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715B1 -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715B1
KR101531715B1 KR1020130161867A KR20130161867A KR101531715B1 KR 101531715 B1 KR101531715 B1 KR 101531715B1 KR 1020130161867 A KR1020130161867 A KR 1020130161867A KR 20130161867 A KR20130161867 A KR 20130161867A KR 101531715 B1 KR101531715 B1 KR 10153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over portio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김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민 filed Critical 김경민
Priority to KR102013016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7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is used to protect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from an external impact and to charge or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rotective cover unit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unit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unit. The first protective cover un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enclosing at least three or more side surfaces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un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en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surface or two side surfaces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reover, the second protective cover has electrical wiring provided therein and includes a first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wiring and provid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wiring and provided at the other end thereof.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0001]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0002]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컴퓨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이나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is us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o another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케이스가 결합된다. 이러한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Generally, cases are combined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uch a case serves to preve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being damaged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출원인은 이러한 케이스를 개량하여 쉽게 휴대하면서도 별도의 커넥터를 가지고 다니는 일이 없이 컴퓨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쉽게 연결하여 충전이나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개발하였다.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ca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function of easily connecting to another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carrying out charging or data transmission without carrying a separate connector while carrying it easily .

이러한 개량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79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이루는 커버부에 접속단자들을 설치하여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에 쉽게 휴대용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Such an improv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9790.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discloses a technique for easily conne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by providing connection terminals on a cover portion constituting a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다른 전자기기를 연결할 때 케이스 전체를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부품의 수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에 충분하게 만족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the number of parts is minimize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790호(2013. 10. 30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9790 (registered on October 30, 20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하면서도 다른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hich can sufficiently perform a protection func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ase.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다른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케이스의 일부를 쉽게 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can easily detach and attach a part of a case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other electronic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제1 보호커버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보호커버부를 포함하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first protective cover unit coupl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second protective cover unit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unit,

상기 제1 보호커버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부를 감싸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보호커버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의 일부 또는 2개의 측면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배선이 제공되고 상기 배선에 연결되며 한쪽 끝에 제공되는 제1 접속단자, 상기 배선에 연결되며 다른 쪽 끝에 제공되는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Wherein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is fit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enclosing at least three side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covers at least on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enclosing a part or two sid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vided with a wiring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wiring and provided at one end thereof, 2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1 보호커버부와 상기 제2 보호커버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앞면부와 배면부를 이루는 모서리를 감싸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끼워지는 걸림턱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which fits around the corners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its in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외부 전자기기에 제공된 유에스비 포트에 끼워지는 유에스비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제공된 통신 및 충전포트에 끼워지는 통신 및 충전 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a USB terminal that is fitted in a USB port provid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inserted in the charging port .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는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부가 제공되며, 다른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2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2 고정홈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is provided at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nd a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는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고정홈부의 내부에 제1 걸림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제1 걸림부에 끼워지는 제2 걸림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at one end portion thereof, a first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at least on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latching portion is fitted to the first latching portion.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comprise grooves or protrusions.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는 다른 한쪽 끝에 상기 제2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2 고정홈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고정홈부의 내부에는 제3 걸림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2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제3 걸림부에 끼워지는 제4 걸림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 third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and at least one surface And a fourth engaging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third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상기 제3 걸림부와 상기 제4 걸림부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hird latching portion and the fourth latching portion may be grooves or protrusions.

상기 제1 고정홈부는 상기 제2 보호커버부의 한쪽 끝 부분을 향하는 부분이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has an opening facing the one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상기 제1 고정홈부는 상기 제1 보호커버부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이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has an opening fa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는 한쪽 끝 부분 또는 양쪽 끝부분에 억지끼움홈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보호커버부에는 한쪽 끝 부분 또는 양쪽 끝부분에 상기 억지끼움홈부에 억지끼움결합되는 억지끼움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fit groove at one end or both ends thereof and the second protection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fit protrusion at one or both ends thereof for interference fit with the interference fit groove portion .

상기 억지끼움돌출부는 상기 제2 보호커버부의 끝 부분이 이루는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interference fit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상기 유에스비 단자는 폭(a)이 10.0~14.0mm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높이(b)가 3.0~4.0mm의 범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 및 충전 단자는 폭(c)이 5.0~8.0mm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높이(d)가 1.0~2.0mm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width of the USB terminal is in the range of 10.0 to 14.0 mm and the height of the USB terminal is in the range of 3.0 to 4.0 mm, And the height 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2.0 mm.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1 보호커버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보호커버부를 포함하며,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coupled to a por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coupled to a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1 보호커버부와 상기 제2 보호커버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앞면부와 배면부를 이루는 모서리를 감싸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끼워지는 걸림턱부가 제공되며,Wherein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which fits around a corner of a front surface portion and a back surfac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s fit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2 보호커버부는 내부에 배선이 제공되고 상기 배선에 연결되며 한쪽 끝에 제공되는 제1 접속단자, 상기 배선에 연결되며 다른 쪽 끝에 제공되는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며,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wiring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wiring and provid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ing and provided at the other end,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는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부가 제공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2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2 고정홈부가 제공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Wherein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at one end portion and a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at the other end portion, Cas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보호커버부와 제2 보호커버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보호커버부를 필요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 / receive the data, or to charg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제2 보호커버부를 분리하여도 제1 보호커버부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제1 보호커버부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여전히 보호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remains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ven whe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till protected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the role of the case for protec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외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2 보호커버부 만을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제2 보호커버부를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only a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can be removed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 is easy to use.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케이스 역할을 하는 구성 부품이 제1 보호커버부와 제2 보호커버부로 이루어져 구성 부품의 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minimizing the number of component parts because the component parts serving as a case for protec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composed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보호커버부와 제2 보호커버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보호커버부와 제2 보호커버부가 결합되는 다른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shape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expla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1 in an exploded manner.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taken at different angles.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a portion wher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are coupled to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Fig. 4.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part wher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are combined to expla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view of Fig. 6.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view of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10 in an exploded manner.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from another ang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FIG.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전자기기(A)는 스마트 폰 또는 통신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A)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디스플레이부를 정면으로 할 때 상, 하, 좌, 우에 측면부를 가지는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may be a smart phone, a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a shape having side portions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when the display portion is front.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이하, '케이스'라고도 함)는 제1 보호커버부(1)와 제2 보호커버부(3)를 포함한다.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제1 보호커버부(1)와 제2 보호커버부(3)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에 결합된다.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are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제1 보호커버부(1)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들 중에서 3개 이상의 측면부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보호커버부(1)는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 중에서 저면, 좌측면, 그리고 위면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커버부(1)는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더욱 바람직하게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 중에서 우측면의 아래부분, 저면, 좌측면, 그리고 위면의 일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may be coupled while enclosing three or more side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That is,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the left surface, and a part of the top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more preferably bonded to the lower portion, the bottom surface, the left surface,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이러한 제1 보호커버부(1)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호커버부(1)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턱부(1a)가 제공된다.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보호커버부(1)의 걸림턱부(1a)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와 휴대용 전자기기(A)의 정면부와 배면부를 이루는 모서리부분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부(1a)는 정면부와 배면부의 모서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연장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보호커버부(1)의 걸림턱부(1a)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1 보호커버부(1)를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atching jaw portion 1a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can be coupled while covering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and the corner portion constitut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ing jaw portion 1a extends from a portion disposed on a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and is made of an elastic body so as to cover the corner portions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That is, the latching jaw portion 1a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serves to coupl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to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by self-elastic force.

제1 보호커버부(1)에는 한쪽 끝 부분에 제1 고정홈부(5)가 제공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에는 제2 고정홈부(7)가 제공된다. 제1 고정홈부(5)와 제2 고정홈부(7)는 제1 보호커버부(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보호커버부(1)의 내부에 제공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제1 고정홈부(5)와 제2 고정홈부(7)는 제2 보호커버부(3)의 끝부분과 마주하는 부분이 개구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groove part (5) at one end and a second fixing groove part (7) at the other end. The first fixing groove 5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7 are spaces provided insid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ixing groove 5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7 have openings which face the end portions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3.

제2 보호커버부(3)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들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측면부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에서 제2 보호커버부(3)는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 중에서 우측면 일부와 위면의 일부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2 보호커버부(3)는 제1 보호커버부(1)가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않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보호커버부(3)는 제1 보호커버부(1)와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보호커버부(3)는 길이 방향을 따라 또 다른 걸림턱부(3a)가 제공된다.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may be coupled while enclosing one or two or more side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In the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in which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are coupled to a part of the top surface with reference to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not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lik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s provided with another latching jaw portion 3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 보호커버부(3)의 걸림턱부(3a)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의 일부와 휴대용 전자기기(A)의 정면부와 배면부를 이루는 모서리부분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호커버부(3)의 걸림턱부(3a)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정면부와 배면부의 모서리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를 감싸는 부분에서 연장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보호커버부(3)의 걸림턱부(3a)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2 보호커버부(3)를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atching jaw portion 3a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can be coupled while cover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and an edge portion constituting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The latching jaw portion 3a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extends in a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so as to cover the edge portions of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That is, the latching jaw portion 3a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serves to coupl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to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by self-elastic force.

제2 보호커버부(3)는 배선(9), 제1 접속단자(11), 그리고 제2 접속단자(13)를 포함한다.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ncludes a wiring 9,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

배선(9)은 제2 보호커버부(3)의 내부에 제공된다. 제1 접속단자(11)는 배선(9)과 연결되며 제2 보호커버부(3)의 한쪽 끝에 제공된다. 제2 접속단자(13)도 역시 배선(9)에 연결되며 제2 보호커버부(3)의 다른 한쪽 끝에 제공된다.The wiring 9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is connected to the wiring 9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is also connected to the wiring 9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제1 접속단자(11)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 전자기기에 제공된 유에스비 포트(USB port, 도시생략)에 끼워질 수 있는 유에스비 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is preferably made of a USB terminal that can be inserted into a USB port (not shown) provid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이러한 제1 접속단자(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을 a라고 하고, 높이를 b라고 할 때, 폭(a)이 10.0~14.0mm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높이(b)가 3.0~4.0mm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접속단자(11)는 폭(a)이 11.0~13.0mm, 높이(b)가 2.3~2.6mm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기를 가지는 제1 접속단자(11)는 표준화된 외부 전자기기의 유에스비 포트에 삽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has a width a and a height b. The width a is in the range of 10.0 to 14.0 mm, Is in the range of 3.0 to 4.0 m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width (a)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is 11.0 to 13.0 mm and the height (b) is 2.3 to 2.6 m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having such a size can be inserted into a USB port of a standardiz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이러한 제2 보호커버부(3)에 제공된 제1 접속단자(11)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11)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에 끼워질 때 억지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호커버부(1)는 탄성력이 있으면서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접속단자(11)를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에 쉽게 끼우거나 인출할 수 있으며, 제1 접속단자(11)가 제1 고정홈부(5)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재질 특성인 탄성력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provided i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part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is formed by interference fit when it is fit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may be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like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is fitt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5, the fixing state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first protection cover part 1. [

제2 접속단자(13)는 휴대용 전자기기(A)에 제공된 통신 및 충전포트(도시생략)에 끼워질 수 있는 통신 및 충전 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preferably comprises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that can be inserted into a communication port and a charging port (not shown) provid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이러한 제2 접속단자(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을 c라고 하고, 높이를 d라고 할 때, 폭(c)이 5.0~8.0mm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높이(d)가 1.0~2.0mm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접속단자(13)는 폭(c)이 6.5~6.7mm의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높이(d)가 1.4~1.6mm의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has a width c and a width c of 5.0 to 8.0 mm, and a height d, Is in the range of 1.0 to 2.0 m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may have a width c in a range of 6.5 to 6.7 mm, and a height d in a range of 1.4 to 1.6 mm.

이러한 제2 보호커버부(3)에 제공된 제2 접속단자(13)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제2 고정홈부(7)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접속단자(13)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제2 고정홈부(7)에 끼워질 때 억지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호커버부(1)는 탄성력이 있으면서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접속단자(13)를 제1 보호커버부(1)의 제2 고정홈부(7)에 쉽게 끼우거나 인출할 수 있고, 제2 접속단자(13)가 제1 보호커버부(1)의 제2 고정홈부(7)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재질 특성인 탄성력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provided i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7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is an interference fit when it is fit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7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may be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like and can easily fi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to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7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7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Thereby maintaining the fixed state.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의 내부에는 제1 걸림부(5a)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속단자(11)에는 제1 걸림부(5a)에 대응하는 제2 걸림부(11a)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1a)는 제1 접속단자(11)의 양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정홈부(5)의 내부에 제공된 제1 걸림부(5a)와 제1 접속단자(11)에 제공된 제2 걸림부(11a)는 서로 대응하는 홈(또는 장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and 5, a first latching portion 5a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latching portion 1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tching portion 5a. The second latching portion 11a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The first engaging portion 5a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5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a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may be formed of grooves or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이러한 제1 걸림부(5a)와 제2 걸림부(11a)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에 제2 보호커버부(3)의 제1 접속단자(11)가 끼워진 경우에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끼우거나 분리할 때도 쉽게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rst engaging portion 5a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a are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n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ly engaged state and to easily fit or separate when it is inserted or separated.

제1 걸림부(5a)와 제2 걸림부(11a)가 제1 보호커버부(1)와 제2 보호커버부(3)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제1 고정홈부(5)에 제1 접속단자(11)를 끼울 때 결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도 있다.When the first locking part 5a and the second locking part 11a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 1 connection terminal 11, it is possible to serve as a guide for easy connection.

또한,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호커버부(1)의 제2 고정홈부(7)의 내부에는 제3 걸림부(7a)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속단자(13)에는 제3 걸림부(7a)에 대응하는 제4 걸림부(13a)가 제공될 수 있다. 제4 걸림부(13a)는 제2 접속단자(13)의 양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고정홈부(7)의 내부에 제공된 제3 걸림부(7a)와 제2 접속단자(11)에 제공된 제4 걸림부(13a)는 서로 대응하는 홈(또는 장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6 and 7, a third latching portion 7a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7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s shown in Fig.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may be provided with a fourth latching portion 13a corresponding to the third latching portion 7a. The fourth latching portion 13a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 The third engaging portion 7a provid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7 and the fourth engaging portion 13a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1 may be formed of grooves or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이러한 제3 걸림부(7a)와 제4 걸림부(13a)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제2 고정홈부(7)에 제2 보호커버부(3)의 제2 접속단자(13)가 끼워진 경우에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끼우거나 분리할 때도 쉽게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third engaging portion 7a and the fourth engaging portion 13a are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n the second fixing groove 7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ly engaged state and to easily fit or separate when it is inserted or separated.

제3 걸림부(7a)와 제4 걸림부(13a)가 제1 보호커버부(1)와 제2 보호커버부(3)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 경우에는 제2 고정홈부(7)에 제2 접속단자(13)를 끼울 때 결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도 있다. When the third locking portion 7a and the fourth locking portion 13a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And may serve as a guide for facilitating engagement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13 is inserted.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에서는 제1 고정홈부(5)에 제1 접속단자(11)가 끼워져 서로 고정 결합되고, 제2 고정홈부(7)에 제2 접속단자(13)가 끼워져 서로 고정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제1 보호커버부(1)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 부분에 일종의 공간인 억지끼움홈부(15)가 제공되고, 이 억지끼움홈부(15)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제2 보호커버부(3)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 부분에 억지끼움돌출부(17)가 제공된다. 억지끼움돌출부(17)는 제2 보호커버부(3)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억지끼움돌출부(17)는 제2 보호커버부(3)의 한쪽 끝부분의 전체 크기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억지끼움홈부(15)와 억지끼움돌출부(17)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고무재질 또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is fitted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5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is fitted to the second fixing groove 7 to be fixed to each other The case where they are combined is explained.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fit groove portion 15 which is a kind of space at one end or both end portions thereof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fit groove portion 15 2, an interference fit protrusion 17 is provid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3.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ference fit projection 17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ference fit projection 17 is made smaller than the overall size of one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Another example of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since the interference fit groove 15 and the interference fit projection 17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are held in a coupled state, when they are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The state can be maintained firm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exampl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A)에 제1 보호커버부(1)를 단지 외측면에서 눌러 결합한다. 그러면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를 감싸면서 제1 보호커버부(1)의 걸림턱부(1a)가 끼워진다. 이러한 제1 보호커버부(1)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를 이루는 부분 중에서 적어도 3부분의 이상에 고정되므로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보호커버부(3)의 제1 접속단자(11)를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에 삽입하여 끼운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보호커버부(3)의 제2 접속단자(13)를 제1 보호커버부(1)의 제2 고정홈부(7)에 삽입하여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보호커버부(3)의 가운데 부분을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 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제2 보호커버부(3)의 걸림턱부(3a)가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에 결합된다. 제2 보호커버부(3)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 뿐 만 아니라 제1 보호커버부(1)에도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user presses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only at the outer side. Then, the latching jaw portion 1a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fitted while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is surrounded.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fixed to at least three or more portions of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so that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is firmly fixed. Then, the user insert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part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and inserts them. Then, the user insert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part 7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and engages with it. The user then presses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toward th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The latching jaw portion 3a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s engaged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Sinc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remains attached to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s well as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s firmly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 보호커버부(1)와 제2 보호커버부(3)가 휴대용 전자기기(A)를 보호는 케이스 역할을 한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A)는 외부의 충격에도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serve as a case for protec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That i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s.

그리고 휴대용 전자기기(A)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단지 제2 보호커버부(3)를 외측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A)에서 제2 보호커버부(3)가 분리된다.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user simply removes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by pulling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outwardly ) Are separated.

그리고 사용자는 제2 보호커버부(3)에 제공된 제1 접속단자(11)를 노트북 또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의 전자기기에 제공된 유에스비 포트에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보호커버부(3)에 제공된 제2 접속단자(13)를 휴대용 전자기기(A)에 제공된 통신 및 충전 포트에 삽입한다.Then, the user insert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provided i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 into a USB port provid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The user then insert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 provided in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into the communication and charging port provid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이러한 경우에도 제1 보호커버부(1)는 여전히 휴대용 전자기기(A)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is still firmly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보호커버부(3)를 휴대용 전자기기(A)의 보호 케이스로 사용함과 동시에 통신용 케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can be used as a protectiv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and also as a communication cable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외관상 미려함 증대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thereby enhancing the merchant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스와 통신 케이블로 이용할 수 있는 제2 보호커버부(3)를 휴대용 전자기기(A)에 탈부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emely easy to use because it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 which can be used as a case and a communication cable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전자기기(A)의 보호 케이스를 통신용 케이블로도 사용하면서 보호 케이스를 이루는 구성이 간단한 부품의 수를 줄여 관리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tection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is also used as a communication cable and the number of simple parts constituting the protection case is reduced to facilitate management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다른 점만을 설명하고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Figs. 10 to 12 are explanations of different point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substituted for the explanations of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제1 보호커버부(1, 편의상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가 도 10을 기준으로 볼 때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의 우측면 하부 일부, 저면, 좌측면, 위면, 그리고 우측면의 상부 일부에 배치되고, 제2 보호커버부(3, 편의상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가 휴대용 전자기기(A)의 측면부의 우측면 가운데 부분에 배치된다.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s a portion of the right side low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sake) are arrang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do.

그리고 제1 보호커버부(1)에 제공된 제1 고정홈부(5, 편의상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가 제1 보호커버부(1)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에 제2 보호커버부(3)의 제1 접속단자(11)가 결합될 때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단지 제1 보호커버부(1)의 제1 고정홈부(5)에 제2 보호커버부(3)이 제1 접속단자(11)를 외측에서 단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쉽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제1 보호커버부(1)와 제2 보호커버부(3)를 분리할 때도 쉽게 분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An opening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5 provided with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sake) . Another example of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 is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part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the user can easily engage only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portion 5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by the ac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press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from the outside only have. Of course,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1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3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제1 보호커버부, 1a. 걸림턱부,
3. 제2 보호커버부, 3a. 걸림턱부,
5. 제1 고정홈부, 5a. 제1 걸림부,
7. 제2 고정홈부, 7a. 제3 걸림부,
9. 배선,
11. 제1 접속단자, 11a. 제2 걸림부,
13. 제2 접속단자, 13a. 제4 걸림부,
15. 억지끼움홈부, 17. 억지끼움돌출부
1. First protective cover part, 1a. However,
3. Second protective cover part, 3a. However,
5. A first fixing groove portion, 5a. The first engaging portion,
7. Second fixing groove, 7a. The third latching portion,
9. Wiring,
11. First connection terminal, 11a.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a. The fourth engaging portion,
15. An interference fit groove, 17. An interference fit projection

Claims (18)

휴대용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제1 보호커버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보호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커버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부들 중 3개 이상의 측면부를 감싸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보호커버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부들 중 상기 제1 보호커버가 감싸여진 부분을 제외한 다른 하나의 측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선이 제공되고 상기 배선에 연결되며 한쪽 끝에 제공되는 제1 접속단자,
상기 배선에 연결되며 다른 쪽 끝에 제공되는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는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고정홈부의 내부에 제1 걸림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제1 걸림부에 끼워지는 제2 걸림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고정홈부는
상기 제1 보호커버부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이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A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t least three side portions of side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Wherein the first protective cover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rotective cover is wrappe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wiring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wiring and provided at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ing and provided at the other end,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 first fix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is provided at one end portion,
A first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ing groove,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cond latch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first latching portion,
The first fixing groove
And an opening fa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커버부와 상기 제2 보호커버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앞면부와 배면부를 이루는 모서리를 감싸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끼워지는 걸림턱부가 제공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protective cover portion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rrounds an edge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외부 전자기기에 제공된 유에스비 포트에 끼워지는 유에스비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제공된 통신 및 충전포트에 끼워지는 통신 및 충전 단자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USB terminal that is inserted into a USB port provid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 case provid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that are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커버부에는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부가 제공되며,
다른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2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제2 고정홈부가 제공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tective cover portion
And a first fix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is provided at one end portion,
And a second fixing groove portion at whic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fitte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as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ngaging part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groove or a proj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 단자는 폭(a)이 10.0~14.0mm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높이(b)가 3.0~4.0mm의 범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 및 충전 단자는 폭(c)이 5.0~8.0mm의 범위로 이루어지고, 높이(d)가 1.0~2.0mm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width of the USB terminal is in the range of 10.0 to 14.0 mm and the height of the USB terminal is in the range of 3.0 to 4.0 mm,
Wherein the communication and charging terminals have a width c in the range of 5.0 to 8.0 mm and a height d in the range 1.0 to 2.0 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61867A 2013-12-23 2013-12-23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31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867A KR101531715B1 (en) 2013-12-23 2013-12-23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867A KR101531715B1 (en) 2013-12-23 2013-12-23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715B1 true KR101531715B1 (en) 2015-06-25

Family

ID=5351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867A KR101531715B1 (en) 2013-12-23 2013-12-23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71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476A (en) * 2007-12-26 2009-07-01 이종남 Portable data relay apparatus with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and portable data terminal connector
KR200468119Y1 (en) * 2013-02-01 2013-07-24 조윤호 Sliding in/out type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90686B1 (en) * 2012-04-20 2013-07-31 정장교 Mobile phone bumper for a combined using data cable
KR200469790Y1 (en) * 2013-06-28 2013-11-12 김경민 Mobile Electronic Equipment Case Having the Function of Linking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476A (en) * 2007-12-26 2009-07-01 이종남 Portable data relay apparatus with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and portable data terminal connector
KR101290686B1 (en) * 2012-04-20 2013-07-31 정장교 Mobile phone bumper for a combined using data cable
KR200468119Y1 (en) * 2013-02-01 2013-07-24 조윤호 Sliding in/out type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69790Y1 (en) * 2013-06-28 2013-11-12 김경민 Mobile Electronic Equipment Case Having the Function of Linking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997B2 (en) Structure for USB bluetooth wireless connectors
US20100009561A1 (en) Cable assembly with dustproof cover module
US8979598B2 (en) Assembled connecting device with a protective sleeve
CN103155527A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 case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US11152658B2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assembly, mobile terminal protection frame, and battery case
KR101668461B1 (en) A Device for interface of an electronic equipment
EP2793316B1 (en) USB pen device with clamping means to secure its cap
US20160308315A1 (en) Electrical Connecting Module and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for a Jacket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469790Y1 (en) Mobile Electronic Equipment Case Having the Function of Linking Cable
KR101701633B1 (en) The mobile phone case equipped with the usb cable
KR101531715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86051B2 (en) Socket connector, plug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6842573B2 (en) Mobile device external assembly and mobile device protective sleeve
CN102045969A (en) Electronic device
US20120257367A1 (en) Protective jack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TWM619749U (en) Input device
KR20170000383U (en) Charge Protection Casing
KR20130003893U (en) Mobile Phone Case
CN208904683U (en) Mobile power source
US20120140393A1 (en) Protective case
KR200479847Y1 (en) Both side usb socket connector for electronic equipment
CN212367662U (en) Electronic device
CN218103201U (en) USB waterproof cover and mobile phone
CN210806196U (en) Computer hardware s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