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523B1 -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523B1
KR101530523B1 KR1020140067031A KR20140067031A KR101530523B1 KR 101530523 B1 KR101530523 B1 KR 101530523B1 KR 1020140067031 A KR1020140067031 A KR 1020140067031A KR 20140067031 A KR20140067031 A KR 20140067031A KR 101530523 B1 KR101530523 B1 KR 101530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main body
hardwar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이효수
이해중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는, 확장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메인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본체의 하드웨어로 사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에 연동시키는 연동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Having Interwork Module of Mobil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랩탑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 외의 랩탑 컴퓨터의 발전 역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랩탑 컴퓨터는 갈수록 고성능화되고,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이와 같은 랩탑 컴퓨터의 경우, 유사 사양의 데스크탑 컴퓨터보다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편이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구매가 부담스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랩탑 컴퓨터의 발전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품질 및 요구 사양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 따라서 랩탑 컴퓨터의 구매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이 도과한 이후에는 소프트웨어의 고품질화에 따라 해당 랩탑 컴퓨터의 하드웨어 성능이 소프트웨어의 요구 사양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랩탑 컴퓨터의 구매 시점으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랩탑 컴퓨터를 구매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이는 소비자의 부담을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82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소비자가 사용하고 있는 랩탑 컴퓨터가 빠른 속도로 도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랩탑 컴퓨터의 재구매로 인한 소비자의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는, 확장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메인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본체의 하드웨어로 사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에 연동시키는 연동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중 주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의 하드웨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및 비디오어댑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보조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연동모듈과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연동모듈과 상기 슬롯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기 연동모듈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동기화되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의 송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송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기 연동모듈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의 송출 화면과 서로 다른 화면을 송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모니터부 및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수용도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수용도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모니터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안착부에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축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본체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연장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어느 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 형상에 대응되는 제1안착영역과, 또 다른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 형상에 대응되는 제2안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영역 및 상기 제2안착영역은 서로 소정 면적을 공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고, 휴대용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보조안착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 및 상기 제2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제3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도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크유닛은, 상기 보조안착부의 형상 및 제3연결단자의 형태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복수의 규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재구매가 비교적 용이하고, 고사양화되고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랩탑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랩탑 컴퓨터의 재구매 없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교체만으로도 랩탑 컴퓨터의 업그레이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소비자의 부담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게는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의 하드웨어보다 가벼우므로,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를 휴대하는 것에 비해 전체 무게를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하나의 랩탑 컴퓨터로도 복수 사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연동시킬 수 있어 여러 사용자가 이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공공장소에 본 발명에 따른 랩탑 컴퓨터를 설치 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만을 휴대하는 것만으로도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 없이 랩탑 컴퓨터의 이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확장디스플레이부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화면을 송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확장디스플레이부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서로 다른 화면을 송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안착부에 구비된 제1연결단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안착부에 구비된 제1연결단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크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크유닛이 안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안착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 설명에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하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라 함은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용 전화기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휴대용 전자기기(M1)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는 본체와, 연동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확장디스플레이부(112)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는 모니터부(110)와, 베이스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20)의 경우 바닥면에 거치되며, 키보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장치(12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부(110)는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가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20)와 힌지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모니터부(110) 및 상기 베이스부(120)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의 형태를 가진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는 모니터부(110)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모니터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20)가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체의 형태는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의 형태 외에도, 다양한 공지된 형태 또는 공지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는 휴대용 전자기기(M1)가 거치되는 안착부(130)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연동모듈은 메인디스플레이부(D1)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본체의 하드웨어로 사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에 연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연동모듈은 본체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본체 외부에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에 구비되는 다양한 하드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본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유대용 전자기기(M1)를 서로 연동시키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랩탑 컴퓨터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경우 구동을 위한 하드웨어가 구비되며, 본 발명에 따른 랩탑 컴퓨터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를 활용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가 사용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 중 주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의 하드웨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하드웨어라 함은, 컴퓨터를 구동하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하드웨어를 말하는 것으로,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및 비디오어댑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는 상기 주하드웨어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되고, 이오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주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와 같이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본체는 주하드웨어가 구비되지 않은 랩탑 컴퓨터 형태의 스킨을 제공하는 것이며, 휴대용 전자기기(M1)를 연동하여 이를 하드웨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랩탑 컴퓨터가 특정 사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휴대용 전자기기(M1)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사양에 관계 없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M1)를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할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사양은 점차 향상될 것이며, 사용자는 소프트웨어의 요구 사양의 증가에 따라 랩탑 컴퓨터를 별도로 재구매할 필요 없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를 본 발명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연동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는 주하드웨어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는 주하드웨어 중 어느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및 비디오어댑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비되지 않은 하드웨어만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로부터 연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하드웨어라고 하더라도, 그 기능을 억제시키고 동일 종류의 하드웨어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로부터 연동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랩탑 컴퓨터는, 전체 하드웨어를 생략한 스킨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구비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동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보조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하드웨어는 상기 주하드웨어 외의 타 하드웨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 사운드카드, 저장장치 등 다양한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본체에는 보조하드웨어만이 구비된 형태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주하드웨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는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12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슬롯(122)은 다양한 연결포트를 말하는 것으로, USB, HDMI, VGA 포트 등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결포트는 물론 향후 개발될 다양한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연동모듈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는, 상기 연동모듈과 유선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에 안착부(13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가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132)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는 상기 안착부(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단자(132)가 접속단자(C1)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연결단자(132)는 상기 연동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에 연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와 연동되어 화면을 송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상기 모니터부(110)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20)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20)와 상기 모니터부(110)를 펼쳤을 경우 상기 안착부(130)와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안착부(130) 역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130)에 구비되는 제1연결단자(132)의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접속단자(C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C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휴대용 전자기기(M1)의 메인디스플레이부(D1)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이와 달리 다양한 면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M1)가 제1연결단자(132)와 연결된 상태로 안착부(130, 도 2 참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제1연결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동모듈(126)에 의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메인디스플레이부(D1)와 연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 각 하드웨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128)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상기 보조배터리(122)는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 각 하드웨어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 모두에 전력을 공급하여 별도의 전원 연결 없이도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보조배터리(122)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에 구비된 내장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확장디스플레이부(112)가 휴대용 전자기기(M1)의 메인디스플레이부(D1)와 동일한 화면을 송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확장디스플레이부(112)가 휴대용 전자기기(M1)의 메인디스플레이부(D1)와 서로 다른 화면을 송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와 확장디스플레이부(112)가 서로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다양한 형태로 화면을 송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도 4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메인디스플레이부(D1)와 동기화되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D1)의 송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송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메인디스플레이부(D1)의 화면을 끈 상태에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를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에 따른 조작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에 동기화되어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도 5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D1)의 송출 화면과 서로 다른 화면을 송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 상기 본체의 주하드웨어 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주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D1)와 서로 다른 화면을 송출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멀티태스킹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에는 멀티태스킹 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랩탑 컴퓨터의 본체에 날이 갈수록 단가가 저렴해지고 있는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비하고, 하드웨어는 선택적으로 구비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M1)만을 교체하여 업그레이드 된 사양의 랩탑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제1연결단자(232)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안착부(130)에 구비된 제1연결단자(232)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단자(232)는, 상기 안착부(130)에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축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130)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연결단자(232)는 휴대용 전자기기(M1)의 접속단자(C1)에 연결되는 단자부(232b)와, 상기 안착부(130)로부터 회전축(23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232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32a)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단자부(232b)를 상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M1)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제1연결단자(332)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안착부(130)에 구비된 제1연결단자(332)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단자(332)는, 상기 본체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연장라인(333)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130)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연결단자(332)는 휴대용 전자기기(M1)의 접속단자(C1)에 연결되는 단자부(332b)와, 상기 단자부(332b)와 상기 연장라인(333)을 연결하는 연결부(332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단자(332)를 인출하여 상기 안착부(1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M1)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베이스부(220)의 형태 및 안착부(130)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베이스부(220)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수용도크(221)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수용도크(221)에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도크(221)는 상기 베이스부(220)에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도크(221)를 상기 베이스부(220)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부(220)의 상면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입력장치(224)의 배열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가 상기 안착부(13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용도크(221)가 상기 베이스부(220) 내측으로 인입된 경우, 상기 베이스부(220)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의 방열을 수행하는 방열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안착부가 구비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는 상기 베이스부(220)에 형성된 슬롯(22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연동모듈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동된다.
즉 이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는 상기 본체에 별도의 안착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연결라인(N)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와 연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경우, 상기 랩탑 컴퓨터의 본체는 종래에 생산되던 기존의 랩탑 컴퓨터의 하우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생산라인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크유닛(150, 25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크유닛(150, 250)이 안착부(130)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양한 모델이 시판되고 있으며, 사용자 역시 그 기호에 따라 서로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는 모델 별로 그 크기 및 형태, 그리고 접속단자의 형태가 상이할 것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모델을 랩탑 컴퓨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크유닛(150, 25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도크유닛(150, 250)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모델 별로 대응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를 위해 제1휴대용 전자기기(M1)에 대응되는 제1도크유닛(150)과, 제2휴대용 전자기기(M2)에 대응되는 제2도크유닛(250)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대표적으로 제1도크유닛(150)을 설명하면, 상기 제1도크유닛(150)은, 상기 안착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30)에 삽입되고, 제1휴대용 전자기기(M1)가 삽입되는 보조안착부(152)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안착부(130)의 제1연결단자(132)에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156)와, 상기 제2연결단자(1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휴대용 전자기기(M1)가 연결되는 제3연결단자(154)를 포함한다.
즉 각 도크유닛(150, 250)의 몸체는 상기 안착부(130)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M1, M2)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보조안착부(152, 252)를 가진다.
또한 각 도크유닛(150, 250)의 제2연결단자(156, 256)는 제1연결단자(132)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M1, M2)의 접속단자(C1, C2)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제3연결단자(154, 254)를 가진다.
즉 도크유닛(150, 250)은 휴대용 전자기기(M1, M2)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이를 안착부(130)에 호환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그 형태는 휴대용 전자기기(M1, M2)의 모델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복수의 규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에 있어서, 안착부(43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나, 안착부(43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430)는, 어느 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 형상에 대응되는 제1안착영역(Z1)과, 또 다른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 형상에 대응되는 제2안착영역(Z2)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안착영역(Z1)에는 제1휴대용 전자기기(M1)가, 제2안착영역(Z2)에는 제2휴대용 전자기기(M2)가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안착영역(Z1) 및 상기 제2안착영역(Z2)은 서로 소정 면적을 공유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430)는 서로 다른 모델인 제1휴대용 전자기기(M1)과 제2휴대용 전자기기(M2)를 모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제1연결단자(332)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같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휴대용 전자기기(M1)과 제2휴대용 전자기기(M2)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단자(332)가 제1휴대용 전자기기(M1)의 접속단자(C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제2휴대용 전자기기(M2)를 연결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1연결단자(332)와 제2휴대용 전자기기(M2)의 접속단자(C2) 간을 서로 연결하는 젠더유닛(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젠더유닛(160)은 상기 제1연결단자(332)에 대응되는 제2연결단자(162)와, 상기 제2휴대용 전자기기(M2)의 접속단자(C2)에 대응되는 제3연결단자(164)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휴대용 전자기기(M2)를 호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도크유닛이 구비되지 않아도 복수 기종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호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안착영역(Z1)과, 제2안착영역(Z2)이 서로 소정 면적을 공유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안착영역(Z1)과, 제2안착영역(Z2)은 서로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경우,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모니터부(210)에 구비되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220)에 입력장치(224)를 보다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모니터부(210)가 상기 베이스부(22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경우, 상기 베이스부(220) 없이 상기 모니터부(210) 만을 휴대하여 랩탑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동모듈은 상기 모니터부(210) 내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경우, 상기 모니터부(310)는 상기 베이스부(32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별도의 안착부가 형성되지 않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모니터부(310)를 독립적으로 휴대하여 랩탑 컴퓨터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모듈은 상기 모니터부(310)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는 상기 연동모듈과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공지된 다양한 통신 방법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부(310)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를 대면적화하여 별도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랩탑 컴퓨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9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니터부(310)는 상기 베이스부(32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나, 안착부(130)가 상기 베이스부(320) 측에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동모듈은 상기 베이스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130)에 의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와 연결되며, 이때 상기 연동모듈은 상기 모니터부(3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112)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M1)와 연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모니터부 112: 확장디스플레이부
120: 베이스부 122: 슬롯
124: 입력장치 126: 연동모듈
130: 안착부 132: 제1연결단자

Claims (23)

  1. 확장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메인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본체의 하드웨어로 사용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에 연동시키는 연동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가 구비되며,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고, 휴대용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보조안착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 및
    상기 제2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되는 제3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도크유닛을 더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중 주하드웨어를 상기 본체의 하드웨어로 사용하는 랩탑 컴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및 비디오어댑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보조하드웨어를 더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연동모듈과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연동되는 랩탑 컴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연동모듈과 상기 슬롯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연동되는 랩탑 컴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기 연동모듈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동기화되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의 송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송출 가능하게 형성된 랩탑 컴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기 연동모듈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의 송출 화면과 서로 다른 화면을 송출 가능하게 형성된 랩탑 컴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형성된 랩탑 컴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랩탑 컴퓨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확장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모니터부; 및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된 랩탑 컴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수용도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수용도크에 형성된 랩탑 컴퓨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모니터부에 구비된 랩탑 컴퓨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랩탑 컴퓨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안착부에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축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돌출되는 랩탑 컴퓨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본체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연장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된 랩탑 컴퓨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어느 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 형상에 대응되는 제1안착영역과, 또 다른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 형상에 대응되는 제2안착영역을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영역 및 상기 제2안착영역은 서로 소정 면적을 공유하도록 형성된 랩탑 컴퓨터.
  22. 삭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유닛은,
    상기 보조안착부의 형상 및 제3연결단자의 형태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복수의 규격을 가지도록 형성된 랩탑 컴퓨터.
KR1020140067031A 2014-06-02 2014-06-02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 KR101530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031A KR101530523B1 (ko) 2014-06-02 2014-06-02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031A KR101530523B1 (ko) 2014-06-02 2014-06-02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523B1 true KR101530523B1 (ko) 2015-06-25

Family

ID=5351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031A KR101530523B1 (ko) 2014-06-02 2014-06-02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5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40131A (ko) * 2009-03-27 2011-12-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및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 스테이션에서 디스플레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9588A (ko) *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62515A1 (en) * 2011-12-22 2013-06-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changing device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docking st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same
JP2014501056A (ja) * 2010-10-19 2014-01-16 ルミネクトリック リミテッド ポータブル電子機器用の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40131A (ko) * 2009-03-27 2011-12-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및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 스테이션에서 디스플레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4501056A (ja) * 2010-10-19 2014-01-16 ルミネクトリック リミテッド ポータブル電子機器用のケース
KR20120049588A (ko) *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62515A1 (en) * 2011-12-22 2013-06-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changing device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docking st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7799C (en) Meeting room power and multimedia center device
US10289584B2 (en) Using a standard USB Type-C connector to communicate both USB 3.x and displayport data
US10219031B2 (en) Wireless video/audio signal transmitter/receiver
US20130016483A1 (en) Adapter modu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350058A1 (en) Wireless display adapter device
CN102681611B (zh) 电子设备及其扩充基座
CN109155494A (zh) 用于计算设备的可分离部分的两用连接器
US20130260822A1 (en) Notebook with Mobile Telephone Receptacle
TW201415231A (zh) 在行動計算環境中使用智慧型手機或行動電腦的方法
US20130172055A1 (en) Terminal device
KR20120124194A (ko)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CN104024973A (zh) 具有可分离显示器的模块化电子设备系统
CN204808116U (zh) 电子设备
KR1015305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하드웨어 연동식 랩탑 컴퓨터
CN203178846U (zh) 带显示屏的扩展坞站系统
US20200380568A1 (en) Storage system
KR101542455B1 (ko)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시스템
CN102760050A (zh) 一种显示系统
CN206573988U (zh) 辅助操作设备
CN208314613U (zh) 一种具有无线充功能的扩展坞
JP3176968U (ja) Usb充電ハブ
CN108932010A (zh) 扩充基座及可携式电子装置
KR20160125611A (ko) 이차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확장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73651A (ko) 도킹 디바이스 및 단말 가이드
CN103049042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