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399B1 - 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399B1
KR101533399B1 KR1020140025148A KR20140025148A KR101533399B1 KR 101533399 B1 KR101533399 B1 KR 101533399B1 KR 1020140025148 A KR1020140025148 A KR 1020140025148A KR 20140025148 A KR20140025148 A KR 20140025148A KR 101533399 B1 KR101533399 B1 KR 10153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base portion
main body
extending
hin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공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14002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3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assembly and a display apparatus for a kitchen employing the same. The display apparatus for a kitche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frame; a display module; and a hinge assembly. The mainframe is placed to be horizontal to the furniture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fixated. The display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frame. The hinge assembly compris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first body has a circular hole for rotation to be penetrated up and down and a fastening unit for being formed around the hole for rotation and fastened to the mainframe. The second body comprises: a base unit wherein a left rotation shaft and a right rotation shaft, which are bound to the hole for rotation on the sides to be able to rotate, protrude toward the first body; a pair of extension units which are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sides of the base unit; up-and-down rotation shafts placed vertically to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extension units and bound to each of the free ends of the extension units to be able to rotate; and fastening pieces placed closer to the base unit than the up-and-down rotation shafts while each of the fastening surfaces is horizontal, and fastened to be closer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module than the up-and-down rotation shafts, respectively, by being fixated on each of the up-and-down rotation shafts.

Description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주방용 화상기기{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assembly,

본 발명은 주방용 화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작업을 하면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주방용 화상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for a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for a kitchen which allows an image to be watched while working in a kitchen.

일반적인 주방용 화상기기는 주방에 설치된 가구 등에 설치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주방에서 주방용 화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감상하면서 음식을 조리하거나, 사용된 그릇을 세척하는 작업 등을 할 수 있다.Typical kitchen display devices are installed in furniture or the like installed in a kitchen. Accordingly, the user can cook food while listening to images output from the kitchen display device in the kitchen, or can clean the used dishes.

이러한 주방용 화상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의 시야에 대응되게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본체의 하면에 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될 때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펼쳐지며, 펼쳐진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 조정될 수 있다.Such a kitchen display device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display modul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so as to correspond to the view of the user.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may be disposed in a folded st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not in use. When the display module is used, the display module is rota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spreads forward, and the display module can be rotated and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한편, 사용자는 주방용 화상기기의 사용을 끝내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의 하면에 접어둘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본체 중앙에 정확히 맞춰진 상태에서 본체의 하면에 접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실수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 중앙에 맞추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의 하면에 접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듈과 본체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when the user finishes using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a kitchen, the user can fold the display modu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wever,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for a kitchen is structured such that the display module is tur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ol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module is exactly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when the user accidentally folds the display modu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without aligning the display module with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main body is broken.

등록특허공보 제10-0950550(2009.10.12 공개)Patent Registration No. 10-0950550 (published on October 12, 2009)

본 발명의 과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 그대로 본체에 용이하게 접힐 수 있는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주방용 화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nge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folded into a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rotated in the leftward or rightward direction, and a display device for a kitchen employing the hinge assembly.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포함한다. 제1 몸체는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회동용 홀이 형성되고, 회동용 홀의 주변에 체결부가 형성된다. 제2 몸체는 회동용 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회동축이 제1 몸체 쪽으로 돌출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들과, 연장부들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장부들의 각 자유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회동축들, 및 각 체결 면이 수평 상태에서 상하 회동축들보다 상기 베이스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상하 회동축들에 각각 고정되는 체결 편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nge assembly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first body is formed with a circular hole so as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the circular hole, and a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circular hole. The second body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left and right pivotal shafts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ing hole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body,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vertically arrang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free ends of the extending portions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so that the respective engagement surfaces are disposed closer to the base portion than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in the horizontal state And fastening pieces.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및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힌지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체에 대해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힌지 조립체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포함한다. 제1 몸체는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회동용 홀이 형성되고, 회동용 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한다. 제2 몸체는 회동용 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회동축이 제1 몸체 쪽으로 돌출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들과, 연장부들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장부들의 각 자유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회동축들, 및 각 체결 면이 수평 상태에서 상기 상하 회동축들보다 상기 베이스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상하 회동축들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 상하 회동축들보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에 가깝게 체결되는 체결 편들을 구비한다.A kitch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module, and a hinge assembly. The main body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fixed to the furniture installed in the kitchen. The display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hinge assembly is mount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module so that the display module can pivot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Here, the hinge assembl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first body is provided with a pivoting hol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a fastening part formed around the pivoting hole and fastened to the body. The second body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left and right pivotal shafts pivotally coupled to the pivoting hole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body,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vertically arrang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free ends of the extended portions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with each of the engagement surfaces being disposed closer to the base portion than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fastening pieces are fastened closer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module than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의 중앙에 맞추지 않더라도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회동해 있는 상태 그대로 본체의 하면 쪽으로 원활히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의 하면에 접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본체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align the display module with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he user can smoothly fold into the bottom sid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rotated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refore, unlike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main body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display modu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ease of us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힌지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힌지 조립체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a kitc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1,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extend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module in Fig. 2;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assembly disassembled in Fig.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assembly shown in Figure 5;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Fig.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hinge assembly.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화상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a kitc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1,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extend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module in Fig. 2;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assembly disassembled in Fig. 4;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방용 화상기기(100)는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힌지 조립체(130)를 포함한다.1 to 5, a kitchen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display module 120, and a hinge assembly 130.

본체(110)는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본체(110)는 가구에 접착물질에 의해 부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등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체(110)는 하면에 수납부(111)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11)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하면에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수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수납부(111)에는 힌지 조립체(130)의 제1 몸체(131)가 장착되는 제1 장착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fixed to the furniture installed in the kitchen. The main body 110 can be variously fixed, such as being attached to furniture by an adhesive material, or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receiving portion 111 on the lower surface. The storage unit 111 may be formed to receive the display module 120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module 120 is fol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mounting groove 112 in which the first body 131 of the hinge assembly 130 is mounted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10. [

본체(110)에는 회로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주방용 화상기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 스피커의 그릴부(113)는 수납부(111) 외측에서 본체(11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The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in general.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The grill portion 113 of the speaker can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from the outside of the storage portion 111.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한쪽 면에 화면부(121)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화면부(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화면부(121)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본체(110)에 접혀 수납부(111)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하측에 접힌 상태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펼쳐지면 화면부(121)가 전방을 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화면부(121)의 반대쪽 면에 힌지 조립체(130)의 제2 몸체(141)가 장착되는 제2 장착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e display module 120 has a screen 121 on one side. The display module 120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main body 110 and displays the received image signal through the screen unit 121. The display module 120 may be folded into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 screen portion 12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111. [ Accordingly, when the display module 120 is extended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from the folded state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screen portion 121 can be directed forward. The display module 120 may have a second mounting groove 12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121 to which the second body 141 of the hinge assembly 130 is mounted.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조작부(123)를 구비한다. 조작부(123)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수납부(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23)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동작을 온/오프(On/Off) 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3)는 음량 조절을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display module 120 includes an operation unit 123. The oper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display unit 120 while the display module 120 is housed in the storage unit 111. The operation unit 123 may include a button for turn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module 120 on and off. The operation unit 123 may include a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 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기구는 돌출부(114)와 고정 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4)는 본체(110)의 수납부(11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24)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화면부(121)의 반대쪽 면에 돌출부(114)를 삽입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돌출부(114)가 고정 홈(124)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자중에 의해 수납부(11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수납부(111)에 안정적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4)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형성되고 고정 홈(124)이 본체(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module 120 may be fixed by a fixing mechanism while being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10.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the protrusion 114 and the fixing groove 124. The projecting portion 11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storage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10. The fixing groove 124 may be formed to insert the protrusion 114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121 of the display module 120. The protrusion 11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4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module 120 is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display module 120 can be mov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1 can be stably housed in the storage portion 111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storage portion 111. [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otrusion 114 is formed in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fixing groove 124 is formed in the main body 110.

힌지 조립체(130)는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20) 사이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대해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힌지 조립체(130)는 제1 몸체(131) 및 제2 몸체(141)를 포함한다. 제1 몸체(131)에는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회동용 홀(132)이 형성된다. 회동용 홀(132)은 상측 부위가 확장되어 턱(132a)을 형성할 수 있다.The hinge assembly 130 is mount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to allow the display module 120 to pivo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hinge assembly 130 includes a first body 131 and a second body 141. The first body 131 is formed with a pivoting hole 132 so as to penetrate vertically in a circular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pivoting hole 132 may be expanded to form the protrusion 132a.

제1 몸체(131)는 회동용 홀(132)의 주변에 형성되어 본체(110)에 체결되는 체결부(133)를 구비한다. 체결부(133)는 체결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31)는 본체(110)의 제1 장착 홈(112)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31)가 제1 장착 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이 체결 홀들을 통해 각각 본체(110)에 체결됨으로써, 제1 몸체(131)가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31 has a coupling part 133 formed around the rotation hole 132 and fastened to the main body 110. The fastening portion 133 may include fastening holes. The first body 131 may be siz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112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first body 1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112, the bolts are fasten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fastening holes, so that the first body 131 can be fixed to the body 110 have.

제2 몸체(141)는 베이스부(142)와, 한 쌍의 연장부(144)들과, 상하 회동축(145)들 및, 체결 편(146)들을 구비한다. 베이스부(142)에는 회동용 홀(132)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회동축(143)이 제1 몸체(131) 쪽으로 돌출된다. 예컨대, 좌우 회동축(143)은 회동용 홀(132)에 삽입되며, 링 형태의 고정부재(147)가 회동용 홀(132)의 턱(132a)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147)는 볼트 등에 의해 좌우 회동축(143)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 회동축(143)은 회동용 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좌우 회동축(143)은 중공(143a)을 가질 수 있다.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때, 케이블은 좌우 회동축(143)의 중공(143a)을 통과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41 includes a base portion 142,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144,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and fastening pieces 146. The left and right pivot shafts 143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 holes 132 at the base portion 142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body 131.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pivot shaft 143 is inserted into the pivot hole 132, and the ring-shaped fixing member 147 can be seated in the pawl 132a of the pivot hole 132. In this state, the fixing member 147 can be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pivot shaft 143 by bolts or the like. Thus, the left and right pivot shafts 143 can be pivo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out being detached in the axi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ivot holes 132. [ The left and right pivot shaft 143 may have a hollow 143a. When the main body 110 and the display module 120 are connected by a cable, the cable can pass through the hollow 143a of the left and right pivot shaft 143.

한 쌍의 연장부(144)들은 베이스부(142)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44)들은 베이스부(142)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베이스부(14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하 회동축(145)들은 연장부(144)들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장부(144)들의 각 자유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상하 회동축(145)들은 연장부(144)들의 축 홀들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하 회동축(145)들은 제2 장착 홈(122)으로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pair of extensions 144 extend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142, respectively. The extended portions 144 are shown as being fastened to the base portion 142 by bolts or the like, but they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142.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are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s 144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respective free ends of the extending portions 144.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can be pivotally supported by being fitted in the shaft holes of the extended portions 144. [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122 and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module 120.

체결 편(146)들은 상하 회동축(145)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체결 편(146)들의 각 체결 면(146a)은 수평 상태에서 베이스부(142)와의 거리가 상하 회동축(145)들과 베이스부(142) 간의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편(146)들의 각 체결 면(146a)은 상하 회동축(145)들로부터 제1 간격(D)만큼 이격된다. 각 체결 면(146a)이 상하 회동축(145)들로부터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체결 편(146)들은 상하 회동축(145)들에 각각 고정된다. 체결 편(146)들의 각 체결 면(146a)에는 체결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 편(146)은 한쪽 단부가 상하 회동축(145)으로 연장되어 상하 회동축(145)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astening pieces 146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respectively. Here, the fastening surfaces 146a of the fastening pieces 146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base portion 142 in the horizontal state is clos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and the base portion 142. 8 and 9, the engaging surfaces 146a of the engaging pieces 146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turning shafts 145 by a first distance D. The fastening pieces 146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surfaces 146a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by a first distance D.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s 146a of the fastening pieces 146. Each of the fastening pieces 146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end portion thereof extends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and is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이에 따라, 체결 편(146)들은 상하 회동축(145)들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내측에 가깝게 위치되어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에서 상하 회동축(145)과 인접한 코너의 회동 반경(R)을 줄이기 위해, 상하 회동축(145)들이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외측으로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더라도, 제2 몸체(141)는 체결 편(146)들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코너의 회전 반경(R)을 더욱 줄이기 위해 상하 회동축(145)은 각 회동 중심이 베이스부(142)의 중앙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하 회동축(145)은 각 회동 중심이 베이스부(142)의 중앙으로부터 제1 몸체(131) 쪽으로 편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힌지 조립체(130)는 힌지 커버(150)에 의해 덮여 보호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stening pieces 146 are located closer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module 120 than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and can be fastened by bolts or the like. Therefore, even if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are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20 in order to reduce the turning radius R of the corner adjacent to the pivot shaft 145 in the display module 120, (141) can be firmly and stably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20) by the fastening pieces (146).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turning radius R of the corner of the display module 120, the vertical rotation shaft 145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center of rotation thereof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142. The vertical pivot shaft 145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pivot centers thereof are eccentrically disposed toward the first body 131 from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142. The hinge assembly 130 may be covered and protected by a hinge cover 150.

전술한 힌지 조립체(130)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전방으로 펼쳐진 후,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힌지 조립체(130)는 상하 회동축(146)이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코너 쪽에 외측으로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본체(110)에 힌지 결합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의 중앙으로부터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회동해 있는 상태 그대로 본체(110)의 하면 쪽으로 원활히 접힐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본체(110)의 중앙에 맞추지 않더라도 본체(110)의 하면 쪽으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본체(110)의 하면에 접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본체(110)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inge assembly 130 described above, the display module 12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is then unfolded forward, can do. The hinge assembly 130 hingeably connects the display module 120 to the main body 110 by vertically pivoting the vertical axis 146 about the corner of the display module 120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ly, the display module 120 can be smoothly folded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20 rotates leftward or rightward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even if the user does not align the display module 120 with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folded. Therefore, unlike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main body 110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display module 1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또한, 힌지 조립체(130)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의 수납부(111)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과 본체(110)의 전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펼쳐지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에 배치된 조작부(123)가 본체(110)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본체(110)로부터 90도 회동한 상태에서 화면부(121)가 본체(110)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조작부(123)가 본체(110)에 가려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조작부(123)를 통해 주방용 화상기기(1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 hinge assembly 1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re flush with each other when the display module 120 is housed in the storage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10. [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module 123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20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main body 110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display module 120 forward and downward from the main body 110 .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20 can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20 i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main body 110. [ Accordingly, the operation unit 123 of the display module 120 is not covered by the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23.

힌지 조립체(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90도를 초과하여 펼쳐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14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48)들은 상하 회동축(145)들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148)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90도로 회동한 상태에서 연장부(144)들에 각각 맞닿아 걸림으로써 상하 회동축(145)들의 회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The hinge assembly 130 may include stoppers 148 that prevent the display module 120 from unfolding beyond 90 degrees. The stoppers 148 may b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145, respectively. The stoppers 148 can stop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rotation shafts 145 by abutting against the extended portions 144 while the display module 120 rotates 90 degrees.

힌지 조립체(130)는 제1 정지기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지기구(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설정 각도마다 회동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을 감상하기 편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회동시켜 편리하게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The hinge assembly 130 may include a first stop mechanism 160. The first stop mechanism 160 stops the display modul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enjoy the image by rotating the display module 120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view the image.

제1 정지기구(160)는 제1 와셔(161) 및 제2 와셔(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셔(161)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하 회동축(145)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향한 면에 끼움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와셔(162)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고정되며, 끼움 돌기가 접촉되는 면에 끼움 돌기를 끼우는 끼움 홈이 설정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끼움 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상하 방향으로 45도 또는 70도로 회동할 때 끼움 돌기를 끼우도록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stop mechanism 160 may include a first washer 161 and a second washer 162. The first washer 16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 145, and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display module 120. The second washer 162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20.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 fitting the fitt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where the fitting protrusions contact. For example, the fitting grooves may be positioned to interpose the fitting protrusion when the display module 120 rotates 45 degrees or 70 degrees in the up-and-down directio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display module 120. [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힌지 조립체(130)는 제2 정지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지기구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본체(1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일정 각도마다 회동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제2 정지기구는 탄성 핀과, 안착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핀은 제1 몸체(131)에서 제2 몸체(141)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회동할 때 탄성 핀을 안착시키도록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hinge assembly 1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p mechanism. The second stop mechanism stops the display modul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20 rotates at a certain angl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main body 1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stop mechanism may include elastic pins and seating grooves. The resilient fins may protrude from a surface of the first body 131 that abuts the second body 141. The seating grooves may be positioned to seat the resilient fins when the display module 120 pivots at a certain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display module 120.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10..본체 111..수납부
120..디스플레이 모듈 121..화면부
123..조작부 130..힌지 조립체
131..제1 몸체 132..회동용 홀
141..제2 몸체 142..베이스부
143..좌우 회동축 144..연장부
145..상하 회동축 146..체결 편
110 .. body 111 .. compartment
120 .. Display module 121 .. Screen part
123. Operation part 130 .. Hinge assembly
131 .. First body 132 .. Rotating hole
141 .. Second body 142 .. Base part
143. Left and right pivot shaft 144. Extension
145. Upper and lower rotating shaft 146 .. [

Claims (3)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회동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용 홀의 주변에 체결부가 형성된 제1 몸체; 및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용 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회동축과,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들과, 상기 연장부들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들의 각 자유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회동축들, 및 상기 상하 회동축들에 각각 고정되는 체결 편들을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편들의 각 체결 면은 수평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와의 거리가 상기 상하 회동축들과 상기 베이스부 간의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상하 회동축들의 각 회동 중심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 중앙선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조립체.
A first body having a pivoting hol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having a fastening portion around the pivoting hole;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horizontal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 second body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s and including upper and lower rotating shafts pivotally coupled to the respective free ends of the extending portion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fastening piece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rotating shafts, ≪ / RTI &
Wherein the fastening surfaces of the fastening pieces are arranged such that a distance from the base portion in a horizontal state is closer to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and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pivot centers of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are disposed on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base portion.
삭제delete 주방에 설치된 가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조립체는: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되게 회동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용 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 및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용 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회동축과,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들과, 상기 연장부들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들의 각 자유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회동축들, 및 상기 상하 회동축들에 각각 고정되는 체결 편들을 구비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편들의 각 체결 면은 수평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와의 거리가 상기 상하 회동축들과 상기 베이스부 간의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상하 회동축들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측에 가깝게 체결되며,
상기 상하 회동축들의 각 회동 중심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 중앙선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화상기기.
A display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display module moun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module so that the display module is rotatabl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hinge assembly comprising:
The hinge assembly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pivoting hol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round the pivoting hole and fastened to the body;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horizontal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 second body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s and having upper and lower rotating shafts vertically rotatably coupled to respective free ends of the extending portions, and fastening piece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rotating shafts, respectively; ≪ / RTI &
Wherein the fastening surfaces of the fastening pieces are arranged so that a distance from the base portion in a horizontal state is closer to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and the base portion and closer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module than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Wherein the pivot centers of the upper and lower pivot shafts are disposed on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base portion.
KR1020140025148A 2014-03-03 2014-03-03 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 KR101533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148A KR101533399B1 (en) 2014-03-03 2014-03-03 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148A KR101533399B1 (en) 2014-03-03 2014-03-03 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399B1 true KR101533399B1 (en) 2015-07-03

Family

ID=5378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148A KR101533399B1 (en) 2014-03-03 2014-03-03 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39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808A (en) * 2008-04-07 2009-10-12 코스텔(주) A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KR20120055892A (en) * 2010-11-24 2012-06-01 코스텔(주)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808A (en) * 2008-04-07 2009-10-12 코스텔(주) A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KR20120055892A (en) * 2010-11-24 2012-06-01 코스텔(주)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786B (en) Flexible device
US7640044B2 (en)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090001232A1 (en) Mobile device
CN110145535B (en) Balanced control mechanism, folding 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181959B1 (en)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US20110050063A1 (en) Adjustable table stand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0682670B1 (en) Hinge structure and a stand using the hinge structure
CN101739082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isplay screen
US20130168519A1 (en)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KR20130079978A (en) Mobile apparatus
US8687830B2 (en) Televis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070223915A1 (en) External camera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80138494A (en) Cross hinge and folding apparatus using it
US10802551B1 (en) Display device and a hinge mechanism therewith
US9500313B2 (en) Support for display
US20050152109A1 (en) Monitor
KR101533399B1 (en) Hing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employing the same
US9060421B2 (en) Projection device
KR101669991B1 (en)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comprising hinge assembly
JP2011071960A (en) Device comprising housings, and portable device thereof
KR101337949B1 (en) Tv for kitchen
JP2006317850A (en) Projector
KR100765562B1 (en) Speaker fixing structure of an image display deviec
KR102249519B1 (en) Slim display apparatus for kitchen
JP2004053221A (en) Operating device and its mounting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