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47B1 -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 Google Patents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47B1
KR101532347B1 KR1020130158382A KR20130158382A KR101532347B1 KR 101532347 B1 KR101532347 B1 KR 101532347B1 KR 1020130158382 A KR1020130158382 A KR 1020130158382A KR 20130158382 A KR20130158382 A KR 20130158382A KR 101532347 B1 KR101532347 B1 KR 10153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ticle
information
wireless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394A (ko
Inventor
이동훈
이길흥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3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24Electronic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28Adaptations for calculators, memory aids or reading ai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품 구매 고객이 계산대 앞에서 장시간 대기할 필요없이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 계산과 결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핸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하부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를 구비하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고, 상기 무선 결재 단말은 매장 내에 구비된 관리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물품 판독부;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물품 관련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부; 상기 RFID 태그 또는 바코드와 상기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한 물품의 총금액을 상기 신용 카드를 통하여 결재하는 금액 결재부; 상기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행사 정보와, 상기 고객의 이용 정보 및 포인트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 물품 판독부 및 정보 입력부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SHOPPING CART HAVING WIRELESS PAYMENT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이나 대형 할인매장 등에서는 고객이 카트에 직접 물건을 담아 나가는 출구에 설치된 계산대에서 카트에 담긴 물건을 모두 꺼내 이송 컨베이어 위에 놓으면 물건이 직원 앞으로 이동하고, 직원은 이때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물건의 가격, 종류, 수량 등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키게 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컴퓨터로 입력되어 계산되고, 계산완료 후에는 고객이 직접 자신이 계산 완료한 상품을 카트에 정리하여 넣어야 하는 것이므로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그러므로 게이트 주변에서 계산을 위하여 장시간을 기다려야 하며 카트에 넣은 물건을 계산대의 이송 컨베어이어에 올려놓고 다시 반대편의 출구에서 상품을 담아 재정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반적으로 대형 할인매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다량으로 구입하는 경향이 높으며, 따라서 제한된 수의 계산대를 통과하기 위하여 대기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고객은 이러한 불편을 감수하고 장시간 대기후 계산 및 재정리하여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는 것이며, 서비스 개선의 장애 요소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6764호 '바코드 스캐너를 구비한 매장용 카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9097호 '스마트 카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품 구매 고객이 계산대 앞에서 장시간 대기할 필요없이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 계산과 결재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핸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하부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를 구비하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고, 상기 무선 결재 단말은 매장 내에 구비된 관리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물품 판독부;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물품 관련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부; 상기 RFID 태그 또는 바코드와 상기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한 물품의 총금액을 상기 신용 카드를 통하여 결재하는 금액 결재부; 상기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행사 정보와, 상기 고객의 이용 정보 및 포인트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 물품 판독부 및 정보 입력부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는 상기 핸들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다른 카트의 결합편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결합구는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에 의하여 식별번호가 인식되는 경우 다른 카트의 결합편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물품 판독부는 상기 핸들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구와 이격되도록 구비된 스캐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 결재 단말은 상기 카트 고유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식별번호 저장부; 상기 RFID 태그 또는 바코드와 상기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한 물품 정보와 총금액 정보를 태그 정보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태그 저장부; 상기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행사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무선 결재 단말이 설치된 카트의 이용 여부에 따라 차등화된 적립 포인트 또는 인센티브를 연산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물품이 진열된 매장의 관리 직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다이렉트 문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는 물품 구매 고객이 물품 구매액을 계산하고 결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고객이 계산대 앞에서 장시간 대기할 필요없이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 계산과 결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업주에게 물품 구매액 결재를 위하여 배치해야 할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결재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가 복수 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핸들 부위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결재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가 복수 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핸들 부위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1)는 메인 프레임(10), 핸들(20), 바스켓(30), 보조 프레임(40) 및 캐스터(5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바스켓(30)을 지지하고, 보조 프레임(40)을 통하여 캐스터(50)가 장착되어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다수 개의 로드로 이루어지는데, 이 로드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로드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핸들(20)은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쇼핑 카트(1)의 전진 및 방향 조정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핸들(20)은 핸들 프레임(21), 무선 결재 단말(22) 및 결합구(24)를 구비한다.
상기 핸들 프레임(21)은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매자가 손으로 감쌀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진 및 방향 조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핸들 프레임(21)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핸들 프레임(2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은 핸들 프레임(21) 상에 형성되어, 하면이 클램프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하여 핸들 프레임(21)에 결합되고, 상면은 쇼핑 카트(1)의 전방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은 고객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쇼핑 카트(1)의 후방 방향으로 뉘어져 보관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회전가능하게 핸들 프레임(2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결재 단말(22)은 고객의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를 인식하여 쇼핑 카트(1)를 렌트할 수 있도록 하고,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리더하거나 물품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인식된 물품 금액을 자동으로 계산한 후, 무인 계산대에서 고객이 직접 신용 카드로 결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이 쇼핑 카트(1)를 렌트한 다음, 매장에 전시된 물건 중 구입을 원하는 물건이 있는 경우 재치함(25)에 구비된 스캐너(26)를 이용하여 해당 물품을 쇼핑 카트(1)에 넣으면서 물건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독취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은 통신부(221), 식별코드 인식부(222), 물품 판독부(223), 정보 입력부(224), 금액 결재부(225), 디스플레이부(226a), 식별번호 저장부(227a), 태그 저장부(227b), 음성 출력부(226b), 부가 서비스 제공부(226c), 다이렉트 문의부(228) 및 제어부(229)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21)는 쇼핑 라인 마다 설치된 엑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외부 관리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무선 결재 단말(22)로부터 가공된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무선 결재 단말(22)로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221)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관리 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관리 서버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결재 단말(22)로부터 가공된 정보와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방식, 4G 방식, LTE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222)는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장치로서, 고객의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예를 들면, RFID 카드)의 삽입 또는 접촉을 통하여 카드 정보를 인식하여 관리 서버로부터 받은 인증 결과를 토대로 쇼핑 카트(1)의 연결 고리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객 인증을 위한 수단으로써,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불 카드 및 기타 인증 가능한 카드, 인증 가능한 휴대 전화 및 휴대 단말 등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물품 판독부(223)는 정보값을 읽고 쓰기 위한 RFID 또는 바코드 리더/라이터를 구비하여,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인식한다. 즉, 상기 물품 판독부(223)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 또는 바코드의 정보를 읽는 부분으로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여 읽은 정보값을 제어부(229)로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쇼핑 중인 고객에게 현재의 방식처럼 자유롭게 쇼핑 공간을 이동하면서 구매 물품을 쇼핑 카트(1)에 담을 때 마다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물품 판독부(223)에 태그하여 스캔하도록 한다.
상기 정보 입력부(224)는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물품 관련 정보가 입력된다. 즉, 상기 정보 입력부(224)는 고객이 직접 자신이 선택한 물품의 태그 또는 코드 정보나 물품의 명칭 등의 물품 관련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금액 결재부(225)는 RFID 태그 또는 바코드와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한 물품의 총금액을 신용 카드를 통하여 결재한다. 즉, 상기 금액 결재부(225)는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읽어들인 물품 총금액이나 고객에 의하여 입력된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하여 계산된 물품 총금액에 대하여 확인한 후, 무인 계산대를 통과할 때 고객의 신용 카드를 통하여 결재한다. 따라서, 상기 물품 구매를 마친 고객은 디스플레이부(226a)에 표시된 물품 총 금액을 결재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용 카드를 금액 결재부(225)에 태그한 후 비밀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금액을 결재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디스플레이부(226a)에 표시된 물품 총 금액을 결재하기 위하여 자신의 고객 카드를 금액 결재부(225)에 태그한 후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인증받고, 디스플레이부(226a)에 표시되는 자신의 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26a)는 최종 결재시 고객의 구매 금액과 신용도에 따라 할인을 해주거나 포인트를 제공하는 메시지를 안내하고, 사용 여부를 고객이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6a)는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행사 정보와, 고객의 이용 정보 및 포인트 정보와, 식별코드 인식부(222), 물품 판독부(223) 및 정보 입력부(224)의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26a)는 무선 결재 단말(22)에 발생하는 각종 메시지를 도면이나 문자로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6a)는 쇼핑 중에 할인 상품에 대한 정보와, 고객의 이용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여 고객에게 효율적인 쇼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6a)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26a)는 숫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각종 키들을 터치 가능한 화면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식별번호 저장부(227a)는 카트 고유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로서,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매장 내의 각 쇼핑 카트(1)별 고유의 식별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쇼핑 카트(1)의 고유 식별번호는 쇼핑 카트(1)의 출입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장 내의 출입구에 구비된 카트 인식 수단 등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태그 저장부(227b)는 RFID 태그 또는 바코드와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한 물품 정보와 총금액 정보를 태그 정보로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226b)는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행사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226b)는 무선 결재 단말(22)에 의하여 발생하는 각종 메시지를 음성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부(226c)는 고객의 이용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와 무선 결재 단말(22)이 설치된 쇼핑 카트(1)의 이용 여부에 따라 차등화된 적립 포인트 또는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의 이용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는 식별코드 인식부(222)에 의하여 고객 인증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 같은 쇼핑을 하더라도 신용도에 따라 차별화된 대우를 받고자 하는 것이 소비자의 심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객의 이용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에 따른 차등화된 적립 포인트 또는 인센티브 부과와 함께 무선 결재 단말(22)이 탑재된 쇼핑 카트(1)를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일반 고객보다 구매 물품 액수에 따른 차등화된 적립포인트 또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물품 구매욕구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다이렉트 문의부(228)는 물품이 진열된 매장의 관리 직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고객이 물품 또는 광고 관련 정보에 관하여 문의하고자 하는 경우, 매장의 관리 직원과 직접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통화 또는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직원을 직접 호출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9)는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식별코드 인식부(222)의 인식결과에 따라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각 구성요소(즉, 통신부(221), 식별코드 인식부(222), 물품 판독부(223), 정보 입력부(224), 금액 결재부(225), 디스플레이부(226a), 식별번호 저장부(227a), 태그 저장부(227b), 음성 출력부(226b), 부가 서비스 제공부(226c), 다이렉트 문의부(228))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무선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 서버로부터 미리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29)는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고객의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를 인식하여 쇼핑 카트(1)를 렌트할 수 있도록 하고, 물품의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리더하거나 물품 정보의 수동 입력을 통하여 물품 금액을 자동으로 계산한 후 무인 계산대에서 고객이 직접 신용 카드로 결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9)는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쇼핑 카트(1)가 다른 카트에 연결되어 있다가 식별코드 인식부(222)에 의하여 고객 인증이 완료되면 쇼핑 카트(1) 간에 연결된 연결 고리(242)를 해제시켜 해당 쇼핑 카트(1)를 고객에게 렌트하게 된다.
상기 결합구(24)는 핸들 프레임(21) 상에 무선 결재 단말(22)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다른 카트(1a)의 결합편(24a)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구(24)에는 다른 카트(1a)와 기계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전기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끝단에는 전기라인에 연결되는 결합편(24a)이 제공되는 연결 고리(242)와 다른 카트(1a)의 결합편(24a)이 체결되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결합홈(24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리(242) 및 결합편(24a)은 무선 결재 단말(22)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22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고리(242) 및 결합편(24a)은 결함홈(2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고리(242)는 +, - 극성을 가지는 전기라인(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 고리(242)는 기계적 강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기존의 연결고리에 +, - 극성을 가지는 전기라인을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편(24a)은 연결고리(242)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쇼핑 카트(1)의 결합편(24a)은 다른 카트(1a)의 결합홈(243)에 기계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29)에 의하여 쇼핑 카트(1) 간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스켓(30)은 메인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매자가 쇼핑하는 물품을 적재하도록 그물 모양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바스켓(30)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40)은 바스켓(30)의 하부이고, 메인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프레임(40)에는 메인 프레임(10)의 하부 영역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구매자가 쇼핑하는 물품을 별도로 적재할 수도 있다.
상기 캐스터(50)는 보조 프레임(40)의 하부에 설치되고, 본 쇼핑 카트(1)에는 대략 4개의 캐스터(50)가 장착된다.
상기 캐스터(50)는 "ㄷ" 형상을 가지고 보조 프레임(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51)과, 브라켓(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바퀴(52)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쇼핑 카트(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쇼핑 카트(1)와 다른 쇼핑 카트(1a)들을 서로 연결, 보관하여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카트의 사용을 유료화하도록 하는 잠금장치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잠금장치들은 사용하지 않는 쇼핑 카트(1)의 핸들 프레임(21)에 장착된 결합구(24)의 결합홈(243)에 다른 이웃한 카트(1a)의 결합구에 연결 고리(242)에 구비된 결합편(24a)을 삽입시켜 고정한다. 즉, 상기 결합편(24a)을 결합홈(243) 내로 진입시키면 결합홈(243) 내에 결합편(24a)이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쇼핑 카트(1)는 다른 이웃한 카트(1a)와 연결되어 있으며, 쇼핑 카트(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합구(24)의 몸체(241) 상면에 형성된 카드 리더기(27)에 고객의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를 접촉시키면 제어부(229)에 의하여 결합구(24)의 결합홈(243)에서 다른 카트(1a)의 결합편(24a)이 해제되어 쇼핑 카트(1)를 다른 카트(1a)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구(24)의 하측에는 전기 라인이 삽입되는 삽입홀(2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쇼핑 카트(1)들 간을 서로 결합시키고자, 결합편(24a)을 결합홈(243) 내로 진입시켜 결합홈(243) 내에 결합편(24a)이 걸려 고정되는 경우, 제어부(229)에 의하여 결합구(24)와 결합편(24a)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29)는 결합구(24)와 결합편(24a)의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226a) 또는 음성 출력부(226b)를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들을 통하여 고객이 쇼핑 카트(1)를 다른 카트(1a)에 고정시키는 때, 결합구(24)와 결합편(24a)의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226a) 또는 음성 출력부(226b)를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쇼핑 카트(1) 들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성 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들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조정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내백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조성물로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비가 0.3~1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비가 0.3~1인 것이 바람직한데, 0.3미만이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충격 흡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1을 초과하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산상 크기가 증가하여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핸들 프레임(21)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패션플라워 오일(Passion flower oil) 50중량%, 시다우드 오일(Cedarwoo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패션플라워 오일(Passion flower oil)은 브라질, 오스트레일라, 멕시코 등지에서 자라는 다년생초에서 얻어지는 오일로서, 진통, 항울, 심리적 스트레스해소, 불안증 해소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시다우드 오일(Cedarwood oil)은 cedrol, cadinene 등의 화학적 성분을 함유하며, 호흡기 질환, 스트레스 완화, 항울증, 신경통, 근육통, 통증완화 등의 질환 치료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핸들 프레임(21)에 코팅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한다.
또한, 바스켓(30)의 둘레에는 살균, 소독 기능 등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며 이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택사 50중량%, 휀넬(Fenne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택사(Alisma canaliculatum)는 택사과(Alismataceae)에 속하고, 세균 독성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작용 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휀넬(Fennel)은 아니시드, 카라웨이, 코리안더 등과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화학적 구성요소로는 anethol, estragol, camphene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살균효과 등이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바스켓(30)의 둘레에 코팅됨에 따라 살균, 살충 등의 작용을 하여 식품이 수납되는 바스켓(30)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쇼핑 카트 10: 메인 프레임
20: 핸들 21: 핸들 프레임
22: 무선 결재 단말 24: 결합구
30: 바스켓 40: 보조 프레임
50: 캐스터 221: 통신부
222: 식별코드 인식부 223: 물품 판독부
224: 정보 입력부 225: 금액 결재부
226a: 디스플레이부 226b: 음성 출력부
227a: 식별번호 저장부 227b: 태그 저장부
228: 부가 서비스 제공부 229: 제어부

Claims (4)

  1. 메인 프레임(10);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무선 결재 단말(22)이 구비된 핸들(20);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타측에 설치되는 바스켓(30); 상기 바스켓(30)의 하부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타측에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40); 및 상기 보조 프레임(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50)를 구비하는 무선 결재 단말(22)이 구비된 쇼핑 카트(1)이고,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은
    매장 내에 구비된 관리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221);
    신용 카드 또는 고객 카드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222);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물품 판독부(223);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물품 관련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부(224);
    상기 RFID 태그 또는 바코드와 상기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한 물품의 총금액을 상기 신용 카드를 통하여 결재하는 금액 결재부(225);
    상기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행사 정보와, 상기 고객의 이용 정보 및 포인트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222), 물품 판독부(223) 및 정보 입력부(224)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6a); 및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222)의 인식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결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9)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은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조성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비가 0.3~1일 수 있으며,
    상기 핸들 프레임(21)에는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고,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패션플라워 오일(Passion flower oil) 50중량%, 시다우드 오일(Cedarwoo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222)는 상기 핸들(2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다른 카트의 결합편(24a)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결합구(24)는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222)에 의하여 식별번호가 인식되는 경우 다른 카트의 결합편(24a)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판독부(223)는 상기 핸들(20)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구(24)와 이격되도록 구비된 스캐너(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은
    상기 카트 고유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식별번호 저장부(227a);
    상기 RFID 태그 또는 바코드와 상기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한 물품 정보와 총금액 정보를 태그 정보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태그 저장부(227b);
    상기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행사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26b);
    상기 무선 결재 단말(22)이 설치된 카트의 이용 여부에 따라 차등화된 적립 포인트 또는 인센티브를 연산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부(226c); 및
    상기 물품이 진열된 매장의 관리 직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다이렉트 문의부(2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KR1020130158382A 2013-12-18 2013-12-18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KR10153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82A KR101532347B1 (ko) 2013-12-18 2013-12-18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82A KR101532347B1 (ko) 2013-12-18 2013-12-18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394A KR20150071394A (ko) 2015-06-26
KR101532347B1 true KR101532347B1 (ko) 2015-06-29

Family

ID=5351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382A KR101532347B1 (ko) 2013-12-18 2013-12-18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111B1 (ko) * 2016-08-05 2017-02-01 권혁준 자동계산 기능을 가진 카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43Y1 (ko) * 2000-03-13 2000-08-16 박영수 쇼핑 카트에 장착된 이동용 바코드 계산 시스템
KR20060059528A (ko) * 2004-11-29 2006-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쇼핑 카트용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1624A (ko) * 2009-12-21 2011-06-29 송재관 상품코너 안내용 전동 쇼핑카트
KR20130047126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스마트로 카트를 이용한 물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43Y1 (ko) * 2000-03-13 2000-08-16 박영수 쇼핑 카트에 장착된 이동용 바코드 계산 시스템
KR20060059528A (ko) * 2004-11-29 2006-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쇼핑 카트용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1624A (ko) * 2009-12-21 2011-06-29 송재관 상품코너 안내용 전동 쇼핑카트
KR20130047126A (ko)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스마트로 카트를 이용한 물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394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3768B (zh) 用于使数据集优先化的移动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CN103400271B (zh) 用于农产品批发市场的农产品交易系统及其交易方法
CN106204197A (zh) 一种购物通道、购物方法和装置
CN106203547A (zh) 一种购物车、购物方法和装置
WO2005096237A1 (en) Smart-cart with rfid scanner
CN104040580A (zh) 用便携式计算设备提供个性化购物体验以及对产品和服务的个性化定价的系统和方法
CN107301728A (zh) 一种自助售卖方法及系统
CN108090763A (zh) 一种可在线支付与溯源的智能电子秤及交易方法
CN107392687A (zh) 自动化零售实现系统
CN107886397A (zh) 一种商品分销数据处理方法及其系统
CN107833116A (zh) 一种无人商场自助式智能购物方法
RU113391U1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касса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CN107480927A (zh) 采购系统及方法
CN104332007A (zh) 一种带通信购物装置的购物车
CN108109294A (zh) 支付管理系统、实现方法与设备、可读存储介质
CN107767231A (zh) 一种商品分销系统
KR101532347B1 (ko) 무선 결재 단말이 구비된 쇼핑 카트
KR20150071393A (ko) 카트를 이용한 무인 결재 시스템
CN204480408U (zh) 一种带通信购物装置的购物篮
CN110400416A (zh) 一种基于重力感应的智能售货柜
CN110009436A (zh) 智能购物系统及智能购物方法
CN107958390A (zh) 一种无人值守店用户消费行为分析方法及系统
CN104332006A (zh) 一种带通信购物装置的购物腕表
CN107392796A (zh) 酒店的绿植提供方法、绿植提供系统
DE202012004498U1 (de) Smartphone Bestell-App für Fastfood Restaurants - Kassensystem mit Code-Sc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