형건설 주식회사 | Method to construct expansion joint |
KR102483057B1 (en) * | 2022-04-01 | 2022-12-30 | (주)디에스엘 | Manufacturing method of expansion joint for bridge |
KR20230100874A (en) * | 2021-12-29 | 2023-07-06 |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 Pre setting device for expansion joint of brid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451U (en) * | 1998-06-25 | 2000-01-25 | 최영륜 | Spacing device of expansion joint for bridge deck |
KR20120002808U (en) * | 2012-02-24 | 2012-04-24 | 김태호 | Pre-setting apparatus for expansion joint |
-
2014
- 2014-07-31 KR KR1020140097889A patent/KR1015352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451U (en) * | 1998-06-25 | 2000-01-25 | 최영륜 | Spacing device of expansion joint for bridge deck |
KR20120002808U (en) * | 2012-02-24 | 2012-04-24 | 김태호 | Pre-setting apparatus for expansion joint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0600B1 (en) * | 2018-06-15 | 2019-09-10 | 주식회사 나루기술 | Expansion joint of bridge including hinge type finger plate |
KR20200019034A (en) * | 2018-08-13 | 2020-02-21 | 구동길 | A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with a Adjusting Height and Presetting |
KR102123412B1 (en) * | 2018-08-13 | 2020-06-26 | 구동길 | A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with a Adjusting Height and Presetting |
KR102037988B1 (en) * | 2018-12-24 | 2019-10-29 | 이현준 | Expansion joint for drainage bridge |
KR102102393B1 (en) * | 2019-11-07 | 2020-04-20 | 주식회사 펜타드 | Presetting assembly and expansion joint with the same |
KR102169114B1 (en) * | 2020-04-28 | 2020-10-22 | 진형건설 주식회사 | Method to construct expansion joint |
KR20230100874A (en) * | 2021-12-29 | 2023-07-06 |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 Pre setting device for expansion joint of bridge |
KR102564651B1 (en) * | 2021-12-29 | 2023-08-08 |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 Pre setting device for expansion joint of bridge |
KR102483057B1 (en) * | 2022-04-01 | 2022-12-30 | (주)디에스엘 | Manufacturing method of expansion joint for brid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5258B1 (en) | 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 |
KR102027278B1 (en) | Curvature-controllable concrete structure formwork | |
GB2522694A (en) | Positioning and alignment device for tiled displays | |
CN106363560A (en) | Adjustable portable H-shaped steel structural aerial butting positioning clamp | |
KR101535260B1 (en) | Pre setting module for expansion of bridge | |
KR20160019717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vertical rod and horizontal rod for temporary structure | |
CN106567481B (en) | A kind of curved surface curtain wall support Pyatyi regulating system | |
JP3159615U (en) | Displacement limiting structure for bridge equipment | |
IT202100004967A1 (en) | ANCHORING BRACKET FOR FIXING A SUPPORT BODY FOR A PARAPET TO A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PARAPET THAT INCLUDES IT | |
CN210031517U (en) | Be used for striding linear adjustment stop device of single track PC track roof beam of seat | |
KR20160071137A (en) | Steel box girder joint structure | |
KR20160000615U (en) | Length adjusting horizontal pipe for a temporary structure | |
CN104481158A (en) | Bracket with adjustable installation height | |
CN212358627U (en) | One-way sliding net rack support | |
KR101583339B1 (en) | Pendulum type supporting apparatus for seismic isolation with elastic key | |
JP2014169573A (en) | Ceiling hanger and ceiling substrate support structure | |
CN103807578A (en) | Adjustable hook for splicing screen | |
CN108331178B (en) | A kind of built-in fitting for skeleton exterior enclosure wall column support | |
JP2014047600A (en) | Connection metal fitting for building timber | |
CN204551837U (en) | Three-dimensional adjustable seats | |
CN205410407U (en) | With propping with wall between spacer and stand and wall between stand | |
JP2016108888A (en) | Top edge fixing hardware | |
JP2014152478A (en) | Exterior wall panel and exterior wall structure | |
CN204385899U (en) | For connecting roof truss end, the connector of girder steel and enclosure wall and syndeton | |
CN220889104U (en) | Beam pin conne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