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192B1 -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192B1
KR101530192B1 KR1020130149778A KR20130149778A KR101530192B1 KR 101530192 B1 KR101530192 B1 KR 101530192B1 KR 1020130149778 A KR1020130149778 A KR 1020130149778A KR 20130149778 A KR20130149778 A KR 20130149778A KR 101530192 B1 KR101530192 B1 KR 10153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ed water
battery
nozzle
battery cells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899A (ko
Inventor
안진영
최지현
성백섭
차용훈
Original Assignee
안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영 filed Critical 안진영
Priority to KR102013014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1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구비된 납축전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 개의 배터리셀 내부로 증류수를 주입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에 있어서, 납축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증류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탱크안착부재와 공기유입개구부가 마련된 하우징, 및 베이스판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된 몸체부; 탱크안착부재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으로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저장탱크; 베이스판에 마련되어, 수용공간 내의 증류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 일단이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의 배터리셀에 마련된 각각의 벤트플러그에 연결되어, 수용공간 내의 증류수를 배터리셀로 제공하는 복수의 증류수제공관; 및 일단이 복수의 증류수제공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벤트플러그에 삽입되어, 증류수가 배터리셀의 내부로 일정하게 주입되도록 제공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공기유입개구부가 개방된 경우에, 수용공간 내의 증류수는 중력에 의해 복수의 노즐을 경유하여 배터리셀로 일정하게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WATER INTO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납축전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한번의 작동만으로 납축전지에 마련된 복수의 배터리셀로 증류수를 제공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48067호에는 자동차의 배터리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48067호에 개시된 자동차 배터리는 납축전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란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서, 납을 (-)극, 이산화납을 (+)극으로 하고, 비중이 1.25 정도인 황산을 전해질로 사용하여 만든 전지이다. 납축전지는 크게 산업용과 자동차용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산업용 납축전지는 주로 태양 전지의 전력 저장 시스템, 전자 기기 및 통신 설비의 무정전 전원 장치의 예비 전원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자동차용 납축전지는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골프카, 선박 및 전기 자동차의 시동용 또는 전력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통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24개 내지 36개 정도의 배터리셀이 마련된 납축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납축전지는 방전시, 두 전극이 모두 황산납이 되어 두 극 모두 질량이 점점 증가하며, 전해질인 황산의 농도는 점점 묽어진다. 황산의 농도가 너무 묽어지면 반응 물질의 경계면에 저항이 높은 물질이 만들어져 수명이 단축되고 충전이 어렵기 때문에 완전히 방전시키지 말고 적당한 시기에 충전하여야 한다.
납축전지는 충전하여 사용되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양극판의 황산연은 충전만 하면 비교적 쉽게 산화납과 황산으로 되돌려진다. 반면, 음극판의 황산연은 충전을 해도 일부가 납과 황산으로 되돌려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다. 이에, 종래에는 납축전지의 내의 전해액의 비중을 맞추기 위하여, 납축전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증류수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숙련공이 아닌 일반인이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마련된 납축전지의 각각의 배터리셀로 증류수를 주입하는 경우에, 배터리셀로 주입해야 하는 증류수의 양을 정확하게 주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류수를 배터리셀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증류수가 황산액과 섞인 상태로 넘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때, 황산액이 섞인 증류수는 납축전지에서 넘치면서 주변의 부품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납축전지의 각각의 배터리셀로 증류수가 넘치지 않게, 증류수를 각각의 배터리셀로 주입시킬 수 있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번의 주입으로 복수의 배터리셀로 증류수를 동시에 주입시킬 수 있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구비된 납축전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 개의 배터리셀 내부로 증류수를 주입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에 있어서, 납축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증류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탱크안착부재와 공기유입개구부가 마련된 하우징, 및 베이스판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된 몸체부; 탱크안착부재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으로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저장탱크; 베이스판에 마련되어, 수용공간 내의 증류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 일단이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의 배터리셀에 마련된 각각의 벤트플러그에 연결되어, 수용공간 내의 증류수를 배터리셀로 제공하는 복수의 증류수제공관; 및 일단이 복수의 증류수제공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벤트플러그에 삽입되어, 증류수가 배터리셀의 내부로 일정하게 주입되도록 제공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공기유입개구부가 개방된 경우에, 수용공간 내의 증류수는 중력에 의해 복수의 노즐을 경유하여 배터리셀로 일정하게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는, 공기유입개구부에 연결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압제공부재를 더 포함하고, 수용공간 내부의 증류수는 공기압제공부재의 작동시 공기압과 중력에 의해 증류수제공관과 노즐을 경유하여 배터리셀로 유동되는 것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즐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즐의 타단에는 1mm 내지 3mm 내지의 직경을 가진 노즐개구가 마련되고, 노즐은 노즐개구를 통해 수용공간에서 제공된 증류수가 일정양으로 균일하게 배터리셀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셀 내부에 증류수가 완전히 채워진 경우에, 노즐의 일단의 직경과 노즐개구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배터리셀 내부의 증류수가 수용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에는 진공발생부가 더 연결되고, 진공발생부는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수용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류수제공관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복수의 배터리셀의 배치간격에 따른 벤트플러그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와 벤트플러그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납축전지의 각각의 배터리셀로 증류수가 넘치지 않게, 증류수를 각각의 배터리셀로 주입시킬 수 있어, 종래에 황산이 섞인 증류수가 넘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번의 주입으로 복수의 배터리셀로 증류수를 동시에 주입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가 납축전지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가 납축전지에 결합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몸체부(110), 증류수저장탱크(120), 증류수제공관(130)과 노즐(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구비된 납축전지(10)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배터리셀 내부로 증류수를 주입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축전지(10)의 상부에 마련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 하우징(115)과 패킹부재(11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판(111)은 납축전지(10)의 상부에 위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에는 복수의 유출개구(112a)가 마련되고, 여기서, 각각의 유출개구(112a)에는 각각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가 마련된다. 여기서, 각각의 유출개구(112a)는 각각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와 연통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는 베이스판(111)의 하부면으로부터 깔대기 구조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와 베이스판(111)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는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이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 수용공간(미도시)에 수용된 증류수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에는 증류수제공관(130)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이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브이(V)자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유출개구부재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유출개구부재는 베이스판에서의 설치간격 및 배치가 상이할 뿐, 그 역할은 동일한 바,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도면번호 112로 표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의 개수 및 배치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더불어,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가변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상기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배치구조 이외에, 벤트플러그(11)의 개수보다 훨씬 많은 개수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 형성하되, 벤트플러그(11)의 배치구조에 따라 필요한 부분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에 플렉서블한 하기의 증류수제공관(130)을 연결함으로써, 벤트플러그(11)의 개수나 배치구조에 관계없이 하나의 주입장치에 의해 여러 타입의 납축전지에 증류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하우징(115)은 수용공간(미도시)을 형성토록 베이스판(11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결합방식은 끼움결합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결합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하며,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결합방식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가변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결합에 의해 마련된 수용공간(미도시)에 증류수가 수용된 경우에, 증류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결합부분에 패킹부재(119)를 설치한다.
여기서, 패킹부재(119)는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연결부분을 밀봉하는 부재이다. 패킹부재(119)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산업의 발전에 따라 당업자의 입장에서 패킹부재(119)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명세서에 따른 패킹부재(119)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여기서, 패킹부재(119)의 형상은 베이스판(111)과 하우징(115)의 연결부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가능함도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5)의 상부에는 증류수저장탱크(120)가 안착되는 탱크안착부재(116)와 공기유입개구부(117)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탱크안착부재(116)와 공기유입개구부(117)는 수용공간(미도시)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탱크안착부재(116)는 수용공간(미도시)으로 증류수가 주입되는 부분이고, 공기유입개구부(117)는 수용공간(미도시)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탱크안착부재(11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10)에서와 같이 4각 통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a)에서와 같이, 탱크안착부재(116)는 원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증류수저장탱크(120) 대신에 1.8L의 물통이 대신 사용될 수도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a)의 탱크안착부재(116)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안착부재와 기능 및 역할이 동일한 바, 본 명세서에서는 도 3과 도4에서 탱크안착부재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 116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5)의 공기유입개구부(117)에는 공기압제공부재(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압제공부재(150)는 공기유입개구부(117)에 연결되어, 수용공간(미도시) 내부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압제공부재(150)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용공간(미도시) 내로 공기압을 제공하여, 수용공간(미도시)에 수용된 증류수에 중력과 더불어 공기압이 제공됨으로써, 증류수가 보다 용이하게 증류수제공관(130)과 노즐(140)을 경유하여 배터리셀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압제공부재(150)는 수용공간(미도시) 내부로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공기압제공펌프가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펌핑가능한 구조를 가진 자바라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몸체부(110)의 수용공간(미도시)에 수용된 증류수를 납축전지(10)의 배터리셀로 제공하는 복수의 증류수제공관(130)와 복수의 노즐(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류수제공관(130)은 베터리셀의 벤트플러그(11)과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 사이에 연결되어, 수용공간(미도시) 내의 증류수를 배터리셀로 제공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벤트플러그(11)는 배터리셀마다 각각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증류수제공관(130)은 일단이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의 외주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증류수제공관(130)의 타단에는 노즐(140)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류수제공관(130)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수제공관(13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가변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증류수제공관(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임의적인 예시사항이며, 다양한 길이를 가진 증류수제공관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복수의 증류수제공관(130)의 길이가 다양하게 가변되더라도, 어느 하나의 증류수제공관(130)의 일단의 직경은 다른 나머지의 증류수제공관의 일단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어느 하나의 증류수제공관의 타단의 직경은 다른 나머지의 증류수제공관의 타단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적 및/또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복수의 증류수제공관(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납축전지(10)에 구비된 베터리셀의 벤트플러그(11)의 배치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몸체부(110) 내의 수용공간(미도시)에 저장된 증류수를 배터리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류수제공관의 설치개수는 납축전지(10)의 크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셀의 설치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즐(140)은 일단이 증류수제공관(130)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노즐(140)은 타단이 배터리셀의 벤트플러그(11)에 연결된다. 노즐(140)의 타단에는 1mm 내지 3mm 내지의 직경을 가진 노즐개구(140a)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14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40)은 미세직경을 가진 노즐개구(140a)를 통해 수용공간에서 제공된 증류수가 일정양으로 균일하게 벤트플러그(11)를 통해 배터리셀 내부로 제공하는 레벨러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40)은 배터리셀 내부에 증류수가 완전히 채워진 경우에, 노즐(140)의 일단의 직경과 노즐개구(140a)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배터리셀 내부의 증류수가 수용공간(미도시)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몸체부(110)에 진공발생부(16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진공발생부(160)는 수용공간(미도시)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수용공간(미도시)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수용공간(미도시)이 진공상태일 때, 수용공간(미도시)에 수용된 증류수에는 어떠한 힘, 예컨대, 중력 및/또는 공기압이 제공되지 않아, 노즐(140)을 통해 배터리셀 내부로 주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112)와 이에 연결된 증류수제공관(130)을 통해 한번의 증류수주입과정으로, 여러 개의 배터리셀로 동시에 증류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100)는 노즐(140)을 통해, 배터리셀 내부로 주입되는 증류수의 양을 일정하게 하고, 배터리셀 내부의 황산액이 섞인 증류수가 배터리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납축전지(10)의 증류수 주입작업시 빈번히 발생하던 황산이 섞인 상태로 증류수가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납축전지(10) 주변의 부품의 부식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110: 몸체부
111: 베이스판 112: 증류수유출개구부재
115: 하우징 116: 탱크안착부재
117: 공기유입개구부 119: 패킹부재
120: 증류수저장탱크 130: 증류수제공관
140: 노즐 150: 공기압제공부재
160: 진공발생부

Claims (7)

  1.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구비된 납축전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셀 내부로 증류수를 주입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축전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어 상기 증류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탱크안착부재와 공기유입개구부가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탱크안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증류수를 공급하는 증류수저장탱크;
    상기 베이스판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증류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
    일단이 상기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에 마련된 각각의 벤트플러그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증류수를 상기 배터리셀로 제공하는 복수의 증류수제공관;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증류수제공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벤트플러그에 삽입되어, 상기 증류수가 상기 배터리셀의 내부로 일정하게 주입되도록 제공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개구부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증류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노즐을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셀로 일정하게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공기유입개구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공기압제공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증류수는 상기 공기압제공부재의 작동시 공기압과 중력에 의해 상기 증류수제공관과 상기 노즐을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셀로 유동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타단에는 1mm 내지 3mm 내지의 직경을 가진 노즐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서 제공된 증류수가 일정양으로 균일하게 상기 배터리셀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셀 내부에 증류수가 완전히 채워진 경우에, 상기 노즐의 일단의 직경과 상기 노즐개구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상기 배터리셀 내부의 증류수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진공발생부가 더 연결되고,
    상기 진공발생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제공관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배치간격에 따른 상기 벤트플러그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복수의 증류수유출개구부재와 상기 벤트플러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KR1020130149778A 2013-12-04 2013-12-04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KR10153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778A KR101530192B1 (ko) 2013-12-04 2013-12-04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778A KR101530192B1 (ko) 2013-12-04 2013-12-04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899A KR20150064899A (ko) 2015-06-12
KR101530192B1 true KR101530192B1 (ko) 2015-06-19

Family

ID=5350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778A KR101530192B1 (ko) 2013-12-04 2013-12-04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557B1 (ko) * 2018-07-09 2020-06-05 안진영 배터리 증류수 보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774A (ko) * 1991-04-20 1992-11-21 황선두 전지의 전해액 투입 방법 및 그 장치
KR0162057B1 (ko) * 1995-07-27 1999-01-15 배순훈 리튬배터리의 전해액 주입장치
JP2010115207A (ja) * 2003-02-10 2010-05-27 Edward D Watts 液体注入装置
KR20100107348A (ko) * 2009-03-25 2010-10-05 에프씨반도체 주식회사 염료감응식 태양전지, 염료감응식 태양전지용 전해질 충진장치 및 충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774A (ko) * 1991-04-20 1992-11-21 황선두 전지의 전해액 투입 방법 및 그 장치
KR0162057B1 (ko) * 1995-07-27 1999-01-15 배순훈 리튬배터리의 전해액 주입장치
JP2010115207A (ja) * 2003-02-10 2010-05-27 Edward D Watts 液体注入装置
KR20100107348A (ko) * 2009-03-25 2010-10-05 에프씨반도체 주식회사 염료감응식 태양전지, 염료감응식 태양전지용 전해질 충진장치 및 충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899A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77B1 (ko) 배터리 모듈
KR101231676B1 (ko) 공기 금속 이차 전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금속 이차 전지 모듈
CN1350626A (zh) 氢燃料电池补充方法和系统
CN102282699A (zh) 具有用于补注电解质的设备的电池
KR101530192B1 (ko) 배터리 증류수 주입장치
CN201985200U (zh) 一种铅酸蓄电池化成用灌酸壶
US20180102577A1 (en) Metal-air battery for a vehicle
CN1234913A (zh) 用于对电化学电源再填充燃料的方法和装置
CN110462882A (zh) 电解质注入装置
CN100477356C (zh) 燃料箱及其盖帽构件
CN112582763B (zh) 真空脱气电解液自动供给装置及使用其供给电解液的方法
JPH11339747A (ja) バッテリのガス排出装置
CN1910782A (zh) 用于燃料电池的燃料盒和使用其的燃料电池
CN108417771B (zh) 一种锂电池电解液加装装置和加装方法
CN215680920U (zh) 富液式铅酸蓄电池空气搅动系统
CN201332120Y (zh) 一种蓄电池注液后进行充电时用于盛酸的连体壶
KR101284669B1 (ko) 산업용 배터리의 어댑터 플러그
KR100450350B1 (ko) 액체 충전 디바이스
CN205355201U (zh) 碱性电解液回收装置
KR101750328B1 (ko) 이차 전지의 젖음성 측정 장치
KR101545786B1 (ko) 산업용 배터리의 증류수 충진용 탱크
CN219371106U (zh) 一种锌基电池的析气装置
CN215955445U (zh) 一种可多次注液的电池盖板
KR920007233Y1 (ko) 납축전지의 전해액 자동주입장치
JP2021072213A (ja) 鉛蓄電池用液口栓および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