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535B1 -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535B1
KR101529535B1 KR1020130120681A KR20130120681A KR101529535B1 KR 101529535 B1 KR101529535 B1 KR 101529535B1 KR 1020130120681 A KR1020130120681 A KR 1020130120681A KR 20130120681 A KR20130120681 A KR 20130120681A KR 101529535 B1 KR101529535 B1 KR 10152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ter
water supply
cultivation roo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003A (ko
Inventor
박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람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람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람이앤지
Priority to KR102013012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5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은 계절에 관계 없이 재배실의 내부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과; 트레이에 일정주기로 일정온도의 물을 일정량 공급하기 위한 급수 제어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배실에 투입된 트레이에 일정주기로 일정온도의 급수를 행하여 조사료를 빠른 시일 내에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사료 재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조사료 재배기의 기능성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 DRIVING CONTROL METHOD FOR FODDER CULTIVA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재배실 내부의 온도 및 트레이에 씨앗이나 싹에 대한 급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Fodder)는 바이오 청사료 또는 생초, 청목초라고도 하며, 흙이나 기타 흙 대용의 상토를 이용하지 않고 수경재배를 통해 보리 씨앗이나 밀 씨앗을 재배하여 일정크기(예를 들면 15~20cm)로 재배한 것을 말한다.
조사료 관련 논문인 “신선한 조사료의 사료적 가치분석”(월간 낙동 3월호-농업진흥청 실용화재단 정완태 박사)에 의하면 보리종자의 싹을 틔운 후 파종기간이 길어질수록 조단백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종자 1kg(DM 90%)의 싹을 틔우면 건물함량 10%의 조사료(뿌리포함) 8Kg이 생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일반성분 중 단백질 함량은 1.5배, 조섬유 함량은 1.9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미노산 전체 함량도 1.26배 증가하는 것을 알려졌다.
청보리 새싹과 같은 조사료는 영양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소화 흡수율이 높아 곡물사료에 비해 월등한 사료비 절감효과가 있고, 조사료에 함유된 항산화제(비타민 A,B,C, 셀레늄 및 아연으로 구성)는 가축의 몸을 중성화시킴으로써 질병을 스스로 치유하고 면역체계를 향상시켜 항상제의 남용을 막고 구제역과 같은 가축 질병에도 잘 견딜 수 있는 건강한 가축 사육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사료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A는 가축의 임신 수태율을 향상시키고 임신 주기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조사료 공급 시의 가축별 효과를 좀 더 살펴보면 한우, 육우의 경우 일 체중 증가량의 향상, 고기 품질 향상, 출현률 향상 등의 효과가 있고, 젖소의 경우 일 착유량 증가, 버터지방 함유량 증가, 착유기간 증가 등의 효과가 있으며, 말의 경우 위궤양, 제엽염 등 통상적인 말 질환의 현격한 감소, 경주마 경기력 향상 및 체력 회복 시간 단축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돼지의 경우 지방층의 완벽한 형성으로 고급 삼겹살 생산, 빠른 체중 증가 등의 효과가 있고, 산란계의 경우 달갈 크기 증가, 짙은 노른자, 길어진 산란기간의 효과가 있으며, 육계 및 오리의 경우 육질이 더욱 부드러워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보리나 밀 등의 곡물 종자를 흙이나 기타 흙 대용의 상토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경우 가축에 공급할 정도로 싹을 키우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경재배를 통해 조사료를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조사료 재배시설은 생산량이 많고 재배효율도 좋지만 그 규모가 너무 커서 넓은 시설 면적을 필요로 하고, 초기 시설비용 및 관리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가축(예를 들면 20마리 이하의 소)을 키우는 소규모 농장에는 생산량이 너무 많고 시설비용 및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종래의 대규모 조사료 재배시설이 적합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내부에 재배실이 마련되고, 전면에 도아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재배실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트레이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재배실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및 조명장치,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사료 재배기를 개발하였다.
상기 조사료 재배기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소규모 농장에서 필요한 만큼의 조사료를 단시일내에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대규모 조사료 재배시설에 비교할 때에 초기 시설비용 및 관리비용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재배실의 트레이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효율적으로 급수를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재배실의 각 트레이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빛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재배실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여 조사료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공보 제10-1985-0002620호(1985년 11월 4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3915호(2013년 7월 3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비교적 적은 수의 가축을 키우는 소규모 농장에서도 간편하게 조사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사료비 절감과 육질 개선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및 급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는 내부에 재배실이 마련되고, 전면에 도아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재배실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트레이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재배실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와; 상기 급수장치 및 조명장치,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장치는 본체의 재배실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의 일측에 설치되는 급수탱크와; 상기 급수탱크에 유입측이 접속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의 토출측이 접속되는 급수연결관과; 상기 급수연결관에 접속되고 각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급수아암과; 상기 급수아암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어 트레이에 물을 분사하는 급수노즐;을 포함하고, 급수탱크에 급수관과 수위제어밸브, 저수위센서, 수온센서, 그리고 전열히터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본체의 재배실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콤프레셔 및 응축기; 재배실의 내부 상부에 마련되는 공기덕트; 상기 공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 냉각기, 전열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덕트에 설치되어 재배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 상기 재배실의 외부에 설치되어 대기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본체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패널과; 본체의 재배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기판에 급수장치의 저수위센서, 수온센서, 온도조절장치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의 신호가 입력되고, 급수장치의 급수펌프와 전열히터, 온도조절장치의 콤프레셔, 순환팬, 전열히터에 작동 신호를 송출하는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와 접속되어 휴대폰,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와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를 통해 재배실 외부 온도 및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의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의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면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이면 온도조절장치의 전열히터 및 순환팬을 작동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를 통해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전열히터 및 순환팬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가 아니면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4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4설정온도 이상이면 온도조절장치의 콤프레셔 및 순환팬을 작동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를 통해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콤프레셔 및 순환팬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와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를 통해 재배실 외부 온도 및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 제어패널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전열히터 및 순환팬이 작동되는 단계에서 재배실의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올라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전열히터 및 순환팬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콤프레셔 및 순환팬이 작동되는 단계에서 재배실의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내려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콤프레셔 및 순환팬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급수장치의 수온센서와 저수위센서로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 및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수온 감지신호 및 저수위 여부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탱크의 저수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온 감지신호 및 저수위 여부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탱크의 저수위이면 제어패널에 에러를 표시하고, 저수위가 아니면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이면 급수장치의 전열히터를 작동하는 단계와; 급수장치의 수온센서로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7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7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급수장치의 전열히터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가 아니면 급수시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시간이면 급수펌프를 작동시켜 재배실의 트레이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급수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설정시간이 지나면 급수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장치의 수온센서와 저수위센서로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온 및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급수탱크 수온 감지신호 또는 저수위 여부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 제어패널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상기 전열히터가 작동되는 단계에서 급수탱크의 수온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전열히터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저수위이면 제어패널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에게 휴대폰 문자메시지 등으로 에러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방법은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배실에 투입된 트레이에 일정주기로 일정온도의 급수를 행하여 조사료를 빠른 시일 내에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사료 재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조사료 재배기의 기능성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는 동 조사료 재배기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동 조사료 재배기의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동 조사료 재배기의 제어패널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급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A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B-B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조사료 재배기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는 내부에 재배실(111)이 마련되고, 전면에 도아(112)가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재배실(111)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120)와; 상기 트레이(120)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130)와; 상기 트레이(120)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140)와; 상기 재배실(111)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150)와; 상기 급수장치(130) 및 조명장치(140), 온도조절장치(15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6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조사료 재배기(100)는 상기 재배실(111) 내부에 설치되고, 프라즈마 이온을 방출하여 공기중에 떠있는 세균을 박멸하는 SPI 유니트(170; S-Plasma ion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본체(110)는 내부 상부에 재배실(111)이 마련되고, 내부 하부에 기계실(115)이 마련되며, 재배실(111)의 전방에는 도아(112)가 설치되고, 기계실(115)의 전방에는 밀폐커버(116)가 설치된다.
상기 재배실(111)의 중앙 전방 및 중앙 후방에 지지프레임(113)이 설치되고, 재배실(111)의 내부 양측면과 지지프레임(113)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트레이 받침대(114)가 설치된다.
도시된 조사료 재배기(100)는 재배실(111)의 좌측면 6개, 지지프레임(113)의 좌측면 6개, 지지프레임(113)의 우측면 6개, 재배실(111)의 우측면 6개의 트레이 받침대(114)가 설치되어 재배실(111)의 좌측 공간에 6개, 재배실(111)의 우측 공간에 6개, 도합 12개의 트레이(1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받침대(114)는 후방부가 높고 전방부가 낮은 경사로 설치되어 트레이(120)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수납되며, 그에 따라 트레이(120)의 바닥면에 물이 고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 받침대(114)는 상부면 후방과 전방에 트레이 위치제한돌기(114a)(114b)가 마련된다.
상기 트레이 위치제한돌기(114a)(114b)는 트레이(120)가 재배실(111)의 후면에 너무 근접되거나 재배실(111) 전방의 도아(112)에 너무 근접되지 않고 재배실(111) 중앙의 적정 위치에 수납되도록 한다.
도시된 조사료 재배기(100)에서 재배실(111)의 하단 후방 중앙에는 재배실(111) 내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멍(117)이 마련되고, 기계실 밀폐커버(116)의 상단에는 도아(112)의 내부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공간부(118)가 마련되며, 유도공간부(118)의 하단 중앙에 배수구멍(119)이 마련된다.
상기 재배실 배수구멍(117)과 기계실 밀폐커버 배수구멍(119)에는 배수연결호스(279)가 접속된다.
도시된 조사료 재배기(100)에서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아(112)는 전후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는 방식으로, 본체(110)의 전면 좌측에 지지되는 좌측 도아와 본체(110)의 전면 우측에 지지되는 우측 도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급수장치(130)는 본체(110)의 재배실(111)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115)의 일측에 설치되는 급수탱크(131)와; 상기 급수탱크(131)에 유입측이 접속되는 급수펌프(132)와; 상기 급수펌프(132)의 토출측이 접속되는 급수연결관(133)과; 상기 급수연결관(133)에 접속되고 각 트레이(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급수아암(134)과; 상기 급수아암(134)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어 트레이(120)에 물을 분사하는 급수노즐(135);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장치(130)의 급수탱크(131)에는 급수관(136)과 수위제어밸브(137), 저수위센서(138), 수온센서(139), 그리고 전열히터(236)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장치(130)의 급수펌프(132) 및 저수위센서(138), 수온센서(139), 전열히터(236)는 제어장치(160)에 접속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온도조절장치(150)는 본체(110)의 재배실(111)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115)에 설치되는 콤프레셔(151) 및 응축기(152); 재배실(111)의 내부 상부에 마련되는 공기덕트(153); 상기 공기덕트(153)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154), 냉각기(155), 전열히터(156);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온도조절장치(150)는 상기 공기덕트(153)에 설치되어 재배실(1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 상기 재배실(111)의 외부에 설치되어 대기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를 더 포함하며,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와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는 제어장치(160)에 접속된다.
도시된 조사료 재배기(100)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공기덕트(153)는 상단이 재배실(111)의 상부면과 접하고 후단부가 재배실(111)의 후면과 접하며 전면과 하부면 양측면이 밀폐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에 한 쌍의 공기유입구멍(153a)이 마련되고, 저면 후방에 공기배출구멍(153b)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순환팬(154)은 상기 공기덕트(153)의 각 공기유입구멍(153a)의 후방에 설치되고,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는 공기덕트(153)의 내부에 설치되며,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는 제어기판(162) 일측의 공간부에 설치된다.
도 5에는 동 조사료 재배기의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동 조사료 재배기의 제어패널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제어장치(160)는 본체(11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패널(161)과; 본체(110)의 재배실(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162);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160)의 제어패널(161)에는 전원스위치버튼(161a), 급수시간 설정버튼(161b)과 급수시간 표시부(161c), 급수주기 설정버튼(161d)과 급수주기 표시부(161e)가 마련되고, 급수 작동램프(161f)와 콤프레셔 작동램프(161g), 전열히터 작동램프(161h), 에러 표시램프(161i), 전원 표시램프(161k)가 마련되며, 경보부저(161j)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장치(160)의 제어기판(162)에는 급수장치(130)의 저수위센서(138), 수온센서(139),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의 신호가 입력되고, 급수장치(130)의 급수펌프(132)와 전열히터(236),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 순환팬(154), 전열히터(156)에 작동 신호를 송출하는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와 접속되어 휴대폰,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64);이 마련된다.
도시된 조사료 재배기(100)에서 프라즈마 이온을 방출하여 공기중에 떠있는 세균을 박멸하는 SPI 유니트(170)는 공기덕트(153) 내부의 순환팬(154)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는 재배실(111)의 내부의 트레이(120)에 적재된 보리, 밀 등의 씨앗에 적당한 온도와 빛, 수분을 공급하여 보리싹, 밀싹 등의 신선한 조사료를 재배하게 된다.
즉, 상기 조사료 재배기(100)는 보리, 밀 등의 씨앗을 고르게 배열하여 적재한 트레이(120)를 재배실(111)에 설치한 후 급수장치(130)로 주기적으로 일정 수온의 물을 공급하고, 조명장치(140)로 재배실(111) 내부에 조사료 성장에 적합한 파장의 빛을 조사하며, 온도조절장치(150)로 재배실(111)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면 빠른 시일 내에 가축에 급이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조사료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예를 들면 6일에 15~20cm의 크기로 재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은 계절에 관계 없이 재배실의 내부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과 트레이에 일정주기로 일정온도의 물을 일정량 공급하기 위한 급수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중에서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은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와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외부 온도 및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의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의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면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이면 온도조절장치(150)의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을 작동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을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가 아니면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4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4설정온도 이상이면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을 작동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을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온도 제어방법은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와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외부 온도 및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이 작동되는 단계에서 재배실(111)의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예를 들면 30℃)로 올라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0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이 작동되는 단계에서 재배실(111)의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면 18℃)로 내려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0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열히터(156)를 작동시킬 것인가 콤프레셔(151)를 작동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1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20℃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열히터(156)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봄, 가을철, 겨울철에 전열히터(156)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2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15℃로 할 수 있고, 전열히터(156)의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22℃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콤프레셔(151)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여름철에 콤프레셔(151)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4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25℃로 할 수 있고, 콤프레셔(151)의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20℃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의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온도조절장치(150)의 전열히터(156)와 순환팬(154)을 작동하는 단계에서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이 작동되면 전열히터(156)가 설치된 공기덕트(153)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재배실(111) 쪽으로 순환되면서 재배실(111)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의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와 순환팬(154)을 작동하는 단계에서 콤프레셔(151)와 순환팬(154)이 작동되면 상기 콤프레셔(151)와 접속된 냉각기(155)가 설치된 공기덕트(153)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가 재배실(111) 쪽으로 순환되면서 재배실(111)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급수 제어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중에서 급수 제어방법은
급수장치(130)의 수온센서(139)와 저수위센서(138)로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 및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수온 감지신호 및 저수위 여부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의 저수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온 감지신호 및 저수위 여부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의 저수위이면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고, 저수위가 아니면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이면 급수장치(130)의 전열히터(236)를 작동하는 단계와;
급수장치(130)의 수온센서(139)로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7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7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급수장치(130)의 전열히터(236)를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가 아니면 급수시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시간이면 급수펌프(132)를 작동시켜 재배실(111)의 트레이(120)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급수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설정시간이 지나면 급수펌프(132)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급수장치(130)의 수온센서(139)와 저수위센서(138)로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 및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 수온 감지신호 또는 저수위 여부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상기 전열히터(236)가 작동되는 단계에서 급수탱크(131)의 수온이 일정온도 이상(예를 들면 30℃ 이상)으로 올라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0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전열히터(236)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열히터(236)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6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15℃로 할 수 있고, 전열히터(236)의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7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22℃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급수장치(130)는 급수관(136)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이 수위조절밸브(137)를 통해 조절되어 급수탱크(131)의 내부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급수 제어방법의 급수장치(130)의 전열히터(236)를 작동하는 단계에서는 전열히터(236)를 통해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는 설정시간마다 급수펌프(132)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켜 트레이(120)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급수 제어방법의 급수펌프(132)를 작동시켜 재배실(111)의 트레이(120)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급수를 행하는 단계에서 급수펌프(132)가 작동되면 급수탱크(131)의 물이 급수펌프(132)로 펌핑되어 급수연결관(133)과 급수아암(134)으로 공급되고, 급수아암(134)에 설치된 급수노즐(135)을 통해 트레이(120)의 상부에서 트레이(120)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분사된다.
아울러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단수 등을 이유로 급수탱크(131)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급수탱크(131)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된 저수위센서(138)를 통해 급수탱크(131)의 물 없음을 감지되며, 물 없음 감지신호가 입력된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는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저수위이면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제어패널(161)의 에러 표시램프(161i)를 점등하고 경보부저(161j)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통신모듈(164)을 통해 관리자에게 휴대폰 문자메시지 등으로 에러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조사료 재배기(100)에 있어서 조명장치(140)는 조사료가 재배되는 동안 계속 작동하여 조사료 재배에 필요한 파장의 빛을 공급하게 되며, 재배실(111) 내부에 프라즈마 이온을 방출하여 공기중에 떠있는 세균을 박멸하는 SPI 유니트(170; S-Plasma ion Unit)를 설치한 경우에는 SPI 유니트(170)가 조명장치(140)와 마찬가지로 조사료가 재배되는 동안 계속 작동되도록 할 수 있지만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에 의해 온도조절장치(150)의 순환팬(154)과 연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조사료 재배기 110 : 본체
111 : 재배실 112 : 도아
113 : 지지프레임 114 : 트레이 받침대
115 : 기계실 117 : 배수구멍
118 : 유도공간부 119 : 배수구멍
120 : 트레이 130 : 급수장치
131 : 급수탱크 132 : 급수펌프
133 : 급수연결관 134 : 급수아암
135 : 급수노즐 136 : 급수관
137 : 수위제어밸브 138 : 저수위센서
139 : 수온센서 140 : 조명장치
143 : 지지클립 150 : 온도조절장치
151 : 콤프레셔 152 : 응축기
153 : 공기덕트 153a : 공기유입구멍
153b : 공기배출구멍 154 : 순환팬
155 : 냉각기 156 : 전열히터
157 :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 158 :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
160 : 제어장치 161 : 제어패널
162 : 제어기판 163 :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
164 : 통신모듈 170 : SPI 유니트
236 : 전열히터

Claims (10)

  1. 내부에 재배실(111)이 마련되고, 전면에 도아(112)가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재배실(111)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120)와; 상기 트레이(120)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130)와; 상기 트레이(120)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140)와; 상기 재배실(111)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150)와; 상기 급수장치(130) 및 조명장치(140), 온도조절장치(15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60);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장치(130)는 본체(110)의 재배실(111)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115)의 일측에 설치되는 급수탱크(131)와; 상기 급수탱크(131)에 유입측이 접속되는 급수펌프(132)와; 상기 급수펌프(132)의 토출측이 접속되는 급수연결관(133)과; 상기 급수연결관(133)에 접속되고 각 트레이(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급수아암(134)과; 상기 급수아암(134)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어 트레이(120)에 물을 분사하는 급수노즐(135);을 포함하고, 급수탱크(131)에 급수관(136)과 수위제어밸브(137), 저수위센서(138), 수온센서(139), 그리고 전열히터(236)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150)는 본체(110)의 재배실(111)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115)에 설치되는 콤프레셔(151) 및 응축기(152); 재배실(111)의 내부 상부에 마련되는 공기덕트(153); 상기 공기덕트(153)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154), 냉각기(155), 전열히터(156);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덕트(153)에 설치되어 재배실(1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 상기 재배실(111)의 외부에 설치되어 대기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160)는 본체(11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패널(161)과; 본체(110)의 재배실(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16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160)의 제어기판(162)에 급수장치(130)의 저수위센서(138), 수온센서(139),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의 신호가 입력되고, 급수장치(130)의 급수펌프(132)와 전열히터(236),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 순환팬(154), 전열히터(156)에 작동 신호를 송출하는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와 접속되어 휴대폰,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64);이 마련되는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와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외부 온도 및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의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의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면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이면 온도조절장치(150)의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을 작동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외부 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가 아니면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4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4설정온도 이상이면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을 작동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재배실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와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를 통해 재배실 외부 온도 및 재배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온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이 작동되는 단계에서 재배실(111)의 내부 온도가 제3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올라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가 전열히터(156) 및 순환팬(154)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이 작동되는 단계에서 재배실(111)의 내부 온도가 제5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내려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콤프레셔(151) 및 순환팬(154)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재배실 내부 온도 제어방법.
  6. 내부에 재배실(111)이 마련되고, 전면에 도아(112)가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재배실(111)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120)와; 상기 트레이(120)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130)와; 상기 트레이(120)에서 재배되는 조사료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140)와; 상기 재배실(111)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150)와; 상기 급수장치(130) 및 조명장치(140), 온도조절장치(15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60);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장치(130)는 본체(110)의 재배실(111)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115)의 일측에 설치되는 급수탱크(131)와; 상기 급수탱크(131)에 유입측이 접속되는 급수펌프(132)와; 상기 급수펌프(132)의 토출측이 접속되는 급수연결관(133)과; 상기 급수연결관(133)에 접속되고 각 트레이(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급수아암(134)과; 상기 급수아암(134)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어 트레이(120)에 물을 분사하는 급수노즐(135);을 포함하고, 급수탱크(131)에 급수관(136)과 수위제어밸브(137), 저수위센서(138), 수온센서(139), 그리고 전열히터(236)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150)는 본체(110)의 재배실(111)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115)에 설치되는 콤프레셔(151) 및 응축기(152); 재배실(111)의 내부 상부에 마련되는 공기덕트(153); 상기 공기덕트(153)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154), 냉각기(155), 전열히터(156);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덕트(153)에 설치되어 재배실(1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 상기 재배실(111)의 외부에 설치되어 대기온도를 감지하는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160)는 본체(11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패널(161)과; 본체(110)의 재배실(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기판(16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160)의 제어기판(162)에 급수장치(130)의 저수위센서(138), 수온센서(139), 온도조절장치(150)의 재배실 내부 온도센서(157), 재배실 외부 온도센서(158)의 신호가 입력되고, 급수장치(130)의 급수펌프(132)와 전열히터(236), 온도조절장치(150)의 콤프레셔(151), 순환팬(154), 전열히터(156)에 작동 신호를 송출하는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와 접속되어 휴대폰,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64);이 마련되는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를 제어함에 있어서,
    급수장치(130)의 수온센서(139)와 저수위센서(138)로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 및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수온 감지신호 및 저수위 여부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의 저수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온 감지신호 및 저수위 여부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장치(160)의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의 저수위이면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고, 저수위가 아니면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이면 급수장치(130)의 전열히터(236)를 작동하는 단계와;
    급수장치(130)의 수온센서(139)로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7설정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7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급수장치(130)의 전열히터(236)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이 제6설정온도 이하가 아니면 급수시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시간이면 급수펌프(132)를 작동시켜 재배실(111)의 트레이(120)에 적재된 씨앗 또는 싹에 급수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설정시간이 지나면 급수펌프(132)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130)의 수온센서(139)와 저수위센서(138)로 급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의 수온 및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급수탱크 수온 감지신호 또는 저수위 여부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에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236)가 작동되는 단계에서 급수탱크(131)의 수온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간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전열히터(236)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저수위이면 제어패널(161)에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163)가 통신모듈(164)을 통해 관리자에게 휴대폰 문자메시지 등으로 에러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 재배기의 급수 제어방법.
KR1020130120681A 2013-10-10 2013-10-10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52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81A KR101529535B1 (ko) 2013-10-10 2013-10-10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681A KR101529535B1 (ko) 2013-10-10 2013-10-10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03A KR20150042003A (ko) 2015-04-20
KR101529535B1 true KR101529535B1 (ko) 2015-06-17

Family

ID=5303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681A KR101529535B1 (ko) 2013-10-10 2013-10-10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5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395A (ko) * 2011-03-11 2012-09-19 파더 솔루션스 (큐엘디) 피티와이 엘티디 사료 생산 유닛
KR101283915B1 (ko) * 2012-09-25 2013-07-16 (주)유양디앤유 작물의 발아 및 육묘 환경을 제공하는 조사료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395A (ko) * 2011-03-11 2012-09-19 파더 솔루션스 (큐엘디) 피티와이 엘티디 사료 생산 유닛
KR101283915B1 (ko) * 2012-09-25 2013-07-16 (주)유양디앤유 작물의 발아 및 육묘 환경을 제공하는 조사료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03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534B1 (ko) 조사료 재배기
CN204860567U (zh) 一种鱼类养殖用的养殖箱
CN103918540B (zh) 家用智能植物种植箱
KR20190088222A (ko) 축산 신선조사료 분무수경 재배장치
CN103651271A (zh) 一种黄粉虫快速养殖方法
CN206963577U (zh) 一体化牧草种植无土栽培温室大棚
CN111837823A (zh) 一种自动化菌菇培养舱及菌菇培养方法
CN107258640A (zh) 一种小龙虾反季节养殖方法
CN104488811A (zh) 一种雏鹅的养殖方法
CN214853417U (zh) 一种适用于高寒高海拔地区水培牧草系统的育苗装置
CN104412894A (zh) 一种牧草的生产培育方法
CN207100176U (zh) 一种鲟鱼苗种培育装置
CN106035173A (zh) 鱼苗开口驯化方法及驯化装置
CN203492502U (zh) 一种用于水稻选育的培育室
CN109349220A (zh) 一种大棚种植养殖方法
KR101529535B1 (ko) 조사료 재배기의 운전제어방법
CN218527000U (zh) 培植带式栽培架及培植带式集装箱饲草催芽栽培装置
CN205584983U (zh) 一种高效节能型自控恒温豆芽机
KR20150042004A (ko) 조사료 재배기
CN104585102A (zh) 一种银鱼的高产养殖方法
CN109105310A (zh) 一种淡水龙虾苗种孵化场建设及孵化方法
CN212232405U (zh) 一种农业种植、养殖用加温装置
CN107810860A (zh) 一种立体养殖方法
CN103814865B (zh) 喙尾琵琶甲的人工繁育方法
CN202907542U (zh) 一种冬暖大棚条件下工厂化栽培生产设施设备的集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