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167B1 -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 Google Patent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167B1
KR101535167B1 KR1020150065817A KR20150065817A KR101535167B1 KR 101535167 B1 KR101535167 B1 KR 101535167B1 KR 1020150065817 A KR1020150065817 A KR 1020150065817A KR 20150065817 A KR20150065817 A KR 20150065817A KR 101535167 B1 KR101535167 B1 KR 10153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utch
guide
connecting gear
wor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우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1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floodgate winch including: a first driving part; a second driving part; a worm gear extended from the first driving part along a rotary shaft of the first driving part; a worm wheel engaged with the worm gear to be rotated, wherein a first connection gear is provided on one side; a clutch provided to be moved along a rotary shaft of the worm wheel to allow a second connection gear to be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gear to be detached,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gear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gear; a clutch guide connected to the clutch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lutch along the rotary shaft of the worm wheel; and a gear module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part to the clutch guid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lutch guide. The second connection gear is provided to be rotated along a rotary shaft of the clutch when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gear.

Description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0001]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0002]

본 발명은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에 의한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ater-lifting wi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ater-supply winch capable of smoothly transmitting and interrupting power by a clutch.

수자원 관리는 홍수로 인한 하천의 범람 또는 역류로 인한 피해와 제방의 붕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수방대책의 일환으로서의 유수지 및 배수지(배수펌프장) 관리, 저수지 등의 물을 가두어 농업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농업 용수 관리, 및 하천의 역류를 차단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 등을 포함하며, 특히 농경지가 많고 수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s to manage the lagoons and drainage ponds (drainage pumping stations) as a part of the countermeasures to prevent damages caused by the overflow or backflow of rivers caused by floods and the collapse of the bank, Water management, and management to prevent inundation of agricultural land by blocking the reverse flow of the river.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agricultural lands and abundant water resources, the importance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is very high.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관리에 있어서 대표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수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댐, 저수지, 하천, 해안가, 및 수로 등에서 수자원을 각종 용수로 사용하거나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문은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기술이 발전 및 개량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It is a water gate tha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management of rivers and reservoir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t can be used for water resources in dams, reservoirs, rivers, coastal areas, and waterways, or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The water gates, which are very important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are being developed and improv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수문은 농수로, 상하수도, 중계펌프장, 빗물펌프장, 도시하수처리장, 정수처리장 및 산업 폐수처리장 등에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식, 모터 구동식 및 유압 구동식 등 다양한 형태의 권양기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압 구동식 수문은 수로의 입구에 설치된 문틀에 안내되어 수로를 개폐시키는 수문에 설치되고 수문을 승강시키는 실린더가 상기 수문의 상측, 또는 좌,우측면에 설치된 구조로서 수동으로 개폐시키던 수문을 유압을 이용하여 개폐시킴으로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한 대의 유압발생장치로 다수의 수문을 작동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나 유압 구동식 수문은 수문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없어 장마 등의 비상시에 수위가 급상승할 경우 긴급히 수문을 강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water gate is installed to control the flow rate in the agricultural water, water supply and sewage, relay pump, rain water pump, city sewage treatment plant, water treatment plant and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various types of winches such as manual type, Is installed and operated. Among them, the hydraulically driven type water gate is installed in the gate for guiding the water channel b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channel guided by the door fram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water channel, and a cylinder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water g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it is developed to be able to operate a number of hydrants with a single hydr. Generating device. However, the hydraulically operated hydrone gate can not control the speed at which the hydrone gate is closed, and the water level rises sharply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rainy seas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ater gate could not be descended urgently.

또한, 대도시의 경우 배수 펌프장이나 시,구청의 상황실에서 CCTV로 수문이 설치된 현장을 확인하면서 수문조작이 가능한 원격제어시스템(유선)을 구축하고 원격지에서도 클러치 변환만으로도 신속하게 수문을 하강시킬 수 있는 자중하강식 권양기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시점에서 일부 모터 구동식 수문의 경우 기어변속, 또는 인버터를 이용한 구동속도 변환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으며, 차동기어장치, 유성치차감속기, 전자클러치, 직류 전동기와 보조배터리 등으로 구성된 자중하강장치를 개발하였으나 기계구성이 복잡하고 클러치 삽탈이 확실하지 않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직류 전동기와 보조배터리 등으로 구성된 자중하강장치의 경우 일정 기간마다 배터리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large cities, it is also possible to build a remote control system (wired line) that can control the water gate while confirming the site where the water gate is installed by the drainage pumping station, city, and ward offices, Some motor-driven watercrafts have been improved to enable gear shifting or drive speed conversion using inverters at the point of time when a descending type winch is needed, and differential gear units, planetary gear reducers, electromagnetic clutches, DC motors and auxiliary batteries However, the apparatus is complicated in structure, the clutch is not surely inserted and remo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In case of the self-falling device composed of the DC motor and the auxiliary battery, the battery must be replaced every certain period It is true.

등록특허공보 제10-0961478호Patent Registration No. 10-096147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러치를 효과적으로 삽탈시켜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atercourse hoisting machine capable of effective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by effectively engaging and disengaging a clutc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하여 회전하며, 일면에 제1 연결기어가 마련되는 웜휠; 상기 제1 연결기어를 마주보는 면에 제2 연결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연결기어가 상기 제1 연결기어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웜휠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와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가 상기 웜휠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클러치 가이드; 상기 클러치 가이드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클러치 가이드 측으로 전달하는 기어 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기어는 상기 제1 연결기어와 착탈시 상기 클러치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driver; A second driver; A worm gear extending from the first driving unit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ing unit; A worm wheel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having a first connecting gear on one surface thereof; A clutch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worm wheel opposite to the first coupling gear, the second coupling gear being movable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so that the second coupling gear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coupling gear; A clutch guide connected to the clutch and guiding the clutch to move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And a gea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drive unit to the clutch guide sid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lutch guide,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gear is rotatable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clutch when attaching /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water hoist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기어 모듈은,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기어; 상기 클러치 가이드와 연결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각각 치합하는 복수개의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클러치 가이드로 전달하는 전동입력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ear module may include: a first gear rotatably disposed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gear connected to the clutch guide; And a plurality of gears meshing with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drive unit to the clutch guide.

또한, 상기 클러치 가이드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에 편향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lutch guide is biased to one sid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gear.

또한, 상기 제1 연결기어 및 상기 제2 연결 기어 중 어느 하나는 내접 기어로 마련되며, 다른 하나는 외접 기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gear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is provided as an internal gear and the other is provided as an external gear.

또한, 상기 제1 연결기어 또는 상기 제2 연결 기어의 기어 이빨은 상기 제2 연결기어 또는 상기 제1 연결기어에 근접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ear teeth of the first coupling gear or the second coupling gear are narrower in width as they approach the second coupling gear or the first coupling gear.

또한, 상기 제2 연결기어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틀림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비틀림안내 홈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coupling gear is formed with a torsional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lutch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orsional guide groove.

또한, 상기 비틀림안내 홈은 길이가 상기 제2 연결기어의 한 피치 이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orsional guide groove is provided within a pitch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또한, 상기 제2 연결기어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중심 조정홈으로 돌출되되 폭이 상기 중심 조정홈의 폭보다 작게 마련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중심 조정홈의 내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돌출부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utch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adjusting groove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of the center adjusting groove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adjusting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enter adjusting groove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를 효과적으로 삽탈하여 내접 기어 또는 외접 기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reakage of the internal gear or the external gear by removing the clutch effectively.

또한, 외접 기어와 내접 기어의 기어 이빨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외접 기어와 내접 기어의 맞물림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by setting the gear teeth shape of the external gear and the internal gear, the engagement ratio between the external gear and the internal gear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클러치의 착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수문의 개폐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역류에 의한 침수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gate can be performed quickly by perform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lutch quickly and accurately, thereby minimizing the flood damage caused by the back f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웜휠과 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웜휠과 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와 제2 연결기어의 장착시 제2 연결기어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a water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orm wheel and a clutch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watercourse hoist according to FIG. 1,
3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orm wheel and the clutch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water gate winch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necting gear is mounted on a first connecting gear in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a water gate winch according to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necting gear is mounted on a first connecting gear in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a water gate winch according to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gea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gear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water gate winch according to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gea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gear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water gate winch according to FIG. 1,
FIG. 8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upling gear is twisted when the first coupling gear and the second coupling gear are installed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hydrometric winch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ater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a water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100)는 수문권양기 측에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와 웜기어(130)와 웜휠(140)과 클러치(150)와 클러치 가이드(160)와 기어 모듈(1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transmit power to a side of a water hoist, and includes a first drive unit 110, a second drive unit 120, And includes a worm gear 130, a worm wheel 140, a clutch 150, a clutch guide 160, and a gear module 170.

상기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주지한 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driving unit 11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20 provide power and correspond to well-known technologi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20)는 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ing unit 11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20 may be provided as a mo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웜기어(130)는 제1 구동부(110)와 연결되며, 제1 구동부(110)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부재이다. The worm gear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art 110 and extends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ing part 1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웜기어(130)의 외주면 상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후술할 웜휠(140)의 나사산과 치합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ad is formed along the spir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gear 130, and the thread is engaged with the thread of the worm wheel 1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웜휠(140)은 상술한 웜기어(130)와 치합하는 부재이다. The worm wheel 140 is a member that meshes with the worm gear 13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웜휠(140)은 외주면 상에 웜휠(14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산이 상술한 웜기어(130)와 치합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m wheel 140 has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140, and these threads mate with the worm gear 130 described above.

즉, 제1 구동부(110)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은 웜기어(130)와 웜휠(14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That is,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first driving unit 110 can be switched by the worm gear 130 and the worm wheel 140.

여기서, 웜기어(130)와 웜휠(140)은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더 정확하게는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90˚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worm gear 130 and the worm wheel 140 are arranged so that their rotation axes cross each other, or more precisely, the respective rotation axes form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웜휠(140)의 일면, 더 정확하게는 후술할 클러치(150)를 마주보는 면에는 제1 연결기어(141)가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제2 연결기어(151)와의 관계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necting gear 141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worm wheel 140, more specifically, on a surface facing the clutch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웜휠과 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웜휠과 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orm wheel and a clutch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hydrometric winch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orm wheel and the clutch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hydrometric winch according to FIG. 1, .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150)는 수문권양기 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웜휠(140)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2 or FIG. 3, the clutch 150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moving or blocking power to the hoistway winch 140, and is movable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14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치(150)에서 웜휠(140)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술한 제1 연결기어(141)에 대응되는 제2 연결기어(151)가 마련되며, 클러치(150)에 움직임에 따라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ear 141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clutch 150 facing the worm wheel 140,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0064]

한편,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의 연결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연결기어(141)는 내접기어 또는 외접기어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연결기어(151)는 외접기어 또는 내접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first connection gear 141 and a second connection gear 151. [ 151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gear or an internal gear.

즉, 제1 연결기어(141) 및 제2 연결기어(151) 중 어느 하나는 내접 기어로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외접 기어로 마련되어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가 서로 치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at is, one of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provided as an internal gear and the other is provided as an external gear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prepared to match.

여기서,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 각각의 기어 이빨은 제2 연결기어(151) 또는 제1 연결기어(141)와 근접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gear teeth of 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as they are closer to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or 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

가령, 각각의 나사 이빨은 삼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each screw tooth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기어(141)가 외접기어로 마련되고 제2 연결기어(151)가 내접기어로 마련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후술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is provided as an external gear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provided as an internal gear.

한편, 상기 제2 연결기어(151)의 외주면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비틀림 안내홈(152)이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150) 상에는 제2 연결기어(151)의 비틀림 안내홈(152) 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53)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a torsional guide groove 152 is formed which is recessed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first protrusion 153 protruding toward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of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is formed on the clutch 1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비틀림 안내홈(152) 및 제1 돌출부(153)는 제2 연결기어(151)의 상부에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ist guide groove 152 and the first projection 153 are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제2 연결기어(151)는 비틀림 안내홈(152)에 의해 클러치(150)와는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러한 회전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기어(151)의 비틀림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rotatable independently of the clutch 150 by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Explain that twisting occurs.

한편, 비틀림 안내홈(152)은 제2 연결기어(151)의 비틀림 정도를 제한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2 연결기어(151)는 제1 돌출부(153)가 비틀림 안내홈(152)의 내벽면에 접촉할 때까지 비틀림 발생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torsional guide groove 152 restricts the degree of twisting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can be twisted until the first projection 15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클러치(150)와 제2 연결기어(151) 사이에는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arings may be mounted between the clutch 150 and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to facilitate the move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틀림 안내홈(152)은 제2 연결기어(151)의 나사 이빨의 한 피치 이내로 길이가 설정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sional guide groove 152 is set within a pitch of the screw teeth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비틀림 안내홈(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연결기어(151)는 클러치(150) 상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며, 이러한 움직임은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에 착탈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can move relative to the clutch 1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can move relative to 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It can be utilized when it is attached and detached.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 측에 장착되는 경우, 제2 연결기어(151)가 직선상으로만 움직인다면, 제2 연결기어(151)의 나사산과 제1 연결기어(141)의 나사산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제1 연결기어(141) 및 제2 연결기어(1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나사산을 파손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mounted on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side, i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moves only in a straight line, A collision may occur between the threads of 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and 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This may damage the thread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

더 나아가,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 측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2 연결기어(151)에 소정의 비틀림이 발생한다면,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 측에 더 효과적으로 맞물릴 수 있어,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의 맞물림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is twisted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on the first coupling gear 141 side, The engagement ratio of the first connection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153)는 클러치(150)의 외면으로부터 인입되되 일부가 비틀림 안내홈(152) 측으로 돌출되는 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trusion 15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lutch 150 and partially protruding toward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제2 연결기어(151)의 외주면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중심 조정홈(154)이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150) 상에는 제2 연결기어(151)의 중심 조정홈(154)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55)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a center adjusting groove 154 which is recessed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 second protrusion 15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djusting groove 154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formed on the clutch 1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중심 조정홈(154) 및 제2 돌출부(155)는 제2 연결기어(151)의 하부에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adjustment groove 154 and the second projection 155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제2 돌출부(155)는 직경이 중심 조정홈(154)의 폭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55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adjusting groove 154.

또한, 제2 돌출부(155)와 중심 조정홈(154)과의 벽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156)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15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155 and the wall surface of the center adjustment groove 154.

이를 통해,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의 착탈시 제2 연결기어(151) 측에 소정의 비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의 착탈이 완료된 이후에는 탄성 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Even if a predetermined twist occurs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when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are attached or detached,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151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6 after the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elastic member 156 is comple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156)의 길이는 제2 돌출부(155)와 중심 조정홈(154)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마련되고, 제2 돌출부(155)는 중심 조정홈(154)의 길이방향으로의 폭이 중심 조정홈(154)의 폭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156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155 and the center adjustment groove 154 and the second projection 155 is provided in the center adjustment groove 154 May be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adjusting groove 15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따라, 제1 돌출부(153)가 비틀림 안내홈(152)의 내벽면 상에 접촉하더라도, 제2 돌출부(155)는 중심 조정홈(154)의 내벽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제2 돌출부(155)와 중심 조정홈(154)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이 소정의 간격에 탄성 부재(156)가 압축된 상태로 개재된다.The second projection 155 does not contac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enter adjustment groove 154 even if the first projection 153 contact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 That is,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55 and the center adjusting groove 154, and the elastic member 156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predetermined interval.

따라서, 제2 연결부재(151)의 비틀림이 종료하면 탄성 부재(156)는 탄성력에 의해 제2 돌출부(155)를 중심 조정홈(154)의 내벽면 측으로부터 밀어내고 제2 연결부재(151)는 최초 위치로 중심을 맞출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56 pushes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55 from the inner wall surface side of the center adjusting groove 154 by the resilient force, Can be centered on the initial position.

또한, 클러치(150)의 외면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며, 후술할 클러치 가이드(160)의 단부가 연결되는 클러치 가이드 홈(155)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lutch guide groove 155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utch 150 so as to be recessed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clutch guide 160 to be described la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클러치(150)의 타측, 더 정확히는 제1 연결기어(141)를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에는 수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감속기 박스(미도시)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156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box (not shown) for opening the worm gat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utch 150, more specific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

여기서, 동력전달부(156)는 제2 연결기어(151)의 회전축을 따라 클러치(150)를 관통하는 출력축(S)과 연결된다. 더 정확히 설명하면, 출력축(S)은 클러치(150)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내삽되되 타단은 동력전달부(156) 측에 고정된다. Here,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156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S passing through the clutch 150 along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More specifically, the output shaft S is inserted into the clutch 150 without being partially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156 side.

상기 클러치 가이드(160)는 제2 구동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클러치(150)의 제2 연결기어(151)가 웜휠(140)이 제1 연결기어(141) 측에 착탈되도록 클러치(150)를 웜휠(140)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부재이다.The clutch guide 160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driving unit 120 and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of the clutch 150 is coupled to the clutch gear 160 so that the worm wheel 14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coupling gear 141 150)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14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치 가이드(160)의 일단은 상술한 클러치(150)의 클러치 가이드홈(155)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제2 기어(172)에 연결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lutch guide 160 is connected to the clutch guide groove 155 of the clutch 150 described abov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17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더 나아가, 클러치 가이드(160)의 타단은 제2 기어(172)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게 연결됨으로써, 제2 기어(172)의 회전시 클러치 가이드(160)가 웜휠(140)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other end of the clutch guide 160 is biased from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gear 172 to one side so that the clutch guide 160 is rotated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140 when the second gear 172 rotates. So that it can be moved.

상기 기어 모듈(170)은 상술한 것과 같이 클러치 가이드(160)가 웜휠(140)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 구동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클러치 가이드(160) 측으로 전달하는 모듈이다.The gear module 170 is a modul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driving part 120 and transmits the power to the clutch guide 160 side so that the clutch guide 160 moves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140,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어 모듈(170)은 제1 기어(171)와 제2 기어(172)와 전동입력축(173)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 module 170 includes a first gear 171, a second gear 172, and a transmission input shaft 173.

상기 제1 기어(171)는 제2 구동부(120)와 연결되며, 제2 구동부(120)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부재이다.The first gear 171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120 and is rotatably disposed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iving unit 120.

상기 제2 기어(172)는 클러치 가이드(160)의 타단과 연결되는 부재이다.The second gear 17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lutch guide 160.

상기 전동입력축(173)은 제1 기어(171)와 제2 기어(172) 사이를 연결하여, 제2 구동부(120)의 동력을 제1 기어(171)에서 제2 기어(172) 측으로 전달하는 부재이다.The electric input shaft 173 connects the first gear 171 and the second gear 172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second drive unit 120 from the first gear 171 to the second gear 172 side Member.

여기서, 전동입력축(173)은 일단에는 제1 기어(171)와 연동하는 제3 기어(17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기어(172)와 연동하는 제4 기어(175)가 형성된다. The power input shaft 173 has a third gear 174 coupled to the first gear 171 at one end and a fourth gear 175 coupled to the second gear 172 at the other en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어(171)와 제3 기어(173)는 각각 베벨기어로 마련되며, 제2 기어(172)와 제4 기어(174)는 각각 헬리컬 기어로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gear 171 and the third gear 173 are respectively provided as bevel gears and the second gear 172 and the fourth gear 174 are respectively driven by helical gea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2 기어(172)에서 클러치 가이드(160)와 연결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는 레버(180)가 마련되며, 레버(180)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기어(172)의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특히, 레버(180)는 제2 구동부(120)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수동으로 조작하여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A lever 180 is provided on a side of the second gear 172 opposite to the side connected to the clutch guide 160. The lever 180 rotates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gear 172 So that the direction can be switched. In particular, when the power is no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riving unit 120, the lever 180 is manually operated to open and close the gate.

지금부터는 상술한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the above-described hydrometric hois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라 수문권양기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과정을 살펴본다.The process of delivering or shutting down the power to the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4는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nection gear is mounted on a first connection gear in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water gate winch according to FIG. 1, FIG. 5 is a cross-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necting gear is mounted on one connecting gear.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수문권양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제2 구동부(120)가 일방향, 가령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력이 기어 모듈(170)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1 기어(171), 제3 기어(174), 전동입력축(173), 제4 기어(175) 및 제2 기어(172) 측으로 동력이 전달된다.4 or 5, when the second drive part 1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when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water gate winch, the power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gear module 170 to the first gear 171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third gear 174, the electric input shaft 173, the fourth gear 175 and the second gear 172 side.

여기서, 제2 기어(172)의 회전에 따라 클러치 가이드(160)는 클러치(150)가 웜휠(140)에 접근하도록 클러치(150)를 이동시키며,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에 장착된다.The clutch gear 160 moves the clutch 150 in such a manner that the clutch 150 approaches the worm wheel 140 and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moves the first coupling gear 151, (Not shown).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110)로부터의 동력은 웜기어(130), 웜휠(140) 및 클러치(150) 순으로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동력전달부(156) 측으로 전달된다.The power from the first driving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worm gear 130 in the order of the worm wheel 140 and the clutch 15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And finally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156 side.

도 6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에 제2 연결기어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gea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gear in th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the water gate winch according to FIG. 1, and FIG. 7 is a cross-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gea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gear.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이와 반대로, 수문권양기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경우, 제2 구동부(120)가 타방향, 가령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력이 기어 모듈(170)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1 기어(171), 제3 기어(174), 전동입력축(173), 제4 기어(175) 및 제2 기어(172) 측으로 동력이 전달된다.6 or 7, on the contrary, when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water gate winch is cut off, when the second driving part 12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gear module 170 Power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171, the third gear 174, the electric power input shaft 173, the fourth gear 175 and the second gear 172 side.

여기서, 제2 기어(172)의 회전에 따라 클러치 가이드(160)는 클러치(150)가 웜휠(140)로부터 이격되도록 클러치(150)를 이동시키며,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로부터 분리된다.The clutch gear 160 moves the clutch 150 such that the clutch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worm wheel 140. When the second coupling gear 151 is rotated by the first coupling gear 151, (Not shown).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110)로부터의 동력은 웜기어(130) 및 웜휠(140)로는 전달되나, 클러치(150)는 전달되지 못하고, 최종적으로 동력전달부(156) 측에도 전달되지 못한다.The power from the first driving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worm gear 130 and the worm wheel 140 while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150 can not be transmitted and finally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156 side.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100)의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가 착탈되는 과정에서, 제2 연결기어(151)에 소정의 비틀림이 발생한다.In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of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through the above- Lt; / RTI >

도 8은 도 1에 따른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연결기어와 제2 연결기어의 장착시 제2 연결기어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upling gear is twisted when the first coupling gear and the second coupling gear are installed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hydrometric winch according to FIG. 1;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결기어(141)와 제2 연결기어(151)가 착탈시, 제2 연결기어(151)는 클러치(150)와는 독립적으로 클러치(15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회전을 하게 되며, 더욱 효과적으로 제1 연결기어(141) 측에 장착된다.8, when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are attached and detached,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mo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lutch 150, independently of the clutch 150, And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more effectively.

여기서, 제2 연결기어(151)의 비틀림 정도는 비틀림 안내홈(152)의 일측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제1 돌출부(153)가 비틀림 안내홈(152)의 내벽면에 접촉하면 비틀림 운동이 제한된다.The degree of twist of the second connection gear 151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When the first projection 153 contact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orsion guide groove 152, do.

이에 따라, 제3 돌출부(155)는 중심 조정홈(154)의 내벽면 측으로 근접하며, 제3 돌출부(155)와 중심 조정홈(154) 사이의 탄성 부재(156)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As a result, the third projection 155 comes close to the inner wall surface side of the center adjustment groove 154, and the elastic member 156 between the third projection 155 and the center adjustment groove 154 maintains the compressed state .

여기서, 탄성 부재(156)는 제2 연결기어(151)가 제1 연결기어(141)로부터 이탈하면, 제2 돌출부(155)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2 연결기어(151)에 소정의 비틀림 운동을 발생시켜 제2 연결기어(151)의 위치를 최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gear 141, the elastic member 156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155 so that a predetermined twis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151 can be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례 또는 변형례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see.

100: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110: 제1 구동부
120: 제2 구동부 130: 웜기어
140: 웜휠 150: 클러치
160: 클러치 가이드 170: 기어 모듈
100: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water gate winch 110:
120: second driving unit 130: worm gear
140: Worm wheel 150: Clutch
160: clutch guide 170: gear module

Claims (8)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하여 회전하며, 일면에 제1 연결기어가 마련되는 웜휠;
상기 제1 연결기어를 마주보는 면에 제2 연결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연결기어가 상기 제1 연결기어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웜휠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와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가 상기 웜휠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클러치 가이드;
상기 클러치 가이드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클러치 가이드 측으로 전달하는 기어 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기어는 상기 제1 연결기어와 착탈시 상기 클러치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A first driver;
A second driver;
A worm gear extending from the first driving unit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ing unit;
A worm wheel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having a first connecting gear on one surface thereof;
A clutch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worm wheel opposite to the first coupling gear, the second coupling gear being movable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so that the second coupling gear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coupling gear;
A clutch guide connected to the clutch and guiding the clutch to move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wheel;
And a gea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part to the clutch guide sid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lutch guide,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is rotatably provided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clutch when the first connection gear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모듈은,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기어; 상기 클러치 가이드와 연결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각각 치합하는 복수개의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클러치 가이드로 전달하는 전동입력축;을 포함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ar module includes:
A first gear rotatably disposed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gear connected to the clutch guide; And a plurality of gears meshing with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unit to the clutch gu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가이드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에 편향되게 연결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lutch guide is biased to one sid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기어 및 상기 제2 연결 기어 중 어느 하나는 내접 기어로 마련되며, 다른 하나는 외접 기어로 마련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first connecting gear and the second connecting gear is provided as an internal gear and the other is provided as an external gea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기어 또는 상기 제2 연결 기어의 기어 이빨은 상기 제2 연결기어 또는 상기 제1 연결기어에 근접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ear teeth of the first connecting gear or the second connecting gear are narrower in width as they approach the second connecting gear or the first connecting gea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기어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틀림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비틀림안내 홈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torsional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Wherein the clutch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orsional guide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안내 홈은 길이가 상기 제2 연결기어의 한 피치 이내로 마련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orsionally guiding groove is provided within a pitch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기어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중심 조정홈으로 돌출되되 폭이 상기 중심 조정홈의 폭보다 작게 마련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중심 조정홈의 내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돌출부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수문권양기의 동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center adjusting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gear,
Wherein the clutch ha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adjusting groove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adjusting groove and a second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enter adjusting groove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water gate winch with an elastic member.

KR1020150065817A 2015-05-12 2015-05-1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KR101535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17A KR101535167B1 (en) 2015-05-12 2015-05-1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17A KR101535167B1 (en) 2015-05-12 2015-05-1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167B1 true KR101535167B1 (en) 2015-07-10

Family

ID=5379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817A KR101535167B1 (en) 2015-05-12 2015-05-1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1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040B1 (en) * 2015-09-25 2016-07-29 우일산업 주식회사 Floodgate winch and method for operation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44U (en)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A wrinch capable of being driven by manual/driving force
KR200272602Y1 (en) * 2002-01-03 2002-04-18 봉하근 Floodgate heave equipment
KR100961478B1 (en) * 2007-03-20 2010-06-08 김이수 Automatic/manual conversion apparatus for winch
KR101179213B1 (en) * 2011-06-16 2012-09-03 주식회사 한일수기 Water door of roll lift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44U (en) * 1999-05-21 2000-12-15 김종진 A wrinch capable of being driven by manual/driving force
KR200272602Y1 (en) * 2002-01-03 2002-04-18 봉하근 Floodgate heave equipment
KR100961478B1 (en) * 2007-03-20 2010-06-08 김이수 Automatic/manual conversion apparatus for winch
KR101179213B1 (en) * 2011-06-16 2012-09-03 주식회사 한일수기 Water door of roll lift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040B1 (en) * 2015-09-25 2016-07-29 우일산업 주식회사 Floodgate winch and method for operation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925B1 (en) Floodgate winch with manual descent control
KR100509011B1 (en) Power change device of a water gate winding machine
KR101535167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KR101535166B1 (en) Automatic/manual conversion apparatus for floodgate winch
KR102423314B1 (en) Floodgate winch with smart fast shutoff function and that can be remotely operated to switch between electric mode and manual mode
KR101642040B1 (en) Floodgate winch and method for operation the same
KR100823211B1 (en) Floodgate winch
KR20170035205A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f Gate
CN218969926U (en) Water conservancy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659059B1 (en) Floodgate
JP2007308936A (en) Watertight door device
KR20080099950A (en) A floodgate device
KR20090006443A (en) Apparatus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floodgate
KR200386255Y1 (en) Winch for sluice gate
KR100944224B1 (en) Variable winch for floodgate
KR101026735B1 (en) Power And Manual Operated Opening and Shutting Watergate
KR101257758B1 (en) Drum type automatic winch
KR100991199B1 (en) Apparatus of preventing overload for floodgate
KR20150128272A (en) Buried sluice
KR101067928B1 (en) Water gate winch
KR100596023B1 (en) Sluice Gate
KR100521250B1 (en) Torque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hoist for flood gate
KR101194279B1 (en) Actuator for hinged gate
KR100245631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opping floodgate
KR102623635B1 (en) WATER GATE DEVICE, MOISTURE DETECTOR TO CHECK REDUCER INCLUDED IN the WATER GATE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OF THE REDUCE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