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621B1 - wall-adhesion type plant pot - Google Patents

wall-adhesion type plant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621B1
KR101533621B1 KR1020120131292A KR20120131292A KR101533621B1 KR 101533621 B1 KR101533621 B1 KR 101533621B1 KR 1020120131292 A KR1020120131292 A KR 1020120131292A KR 20120131292 A KR20120131292 A KR 20120131292A KR 101533621 B1 KR101533621 B1 KR 10153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sliding
sliding groov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5666A (en
Inventor
정순진
이재욱
문지혜
이상미
송윤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621B1/en
Publication of KR2014006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꽃을 심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가 용기를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부착유닛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벽면 부착형 화분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은 벽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용기를 하부로 기울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심어신 꽃 얼굴이 하부에 있는 이용자 쪽으로 용이하게 보여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 wall-mounted flowerpot is disclosed that is attached to an attachment unit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ttaching a container to a wall surface, such that a container provided for planting flowers can be inclined.
The wall-mounted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ut on the contain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tilting the container downward even in a state where the wall-mounted flowerpot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on the wall, so that the flower face can be easily seen toward the user on the lower side.

Description

벽면 부착형 화분{wall-adhesion type plant pot}Wall-adhesion type plant pot "

본 발명은 벽면 부착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높은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아래쪽에 있는 이용자가 꽃 얼굴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도록 마련된 벽면 부착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flowerp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mounted flowerpot provided so that a user on the lower side can properly appreciate a flower face even when the flowerpot is attached at a high position on the wall.

일반적으로 벽면 부착형 화분은 주거공간이 협소한 도시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벽면 부착형 화분의 설치 높이는 통상 이용자의 눈높이 위쪽이 되는 경우가 많다. Generally, wall-mounted pollen is mainly used in a city having a narrow residential space, and the installation height of such a wall-mounted pollen is usually higher than the eye level of the user.

그러나 이와 같이 벽면 부착형 화분이 높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분에 심어진 꽃의 얼굴을 하부에 있는 이용자 쪽에서 제대로 볼 수 없게 되어 꽃을 감상하기 위한 화분의 실제 이용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However, when the wall-mounted type pollen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face of the flower planted in the flowerpot can not be seen properly on the user side at the bottom, and the practical use value of the flowerpot to appreciate the flower is lowered.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분의 설치 위치를 낮게 바꿀 경우에는 화분으로 인해 협소한 주거공간의 공간활용도가 저해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ollen is changed to a lower position to prevent this, another problem arises tha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narrow residential space is hindered by the pollen.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17775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1777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하부의 이용자 쪽으로 꽃 얼굴이 잘 보여질 수 있도록 마련된 벽면 부착형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mounted flowerpot which is provided so that a flower face can be clearly seen toward a user of a lower portion even in a state where the wall face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은 꽃을 심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를 벽면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된 부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wall-mounted pot flower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provided for planting flowers and an attachment unit provided to adhere the container to a wall surface, .

상기 용기는 힌지를 통해 상기 부착유닛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ontain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ttachment unit via a hing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용기는 상부로 최대 회동된 상태에서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부착유닛은 전면을 통해 상부로 최대 회동된 용기의 배면을 지지되도록 마련된 부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부착판 저부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ainer is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to its uppermost position, and the attachment unit includes an attachment plate provided to support a backside of a container which is rotated to the uppermost position via a front surface, Is hingedly coupled to the base.

상기 용기는 수직상태에서 90도 미만의 기울기 범위를 가지며, 상기 기울기 범위 내에서 상기 용기는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ainer has a tilt range of less than 90 degrees in a vertical state, and the container can be fixed in an inclined state at an arbitrary angle within the tilt range.

상기 용기는 상기 부착유닛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프리스톱(free stop)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ainer is coupled to the attachment unit via a hinge, and the hinge includes a free stop hinge.

상기 용기는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측벽에 있어서 적어도 전방 쪽 측벽은 상부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ain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pened to the top and at least a sidewall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so as to extend upward.

상기 측벽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슬라이딩홈이 마련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딩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liding wal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be open to the upper side, and the side wall includes a sliding wall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상기 슬라이딩 벽체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liding wall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a sliding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wall, and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wall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slid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latching grooves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상기 용기는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개방부 쪽에는 흙을 포함하여 상기 꽃이 심어지도록 상기 용기 내부에 채워지는 내용물을 덮도록 덮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ainer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opened to the top and a lid member is provid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container so as to cover the contents to be filled in the container so as to plant the flower including soil.

상기 덮개부재는 메시(mesh)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lid member is provided in a mesh for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은 꽃을 심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가 벽면에 부착되도록 마련된 부착유닛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ll-mounted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attachment unit provided for attaching the flowerpot-mounted container to the wall surface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은 벽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용기를 한쪽으로 기울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심어신 꽃 얼굴이 하부에 있는 이용자 쪽으로 용이하게 보여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wall-mounted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ut on the container through the simple operation of tilting the container to one side even in a state where the wall-mounted flowerpot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of the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꽃이 심어진 상태의 용기가 지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도 2의 상태에서 벽면 전방 쪽으로 용기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꽃이 심어진 상태의 용기가 벽면 전방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all-mounted pot fl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ll-mounted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tainer in which flowers are planted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tainer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wall in the state of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wall-mounted pot flow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ll-mounted po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tainer in which flowers are planted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wal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1)은 꽃을 심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10)와, 용기(10)를 벽면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된 부착유닛(20)을 구비한다. 1 and 2, the wall-mounted pot flow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10 provided for planting flowers, a container 10 for attaching the container 10 to the wall surface, And an attachment unit 20 provided thereon.

이중 먼저 부착유닛(20)은 배면이 벽면(2)의 벽면(2a)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부착판(21)과, 부착판(21)에 설치되는 자석(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1)은 자석(22)의 자력을 통해 금속 재질과 같이 자석을 붙을 수 있도록 마련된 벽면(2)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attachment unit 20 includes an attachment plate 21 whose back surface is supported by the wall surface 2a of the wall surface 2 and a magnet 22 provided on the attachment plate 21. [ Accordingly, the wall-mounted pot flow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2 provided so as to attach the magnet like a metal material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2.

자석(22)의 설치를 위해 부착판(21) 배면에는 벽면 쪽으로 개방된 설치홀(21a)이 형성되며, 자석(22)은 이러한 설치홀(21a)에 삽입되도록 부착판(21)에 설치된다. A mounting hole 21a is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1 so as to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1 so that the magnet 22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1a .

본 실시예와 달리 부착유닛(20)은 용기(10)를 벽면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부착될 벽면의 재질과 형태를 고려하여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attachment unit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other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wall to be attach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tainer 1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일례로 부착유닛은 부착판 배면에 암벨크로를 설치하여 벽면에 설치된 수벨크로에 결합시킴으르써, 암ㆍ수벨크로 간의 결합력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ttachment unit may be provided to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b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velcro by attaching the female velcro to the back of the attachment plate and bonding the male and female velcro to the wall.

한편, 용기(10)는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용기(10)의 내부에는 꽃(3)과 같은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상토 등의 흙(4)이 충진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1)은 벽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하부의 이용자 쪽으로 화분(1)에 심어진 꽃 얼굴(3a)이 잘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가 상기 부착판(21)에 기울기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pened to the upper part, and the soil 4 such as the top soil is filled in the container 10 so as to plant a plant such as the flower 3. In this embodiment, The wall-mounted flowerp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flower face 3a laid on the flowerpot 1 can be well seen toward the user at the bottom even when the flowerpot 1 is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on the wall, )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이를 위해 용기(10)는 힌지(30)를 통해 상기 부착판(21)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힌지(30)를 중심으로 용기(10)를 벽면 전방 쪽으로 기울이게 될 경우 상부로 연장되어 있던 꽃 얼굴(3a)은 하부 쪽으로 더 많이 보여질 수 있도록 비스듬히 눕혀진 상태가 된다. To this end, the container 10 is coupled to the attachment plate 21 via a hinge 30 so as to be pivotable in the up-and-down direction. As a result, the container 10 is moved toward the front of the wall When tilted, the flower face 3a extending to the upper side is laid down so as to be seen more toward the lower side.

도 2와 같이, 용기(10)는 상부로 최대 회동된 상태에서 개방부가 상부를 향하면서 지면과 수직을 이루게 되고, 이때 용기(10)의 배면은 부착판(21) 전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용기(10)를 벽면(2a)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킬 수 있게 용기(10)는 부착판(21) 저부에 힌지 결합되며, 용기(10)를 기울이는 과정 중에 용기(10)의 기울기를 이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30)로는 프리스톱(free stop)힌지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ainer 10 is vertically rotated with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ontainer 10 turned upward while the opening portion is directed upward. At this time, the back surface of the container 10 is stably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21 The container 10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plate 21 so that the container 10 can be pivoted to be tilted forward of the wall 2a in this state, It is preferable to adopt a free stop hinge as the hinge 30 so that the slope of the hinge 30 can be selectively fixed at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Thus, the container can be securely fixed at various angles as shown in Fig.

힌지 결합을 위해 용기(10)의 양측에는 부착판(21)과의 힌지 결합을 위해 용기(10) 후방 쪽으로 한 쌍의 연결편(11)이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한 쌍의 연결편(11)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부착판(21)의 저부 일측면에 고정된 상기 힌지(30) 타단에 결합되어 용기(10)의 힌지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A pair of connecting pieces 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0 for hinge connection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container 10 for hinge connection with the mounting plate 21. The pair of connecting pieces 11 At least on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30 fixed to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plate 21 so that the hinge rotation of the container 10 is enabled.

또 용기(10) 내부에 충진되는 흙(4)이나 흙(4)에 공급되는 수분이 용기(10)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도록 하부로 회동되는 용기의 회동각은 직립 상태로부터 90도보다 작게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분이 공급된 흙(4)의 경우 어느 정도 유동성이 커서 용기가 90도보다 적은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용기(10)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갖게 된다.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ainer which is rotated downward so as to prevent the water supplied to the soil 4 or the soil 4 filled in the container 10 from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10 is limited to less than 90 degrees from the standing state. However, in the case of the soil 4 supplied with water, the fluidity is somewhat high, and the contain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 even when the container is inclin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10)의 측벽에 있어서 전방 쪽 측벽(12)은 상부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되어 용기(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부로 신장되면서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용기(10)의 측벽(12)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벽체(40)를 통해 상부로 신장이 가능하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ront side wall 12 of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1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xtend upwardly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0 are expanded in the container 10 And the side wall 12 of the container 10 is allowed to extend upwardly through the sliding wall body 40 which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벽체(40)의 설치를 위해 측벽(12)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는 상부로 개방된 슬라이딩홈(12a)이 마련되며, 슬라이딩벽체(40)는 이러한 슬라이딩홈(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측벽(12)의 길이를 상부로 신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용자가 슬라이딩벽체(40)를 슬라이딩 동작시킬 때 손가락을 쉽게 걸 수 있도록 슬라이딩벽체(40)의 상부 외면에는 손잡이(4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3, a sliding groove 12a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liding wall 40. The sliding wall 40 is formed with the sliding groove 12a The length of the side wall 12 can be extended to the upper side while being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andle 41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wall 4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sert a finger when the user slides the sliding wall 40.

이러한 슬라이딩벽체(40) 및 슬라이딩홈(12a)은 본 실시예와 같이 용기(10)의 전방 쪽 측벽(12) 쪽에만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10)의 측방 쪽 측벽을 통해서도 유출될 우려가 없도록 슬라이딩벽체(40)와 슬라이딩홈(12a)은 용기(10)의 후방 측벽 쪽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the sliding wall 40 and the sliding groove 12a may be formed only on the side wall 12 of the front side of the container 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wall 40 and the sliding groove 12a may be extended to the rear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sliding wall 40 and the sliding groove 12a may not leak out through the side wal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100)에 있어서, 슬라이딩 벽체(40′)는 슬라이딩홈(12a′)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4, in the wall-mounted po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wall 4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12a'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이를 위해 슬라이딩홈(12a′)의 내면에는 걸림홈(12b)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벽체(40′) 외면에는 슬라이딩홈(12a′)에 대한 슬라이딩 벽체(40′)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걸림홈(12b)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돌기(42)가 마련되며, 걸림홈(12b)은 용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된다. To this end, a locking groove 12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12a ',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wall 40', the sliding wall 40 ' And a plurality of latching grooves 12b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The latching grooves 12b are formed in the latching grooves 12b.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돌기(42)가 걸리게 되는 걸림홈(12b)의 위치에 따라 슬라이딩 벽체(40′)를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보다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걸림홈(12b)과 걸림돌기(42)의 위치는 걸림홈(12b)이 슬라이딩 벽체(40′)에 형성되고 걸림돌기(42)가 슬라이딩홈(12a′) 내면에 형성되도록 상호 바뀔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wall body 40 'can be more securely fixed in a height-adjusted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12b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42 is hooked. The engagement grooves 12b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s 42 are formed such that the engagement grooves 12b are formed in the sliding wall body 40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s 4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12a ' Mutually interchangeable.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화분(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 5와 같이, 기울어진 용기(10′) 내부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상기 슬라이딩벽체(40)를 이용하는 방식 대신 용기(10′)의 개구부 쪽에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덮도록 덮개부재(50)를 설치함으로써도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pot 200 in accordance with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ing the contents in the inclined container 10 'from flowing out can prevent the sliding wall 40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lid member 50 so as to cover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10 'on the opening side of the container 10' instead of using the container 10 '.

덮개부재(50)는 흙(4)과 같은 용기(10′) 내부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식물 줄기가 통과할 수 있고 공기 소통이 가능한 그물이나 철망 등의 메시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덮개부재(50)는 테두리를 통해 용기(10′)의 개구부 쪽에 고정된다. The lid member 5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such as a net or a wire mesh capable of allowing the plant stem to pass therethrough and air communication while preventing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10 'such as the soil 4 from flowing out, (50) is fixed to the opening side of the container (10 ') through a rim.

본 실시예의 경우 덮개부재(50)의 고정을 위해 개방부 쪽 용기(10′)의 내면에는 걸림홈(61)을 형성하는 걸림턱(60)이 마련되며, 덮개부재(50)는 테두리가 걸림홈(6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덮게 된다. In order to fix the lid member 50 in this embodiment, the lid member 50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60 for forming a latching groove 6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 And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10 'are covered with the container 61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61.

따라서 이러한 덮개부재(50)로 용기(10′)에 충진된 내용물이 덮여진 상태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슬라이딩벽체(40)의 슬라이딩 조작이 없이도 기울어진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ntents filled in the container 10 'are covered with the lid member 50,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10', which is inclined even without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wall body 40 as in the abov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10 '.

1: 벽면 부착형 화분 10: 용기
20: 부착유닛 30: 힌지
40: 슬라이딩벽체 50: 덮개부재
1: Wall-mounted pot 10: container
20: attachment unit 30: hinge
40: sliding wall 50: cover member

Claims (11)

꽃을 심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를 벽면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된 부착유닛을 구비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측벽에 있어서 적어도 전방 쪽 측벽은 상부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A flowerpot type flowerpot comprising a container provided for planting flowers and an attachment unit adapted to attach the container to a wall surface,
Wherein the contain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opened to the top and is adjustable in incl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front side wall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so as to extend upward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힌지를 통해 상기 부착유닛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ttachment unit via a hinge in a vertical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부로 최대 회동된 상태에서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부착유닛은 전면을 통해 상부로 최대 회동된 용기의 배면을 지지되도록 마련된 부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부착판 저부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ainer is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to the uppermost position,
The attachment unit includes an attachment plate provided to support a backside of a container which is rotated upward to a maximum through a front surface,
Wherein the container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수직상태에서 90도 미만의 기울기 범위를 가지며,
상기 기울기 범위 내에서 상기 용기는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id container having a tilt range of less than 90 degrees in a vertical position,
Wherein the container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fixed in an inclined state at an arbitrary angle within the inclination rang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부착유닛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프리스톱(free stop)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ainer being coupled to the attachment unit via a hi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omprises a free stop hing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슬라이딩홈이 마련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딩 벽체를 포함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liding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open upward,
And the side wall includes a sliding wall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벽체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liding wall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외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벽체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wall is provided with a latching groove,
And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wall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in a state where the sliding wall can slide with respect to the sliding groove,
Wherein the catching grooves are provid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개방부 쪽에는 흙을 포함하여 상기 꽃이 심어지도록 상기 용기 내부에 채워지는 내용물을 덮도록 덮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opened to an upper portion,
And a lid member is provid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container to cover the contents to be filled in the container so as to plant the flower including soi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메시(mesh)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id member is provided in a mesh form.








KR1020120131292A 2012-11-20 2012-11-20 wall-adhesion type plant pot KR101533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92A KR101533621B1 (en) 2012-11-20 2012-11-20 wall-adhesion type plant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92A KR101533621B1 (en) 2012-11-20 2012-11-20 wall-adhesion type plant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66A KR20140065666A (en) 2014-05-30
KR101533621B1 true KR101533621B1 (en) 2015-07-07

Family

ID=5089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292A KR101533621B1 (en) 2012-11-20 2012-11-20 wall-adhesion type plant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6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1385U1 (en) * 2017-03-10 2018-06-12 M.A.C.'s Holding Gmbh Device for holding containers
CN107136828B (en) * 2017-07-17 2019-11-05 舟山市寂静水产有限公司 A kind of potting hanger
KR102059512B1 (en) * 2019-09-18 2020-02-11 강정규 Ornament base moudule for angle control
FR3140894A1 (en) * 2022-10-17 2024-04-19 On-Scènes Insulating plant module for walls and roofs of buildin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720A (en) * 1998-11-19 2000-06-06 Key Tranding Co Ltd Holder for flowerpot
KR200207797Y1 (en) * 2000-07-03 2000-12-15 서정수 Flowerpot for cree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720A (en) * 1998-11-19 2000-06-06 Key Tranding Co Ltd Holder for flowerpot
KR200207797Y1 (en) * 2000-07-03 2000-12-15 서정수 Flowerpot for cree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66A (en)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621B1 (en) wall-adhesion type plant pot
USD883073S1 (en) Angled support bracket
USD505882S1 (en) Flower pot
USD568203S1 (en) Short-stemmed flower vase
USD614080S1 (en) Flower pot
US9675013B2 (en) Watering device intended to be fitted to a growing container, comprising an independent reservoir
USD815929S1 (en) Irrigation device
US20030173483A1 (en) Adjustable pot retainer
USD887253S1 (en) Angled support bracket
USD526224S1 (en) Profile of a level
JP6830675B2 (en) Pot assembly system for ornamental plants
USD616620S1 (en) Vertically extendable storage bucket
US20090038220A1 (en) Planter platform
CN201042142Y (en) Intermediate layer flower bowl capable of automatically sprinkling
USD880213S1 (en) Cover for bed base slats
KR20160074150A (en) Multi purpose flowerpot soucer
KR101256044B1 (en) Decorative flowerpot
USD524075S1 (en) Hanging planter arrangement
EP1329152A1 (en) Multiform modular plant pot with different modules combinable with other module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provided with automatic watering, water evacuation and lighting
KR101193733B1 (en) Multi purpose flowerpot
KR200353522Y1 (en) Water stand containing water vessel
KR101291235B1 (en) The pot holder where the moisture supply is possible
KR101255672B1 (en) Plant pot prop for accelerating drainage
KR101544982B1 (en) Hanger type fishing pole holder
KR20180000771U (en) Size adjustable supporter for flower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