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519B1 -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519B1
KR101531519B1 KR1020090058896A KR20090058896A KR101531519B1 KR 101531519 B1 KR101531519 B1 KR 101531519B1 KR 1020090058896 A KR1020090058896 A KR 1020090058896A KR 20090058896 A KR20090058896 A KR 20090058896A KR 101531519 B1 KR101531519 B1 KR 10153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recording medium
data
file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381A (ko
Inventor
윤우성
서강수
노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5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기록/재생 시에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러한 방법과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과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가 기록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기록/재생되는 AV 스트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V스트림, 3차원, 2TS, 플레이리스트, 플레이아이템

Description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기록/재생 시에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러한 방법과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고용량을 갖는 기록매체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는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근접장 기록매체(Near Field Recording Medium) 등이 등장하고 있다.
초기의 기록매체는 저용량의 2차원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였으나, 고용량의 기록매체들이 등장하면서, 고용량이 요구되는 3차원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들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3차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그리고 이를 기록/재생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서, 3차원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진 AV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기록/재생 시에,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과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가 기록된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가 기록된 관리영역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V 스트림은, 왼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1 AV 스트림; 및 오른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2 AV 스트림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이 독립한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호 연관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파일명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연관된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식별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과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서 읽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AV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픽업; 및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읽는 픽업; 및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과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서 읽고, 상기 플레이리스트를 이용 하여 상기 AV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기록/재생되는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AV 스트림이 2TS(Two Transport Stream)로 구성되었는지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AV 스트림에 대한 파일 구조 및 파일 정보를 제공하여, 기록매체에 기록/재생되는 AV 스트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플레이리스트(PlayList)와 플레이아이템(PlayItem)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미국 공개공보(공개번호: US 2009/0110376 A1)와 BDA(Blu-ray Disc Association)에서 공개한 BD Thecnical White Paper를 참고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데이터 재생 장치와 주변기기 간의 통합적 사용을 도시한 것이다. 기록매체, 데이터 재생 장치는 3차원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3차원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으로, 동일 물체를 좌우의 눈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도록 하여, 입체감을 얻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양안 시차를 갖는 2차원 영상을 좌안과 우안에 따로따로 분리 출력한다. 그리고, 편광필터 안경과 같은 특수 안경을 통해, 좌측 영상을 좌안에 우측 영상을 우안에 교대로 노출하는 방식으로 3차원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3D BD)는 3차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로써, 여기에는 왼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와 오른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3D Player)는, 로딩된 기록매체(3D BD)에 기록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읽어서 디코딩한다. 왼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와 오른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서, 하나의 3차원 입체 영상데이터로 디코딩한다. 디코드된 3차원 영상 데이터는 출력 장치(3D Displayer)에 제공된다.
출력 장치(3D Displayer)는 데이터 재생 장치(3D Player)에서 디코드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랜더링(Rendering)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편광필터 안경과 같은 특수 안경을 착용하여, 3차원 영상을 감상하게 된다. 여기서, 특수 안경이 필요한 안경(Stereoscopic) 방식에 대해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무안경(Autostereoscopic)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1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싱글 레이어(Single Layer) 기록매체(1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레이어를 가지는 모든 기록매체에 적용가능하다. 각 레이어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싱글 레이어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10)는 BCA(Burst Cutting Area, 200), 이너 영역(Inner Zone, 210), 아우터 영역(Outer Zone, 230), 데이터 영역(Data Zone, 220)을 포함한다.
BCA(200)는 기록매체(10)의 안둘레 측에 위치하고, 기록매체(10)의 버전(Version), 제작자(Manufacturer), 제작자 코드(Manuifacturer Code),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등과 같은 기록매체(10)의 자체 정보와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데이터의 정보 등과 같은 기록매체(10)의 관리정보가 저장된다.
이너 영역(210)은 BCA(20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아우터 영역(230)은 기록매체(10)의 바깥 둘레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너 영역(210)과 아우터 영역(230)에는 기록매체(1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 영역(220)에는 사용자가 기록하기 원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기록매체(10) 상의 이너 영역(210)과 아우터 영역(230)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실제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 된다. 데이터 영역(220)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일례로 특정 영화 타이틀의 멀티플렉싱된(multiplexed) AV 스트림(AV Stream)로 구성될 수 있으며, AV 스트림은 기록매체(10)의 제작자(Athour)에 의해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 내에 기록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파일구조는 기록매체(10)의 데이터 영역(220)에 기록되며,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의 파일구조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 (root directory) 아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BDMV 디렉토리(BDMV directory)가 존재한다. BDMV 디렉토리 내에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브티(interactivity)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파일(상위파일) 정보로서 인덱스 파일(index.bdmv)과 오브젝트 파일(MovieObjet.bdmv)을 포함한다. 아울러, 실제 기록매체(10) 내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이를 재생하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디렉토리로써,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PLAYLIST),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 스트림 디렉토리 (STREAM), 3차원 AV 스트림 파일을 위한 EVSTR 디렉토리(EVSTR, enhanced view stream directory), BD-J 오브젝트 파일을 포함하는 BDJO 디렉토리(BDJO)와 JAR 파일을 포함하는 자바 디렉토리(JAR)가 구비된다. 그리고, 기록매체(10) 재생에 관련된 보조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데이터 디렉토리(AUXDATA)가 구비되어 진다. 이하 상기 디렉토리 및 디렉토리 내에 포함되는 파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덱스 파일(index.bdmv) 또는 오브젝트 파일(MovieObjet.bdmv)에는 타이틀(Title)의 관리정보가 기록된다. 타이틀이라 함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재생단위를 말한다. 각각의 타이틀은 특정의 Movie 오브젝트 또는 BD-J 오브젝트와 링크(link)되어 있다. 오브젝트(Object) 내의 커맨드 혹은 프로그램에 따라 기록매체(10) 내 기록되어, 해당 타이틀에 관련된 AV 스트림이 재생된다.
스트림 디렉토리(STREAM)는, 기록매체(10) 내에 특정 포맷으로 기록된 AV 스트림 파일들이 존재하며, 예를 들어, AV 스트림 파일(01000.m2ts, ...)의 확장명을 "*.m2ts" 로 사용한다. 즉, AV 스트림 파일 내에 본 발명과 관련된 콘텐츠로서 일반적으로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진다. 또한, AV 스트림 파일은 2차원 영상 데이터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EVSTR 디렉토리(EVSTR)는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 파일들로 구성된다. 3차원 영상 데이터는 왼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와 오른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스트림 디렉토리(STREAM)가 왼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면, EVSTR 디렉토리(EVSTR)는 오른쪽 시각의 영상 데 이터에 해당하는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록매체(10)에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이 기록된 경우, 스트림 디렉토리(STREAM)와 EVSTR 디렉토리(EVSTR)의 구성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이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는 상기 각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 파일(01000.clpi,...)들로 구성되어 진다. 특히, 클립인포 파일(*.clpi)은 대응하는 AV 스트림 파일의 속성정보 및 타임정보(timing information) 등을 기록하게 되며, 특히, AV 스트림 파일(*.m2ts)과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 파일(*.clpi)을 묶어 BD 규격에서는 이를 "클립(clip)"이라고 명명한다. 즉,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m2ts)에 대해서는 반드시 대응하는 클립인포파일(*.clpi)이 존재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PLAYLIST)는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0.mpls,...)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특정 클립(clip)이 재생되는 시간(playing interval)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아이템(PlayItem) 및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을 포함한다. 플레이아이템(PlayItem)과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은 재생을 원하는 특정 클립(clip), 즉 클립명(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는 클립(clip)의 재생 시작시간(IN-Time)과 재생 종료시간(OUT-Time) 등의 정보를 갖는다. 따라서, 플레이아이템(PlayItem)과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은 특정 클립(clip)의 재생 관리정보라 한다.
관련하여, 상기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아이템(PlayItem)을 이용한 클립(clip)의 재생 과정을 메인 패스(Main Path)라 하고, 각각의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을 이용한 클립(clip)의 재생 과정을 서브 패스(Sub Path)라 명명한다.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 내에서 메인 패스는 존재하여야 하며, 서브 패스는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 존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결국,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아이템 (PlayItem)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클립(clip)의 재생을 수행하는, 전체 재생/관리 파일구조 내의 기본적 재생/관리 파일단위가 된다.
특히,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전술한 오브젝트 파일 내의 특정 오브젝트(Object)에 의한 커맨드(command)에 의해서 동작되며, 따라서, 디스크 재생 시나리오 관점에서, 오브젝트(Object)는 동적인 시나리오(Dynamic scenario)를,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정적인 시나리오(Static scenario)를 수행 또는 관리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클립(clip) 내 지정된 AV 스트림 파일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속성의 데이터는 AV 스트림 파일이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그리고 AV 스트림 파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 경우, 왼쪽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BD-J 오브젝트 디렉토리(BDJO)는 BD-J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BD-J 오브젝 트 파일을 포함한다.
자바 디렉토리(JAR)에는 JAR(Java archive) 파일(PPPPP.jar,...)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JAR 파일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JAR(Java archive) 파일은 복수의 파일 모음을 배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축파일로서, JAR 파일에는 보통 특정 자바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바 클래스(classes) 파일 및 보조 자원(auxiliary resources), 메타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보조데이터 디렉토리(AUXDATA)는 기록매체(10) 재생과 관련된 보조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조데이터 디렉토리(AUXDATA)는 재생시 클릭 사운드(click sound) 및 메뉴 사운드(menu sound)정보 등을 제공하는 사운드파일(Sound.bdmv)과, 텍스트 서브타이틀의 재생시 폰트(font)정보를 제공하는 폰트파일(11111.otf)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디렉토리(META)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포함하는바,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data about a data)로서, 서치파일 또는 디스크 라이브러리(Disc Library)에 대한 파일 등이 메타데이터에 해당한다.
상술한 파일 및 디렉토리의 위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BD-J 오브젝트 디렉토리(BDJO)와 자바 디렉토리(JAR)를 서브 디렉토리로 갖는 디렉토리가 상기 루트 디렉토리 밑에 별도로 구성되거나, 자바 디렉토리가 상위 디렉토리로서 루트 디렉토리 밑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루트 디렉토리는 기록매체(10) 내 기록된 데이터 및/또는 로컬 스토리 지에 다운로드 되는 데이터의 보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렉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인증서 디렉토리(CERTIFICATES)가 이를 나타낸 것이다. 인증서 디렉토리(CERTIFICATES)에는 인증서 파일이 존재하며, 이를 사용하여 각 데이터가 인증(authentication)된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10) 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서로써 "content000.crt", 어플리케이션의 인증에 사용되는 믿을 수 있는 루트 인증서(trusted root certificate)로서 "app.discroot.crt"와 "Binding Unit Signtaure file"에 위치하는 서명(singature)을 검증(verifiying)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증서로써 "bu.discroot.crt" 등의 파일이 인증서 디렉토리(CERTIFICATES)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아이템(PlayItem)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플레이아이템은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에 기록되며,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아이템은 클립의 재생 관리정보를 포함한다. 클립은 특정 AV 스트림 파일의 관리정보를 포함하므로, 플레이아이템은 특정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 관리정보를 포함한다 할 수 있다.
플레이아이템은 클립 즉, 특정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 관리정보로써, length 필드, Clip_Information_file_name 필드, Clip_codec_identifier 필드, is_multi_angle 필드, In_time 필드, Out_time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플레이아이템은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에 대한 재생 관리정보로써, is_3D 필드와 TS_Configuration_type 필드를 더 포함한다.
length 필드에는 플레이아이템의 크기 정보로써, 바이트(byte) 수가 기록된다.
Clip_Information_file_name 필드에는 재생을 원하는 클립의 정보로써, 클립의 파일명이 기록된다.
Clip_codec_identifier 필드에는 해당 클립에 포함된 AV 스트림의 코덱(codec) 정보가 기록된다.
In_time 필드와 Out_time 필드에는 해당 클립의 재생 시작시간과 재생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is_multi_angle 필드에는 플레이아이템이 여러 카메라 앵글(angle)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일례로, is_multi_angle 필드는 Boolean 값을 가지며, "1" 값으로 설정되면 해당 플레이아이템은 멀티 앵글을 지원하게 된다. 이 경우, 플레이아이템은 multi_clip_entries() 필드를 더 포함하여, 멀티 앵글에 대한 재생 관리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아이템은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에 대한 재생 관리정보로써, is_3D 필드와 TS_Configuration_type 필드를 가진다.
AV 스트림은 2차원 영상 데이터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에 따라, AV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 또는 디코더 장치 등이 달라지므로, AV 스트림을 재생하기 전에, 기록매체(10)에 기록된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식별하여야 한다.
is_3D 필드에는 플레이아이템이 재생 관리하는 클립 즉, 특정 AV 스트림 파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일례로, is_3D 필드는 Boolean 값을 가지며, "0" 값으로 설정되면 해당 AV 스트림은 2차원 영상 데이터이고, "1" 값으로 설정되면 해당 AV 스트림은 3차원 영상 데이터이다.
따라서, 데이터 재생 장치는, AV 스트림을 재생하기 전에, 해당 플레이아이템의 is_3D 필드 값을 이용하여,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기록매체(10)에 기록된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정보가 기록매체(10)의 BCA(20)에 기록될 수 있다.
다만, 플레이아이템의 is_3D 필드와 달리, BCA(200)에는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모든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컨텐츠 타입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재생 장치는, 기록매체(10)가 로딩(loading)되는 시점에, BCA(200)의 컨텐츠 타입 정보에 따라 기록매체(10)에 기록된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AV 스트림을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로 일괄적으로 재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기록매체(10)에 기록된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정보가 인덱스 파일(index.bdmv) 또는 오브젝트 파일(MovieObjet.bdmv)에 기록될 수 있다. 인덱스 파일 또는 오브젝트 파일은 AV 스트림을 타이틀 단위별로 관리하는 파일이므로, 인덱스 파일 또는 오브젝 트 파일에는 해당 타이틀에 해당하는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은 왼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와 오른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왼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와 오른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를 모두 읽어서 하나의 3차원 영상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아래의 두가지 예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로, 왼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와 오른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스트림 파일로 구성한다. 양 시각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하는 것을 1TS(One Transport Stream)을 명명한다.
두 번째로, AV 스트림을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한다. 각 시각의 영상 데이터를 독립된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하는 것을 2TS(Two Transport Steam)으로 명명한다.
AV 스트림이 1TS로 구성되었는지 2TS로 구성되었는지에 따라, AV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 또는 디코더 장치 등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AV 스트림을 재생하기 전에, 기록매체(10)에 기록된 AV 스트림이 1TS로 구성되었는지 2TS로 구성되었는지 식별하여야 한다.
TS_Configuration_type 필드에는 플레이아이템이 재생 관리하는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일례로, TS_Configuration_type 필드는 Boolean 값을 가지며, "0" 값으로 설정되면 해당 AV 스트림은 1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이고, "1" 값으로 설정되면 해당 AV 스트림 파일은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이다.
그리고, 플레이아이템이 멀티 앵글(Multi Angle)을 지원하는 경우, TS_Configuration_type 필드는 multi_clip_entries() 필드 내에 포함될 수 있는바, TS_Configuration_type 필드에는 각 앵글에 대한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따라서, 데이터 재생 장치는,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재생하기 전에, 해당 플레이아이템의 TS_Configuration_type필드 값을 이용하여,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하게 된다.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경우, 하나의 3차원 영상에 대한 AV 스트림은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므로, 상호 연관된 두 AV 스트림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한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AV 스트림 파일이 포함되고, EVSTR 디렉토리(EVSTR)에 다른 한쪽 시각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AV 스트림 파일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TREAM 디렉토리(STREAM)는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포함하고, EVSTR 디렉토리(EVSTR)는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구현 방법에 따라, 각 디렉토리가 포함하는 AV 스트림 파일은 달라질 수 있다.
두 AV 스트림 파일이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포함되는 경우, 상호 연관된 두 AV 스트림 파일을 식별하기 위하여, AV 스트림 파일들은 동일한 파일명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된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의 파일명이 "0100.m2ts"을 가지면,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된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의 파일명도 "0100.m2ts"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때, 데이터 재생 장치는, 하나의 3차원 AV 스트림을 재생하는 경우,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된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읽는다. 그리고,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되어,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동일한 파일명을 갖는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 읽는다. 그리고, 읽은 두 AV 스트림을 하나의 3차원 영상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따라서,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된 AV 스트림 파일과 연관된 AV 스트림 파일을 식별하는 연산 없이,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된 AV 스트림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 파일을 2차원 영상으로만 재생할 경우,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된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제외하고,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된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만 재생할 수 있다.
AV 스트림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동일한 디렉토리에 포함되도록 한다. 일례로,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상호 연관된 두 AV 스트림 파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상호 연관된 두 AV 스트림 파일이 포함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연관된 두 AV 스트림 파일이 동일한 파일명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상호 연관된 두 AV 스트림 파일을 식별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일례로, 식별 정보를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에 추가할 수 있다. enhanced_clip_information_file_name 필드와 enhanced_clip_codec_identifier 필드를 플레이아이템에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enhanced_clip_information_file_name 필드에는 다른 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재생 관리하는 클립의 파일명이 기록된다.
enhanced_clip_codec_identifier 필드에는 다른 쪽 시각의 AV 스트림에 대한 코덱(codec) 정보가 기록된다.
데이터 재생 장치는, 플레이아이템의 enhanced_clip_information_file_name 필드와 enhanced_clip_codec_identifier 필드를 이용하여, STREAM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된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 읽는다. 그리고, 읽은 두 AV 스트림을 하나의 3차원 영상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에도 서브플레이아이템에서 지정한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 관리정보가 기록된다.
서브플레이아이템에는, 플레이아이템과 마찬가지로, 3차원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에 대한 재생 관리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즉, 서브플레이아이템은 is_3D 필 드, TS_Configuration_type 필드, enhanced_clip_information_file_name 필드, enhanced_clip_codec_identifi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필드에는 플레이아이템과 동일한 정보가 기록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기록/재생부(70)는 기록매체(1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는다. 기록/재생부(7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픽업(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픽업(70)은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구비하여 기록매체(10)의 표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매체(10)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읽어온다.
서보(90)는 픽업(70)의 트래킹(Tracking) 및 포커싱(Focusing) 동작과 스핀들 모터(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R/F부(80)는 픽업(7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의 포커스 이탈과 트랙 이탈을 검출한 신호인 포커스 에러(Focus Error)신호와 트랙킹 에러(Tracking Error) 신호를 생성한다.
스핀들 모터(110)는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모터 구동부(100)는 서보(90)의 제어를 받아 픽업(70)과 스핀들 모터(110)의 동작을 구동한다.
신호 처리부(40)는 R/F부(8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원하는 재생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데이터 신호를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포맷으로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비트 인코더(50)는 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된 기록 신호를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변환하고, 픽업 구동부(60)는 비트 인코더(50)에서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기록매체(10)에 저장될 광신호로 변환한다.
메모리(150)는 기록매체(10)의 결함 정보 등 기록매체(10)와 관련된 정보를 일시 저장하거나, 기록매체(10)에 기록 또는 재생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Buffer)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컴(120)은 신호 처리부(40), 서보(90), 메모리(1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드라이브(Drive)가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3D 제어부(130)는 기록매체(10)에 기록된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한다. BCA(200)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모든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을 이용하여,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이 지정한 각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파일 또는 오브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해당 타이틀과 관련된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다.
3D 제어부(130)는,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 경우,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AV 스트림 파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한다.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 경우, 왼쪽 시각의 AV 스트 림 파일은 스트림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되며,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은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은 동일한 파일명을 가질 수 있다.
AV 스트림 재생과 관련하여, 3D 제어부(130)는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경우, 스트림 디렉토리(STREAM)와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된 AV 스트림 파일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마이컴(120)을 제어한다. 즉, 3D 제어부(130)는 스트림 디렉토리(STREAM)와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되어, 동일한 파일명을 갖는 AV 스트림 파일을 재생하도록 마이컴(120)을 제어한다.
또한, 3D 제어부(130)는,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이지만 2차원으로 재생하는 경우에,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된 AV 스트림 파일을 재생하지 않도록 마이컴(120)을 제어한다.
또한,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 경우,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은 모두 스트림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3D 제어부(130)는,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연관된 AV 스트림 파일 즉,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마이컴(120)을 제어한다.
3D 제어부(130)는 기록매체(10)에 기록된 AV 스트림에 대한 정보, 즉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에 대한 정보를 BCA(200) 또는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에 기록하도록 픽 업(70)을 제어한다. 그리고, 3D 제어부(130)는 AV 스트림이 1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또는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에 대한 정보를,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에 기록하도록 픽업(70)을 제어한다.
또한, 3D 제어부(130)는 2TS로 구성된 AV 스트림 파일이 모두 스트림 디렉토리(STREAM)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왼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과 연관된 오른쪽 시각의 AV 스트림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에 기록하도록 픽업(70)을 제어한다.
3D 제어부(130)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제어부(130)의 기능을 여러 개의 구성 요소들이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3D 제어부(130)는 마이컴(120) 및/또는 호스트(140)와 통합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3D 제어부(130)를 신호 처리부(40), 비트 인코더(50), 픽업 구동부(60), 픽업(70), 서보(90), 모터 구동부(100), 스핀들 모터(110), 마이컴(120), 메모리(150)를 포함하는 드라이브(Drive)에 추가로 연결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호스트(140)는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내 전체 구성 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이루어 기록매체(10)의 기록 또는 재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호스트(140)는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마이컴(120)에 전달하고, 마이컴(120)는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게 된다.
관련하여, 마이컴(120)과 호스트(140)는 별개로 구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마이컴(120)과 3D 제어부(130), 호스트(140)의 기능이 통합되어 하나의 제어부(Control Unit)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스트(140)는 컴퓨터, 서버, 오디오 장치 또는 비디오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등에 제공되는 광 드라이브(Drive)일 수 있으며, PC 등에 장착되지 않는 플레이어(Player)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PC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광 드라이브(Drive) 및 단독 제품으로 활용되는 플레이어(Player)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AV 인코더(20)는 기록매체(10)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특정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부(4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AV 인코더(20)는 입력 신호를 엠펙(MPEG) 포멧 신호로 인코드(Encode)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0)는 AV 인코더(20)로부터 인코드된 신호에 에러 정정 코드(ECC)를 부가하여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포멧으로 변환하여 비트 인코더(5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AV 디코더(30)는 신호 처리부(40)에서 전송받은 기록매체(10)의 재생 신호를 최종적으로 디코드(Decode)하여 비디오, 오디오 신호 등의 출력 데이터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비디오 신호는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따라 AV 디코더(30)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AV 디코더(30)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디코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마이컴(120)은 서보(90)를 제어하여, 픽업(70)이 기록매체(10)의 데이터 영역(220)에 기록된 AV 스트림을 읽도록 한다(S610).
그리고, 3D 제어부(130)는 재생할 AV 스트림이 2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한다.(620) BCA(200)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모든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을 이용하여,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이 지정한 각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파일 또는 오브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해당 타이틀과 관련된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다.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데이터인 경우, 3D 제어부(130)는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 플레이아이템 또는 서브플레이아이템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AV 스트림 파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한다.(S630)
그리고, 마이컴(120)은 신호 처리부(130)와 AV 디코더(30) 등을 제어하여, AV 스트림을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으로 디코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한다.(S640) 이때, 3D 제어부(130)는 AV 스트림이 2TS로 구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인 경우, 스트림 디렉토리(STREAM)와 EVSTR 디렉토리(EVSTR)에 포함된 AV 스트림 파일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마이컴(120)을 제어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와 주변기기 간의 통합적 사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내에 기록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아이템(Playitem)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V 스트림은,
    왼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1 AV 스트림; 및
    오른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2 AV 스트림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이 독립한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호 연관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파일명을 갖는 데이터 기록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연관된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식별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1.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과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서 읽는 단계;
    상기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AV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서 읽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V 스트림은,
    왼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1 AV 스트림; 및
    오른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2 AV 스트림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이 독립한 AV 스트림 파일로 구 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기 AV 스트림 재생 단계는,
    동일한 파일명으로 갖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연관된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식별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AV 스트림 재생 단계는,
    상기 식별 필드를 이용하여 상호 연관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V 스트림을 2차원 영상으로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 1 AV 스트림 또는 상기 제 2 AV 스트림 중 하나만을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7.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을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고,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V 스트림은,
    왼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1 AV 스트림; 및
    오른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2 AV 스트림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이 독립한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호 연관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파일명을 갖는 데이터 기록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연관된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식별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2.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읽는 재생부; 및
    영상 데이터인 AV 스트림과 상기 AV 스트림의 재생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를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서 읽고,
    상기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AV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서 읽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AV 스트림이 3차원 영상 스트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3. 삭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V 스트림은,
    왼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1 AV 스트림; 및
    오른쪽 시각의 영상 스트림인 제 2 AV 스트림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이 독립한 AV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서로 다른 디렉토리에 포함되 며,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파일명으로 갖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은 동일한 디렉토리에 포함되며,
    상기 재생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연관된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식별하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AV 스트림 재생 단계는,
    상기 식별 필드를 이용하여 상호 연관된 상기 제 1 AV 스트림과 상기 제 2 AV 스트림을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스트림을 2차원 영상으로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 1 AV 스트림 또는 상기 제 2 AV 스트림 중 하나만을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KR1020090058896A 2009-06-30 2009-06-30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10153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96A KR101531519B1 (ko) 2009-06-30 2009-06-30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96A KR101531519B1 (ko) 2009-06-30 2009-06-30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81A KR20110001381A (ko) 2011-01-06
KR101531519B1 true KR101531519B1 (ko) 2015-06-25

Family

ID=4360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896A KR101531519B1 (ko) 2009-06-30 2009-06-30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4195B2 (en) * 2014-05-07 2020-11-03 Aevoe Corp. Glass touch screen prot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541B2 (ja) * 1999-01-14 2004-09-02 株式会社東芝 ストリーム記録に適した情報媒体およびストリーム記録に適したシステム
JP2008124963A (ja) * 2006-11-15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3次元画像データ用画像ファイルの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541B2 (ja) * 1999-01-14 2004-09-02 株式会社東芝 ストリーム記録に適した情報媒体およびストリーム記録に適したシステム
JP2008124963A (ja) * 2006-11-15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3次元画像データ用画像ファイルの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81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7679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4689716B2 (ja) ビデオデータの再生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上記データ構造の再生と記録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0143439A1 (ja) 再生装置、集積回路、記録媒体
KR20120036791A (ko) 3d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KR100631243B1 (ko)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갖는 기록 매체
JP2008527596A (ja) ローカルストレージを使用記録媒体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KR101549049B1 (ko) 재생장치, 재생방법, 프로그램
JPWO2010106745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
KR20060081647A (ko) 기록매체,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US200800633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US20080056676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20070014945A (ko) 기록매체,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와 데이터 기록방법및 기록장치
KR20070052642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와 데이터 전송방법
KR100665439B1 (ko) 기록된 복수의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 그에 따른 기록 및 재생방법 및 장치
US20070025699A1 (e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US20070041710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101531519B1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20070014944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기록매체와 데이터 기록방법및 기록장치
JP4903998B2 (ja) 記録された複数のグラフィックストリームの再生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それによる記録及び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9505312A (ja) 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並びにデータ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4766876B2 (ja) インターリーブで記録されたマルチ再生パスビデオデータの再生を管理するための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とそれによる記録及び再生方法及び装置
KR101537618B1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20080033433A (ko) 데이터 재생을 위한 방법 그리고 장치, 기록 매체, 그리고데이터 기록을 위한 방법 그리고 장치
KR20080112931A (ko) 정보 저장 매체, 제조 방법, 및 정보 재생 방법
JP2008517355A (ja) ローカルストレージを使用して記録媒体から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