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65B1 -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 Google Patents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65B1
KR101531865B1 KR1020140065367A KR20140065367A KR101531865B1 KR 101531865 B1 KR101531865 B1 KR 101531865B1 KR 1020140065367 A KR1020140065367 A KR 1020140065367A KR 20140065367 A KR20140065367 A KR 20140065367A KR 101531865 B1 KR101531865 B1 KR 10153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ake
manual
base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희수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06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류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측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를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히 손가락이나 손톱으로 누르는 수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SOCKET FOR DUAL MEMORY CARD}
본 발명은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류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측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를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히 손가락이나 손톱으로 누르는 수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개인정보 및 신용결제에 대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카드와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가 각각 구비된다.
메모리 카드 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제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는 심 카드, 알유아이엠 카드, 모네타 카드, 뱅크 온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위한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메모리스틱, 엑스디 픽쳐 카드, 티플래쉬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 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제를 위해 사용되는 인증용 심 카드는 분실에 의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배터리 팩이 밀착되는 백 케이스의 결합 면에 실장되어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교체가 불가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용 메모리 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서 바로 교체할 수 있도록 실장 된다.
종래에는 인증용 메모리 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소켓이 각각 별도의 소켓으로 제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위치에 각각 실장되는 바, 각 메모리 소켓을 각각 실장하기 위한 실장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부품들의 설치에 제약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증용 메모리 카드로서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 카드로서의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푸시풀(push/pull) 타입으로 장착 사용할 수 있는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푸시풀(push/pull) 타입의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경우, 삽입된 마이크로 심 카드의 취출시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사용해야 하므로 소형 사이즈의 카드 취출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도구를 활용하여 취출하는 경우에도 메모리 카드용 소켓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3-0005659 호 (2013.09.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종류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버튼을 간단히 눌러줌으로써, 토션 스프링의 높이 변화에 의한 토션 스프링의 수평 거리가 증가하여 손쉽게 하측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를 취출할 수 있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션 스프링의 로드 형태의 후방부는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로드 형태의 전방부는 마이크로 심 카드의 후단부와 맞닿아 버튼의 작동에 따라 탄성 변위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심카드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취출할 수 있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은,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으로 제 1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으로 제 2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2 쉘;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 후방에 토션 스프링의 탄성적인 상하 이동에 따라 전후 폭이 변위(變位) 되어지도록 배치되며, 그 전방부는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 후방 지지벽에 지지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상측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에 하측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탄성적으로 유도하는 수동 취출 버튼부가 설치되는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측으로 복원 탄성력을 갖도록 다수의 코일이 감겨지는 상기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말단에서 직선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드 형태의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측 말단에서 직선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드 형태의 상기 후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제 1 카드의 취출시에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의 하측 가압력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이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는 일직선상을 이루어 상기 전후 폭이 최대가 되어 상기 전방부의 선단이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시 또는 평상시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상측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는 상측으로 승강되고,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 사이의 전후 폭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중앙 상단부에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중앙 상부 내측 공간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안착 지지되어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하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전방 하단으로는 절개되어 상기 전방부의 선단부가 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후단부와 맞닿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후방 하단으로도 절개되어 상기 후방부의 후단부가 돌출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의 일측 후방 지지벽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외측 상면부에서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의 둘레를 따라 스토퍼로서의 걸림면이 형성되어 상기 2 쉘의 일측 후방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의 상승 범위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는 상기 제 2 쉘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는 마이크로 심 카드(Micro SIM CARD)이고, 상기 제 2 카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Micro SD CAR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의하면, 2종류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버튼을 간단히 눌러줌으로써, 토션 스프링의 탄성적인 상하 변화에 의한 토션 스프링의 전후 수평 거리가 증가하여 손쉽게 하측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를 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 삽입시 또는 미삽입된 평상시에는 토션 스프링이 복원력에 의해 수동 취출 버튼은 자동적으로 상측으로 복원되어 초기 위치로 원위치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1)은,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가 형성된 베이스(10)와,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상면을 덮는 제 1 쉘(20)과, 제 2 접촉자 장착부(12) 상면을 덮는 제 2 쉘(30)과,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와, 푸시풀(push-pull) 동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40)로 크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10)와 제 1 및 제 2 쉘(20, 30)에 의해 상하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70, 80)으로 제 1 및 제 2 카드(2, 3) 즉, 마이크로 심 카드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가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됨과 동시에, 하측의 제 1 삽입 공간(70)으로 삽입되는 제 1 카드(2)는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40)에 의해 푸시풀(push-pull) 동작에 의해 삽입 및 취출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40)는 베이스(10)의 상면의 일측(우측) 후방에 토션 스프링(42)의 탄성적인 상하 이동에 따라 전체적인 전후 폭(수평 거리)이 변위 되어지도록 배치되며, 그 전방부(42-1)는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부(42-2)는 상기 베이스(10)의 우측 후방 지지벽(16)에 지지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2)의 상측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42)에 하측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탄성적으로 유도하는 수동 취출 버튼부(41-1)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카드(2)를 삽입하면, 상기 제 1 카드(2)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서 지지되고, 수동에 의해 수동 취출 버튼부(41-1)를 누르면 상기 제 1 카드(2)를 전방으로 용이하게 취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4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마이크로 심 카드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각각 제 1 및 제 2 카드로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종류의 심 카드나 에스디 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베이스(10)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나 기판 등에 설치되거나 그 일부로 형성되며,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1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체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는 전후로 다수 개 배열(도시된 예에서는 2열(列))된 마이크로 심 카드 접촉자인 제 1 카드 접촉자(50)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는 다수개(도시된 예에서는 1열 배열)의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 접촉자인 제 2 카드 접촉자(6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는 전후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접촉자(60)는 제 2 접촉자 장착부(12)와의 결합을 위해 제 1 접촉자(50)보다는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는 베이스(10)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에 오버 몰딩(over molding)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억지끼움 방식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 또는 체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에서 연장된 제 1 및 제 2 납땜부(51, 52)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10) 후단부에 디텍트 스위치 리드(9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접촉자(60)들 중 우측으로부터 기설정된 접촉자와 디텍트 스위치 리드(90)와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후"방향이라 함은 도면들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카드(2, 3)가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70, 80)을 통해 삽입 및 취출되는 방향을 지칭하며, "좌우"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하"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향의 정의는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제 1 쉘(20)은 상기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 상면을 덮으며 결합되어 베이스(10)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70)을 형성하여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가 삽입 및 취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쉘(20)이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돌기(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쉘(20)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 홀(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제 1 쉘(20)의 좌우의 가장자리 상면 일부를 "L"자형으로 절개하여 각각 대향되게 제 1 가이드 편(21) 및 제 2 가이드편(22)을 상측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편(21)(22)은, 후술하는 제 2 쉘(3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삽입 공간(80)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여 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 2 쉘(30)은 제 2 접촉자 장착부(12) 상면을 덮으며 결합되어 베이스(10)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80)을 형성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는 그 중앙이 절개된 면이며, 그 좌우 양측면에 전후로 가이드부(14)가 상기 제 1 쉘(20)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를 제 2 삽입 공간(80)내에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 2 쉘(30)이 상기 베이스(1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좌우 양측면에도 결합돌기(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쉘(30)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 홀(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3)를 삽입하기 위한 제 2 쉘(30)은 마이크로 심 카드(2)를 삽입하기 위한 제 1 쉘(1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함으로, 동일방향으로 다른 종류의 카드를 삽입함에도 불구하고 그 실장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역삽입을 방지하도록 제 1 카드(2)의 좌측 모서리에 역삽입 방지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역삽입 방지면(2-1)에 대응하는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후방의 좌측면에는 삼각형상의 역 삽입 방지턱(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역삽입 방지면(2-1) 및 역삽입 방지 턱(15)에 의해서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는 정해진 일 방향으로만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가 오삽입되는 경우, 상기 역삽입 방지턱(15)이 마이크로 심 카드(2)의 삽입을 저지하여 마이크로 심 카드 접촉자(50)와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접속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못하게 하여 시스템 오류 또는 오동작을 사전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40)는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에 토션 스프링(42)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그 전후 폭(수평 거리)이 변위(變位)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드(2)의 버튼 타입의 수동 취출을 위하여 그 상측에 수동 취출 버튼부(41-1)가 구비된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41); 및 상기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41)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며, 그 전방부(42-1)가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부(42-2)는 베이스(10)의 우측 후방 지지벽(16)에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토션 스프링(42)은 상측으로 복원 탄성력을 갖도록 다수의 코일이 전후방향으로 압축되어 감겨지며, 상기 토션 스프링(42)의 일측 말단에서 직선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드 형태의 상기 전방부(42-1)가 배치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2)의 타측 말단에서 직선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드 형태의 상기 후방부(42-2)가 배치되는 형태이다.
즉, 상기와 같은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40)는, 상기 제 1 카드(2)의 취출시에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41-1)의 하측 가압력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42)이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 형태의 전방부(42-1) 및 후방부(42-2)는 일직선상을 이루어 전체적인 전후 폭(수평 거리)이 최대가 되어 상기 후방부(42-2)가 베이스(10)의 우측 후방 지지벽(16)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부(42-1)의 선단이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카드(2)의 삽입시 또는 평상시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42)이 상측으로 복원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41-1)는 상측으로 승강되고, 이때, 상기 로드 형태의 전방부(42-1) 및 후방부(42-2)는 토션 스프링(42)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어 그 사이의 전후 폭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고 토션 스프링의 최대 상승시에는 그 전후 폭은 최소가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우측 코너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41)가 캡(cap) 형태로 배치되어 전체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토션 스프링(42)을 눌러주거나, 복원력에 의해 토션 스프링(42)과 함께 상승되어진다.
즉,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41)의 중앙 상단부에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41-1)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버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41)의 전방 하단으로는 절개되어 상기 로드 형태의 전방부(42-1)의 선단부가 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 하단으로도 절개되어 상기 로드 형태의 후방부(42-2)의 후단부가 돌출연장되어 상기 베이스(10)의 우측 후방 지지벽에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41)의 중앙 상부 내측 공간(41-2)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42)이 안착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승하강한다.
아울러,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41)의 외측 상면부에서 사각통 몸체 형상의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41-1)의 둘레를 따라 스토퍼로서의 걸림면(41-3)이 형성되어 제 2 쉘의 우측 후방에 형성된 절개부(30-1)를 통해 복원력에 의해 상승(승강)되는 수동 취출 버튼부(41-1)의 상승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삽입시 또는 미삽입된 평상시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42)이 상측으로 복원력을 받는 상태이므로,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41-1)는 상측으로 승강되고, 이때, 상기 로드 형태의 전방부(42-1) 및 후방부(42-2)는 토션 스프링(42)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어 그 사이의 전후 폭은 점진적으로 좁아져 최소가 되어진다(도 5a 참조).
이 상태에서, 제 1 카드(2)의 취출시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자신의 손가락이나 손톱을 사용해서 상부로 돌출된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40)의 수동 취출 버튼부(41-1)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하측 가압력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42)이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 형태의 전방부(42-1) 및 후방부(42-2)는 일직선상을 이루어 그 전후 폭(수평거리)이 최대가 되어 상기 후방부(42-2)의 후단(수직 절곡된 로드 형상)가 베이스(10)의 우측 후방 지지벽(16)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부(42-1)의 선단(수직 절곡된 로드 형상)이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고, 제 1 삽입공간(7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카드(2)를 손쉽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도 5b 참조).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2: 제 1 카드 2-1: 역삽입 방지면
3: 제 2 카드 10: 베이스
11. 12: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 14: 가이드부
15: 역 삽입 방지턱
20: 제 1 쉘 21: 제 1 가이드 편
22: 제 2 가이드편 30: 제 2 쉘
30-1: 절개부 40: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
41: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
41-1: 수동 취출 버튼부 41-2: 중앙 내측부 공간
41-3: 걸림면 42: 토션 스프링
42-1: 로드 형태의 전방부 42-2: 로드 형태의 후방부
50: 제 1 접촉자 51, 52: 제 1 및 제 2 납땜부
60: 제 2 접촉자
70, 80: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
90: 디텍트 스위치 리더

Claims (10)

  1.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으로 제 1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으로 제 2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2 쉘;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 후방에 토션 스프링의 탄성적인 상하 이동에 따라 전후 폭이 변위 되어지도록 배치되며, 그 전방부는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 후방 지지벽에 지지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상측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에 하측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탄성적으로 유도하는 수동 취출 버튼부가 설치되는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측으로 복원 탄성력을 갖도록 다수의 코일이 감겨지는 상기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 말단에서 직선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드 형태의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측 말단에서 직선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드 형태의 상기 후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타입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제 1 카드의 취출시에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의 하측 가압력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이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는 일직선상을 이루어 상기 전후 폭이 최대가 되어 상기 전방부의 선단이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시 또는 평상시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상측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는 상측으로 승강되고,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 사이의 전후 폭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중앙 상단부에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중앙 상부 내측 공간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안착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전방 하단으로는 절개되어 상기 전방부의 선단부가 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후단부와 맞닿고,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후방 하단으로도 절개되어 상기 후방부의 후단부가 돌출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의 일측 후방 지지벽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수동 취출 버튼 동작부의 외측 상면부에서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의 둘레를 따라 스토퍼로서의 걸림면이 형성되어 상기 2 쉘의 일측 후방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의 상승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취출 버튼부는 상기 제 2 쉘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는 마이크로 심 카드(Micro SIM CARD)이고, 상기 제 2 카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Micro SD C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20140065367A 2014-05-29 2014-05-29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153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367A KR101531865B1 (ko) 2014-05-29 2014-05-29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367A KR101531865B1 (ko) 2014-05-29 2014-05-29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865B1 true KR101531865B1 (ko) 2015-06-26

Family

ID=5351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367A KR101531865B1 (ko) 2014-05-29 2014-05-29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6034U (ko) * 1985-11-18 1987-06-01
US6174186B1 (en) * 1997-05-21 2001-01-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ard connector
KR101027914B1 (ko) * 2009-09-07 2011-04-12 케이. 에이. 이 (주) 듀얼 심카드 커넥터
KR101327302B1 (ko) * 2012-04-30 2013-11-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듀얼 메모리카드 소켓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6034U (ko) * 1985-11-18 1987-06-01
US6174186B1 (en) * 1997-05-21 2001-01-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ard connector
KR101027914B1 (ko) * 2009-09-07 2011-04-12 케이. 에이. 이 (주) 듀얼 심카드 커넥터
KR101327302B1 (ko) * 2012-04-30 2013-11-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듀얼 메모리카드 소켓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9653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US9866249B1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US9001501B2 (en) Card tray and tray connector
KR101627697B1 (ko)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KR101228837B1 (ko) 심 카드 소켓
US8460019B2 (en) Card connector with separable card tray
US9543999B2 (en) Card connector
US9761971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which prevents short-circuits, prevents damage and wear, enables easier handling, and improves reliability
JP57386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198497B1 (en) Ejecting device for card connector
CN104600490B (zh) 具有固定装置的移动终端
US8794986B2 (en) Connector
US20110250772A1 (en) Small sized stacked card connector with ejector facilitating ejection of a sim card
KR101574726B1 (ko) 수동 카드 이젝터를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US20120058657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detecting contacts actuated by slider
KR101574724B1 (ko) 회전형 취출 수단을 구비한 심 카드용 소켓
KR101531865B1 (ko) 버튼 타입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1489495B1 (ko)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EP3304652B1 (en) Car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978195B1 (en) Communications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kinds of intelligent cards
CN214957410U (zh) 一种分体式卡座及具有其的终端
US20070149017A1 (en) Card connector with an ejector
KR101657201B1 (ko) 나노심 및 마이크로에스디용 복층형 소켓커넥터
KR101430406B1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카드용 소켓
KR101586243B1 (ko)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