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775B1 -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 - Google Patents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775B1
KR101528775B1 KR1020140023765A KR20140023765A KR101528775B1 KR 101528775 B1 KR101528775 B1 KR 101528775B1 KR 1020140023765 A KR1020140023765 A KR 1020140023765A KR 20140023765 A KR20140023765 A KR 20140023765A KR 101528775 B1 KR101528775 B1 KR 10152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rd
hammer drill
drill
tu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봉
유인종
Original Assignee
우복기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복기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복기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는 드릴비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조인트가 형성되어 있는 해머드릴과, 상기 해머드릴의 수조인트가 삽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조인트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반천공장치의 PRD로드에 있어서,
상기 PRD로드의 하단에는 암조인트에 수조인트가 연결 조립되는 해머드릴의 외주를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튜빙이 PRD로드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Percussion rotary drill rod of exca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PRD rod)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지반천공장치의 드라이브유닛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지하에 파일을 박아주기 위한 파일공을 천공하기 위한 해머드릴이 장착되는 튜빙(Tubing)이 피알디(PRD : Percussion Rotary Drill) 로드(Rod)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파일공을 정밀한 수직도로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튜빙 일체형 PRD로드(Percussion Rotary Drill Ro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건설하고자 할 때에는 지상에 세워지는 고층건물을 받쳐주기 위한 파일을 지하에 매설하게 되며, 고층건물의 높이가 높으면 높을수록 파일은 지하에 더 깊게 매설된다.
종래 기술에서 지반천공장치의 오거드라이브유닛에 수직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하에 파일을 매설하기 위해 파일공을 천공하는데 사용되는 천공로드 즉, PRD로드(Percussion Rotary Drill rod tubing)와 해머드릴(Hammer drill) 및 튜빙(Tubing)은 각기 분리된 상태로 제작된 다음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에 파일공을 천공할 경우 파일공의 깊이가 깊으면 깊을수록 파일공이 일측으로 경사진 각도로 천공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바, 이는 지반천공장치에 수직상으로 연결 조립되고 있는 PRD로드(Percussion Rotary Drill Rod)와 튜빙(Tubing)이 각각 분할 제작된 상태에서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종래 지반천공장치에 사용되는 천공로드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외주에 스크류날개(110)가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PRD로드(100 :Percussion Rotary Drill Rod)와 하단에 드릴비트(310)가 형성된 해머드릴(300) 및 상기 해머드릴(300)이 삽입 설치되는 튜빙(200 : Tubing)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작된 후 복수의 결합볼트(400)에 의해 연결 결합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분리된 상태로 구성된 종래 기술의 PRD로드(100)는 그 하단에 연결 조립되는 해머드릴(300) 및 튜빙(200)이 정밀한 수직도로 조립되지 못하거나 또는 지반천공작업시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 조립되어 있는 해머드릴(300) 및 튜빙(2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 해머드릴(300) 및 튜빙(200)을 연결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튜빙(200)에 형성된 해머삽입공(210)으로 해머드릴(300)을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해머드릴(300)의 상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결합돌기(320)는 상기 튜빙(200)의 해머삽입공(210) 상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결합홈(220)으로 삽입 연결되고, 상기 해머드릴(300)의 결합돌기(320) 상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수조인트(330)는 상기 튜빙(200)의 결합홈(220) 상측에 형성된 관통공(230)을 통해 튜빙(200)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튜빙(20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해머드릴(300)의 수조인트(330)를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 형성된 암조인트(120) 속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한 암조인트(120)에 서로 위상차를 달리하여 어긋나게 형성된 복수의 볼트결합공(130)과, 상기한 해머드릴(300)의 수조인트(330)의 양측에 위상차를 달리하여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볼트결합홈(340)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 외측에서 복수의 결합볼트(400) 각각을 볼트결합공(130)으로 끼워주게 되면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 형성된 암조인트((120)와 해머드릴(300)의 상단에 형성된 수조인트(330)가 결합볼트(400)에 의해 체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는 해머드릴(300)이 장착되어 있는 튜빙(200)이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튜빙(200)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PRD로드(100)의 하단과 튜빙(200)의 상단이 수평하게 조립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각도(Q)로 조립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설령 상기 튜빙(200)의 상단이 PRD로드(100)의 하단에 수평하게 조립되었다고 하더라도 PRD로드(100)의 암조인트(120)에 형성되는 볼트결합공(130)과 헤머드릴(300)의 수조인트(330) 각각의 내경이 볼트결합홈(340)의 외경에 일치하도록 정밀하게 가공되지 못하고 결합볼트(400)가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공(130) 및 볼트결합홈(340) 각각의 내경이 결합볼트(400)의 외경보다 조금 크도록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해머드릴(300)이 지하에 묻혀있는 암반을 타격하게 될 때 해머드릴(300)이 조립 당시의 수직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이에 따라 상기 해머드릴(300)을 감싸고 있는 튜빙(200)도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해머드릴(300)과 같이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튜빙(200)이 기울어지게 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지반천공장치에 사용되는 PRD로드(100)와 튜빙(200)은 각각은 비교적 두꺼운 철판으로 제작되는 중량체로서 작업자의 인력으로는 들 수 없고 크레인 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들어올려서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암조인트(130)의 내경과 상기 해머드릴(3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조인트(330)의 외경이 정밀하게 가공되지 못하고 상기한 수조인트(330)가 암조인트(130) 속으로 잘 들어갈 수 있도록 허용오차가 크게 가공될 뿐 아니라 상기 PRD로드(100)의 암조인트(120)에 형성되는 볼트결합공(130)과 상기 해머드릴(300)의 수조인트(330)에 형성되는 볼트결합홈(340) 각각의 내경이 정밀하게 가공되지 못하고 결합볼트(400)가 잘 들어가도록 허용오차가 크게 가공되기 때문에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암조인트(130) 속으로 튜빙(20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해머드릴(300)의 수조인트(330)를 삽입하여 복수의 결합볼트(400)로 연결 결합시키게 될 때 상기 PRD로드(100)의 하단과 튜빙(200)의 상단이 수평하게 조립되지 않고 일정 각도(Q)로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PRD로드(100)의 하단에 튜빙(200)이 일정 각도(θ) 기울어지게 조립된 상태로 파일공을 천공하게 될 경우에는 파일공은 수직도를 유지하는 상태로 천공되지 않고 상기 튜빙(200)이 기울어진 각도(Q)에 의해 파일공(P)도 일측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천공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천공하고자 하는 파일공이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천공되었을 경우에는 고층건물을 설계대로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건설하지 못하게 되는 부실공사가 될 뿐 아니라 지하층의 용적율에도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하에 파일을 매설하기 위한 파일공을 천공하는 지반천공장치에 사용되는 PRD로드(Percussion Rotary Drill Rod)의 하단에 장착되는 해머드릴을 감싸주도록 설치되는 튜빙(Tubing)을 상기 PED로드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해머드릴이 PRD로드의 하단에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지반천공공사를 할 때 파일공의 수직도가 유지되도록 파일공을 수직상으로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튜빙 일체형 PRD로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며, 또한 기존의 지반천공장치에 사용하고 있던 해머드릴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튜빙 일체형 PRD로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단에는 드릴비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조인트가 형성되어 있는 해머드릴과, 상기 해머드릴의 수조인트가 삽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조인트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반천공장치의 PRD로드에 있어서,
상기 PRD로드의 하단에는 암조인트에 수조인트가 연결 조립되는 해머드릴의 외주를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튜빙이 PRD로드에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RD로드의 하단에 형성된 암조인트에는 해머드릴의 상면과 수조인트 사이에 상기 수조인트보다 큰 외경을 갖는 육각형의 상단 결합돌기가 삽탈가능하게 삽입 연결되는 육각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빙의 내측에는 해머드릴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드릴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RD로드와 해머드릴을 복수의 결합볼트로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PRD로드의 하단에 외측에서 암조인트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결합볼트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머드릴의 상면에 형성된 수조인트의 양측에는 상기 암조인트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결합공과 일치하는 복수의 볼트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천공장치의 PRD로드의 하단에는 해머드릴의 외주를 감싸주는 튜빙이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PRD로드의 하단에 장착되는 해머드릴을 수직상태로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지반천공작업으로 파일공을 천공하게 될 때 파일공이 수직도를 유지하는 상태로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고층건물의 건설작업시 설계대로의 구조 및 강도로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지반천공장치에 사용하고 있던 고가의 건설장비인 기존의 해머드릴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에 해머드릴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측면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와 해머드릴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와 해머드릴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와 해머드릴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와 해머드릴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 외주에 막대형 날개를 형성한 실시예
도 9는 종래 기술의 PRD로드와 튜빙 및 해머드릴의 분리 상태도
도 10은 종래 기술의 PRD로드와 튜빙 및 해머드릴의 조립 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PRD로드(Percussion Rotary Drill Rod)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PRD로드(1)는 지상에서 자주식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지반을 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차하여 천공작업을 하게 되는 크롤러 크레인(2)의 선단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리더(21)를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거드라이브유닛(3)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31)의 저부로 돌출되어 있는 감속조인트(32)에 연결 설치되어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지반을 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PRD로드(1)의 외주에는 천공되는 토사를 상향으로 이송하는 스크류날개(11)가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PRD로드(1)의 상단에는 기어박스(31)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감속조인트(32)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PRD로드(1)를 상,하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조인트(12)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내부에는 해머드릴(4)의 상단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조인트(41)를 삽탈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암조인트(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해머드릴(4)의 하단에는 지반이나 암반을 천공하는 드릴비트(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머드릴(4)은 오거드라이브유닛(3)으로부터 감속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31)의 감속조인트(3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PRD로드(1)와 같이 저속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박스(3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벨(swivel : 33)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드릴비트(42)를 상,하로 작동하면서 지반이나 암반을 천공하는 작동을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내부에 형성되는 암조인트(13)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해머드릴(4)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면서 지반을 천공하여 파일공(P)을 수직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는 해머드릴(4)이 연결되는 암조인트(13)의 하측으로 상기 해머드릴(4)의 길이와 같은 크기의 튜빙(5)이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빙(5)의 내측에는 해머드릴(4)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드릴삽입공간(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튜빙(5)의 외주에는 PRD로드(1)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날개(11)와 같은 스크류(52)가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튜빙(5)의 내측에 형성되는 드릴삽입공간(51)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해머드릴(4)에는 그 상면(43)의 중앙부분에 육각형으로 된 1단 구조의 수조인트(41)만 상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 형성되는 튜빙(5)의 내측에 형성되는 드릴십입공간(51)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해머드릴(4)의 상면(43)과 육각형으로 된 수조인트(41) 사이에 육각형으로 된 상단 결합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해머드릴(4)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해머드릴(300)과 같은 구성으로 된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고 있는 해머드릴(300 : 도 9 및 도 10 참조)과 같이 상면(43)에 상단 결합돌기(44)와 수조인트(41)가 2단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해머드릴(4)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내측에 형성된 암조인트(13)에는 해머드릴(4)의 상면(43) 중앙부분에 돌출된 1단 구조의 수조인트(41)만 삽입 연결되는 것이며,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내측에 형성되는 암조인트(13)의 하측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2단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단 결합돌기(44)와 수조인트(41)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각 실시예의 PRD로드(1)에 형성되는 암조인트(13)와 해머드릴(4)의 상면(43)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수조인트(41)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결합볼트(6)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내측에 형성된 암조인트(13)의 양측에는 PRD로드(1)의 외측에서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볼트(6)가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결합공(15)이 서로 위상차가 어긋나는 위치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머드릴(4)의 상면(43)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수조인트(41)의 양측에는 상기한 복수의 볼트결합공(15)과 일치하는 위치에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결합홈(4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튜빙(5) 각각의 드릴삽입공간(51)으로 삽입되는 해머드릴(4)의 수조인트(41)가 암조인트(13) 속으로 삽입되게 되면 상기 수조인트(41)의 양측에 위치를 달리하여 대칭상으로 형성된 양측의 볼트결합홈(45)과 상기 암조인트(13)의 양측에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된 양측의 볼트결합공(15)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어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외측에서 암조인트(13)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결합공(15)으로 결합볼트(6)를 삽입한 다음 상기 PRD로드(1)의 외측에서 너트(61)를 결합볼트(6)의 수나사부에 나사조립시키게 되면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튜빙(5)의 드릴삽입공간(51)으로 삽입되는 해머드릴(4)의 수조인트(41)는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내측에 형성된 암조인트(13)에 결합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PRD로드(1)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스위벨(33)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을 해머드릴(4)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6)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31)의 저부에 형성된 감속조인트(32)에 연결되는 PRD로드(1)의 외주에는 케이싱로드(7)가 PRD로드(1)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로드(7)는 PRD로드(1)가 상,하 다단상으로 연결조립되는 길이에 맞추어 상,하 다단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로드(7)의 상단측에는 스크류날개(11)를 따라 상향으로 이송되는 토사를 배출시키는 슬라임 배출장치(71)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로드(7)의 하단부는 지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PRD로드(1)와 튜빙(5) 각각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된 스크류날개(11)(52) 대신에 도 8의 도시와 같이 수직상태로 형성되는 막대형 날개(11a)를 PRD로드(1)의 상단에서부터 튜빙(5)의 하단까지 수직방향 또는 사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구조로서 지반천공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반천공장치의 튜빙(5)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PRD로드(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튜빙(5)에 형성된 드릴삽입공간(51)으로 삽입 설치되는 해머드릴(4)은 그 상면(43)에 수조인트(41)만 1단 구조로 돌출 형성된 것과, 상기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수조인트(41)와 상단 결합돌기(44)가 2단 구조로 돌출 형성된 것이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PRD로드(1) 하단측에 형성된 튜빙(5a)에 수조인트(41)가 1단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해머드릴(4)을 삽입 장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튜빙(5)의 드릴삽입공간(51)으로 삽입 설치되는 해머드릴(4)은 그 상면(43)의 중앙부분에 육각형으로 된 수조인트(41)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튜빙(5)의 드릴삽입공간(51) 속으로 해머드릴(4)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조인트(41)가 상기 PRD로드(1)의 하단측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암조인트(13) 속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해머드릴(4)의 상단(43)이 암조인트(13)의 하단에 수평상태로 밀착되는데, 이와 같이 해머드릴(4)의 상면(43)이 암조인트(13)의 하단에 수평상태로 밀착될 때에는 상기 수조인트(41)에 형성된 양측 볼트결합홈(45) 각각은 상기 암조인트(13)의 양측을 관통하는 양측 볼트결합공(15) 각각에 일치하게 되어 상기 PRD로드(1)의 하단 외측에서 볼트결합공(15)으로 결합볼트(6)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볼트(6)는 서로 일치하고 있는 수조인트(41)의 볼트결합홈(45)과 암조인트(13)의 볼트결합공(15)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한 수조인트(41)와 암조인트(13)를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PRD로드(1)의 하단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튜빙(5)은 드릴삽입공간(51) 속으로 삽입되는 해머드릴(4)이 수직상태로 삽입되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해머드릴(4)은 튜빙(5)의 드릴삽입공간(51) 속에 수직상태로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형성된 수조인트(41)도 암조인트(13)에 수직상태로 삽입되어 결합볼트(6)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빙(5)은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머드릴(4)을 작동시켜서 지반이나 암반을 천공하게 될 때 상기 해머드릴(4)이 드릴삽입공간(51) 속에서 항시 상,하 수직방향으로만 승강작동하면서 천공작동을 하도록 안내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해머드릴(4)로 천공하고자 하는 파일공(P)은 똑바른 수직도로 천공될 뿐 아니라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암반(R)에도 파일공(P)을 수직상태로 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된 튜빙(5)에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고 있는 해머드릴(300 : 도 9 참조)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의 상기 PRD로드(1) 하단측 내측에 형성된 암조인트(13)에는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2단 구조로 형성된 상단 결합돌기(41)와 수조인트(41)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튜빙(5)에 삽입 설치되는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해머드릴(도 9 및 도 10 참조)과 같이 상단 결합돌기(44)와 수조인트(41)가 2단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형성된 상단 결합돌기(44)는 암조인트(13)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4)에 삽입되고 수조인트(41)는 암조인트(13) 속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해머드릴(4)의 상면(43)에 2단 구조로 돌출 형성된 상단 결합돌기(44)와 수조인트(41)가 결합홈(14)과 암조인트(13) 속으로 삽입되게 되면 수조인트(41)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결합홈(45)과 암조인트(13)의 양측을 관통하는 볼트결합공(15)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므로, PRD로드(1)의 하단 외측에서 결합볼트(6)를 볼트결합공(15)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PRD로드(1)의 암조인트(13)와 해머드릴(4)의 수조인트(41)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PRD로드(1)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튜빙(5)의 드릴삽입공간(51) 속으로 상면(43)에 상단 결합돌기(44)와 수조인트(41)가 2단 구조로 돌출 형성된 해머드릴(4)은 전술한 실시예(도 2 내지 도 4 참조)와 마찬가지로 상기 튜빙(5)의 드릴삽입공간(51) 속으로 삽입하여 조립할 때 수직상태로 삽입되어 결합볼트(6)에 의해 암조인트(13)에 체결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튜빙(5)에 삽입된 해머드릴(4)은 드릴삽입공간(51) 안에서 항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하면서 파일공(P)을 수직상태로 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튜빙(5)이 일체로 형성된 PRD로드(1)를 사용하여 지반이나 지반에 묻혀있는 암반에 파일공(P)을 천공하게 될 경우에는 파일공(P)이 정밀한 수직도를 갖도록 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고층건물을 건설하기 위해 지반에 파일을 심어주기 위해 천공되는 파일공의 수직도를 설계한 대로 정밀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1 : PRD로드 11 : 스크류날개
11a : 막대형 날개 12 : 연결조인트
13 : 암조인트 14 : 결합홈
15 : 볼트결합공 16 : 공급관
2 : 크롤러크레인 21 : 리더
3 : 오거드라이브유닛 31 : 기어박스
32 : 감속조인트 33 : 스위벨
4 : 해머드릴 41 : 수조인트
42 : 드릴비트 43 : 상면
44 : 상단 결합돌기 45 : 볼트결합홈
5 : 튜빙 51 : 드릴삽입공간
52 : 스크류날개 6 : 결합볼트
61 : 너트 7 : 케이싱로드

Claims (4)

  1. 하단에는 드릴비트(4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조인트(41)가 형성되어 있는 해머드릴(4)과, 상기 해머드릴의 수조인트(41)가 삽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조인트(13)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반천공장치의 PRD로드에 있어서,
    상기 PRD로드(1)의 하단에는, PRD로드의 하단에 형성된 암조인트(13)에 해머드릴(4)의 수조인트(41)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해머드릴(4)이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드릴삽입공간(5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해머드릴(4)의 외주를 감싸는 길이를 가지고 있는 튜빙(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PRD로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23765A 2014-02-28 2014-02-28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 KR10152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765A KR101528775B1 (ko) 2014-02-28 2014-02-28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765A KR101528775B1 (ko) 2014-02-28 2014-02-28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775B1 true KR101528775B1 (ko) 2015-06-15

Family

ID=5350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765A KR101528775B1 (ko) 2014-02-28 2014-02-28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331A (ko) 2021-01-15 2022-07-22 서원교 굴착기용 저소음 굴착로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98B1 (ko) * 1994-12-30 1997-07-12 신영철 두종류의유체를각기다른통로로공급하는지반굴착기의해머드릴
KR19980019631U (ko) * 1996-10-05 1998-07-15 이두연 회전 리더형 굴삭기의 오거 스크류구조
KR100231472B1 (ko) * 1997-03-13 1999-11-15 김철규 지반 굴착기의 해머드릴본체용 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98B1 (ko) * 1994-12-30 1997-07-12 신영철 두종류의유체를각기다른통로로공급하는지반굴착기의해머드릴
KR19980019631U (ko) * 1996-10-05 1998-07-15 이두연 회전 리더형 굴삭기의 오거 스크류구조
KR100231472B1 (ko) * 1997-03-13 1999-11-15 김철규 지반 굴착기의 해머드릴본체용 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331A (ko) 2021-01-15 2022-07-22 서원교 굴착기용 저소음 굴착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5251B (zh) 桥梁桩基旋挖钻机切削式全护筒跟进成桩施工方法及系统
US77753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casing or conductor pipe
KR101559962B1 (ko) 파일을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CN104405283A (zh) 一种采动区地面钻l型井抽采瓦斯的工艺
CN103643893A (zh) 煤矿井下突出煤层段筛管钻进工艺
CN104763368A (zh) 大直径潜孔锤用孔口密封装置及其反循环施工工艺
CN104453710B (zh) 一种煤层大孔径钻孔施工的钻孔装备
CN103485716B (zh) 岩溶地质旋挖钻导孔施工方法
KR20140029093A (ko) 비용접 결합된 케이싱
KR101528775B1 (ko) 지반천공장치의 튜빙 일체형 피알디 로드
CN104088598B (zh) 钻孔泄压式卡钻事故打捞工具及方法
KR101042272B1 (ko)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20100024862A (ko)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101582166B1 (ko) 토사와 연암 및 호박돌이 혼재된 연암지층 굴착용 에어해머와 스크류 혼합 굴착비트
CN205503007U (zh) 一种基于双壁钻杆的钻井系统
US9175550B2 (en) Containment cellar
CN202483432U (zh) 适用于砾石地层钻井的跟管钻井系统
CN108049808B (zh) 一种钻孔钻具和钻孔方法
CN211819264U (zh) 一种建筑工程用基桩钻掘套管
US11499376B2 (en) Drill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3796162U (zh) 一种长螺旋桩机
KR101699938B1 (ko) 파일을 이용한 지중 벽체 시공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CN205743716U (zh) 导向防倾斜钻头
KR100937170B1 (ko) 마이크로 파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지반의 직진 천공공법
KR100858865B1 (ko) 천공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