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51B1 -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 - Google Patents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51B1
KR101533451B1 KR1020140162481A KR20140162481A KR101533451B1 KR 101533451 B1 KR101533451 B1 KR 101533451B1 KR 1020140162481 A KR1020140162481 A KR 1020140162481A KR 20140162481 A KR20140162481 A KR 20140162481A KR 101533451 B1 KR101533451 B1 KR 10153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main body
support
face
sh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종훈
Original Assignee
배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훈 filed Critical 배종훈
Priority to KR102014016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51B1/en
Priority to CN201410815635.7A priority patent/CN105768982B/en
Priority to PCT/KR2014/012833 priority patent/WO201608058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5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를 목욕시키거나 머리를 감길 때 또는 유아가 대소변을 본 후 씻겨줘야 하는 뒷 처리를 하는 등과 같은 유아의 세정시 유아를 안정적으로 엎드리게 하여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세정이 가능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몸체(10)로 이루어지는 본체(102); 및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절첩 설치되는 후면 지지대(106,107)를 후부에 구비하되, 상기 본체(102)의 전부에는 하부에 결합되는 전면 지지대(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and reliably hold an infant in a stable manner while infants are washed, such as bathing an infant, wrapping a head, or carrying out after-treatment in which the infant is washed after feces has been suck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which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2) comprising a body (10) bent in an arch shape; And a rear support pedestal 106 and 107 that are fol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The front support pedestal 10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

Description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child-

본 발명은 유아의 세정시에 사용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를 목욕시키거나 머리를 감길 때 또는 유아가 대소변을 본 후 씻겨줘야 하는 뒷 처리를 하는 등과 같은 유아의 세정시 유아를 안정적으로 엎드리게 하여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세정이 가능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for use in cleaning an inf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used for cleaning infants, such as bathing infants, wrapping their heads, or performing po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which can be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cleaned by stably holding the infant's stomach by stably holding the infant's stomach,

일반적으로 유아(幼兒)를 목욕시키거나 머리 감김, 특히 대소변을 본 후 엉덩이부위 등을 씻길때 어른이 유아를 안고 세정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아를 안고 씻기게 되면 대부분의 아이가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이게 되며, 특히 씻는 것을 싫어하고 물을 싫어하는 유아의 경우 움직임이 심하여 제대로 씻기기 힘들 뿐만 아니라 세정거품 등이 심하게 튀거나 어른의 옷에 묻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Generally, when a baby is bathed or the head is wrapped around, especially after washing the buttocks, an adult holds the infant and rinses it. In this way, most children are not staying quiet and moving. Especially, children who do not like to wash and do not like water are not able to wash properly because of their heavy movements. .

이에 유아용 목욕 보조기구가 다양하게 제시되었는데 대부분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41036호에서와 같은 의자형 목욕보조기구이다. 위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유아가 어른과 마주보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아를 안정적으로 앉히기도 힘들고 유아의 움직임을 제어할 방법이 없으며, 특히 대소변 처리시 유아의 엉덩이 부위를 세정시키기 곤란한 구조이다.A variety of baby bath aids have been proposed, most of which are chair type bath aids such as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0441036. It is difficult to sit the infant in a stable position and there is no wa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infant because it is composed of a chair type that allows the infant to sit facing the adult in detail. In particular, when the infant is treated with feces, It is a difficult structure.

그리고 유아의 머리 감김시에는 유아의 옷이 젖어서 샤워를 해야되고, 씻는 부위가 바닥으로 향하게 되어 있어 어른이 씻길 때, 잘 보이지 않았고, 유아의 목을 뒤로 젖히면 목이 아파서 유아가 힘들어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nfant 's hair was not wet when the clothes were wet, and the washing area was facing the floor. When the adult was washed, the infant' s head was not visible.

이러한 이유로 유아의 머리 부분이 고정되지 않아서 물이 튀게 되면 유아가 놀라서 몸부림을 치기 때문에 쉽게 세정을 시킬 수 없었다.For this reason, when the head of the infant is not fixed and the water splashes, the infant is frightened and struggles so that it can not be easily cleaned.

또한, 유아 세정보조기를 사용한 후에는 보관할 장소가 필요하였는바, 종래의 유아용 세정보조기구의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서 보관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a place for storing the infant cleaning aids was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infant cleaning aids are large in size and heavy and difficult to be stored and manag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1036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044103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머리 감김 등을 포함한 목욕, 대소변 처리 등과 같은 유아의 세정시 유아를 엎드리게 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잡아줌으로써 유아의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고 편안한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ant, which is convenient for preventing infants from moving when the infant is washed, such as bathing, feces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that enable comfortable cleaning.

그리고, 본 발명은 유아를 세정시킨 후에 지지대와 다리를 접어서 세정보조기구에 수납하여서 좁은 욕실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which can be easily stored and managed by folding a support and legs after cleaning an infant, storing the infant in a cleaning auxiliary device, and utilizing a narrow space in the bathroom.

또한, 본 발명은 세정시 유아의 얼굴을 밀착시켜서 씻길 수 있고 샤워기를 걸어서 사용하여 유아의 엉덩이를 양손으로 편하게 씻길 수 있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which can be washed with a face of an infan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washing and can be washed by both hands with the use of a show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몸체(10)로 이루어지는 본체(102); 및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절첩 설치되는 후면 지지대(106,107)를 후부에 구비하되, 상기 본체(102)의 전부에는 하부에 결합되는 전면 지지대(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102) comprising a body (10) formed to be bent in an arch shape; And a rear support pedestal 106 and 107 that are fol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The front support pedestal 10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

그리고, 상기 전면 지지대(108)가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결합된 후,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가 절첩되되, 상기 전면 지지대(108)의 내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support 108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and then the rear supports 106 and 107 are folded and installed at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pport 108.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는 유아의 머리 감김, 전신 또는 부분 목욕, 대소변 처리시에 유아가 지면 방향으로 보도록 안전하게 엎드림과 동시에 유아의 움직임을 둔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세정이 가능하고, 유아를 세정시키는 어른이 힘들이지 않고 세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유아의 기저귀 교체시에도 유아의 움직임을 둔화시킴으로써 어른이 손쉽게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laid so that the infant looks down toward the ground when the baby is wrapped around the head, body, partial bath, or feces, and at the same time the baby's movement can be slowed do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adult who cleans an infan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leaned without difficulty, and when an infant changes a diap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fant can be easily used by slowing the movement of the infant.

그리고 본 발명은 전체 구성요소를 인체 무해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안전성과 제작성이 우수하며, 접이식으로 이루어져서 다리와 지지대를 접어서 수납 보관할 수 있어서 협소한 공간이나 좁은 욕실에서도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 및 이동이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in terms of safety and formability by injection-molding all the components by using a harmless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foldable so that the legs and supports can be folded and stored for easy storage in a narrow space or in a narrow bathroom. It is advantageous to carry and move because of its light weight.

또한, 유아를 세정하기 위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부모들은 양손을 자유롭게 이용하여 세정시킬 수 있어서 편하고, 유아들은 자세를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자세의 불편함을 방지하여 편리하고 편안하며 빠르게 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ess to clean the infant, the parents can freely use both hands to clean the infant, and the infant can stably maintain the posture, thereby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osture,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지지대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다리와 지지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Fig.
Fig. 5 is a plan view of Fig. 1
Fig. 6 is a bottom view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upport of the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legs and supports of the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foldable infant cleaning-aid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몸체(10)로 이루어지는 본체(102); 및 상기 본체(102)의 하부에 절첩 설치되는 후면 지지대(106,107)를 후부에 구비하되, 상기 본체(102)의 전부에는 하부에 결합되는 전면 지지대(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2) comprising a body (10) bent in an arch shape; And a rear support pedestal 106 and 107 that are fol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The front support pedestal 10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

그리고, 상기 전면 지지대(108)가 수납부(34)에 결합된 후,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가 절첩되되, 상기 전면 지지대(108)의 내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are folded after the front support rods 108 are coupled to the storage portion 34 and are positioned at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pport rods 108.

상기 본체(102)는 유아가 엎드렸을 경우, 가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10)의 상부면에 상방향으로 굴곡진 가슴 안착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슴 안착부(12)에는 유아의 배를 받쳐주고 완충하기 위한 상체패드(14)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02 is characterized in that an upwardly curved chest rest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the chest can be seated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12 preferably has an upper body pad 14 for supporting and cushioning the infant's stomach.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2)에 구비되는 상체 패드는 완충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2)의 상부에 유아의 얼굴을 받쳐주고 밀착시켜주는 얼굴 받침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body pad of the body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be selectively provided with a buffer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rubber, or silicon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ace receiving unit 104 for supporting and holding the face of the infant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2.

본 발명의 상기 얼굴 받침부(104)는 얼굴모양,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얼굴 받침패드(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ce receiving unit 104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ace supporting pad 26 having a shape of a face, a circle, or an ellipse.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는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엉덩이 받침부(16)가 형성되며, 상기 가슴 안착부(12)의 좌우측부에 상방향으로 굴곡지게 돌출되는 상체 가이드부(18)가 형성되되, 상기 상체 가이드부(18)와 연속된 전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패여서 유아의 어깨와 팔이 움직이는 반경의 범위 내에 있도록 어깨 걸이부(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bent in an arch shape and has a hip support portion 16 formed at a right end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ulder part 20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shoulder part and the arm of the infant can be moved within a range of a radius in which the shoulder and the arm of the infant move by being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continuous with the upper body guide part 18 Do.

상기 본체(102)의 전부 상면에는 유아가 엎드릴 때 유아의 손이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may include a handle 28 so that the hand of the infant can be gripped by the infant when the infant spills.

상기 손잡이부(28)는 오목하게 패여진 손잡이 홈(30)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andle 28 is a handle groove 30 that is recessed.

상기 본체(102)의 후부에는 샤워기를 걸 수 있는 걸이부(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ook portion 32 capable of hanging a shower is provid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는 상기 본체(102)의 후부에 힌지 회동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다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supports 106 and 107 may be hing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2 to be foldable so that the rear supports 106 and 107 are formed in a leg shape.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판(48)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lip prevention plate 48 is furth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는 단면이 디귿자(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부에 복수 개의 보강리브(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have a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50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상기 전면 지지대(108)는 상기 본체(102)의 아치형상의 전단부에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완만하게 굴곡져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2)의 전단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ont support 108 is formed to be gently curved so as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arcuate shape of the main body 102, and is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2.

상기 전면 지지대(108)는 상기 본체(102)와 끼워져서 결합되는 결합부(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ont support 108 includes a coupling portion 54 which is fitted to the main body 102 to be engaged therewith.

상기 전면 지지대(108)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완충역할을 하는 미끄럼 방지바(5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pport 108 is provided with a non-slip bar 58 that prevents slipping and serves as a buffer.

상기 미끄럼 방지바(58)는 굴곡이 유연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n-slip bar 58 is preferably a flexible material that is flexible and free to bend.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compon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lower par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의 적용이라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접이식 유아 세종보조기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oldable childcare apparatus And may also be applied to a variety of uses and purposes in the use of a foldable infant serological assis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ldable infant cleaning and dis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ldable infant cleaning and a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Fig. 1, and 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지지대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다리와 지지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leg and a support of the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ed infant's cleans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oldable infant clean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를 설명하여 보면,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정보조기구(100)는 유아의 얼굴, 가슴, 배 및 엉덩이를 받쳐주도록 아치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된 몸체(10)로 이루어진 본체(10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2)의 상부 좌측부에 유아의 얼굴을 받쳐주도록 형성된 얼굴 받침부(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2)의 우측부에는 지면과 접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후면 지지대(106,107)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본체(102)의 좌측부에는 지면과 맞닿아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전면 지지대(10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1 to 6, a clea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cleaning auxiliary device 100 includes an infant's face, And a body 10 formed of a curved arcuate shape to support the buttocks. A face receiving portion 104 is formed on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ody 102 to support the face of the infant And a pair of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2 so as to be slidably contacted with the ground ar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2.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is supported by a front support (108) is formed.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 및 전면 지지대(108)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rear supports 106 and 107 and the front support 108 are preferably detachably mounted.

상기 전면 지지대(108)는 상기 본체(102)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의 얼굴부 및 가슴 부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아치형상의 상기 본체(102)의 전부에 연속해서 연결 설치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front support 108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and is connected to all of the arcuate main body 102 so as to support the loads of the face and the chest of the infant, .

상기 본체(102)의 하부 저면부에는 수납부(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0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34 at a lower bottom portion thereof.

상기 수납부(34)에는 한 쌍의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 및 상기 전면 지지대(108)가 접혀져서 수납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air of rear supports 106 and 107 and the front support 108 are fol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

상기 몸체(10)는 유아의 몸체, 즉 가슴 부위가 안착 될 수 있도록 가슴 안착부(12)가 우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슴 안착부(12)는 상체 패드(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chest receiving part 12 so that the body of the infant can be seated and the chest receiving part 12 can include the upper body pad 14 .

상기 가슴 안착부(12)는 유아의 가슴을 받쳐주는 부위이다.The chest receiving portion 12 i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chest of the infant.

상기 상체 패드(14)는 유아가 배를 대고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쿠션성을 갖는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유아의 배 부위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작은 돌기가 형성된 논슬립(non-slip) 표면으로 형성되는 논슬립 패드임이 바람직하다.The upper body pad 14 is formed of a non-slip surfac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silicone material having cushioning property so that the infant can be comfortably placed on the stomach,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non-slip pad.

상기 상체 패드(14)의 우측 하부에는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줄 수 있도록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움푹 패인 엉덩이 받침부(16)가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body right side of the upper body pad 14 is formed with a buttock receiving part 16 which is recessed to be recessed so as to support the hip of the infant.

상기 엉덩이 받침부(16)는 엉덩이 모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물결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buttock receiving portion 16 is preferably formed in a hip shape, and further, it may be formed in a wavy shape.

상기 상체 패드(14)의 좌우측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아치형상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상체 가이드부(18)가 형성되어 있다.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upper body pad 14, an upper body guide portion 18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form an arcuate curved line.

상기 좌우 양측의 상체 가이드부(18)는 유아가 엎드렸을 때, 좌우 움직임을 방지하고 유아의 몸이 이탈하지 않으며 편안하게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body guide portions 18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curved so as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infant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and to allow the infant body to stand comfortably without detaching.

한편,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어깨 걸이부(20)가 형성되는바, 상기 어깨 걸이부(20)는, 유아가 앞으로 엎드렸을 경우 유아의 팔을 늘어뜨려서 편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에스자(S) 형상으로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10 are formed with concave shoulder hanger portions 20. The shoulder hanger portions 20 can be easily positioned when the infant is leaning forward And is formed into a concave curve in the shape of an S-shaped (S).

상기 어깨 걸이부(20)는 유아가 얼굴을 상기 얼굴 받침부(104)에 얼굴을 묻고 팔을 자유롭게 이용하여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팔이 움직이는 반경의 범위 내에서 굴곡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houlder part 20 is formed to have a curved shape within a range of a radius at which the arm moves so that the infant can face the face receiving part 104 with his / her face freely and play with the toy.

상기 얼굴 받침부(104)는 엎드린 상태에서 유아의 얼굴을 받쳐주기 위한 부분으로서 유아의 얼굴이 밀착되도록 얼굴모양의 쿠션패드로 이루어진 얼굴 받침패드(26)를 구비하여 물이 튀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ace supporting part 104 includes a face supporting pad 26 made of a face-shaped cushion pad so that the face of the infant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face of the infant while supporting the face of the infant in a prone position, Do.

그리고, 상기 얼굴 받침부(104)는 상기 몸체(10)에 통공(24)이 형성되고 단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2)에는 얼굴 받침패드(26)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face receiving portion 104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4 formed in the body 10 and a stepped coupling portion 22 is formed and the face supporting pad 26 is coupled .

상기 얼굴 받침패드(26)의 재질은 유아의 얼굴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실리콘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에 있어서도 삼각형상, 원형, 타원형, 다각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face pad 26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e material so as not to damage the face of the infant, and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 polygonal shape.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바람직하기로는 유아가 엎드렸을 경우, 얼굴이 닿는 얼굴 받침부(104)의 전부에는 유아가 몸을 균형을 잡고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8)가 형성되어 있다.A handgrip (28) is provided on the entire face of the face receiving portion (104) that faces the left side of the body (10), preferably,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so that the infant can hold his / Respectively.

상기 손잡이부(28)는 본 발명에서는 오목한 손잡이홈(30)으로 형성하였으나 나아가서는 반원형 링 또는 타원형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28 is formed as a concave handle groove 30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also include a semicircular ring or an elliptical ring.

상기 손잡이부(28)는 좌하향하도록 형성되어 물이 흘러내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28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face downward so that water flows down.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몸체(10)의 우측단부에는 걸이부(32)가 형성되어 있다.At the right end of the body 10 formed as described above, a hooking part 32 is formed.

상기 걸이부(32)에는 샤워기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방에서 하방으로 세로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원형의 일측부가 절개되어 개구부가 형성되어 샤워기와 샤워기 호스를 개구부를 통하여 넣고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hook portion 32 is formed to be capable of hanging a shower. That is, it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circular shape is cut to form an opening, so that the shower and the shower hose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상기 걸이부(32)에 걸어 놓은 샤워기를 이용하여 유아의 엉덩이를 세정시킬 수 있다. 즉 유아가 엎드렸을 때 샤워기를 통하여 물을 엉덩이에 뿌려주면서 보호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씻겨 줄 수 있는 것이다.The hips of the infant can be cleaned by using the shower hanging on the hook 32. In other words,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water is sprayed on the buttocks through the shower, and the protector can be freely washed with both hand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아의 머리 감김시 유아를 몸체(10) 상면부에 엎드리게 하고 손으로는 상기 손잡이부(28)를 잡게 하며 얼굴 받침부(104)에 얼굴을 밀착시키고, 유아의 다리를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의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벌려서 자세를 안정하게 한 후, 보호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세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ead of the infan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hand holding the grip 28, the face of the infan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receiving portion 104, So that the posture can be stabilized, and then the protector can be conveniently cleaned using both hands.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보조기구(100)는 상기 본체(102)의 우측부에는 후면 지지대(106,10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2)의 좌측부에는 전면 지지대(108)가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굴곡지게 설치되어 있다.4 to 6, the cleaning auxiliary mechanis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2, (108) are bent so as to form an arch shape.

상기 본체(102)의 상면부에는 얼굴 받침부(104)가 설치되어 있다.A face receiving portion 10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2)의 저면부에는 오목하게 수납부(34)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has a recessed portion 34 formed therein.

상기 수납부(34)에는 후술되는 도 7 및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후면 지지대(106,107) 및 전면 지지대(108)가 수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and the front support rods 108 are preferably received in the storage portion 34.

상기 수납부(34)의 좌측부에는 복수 개의 결합핀(36)이 상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engaging pins 36 protrude upward from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4.

상기 결합핀(36)에는 상기 전면 지지대(108)가 결합 설치되어 진다.The front support 108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 36.

이어서, 상기 수납부(34)의 우측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힌지편(38)이 전부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그 상측부에는 복수 개의 힌지편(39)이 상하로 마주보도록 대응하여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hinge pieces 38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ixedly attach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4. A plurality of hinge pieces 39 are vertically op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4, And is vertically installed.

상기 힌지편(38,39)에는 반원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한 홈이 상하부에서 각각 대면하도록 결합되어 힌지공(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공(40)에는 힌지핀(42)이 결합 될 수 있다.A hinge pin 40 is formed on the hinge pieces 38 and 39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cave groove. The hinge pin 40 is provided with a hinge pin 42, Can be combined.

상기 힌지편(38,39)에는 전술된 후면 지지대(106,107)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42)에 의해 회동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hinge pieces 38 and 39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to be rotatable by the hinge pin 42. [

이때, 상기 힌지핀(42)은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의 외측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hinge pin (4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support rods (106, 107).

상기와 같이 후면 지지대(106,107)와 전면 지지대(108)가 본체(102) 저면 내측부에 수납 설치됨으로써 부피를 줄여서 좁은 욕실에서도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성이 우수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and the front support rods 108 are installed i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the volume can be reduced,

상기 본체(102) 저면부에는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가 수납 설치되는바,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는 다리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대 몸체(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몸체(44)의 하부에는 상기 힌지핀(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rear support pedestals 106 and 107 are formed in a leg shape and a support body 44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44. The rear support pedestals 106 and 107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02, The hinge pin 42 is integrally formed.

상기 힌지핀(42)은 본 발명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분리형으로 설치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hinge pin 42 is integrally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installed separately.

상기 복수 개의 힌지편(38,39)에는 고정공(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46)에는 볼트, 피스, 리벳 등의 고정수단(110)이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 fixing hole 46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hinge pieces 38 and 39. Fixing means 110 such as a bolt, a piece, or a rivet is fixed to the fixing hole 46. [

상기 지지대 몸체(44)의 상면부-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는 미끄럼 방지판(48)이 구비될 수 있다.A slip prevention plate 48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4, as shown in FIG.

상기 미끄럼 방지판(48)은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합성수지재 등 다양하게사용될 수 있으며 바닥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논슬립(non-slip) 패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The slip prevention plate 48 may be variously used such as a rubber material, a silicone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slip pad capable of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floor.

그리고,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는 단면은 채널형 또는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부에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may have a channel shape or a diagonal shape in cross sec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50 on the inner side thereof.

계속해서, 상기 전면 지지대(108)는 상기 본체(102)의 전면부 하단과 연결 설치되도록 지지대 몸체(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몸체(52)의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부(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support 108 is formed with a support body 52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5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 shown).

상기 지지대 몸체(52)는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가 수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base body 52 is recessed to accommodate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54)는 각각 결합공(56)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54 may include coupling holes 56, respectively.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54)는 상기 복수 개의 결합핀(36)과 각각 대응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공(56)에 상기 결합핀(36)이 끼워져서 고정된다.The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54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ngaging pins 36, respectively. That is, the coupling pin 36 is fitted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56.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세정보조기구(100)는 상기 본체(102)에서 전면 지지대(108)를 탈착한 후, 저면부에 형성된 수납부(34)에 상기 전면 지지대(108)를 수납하고, 상기 본체(102)의 후단부에 연결 설치된 후면 지지대(106,107)를 상기 힌지핀(42)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접어서 상기 수납부(34)로 넣는다.The cleaning assistant mechanis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moves the front support 108 from the main body 102 and then houses the front support 108 in the housing 34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he rear support pedestals 106 and 107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02 are rotated about the hinge pin 4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are folded and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34.

이때,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는 상기 전면 지지대(108)의 내측부에 접혀서 안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upports 106 and 107 are formed to be fol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pport 108 to be seated.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세정보조기구(100)에 유아가 엎드렸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ild is lying on a cleaning auxiliary instru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 및 도 9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2)의 전부에는 전면 지지대(108)가 연결 설치되는바, 전면 지지대(108)는 그 하단부에 미끄럼 방지바(58)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9, a front support 108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2, and the front support 108 may include a non-slip bar 58 at a lower end thereof .

상기 미끄럼 방지바(58)는 상기 전면 지지대(108)와 하면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결합홈(미도시됨)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non-slip bar 58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not shown) to be engaged with the front support 108 and the bottom face.

상기 미끄럼 방지바(58)는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전면 지지대(108)와 대응하도록 물결무늬 또는 파형모양, 에스자(S)형상으로 형성되며, 완충 가능하도록 쿠션이 있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The non-slip bar 58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wave pattern or a wave-like shape and an S shape to correspond to the front support 108 and a cushioning material Do.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정보조기구(100)는, 좁은 공간에서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유아의 세정시 보호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The clea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store in a narrow space and can utilize a space and convenience for freely and conveniently using the two hands by the protector during cleaning of the infant is increased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몸체 12 : 가슴 안착부
14 : 상체 패드 16 : 엉덩이 받침부
18 : 상체 가이드부 20 : 어깨 걸이부
22 : 결합부 24 : 통공
26 : 얼굴 받침패드 28 : 손잡이부
30 : 손잡이 홈 32 : 걸이부
34 : 수납부 36 : 결합핀
38,39 : 힌지편 40 : 힌지공
42 : 힌지핀 44 : 후면 지지대 몸체
46 : 고정공 48 : 미끄럼 방지판
50 : 보강리브 52 : 전면 지지대 몸체
54 : 결합부 56 : 결합공
58 : 미끄럼 방지바
100 : 세정보조기구 102 : 본체
104 : 얼굴 받침부 106 : 후면 지지대
108 : 전면 지지대 110 : 고정수단
10: body 12:
14: upper body pad 16: hip rest part
18: upper body guide part 20: shoulder part
22: engaging portion 24: through hole
26: face support pad 28: handle portion
30: handle groove 32:
34: storage portion 36: engaging pin
38, 39: hinge piece 40: hinge ball
42: hinge pin 44: rear support body
46: Fixing hole 48: Slip plate
50: reinforcing rib 52: front support body
54: engaging portion 56: engaging hole
58: Anti-slip bar
100: Cleaning aid 102: Body
104: face support part 106: rear support part
108: Front support 110: Securing means

Claims (18)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몸체(10)로 이루어지는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전부에 설치되는 전면 지지대(108) 및 상기 본체(102)의 후부에 설치되는 후면 지지대(106,107)로 이루어지는 유아용 세정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의 후부에 설치된 후면 지지대(106,107)를 본체(102)의 하부에 절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102)의 전부에 설치된 상기 전면 지지대(108)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는 상기 본체(102)의 후부에 힌지 회동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다리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지지대(108)가 상기 본체(102)에서 분리되어 본체(102)의 하부면 내측부에 결합된 후,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가 절첩되어 상기 전면 지지대(108)의 내측부에 위치하도록 수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A front support rod 108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2 and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2. The main body 102 includes a body 10 formed by bending in an arch shape, A cleaning assistant device for an infant, comprising: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are fol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The front support 108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2 is detachably installed,
The rear support rods 106 and 107 are hing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2 to be foldable so that the front support rods 108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2, And the rear support pedestals (106, 107) are folded and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pport (108).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는 유아가 엎드렸을 경우, 가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10)의 상부면에 상방향으로 굴곡진 가슴 안착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02) is formed with an upwardly curved chest rest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the chest can be seated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안착부(12)에는 유아의 배를 받쳐주고 완충하기 위한 상체패드(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hest rest part (12)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pad (14) for supporting and cushioning an infant's stomach.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에 구비되는 상체 패드는 완충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upper body pad provided on the body (102)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on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roperty, a rubber material, and a silicone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의 상부에 유아의 얼굴을 받쳐주고 밀착시켜주는 얼굴 받침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ce support part (104) for supporting and holding the face of the infant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받침부(104)는 삼각형상, 얼굴모양,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얼굴 받침패드(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ce support part (104) includes a face support pad (26) having any one of a triangular shape, a face shape, a circular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우측단부에는 엉덩이 받침부(16)가 형성되며, 상기 가슴 안착부(12)의 좌우측부에 상방향으로 굴곡지게 돌출되는 상체 가이드부(18)가 형성되되,
상기 상체 가이드부(18)와 연속된 전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패여서 유아의 어깨와 팔이 움직이는 반경의 범위 내에 있도록 어깨 걸이부(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10 is formed to be bent in an arcuate shape and has a hip support portion 16 formed at a right end thereof. The upper body guide portion 18 Is formed,
Wherein the shoulder part (20)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shoulder part (20) is re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continuous with the upper body guide part (18) so that the shoulder and arm of the infant are within a range of a radius of mov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의 전부 상면에는 유아가 엎드릴 때 유아의 손이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is provided with a handle (28) for gripping an infant's hand when the infant sprang up.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8)는 오목하게 패여진 손잡이 홈(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28) is a grip groove (30) recessed and reces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2)의 후부에는 샤워기를 걸 수 있는 걸이부(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ok portion (32) for hanging a shower i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판(4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lip prevention plate (48) is furth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edestals (106, 10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대(106,107)는 단면이 디귿자(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부에 복수 개의 보강리브(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support rods (106, 107) have a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 diagonal,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50)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지지대(108)는 상기 본체(102)의 아치형상의 전단부에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완만하게 굴곡져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2)의 전단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support (108) is formed by being gently bent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arcuate shape of the main body (102) and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2)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지지대(108)는 상기 본체(102)와 끼워져서 결합되는 결합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ront support (108)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54) to be fitted with the body (10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지지대(108)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완충역할을 하는 미끄럼 방지바(5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pport (108) is provided with a non-slip bar (58) which prevents slipping and serves as a buffer.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바(58)는 굴곡이 유연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non-slip bar (58) is a flexible material that is flexible and free to bend.
KR1020140162481A 2014-11-20 2014-11-20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 Expired - Fee Related KR101533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81A KR101533451B1 (en) 2014-11-20 2014-11-20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
CN201410815635.7A CN105768982B (en) 2014-11-20 2014-12-23 Folding auxiliary cleaning tool for children
PCT/KR2014/012833 WO2016080588A1 (en) 2014-11-20 2014-12-24 Foldable infant cleaning assis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81A KR101533451B1 (en) 2014-11-20 2014-11-20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451B1 true KR101533451B1 (en) 2015-07-02

Family

ID=5378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4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3451B1 (en) 2014-11-20 2014-11-20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3451B1 (en)
CN (1) CN105768982B (en)
WO (1) WO2016080588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3885A (en) * 2020-05-29 2020-08-18 罗文兵 A kind of pediatric nursing cleaning device for children lying down
KR20230019699A (en) * 2021-08-02 2023-02-09 이승재 Washing auxiliary device for chi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2992A (en) * 2020-05-18 2020-09-11 曲阜市人民医院 Infant body cleaning device with auxiliary supporting structure for pediatric nursing
IT202200007088A1 (en) * 2022-04-08 2023-10-08 Andrea Mattei APPARATUS AND METHOD FOR CARE OF AN INF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210Y1 (en) * 2004-01-20 2004-04-08 서민호 A chair for bath of baby
FR2853825A1 (en) * 2003-04-16 2004-10-22 Valerie Baert Lounge chair used for washing baby, has two outer sections inclined with respect to central section such that washing liquid flows towards openings in central section, and container mounted under openings to collect washing liquid
KR101098725B1 (en) * 2011-03-08 2011-12-23 배종훈 Infant Tax Assistance Organization
KR20140069967A (en) * 2012-11-30 2014-06-10 배종훈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790Y1 (en) * 1989-12-30 1992-05-01 김진국 Baby bath stand
TW413034U (en) * 2000-02-03 2000-11-21 Yang Shau Chiun Three-in-one multi-functional infant's tub
KR101050514B1 (en) * 2009-07-23 2011-07-20 김종태 Child care aids
CN201977661U (en) * 2011-03-29 2011-09-21 曾淑华 Folding bathing chair for chi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3825A1 (en) * 2003-04-16 2004-10-22 Valerie Baert Lounge chair used for washing baby, has two outer sections inclined with respect to central section such that washing liquid flows towards openings in central section, and container mounted under openings to collect washing liquid
KR200347210Y1 (en) * 2004-01-20 2004-04-08 서민호 A chair for bath of baby
KR101098725B1 (en) * 2011-03-08 2011-12-23 배종훈 Infant Tax Assistance Organization
KR20140069967A (en) * 2012-11-30 2014-06-10 배종훈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3885A (en) * 2020-05-29 2020-08-18 罗文兵 A kind of pediatric nursing cleaning device for children lying down
KR20230019699A (en) * 2021-08-02 2023-02-09 이승재 Washing auxiliary device for child
KR102633373B1 (en) * 2021-08-02 2024-02-02 이승재 Washing auxiliary device for chi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8982B (en) 2018-06-12
CN105768982A (en) 2016-07-20
WO2016080588A1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761B2 (en) Infant bidet
KR101533451B1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folding type
KR101050514B1 (en) Child care aids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WO2008016930A1 (en) Kneeling device
KR101744613B1 (en) Baby with bidet function
KR101098725B1 (en) Infant Tax Assistance Organization
US20140359932A1 (en) Inclined child bath support
KR101584860B1 (en) Bathtub for infant
KR102028070B1 (en) Baby bath support
KR100988174B1 (en) Bath aids for bathroom
KR101636971B1 (en) Bathtub and bouncer for infant
KR101510790B1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101320616B1 (en) Hair Shampooing Hanger For Infant
KR200441036Y1 (en) Infant Bath Aids
KR20130139713A (en) Body wash for infants and babies
KR101633960B1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20110008376A (en) Infant Bath Chair
KR200347210Y1 (en) A chair for bath of baby
KR20120057992A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102692214B1 (en) Shower handle device
EP2651274B1 (en) Aid device for washing infants, children or the like
CN215777648U (en) A device of bathing for neonate
KR20120000955U (en) A bathtub for baby with various function
KR200143717Y1 (en) Bathtubs for newbo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