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016B1 -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016B1
KR101535016B1 KR1020140044840A KR20140044840A KR101535016B1 KR 101535016 B1 KR101535016 B1 KR 101535016B1 KR 1020140044840 A KR1020140044840 A KR 1020140044840A KR 20140044840 A KR20140044840 A KR 20140044840A KR 101535016 B1 KR101535016 B1 KR 10153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black box
roa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슬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016B1/ko
Priority to US14/482,749 priority patent/US91547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도로의 환경(상태)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 인터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부호화 모드의 결정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처리(저장)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도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도로정보가 시외도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도로정보가 시내도로이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도록 상기 부호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OF VEHICULAR BLACK BOX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도로의 환경(상태)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을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로 부호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의 부호화 과정은 영상의 전처리, 움직임 추정과 보상, 변환(Transform), 양자화(Quantization), 가변장 부호화(VLC: Variable Length Coding), 부호화 모드의 결정, 전송률 제어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부호화 모드의 결정은 정수 화소 단위의 움직임을 추정한 후에, 각각의 매크로 블록(Macro Blcok)에 대하여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 혹은 인터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인트라 모드에서, 매크로 블록은 변환과 양자화 및 가변장 부호화 과정을 거쳐 부호화되며, 이 경우에 움직임 추정 및 보상은 필요 없다.
반면에, 인터 모드에서는 현재 블록에 대하여 움직임 추정이 이루어지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된 블록과의 변위로서 움직임 벡터(MV: Motion Vector)를 구한다.
그런 후, 상기 움직임 벡터(MV)로부터 움직임 보상 후, 현재 블록으로부터 예측된 블록의 화소값을 빼줌으로써 차 블록(Residual Block)을 만든 다음, 차 블록에 대하여 인트라 매크로 블록과 같은 방법으로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움직임 벡터(MV) 및 차 블록의 텍스쳐(Texture) 정보가 복호기로 전송되며, 상기 복호기는 움직임 벡터에 의한 예측 블록에 양자화된 차 블록을 더함으로써 현재 블록에 대한 재구성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움직임이 적은 동영상은 시간적 상관성이 많기 때문에 현재 프레임(Frame)에서 차 블록의 잔류신호(residual)는 매우 작다.
따라서, 잔류신호를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비트(bit)의 수와 움직임 벡터를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비트의 수는,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비트의 수보다 적어진다. 이러한 경우는 인터 모드가 적합하다.
반면에, 빠른 움직임이나 물체의 움직임에 의해 겹쳐지거나 드러난 영역 발생 및 장면 전환이 일어날 경우, 매크로 블록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
따라서, 움직임 벡터 및 잔류신호를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비트의 수가 원래 영상의 블록을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비트의 수보다 많아지므로, 이런 경우는 인트라 모드로 원래 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이 부호화 효율 및 주관적 화질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은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의 결정에 있어서, 예측된 잔류신호(residual)의 에너지 및 원래 영상의 에너지를 비교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므로, 복잡한 연산 과정으로 인해 부호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도로의 환경(상태)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 인터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부호화 모드의 결정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처리(저장)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도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도로정보가 시외도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도로정보가 시내도로이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도록 상기 부호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교통정보(정체, 지체, 서행, 원활)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교통정보가 원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가 원활이 아니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도록 상기 부호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정보 수집부가 도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모드 결정부가 상기 수집된 도로정보가 시외도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도로정보가 시내도로이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부호화부가 상기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 및 저장부가 상기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정보 수집부가 교통정보(정체, 지체, 서행, 원활)를 수집하는 단계; 모드 결정부가 상기 수집된 교통정보가 원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가 원활이 아니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부호화부가 상기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 및 저장부가 상기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행도로의 환경(상태)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을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 인터 모드로 부호화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부호화 모드의 결정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처리(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는, 정보 수집부(10), 모드 결정부(20), 부호화부(30), 제어부(40), 및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정보 수집부(10)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정보(시외도로, 시내도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교통정보(정체, 지체, 서행, 원활)를 수집한다.
이러한 정보 수집부(10)는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기기를 통해 도로정보와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웹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등)와 연동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교통정보의 경우에는 라디오 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지상파 방송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외도로'란 행정구역상 시외에 위치한 도로를 통칭하고, '시내도로'란 행정구역상 시내에 위치한 도로를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시외도로는 도로 주변에 위치한 건물의 수가 적으나 시내도로는 도로 주변에 위치한 건물의 수가 많다.
또한, 일반도로에서의 '정체'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10km 이내인 경우를 의미하고, '지체'는 10km 초과 30km 이내인 경우를 의미하며, '서행'은 30km 초과 50km 이내인 경우를 의미하고, '원활'은 50km 초과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고속도로에서의 '정체'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m 이내인 경우를 의미하고, '지체'는 30km 초과 40km 이내인 경우를 의미하며, '서행'은 40km 초과 70km 이내인 경우를 의미하고, '원활'은 70km 초과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술한 '정체', '지체', '서행', '원활'에 대한 속도 구간은 일례로서, 국가마다 또는 각 국가의 지역마다 다를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내비게이션 기기는 도로의 종류에 맞는 교통정보(정체, 지체, 서행, 원활)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 수집부(10)는 내비게이션 기기가 제공하는 정보를 그대로 수집하면 된다.
결국, '정체', '지체', '서행', '원활'은 각각의 속도 구간을 가지며, 상기 속도 구간은 도로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다.
다음으로, 모드 결정부(20)는 하기의 2가지 방식으로 부호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1) 정보 수집부(10)가 수집한 정보가 도로정보인 경우, 상기 도로정보가 시외도로이면 한적한 도로로 판단하여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도로정보가 시내도로이면 복잡한 도로로 판단하여 인트라 모드로 결정한다.
2) 정보 수집부(10)가 수집한 정보가 교통정보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가 원활이면 교통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가 원활이 아니면 교통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인트라 모드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부호화부(30)는 모드 결정부(20)에 의해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는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는 모드 결정부(20)에 의해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도록 부호화부(30)를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저장부(50)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40)는 부호화부(30)에 의해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부(50)에 저장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정보 수집부(10)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정보를 수집한다(201).
이후, 모드 결정부(20)가 정보 수집부(10)에 의해 수집된 도로정보를 확인한다(202).
상기 확인결과(202), 상기 도로가 시외도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한다(203).
상기 확인결과(202), 상기 도로가 시내도로이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한다(204).
이후, 부호화부(30)가 모드 결정부(20)에 의해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한다(205).
이후, 저장부(50)가 부호화부(30)에 의해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한다(206).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정보 수집부(10)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교통정보(정체, 지체, 서행, 원활)를 수집한다(301).
이후, 모드 결정부(20)가 정보 수집부(10)에 의해 수집된 교통정보가 원활인지를 확인한다(302).
상기 확인결과(302), 원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한다(303).
상기 확인결과(302), 원활이 아니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한다(304).
이후, 부호화부(30)가 모드 결정부(20)에 의해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한다(305).
이후, 저장부(50)가 부호화부(30)에 의해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한다(306).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정보 수집부
20 : 모드 결정부
30 : 부호화부
40 : 제어부
50 : 저장부

Claims (10)

  1.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도로정보가 시외도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도로정보가 시내도로이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도록 상기 부호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기기로부터 도로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4.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교통정보가 원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가 원활이 아니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도록 상기 부호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기기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7. 정보 수집부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모드 결정부가 상기 수집된 도로정보가 시외도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도로정보가 시내도로이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부호화부가 상기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 및
    저장부가 상기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기기로부터 도로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
  9. 정보 수집부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모드 결정부가 상기 수집된 교통정보가 원활이면 인터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가 원활이 아니면 인트라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부호화부가 상기 결정된 부호화 모드로 블랙박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 및
    저장부가 상기 부호화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기기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0140044840A 2014-04-15 2014-04-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840A KR101535016B1 (ko) 2014-04-15 2014-04-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14/482,749 US9154793B1 (en) 2014-04-15 2014-09-1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recorded in black box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840A KR101535016B1 (ko) 2014-04-15 2014-04-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016B1 true KR101535016B1 (ko) 2015-07-07

Family

ID=5379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840A KR101535016B1 (ko) 2014-04-15 2014-04-15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54793B1 (ko)
KR (1) KR1015350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196A (ko) * 1993-04-14 1994-11-19 김광호 인터/인트라모드 부호화방법 및 장치
JP2000175162A (ja) * 1998-12-04 2000-06-2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KR20100003132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청림엔지니어링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KR20130029262A (ko) * 2011-09-14 2013-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136A (ko) 1999-12-24 2001-07-09 오길록 시공간 영역 특성을 이용한 인터/인트라 모드 판정 방법및 장치
KR20010069016A (ko) 2000-01-11 2001-07-23 구자홍 영상부호화기의 인트라/인터 부호화 모드의 결정방법
JP2001243477A (ja) * 2000-02-29 2001-09-07 Toshiba Corp 動画像による交通量解析装置
US8005145B2 (en) * 2000-08-11 2011-08-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video frame in telecommunication system
JP3790178B2 (ja) 2002-03-22 2006-06-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符号化におけるイントラ・インター判定方法,映像符号化装置,映像符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CN101755461B (zh) * 2007-07-20 2012-06-13 富士胶片株式会社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
WO2011093624A2 (ko) * 2010-01-26 2011-08-04 팅크웨어(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99332A (ko)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지피에스 데이터와 맵 기본 데이터를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영상 저장 방법
KR101331096B1 (ko) * 2012-03-21 2013-11-19 주식회사 코아로직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196A (ko) * 1993-04-14 1994-11-19 김광호 인터/인트라모드 부호화방법 및 장치
JP2000175162A (ja) * 1998-12-04 2000-06-2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KR20100003132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청림엔지니어링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KR20130029262A (ko) * 2011-09-14 2013-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54793B1 (en) 2015-10-06
US20150294162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41458A1 (en)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device
US20210409784A1 (en)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device
US11197027B2 (en)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device
JP3528548B2 (ja) 車両用動画像処理方法および車両用動画像処理装置
US11790561B2 (en)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device
CN111373447A (zh) 三维数据编码方法、三维数据解码方法、三维数据编码装置、以及三维数据解码装置
CN102036062B (zh) 视频编码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23145607A (ja) 三次元データ符号化方法、三次元データ復号方法、三次元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三次元データ復号装置
US11824562B2 (en)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device
CN101127912A (zh) 利用动态背景帧的视频编码方法
CN109688410A (zh) 以支持辅助帧的视频编码格式编码视频流的方法及编码器
CN105306883A (zh) 图像接收装置、图像传送系统和图像接收方法
CN112219227A (zh) 三维数据编码方法、三维数据解码方法、三维数据编码装置、以及三维数据解码装置
WO2021066160A1 (ja) 三次元データ符号化方法、三次元データ復号方法、三次元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三次元データ復号装置
WO2019240167A1 (ja) 三次元データ符号化方法、三次元データ復号方法、三次元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三次元データ復号装置
US20220028120A1 (en)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method, three-dimensional data encod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ata decoding device
CN113228107A (zh) 三维数据编码方法、三维数据解码方法、三维数据编码装置、以及三维数据解码装置
CN113519011A (zh) 三维数据编码方法、三维数据解码方法、三维数据编码装置、以及三维数据解码装置
CN117480778A (zh) 残差编码和视频编码方法、装置、设备和系统
WO2021054460A1 (ja) 三次元データ符号化方法、三次元データ復号方法、三次元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三次元データ復号装置
KR101535016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58402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084682B2 (ja) 符号化方法および符号化装置
Jankar et al. Adaptive block searching and fractional rate-distortion trade-off based motion estimation for HEVC encoder
Krishnegowda et al. Optimal coding unit decision for early termination in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using enhanced whale optimization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