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352B1 -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352B1
KR101528352B1 KR1020130081283A KR20130081283A KR101528352B1 KR 101528352 B1 KR101528352 B1 KR 101528352B1 KR 1020130081283 A KR1020130081283 A KR 1020130081283A KR 20130081283 A KR20130081283 A KR 20130081283A KR 101528352 B1 KR101528352 B1 KR 10152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gram
call
telephone application
information
re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420A (ko
Inventor
이종렬
Original Assignee
이종렬
김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렬, 김연화 filed Critical 이종렬
Priority to KR102013008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3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의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킨 후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화기능과 광고, 인터넷 링크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Method for activating user interface of a phone-call application program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 시 전화 기능을 제공하면서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다양한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은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처럼 사용자 지향적인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탑재하게 되었다. 컴퓨터용 운영체제로 윈도우나 리눅스, 맥 OS 등이 있듯이, 스마트폰에도 다양한 운영체제가 적용된다. 어떤 운영체제가 탑재되느냐에 따라 종류가 다양해지고 제품의 장단점도 각각 다르다. 현재는 운영체제에 따라 스마트폰 계열을 구분하고 있는데, 애플의 iOS가 탑재된 아이폰,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안드로이드폰, 윈도우 모바일폰 등으로 나뉜다. 또한,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무선통신 기능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간편하게 인터넷 뱅킹도 이용하고 버스나 지하철 노선이나 차량 이동 지점의 확인도 가능하며, 영화나 연극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GPS 수신기의 기능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각 언론사의 최신 뉴스도 일목요연하게 열람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또 하나의 특징은 와이파이(Wi-Fi, 무선랜)나 3G(3세대), 4G(4세대)와 같은 무선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와이파이는 인터넷은 물론 전화통화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 스마트폰의 최대 수혜로 손꼽을 수 있다. 즉, 휴대 기기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음성망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 스마트폰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이전보다 훨씬 유용하고 편리한 통신생활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개발자들은 자신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시 광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넣기도 하는데,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자, 운영자 또는 배포자들은 광고의 대가로서 광고주들로부터 소정의 재정적 보상을 받기도 한다. 예컨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자는 이 프로그램을 무료로 배포하여 사용자를 확보하고,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특정 자동차보험회사의 광고를 출력되도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의 사용자는 광고를 보는 대가로서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위의 특정 자동차보험회사(즉, 광고주)는 여러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킨 대가로서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자 또는 배포자에게 금전적 보상을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자나 배포자는 이러한 금전적 보상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의 유지보수를 지속할 수 있는데,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전적 보상은 이 프로그램을 통한 광고가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예로서 2002년 4월 4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2-0018440의 "전화가 발신되었을 때 휴대폰 액정에 발신번호와 함께 보이는 광고를 보면 요금감면을 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할인 [국제]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무료 [국제]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사용자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망(data network)을 통해 통화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음성통신망보다 더 저렴한 음성 통신망 또는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전화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이들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운영되는 전화 교환기 또는 전화 교환 서버와 협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화 교환기 또는 전화 교환 서버 등을 운영하는 주체는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종래에 스마트폰에서 가장 기본으로 제공하는 음성통신망의 이용요금보다 낮은 제1 이용요금을 상기 전화 교환기 또는 전화 교환 서버 등을 운영하는 주체 또는 운영자에게 지불함으로써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운용자들은 상기 음성 통신망 또는 데이터망의 사용 대가로서 위의 제1 이용요금보다 낮은 제2 이용요금(무료도 가능)을 상기 음성 통신망 또는 데이터망의 운영자에게 지급하고, 상기 제1 이용요금과 상기 제2 이용요금의 차액만큼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라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부가적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전화를 거는 경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기 부가적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버튼을 직접 눌러서 실행하는 제1단계가 필요했다. 그런데 전화를 걸 때에, 사용자는 전화를 걸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휴대 기기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제1단계가 비록 한 개의 단계이지만, 이러한 한 개의 추가적인 단계의 수행에 대한 저항감 때문에 위의 부가적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지 않고, 따라서 이러한 부가적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확산도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광고도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바꾸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종래 행동패턴을 바꾸지 않고도,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아닌 더 저렴한 요금이 발생하는 다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즉,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결합된 광고 기법은,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사용자가 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경우에만 광고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단문이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시지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 기법 또한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위의 단문이나 SNS를 확인해야만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종래 행동패턴을 바꾸지 않고도 광고에 자연스럽고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목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백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다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전화통화가 시도되는지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있을 수 있다. 위의 다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전화통화가 시도되면, 다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강제로 중단하여 호 발신을 차단하고,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대신 호를 발신하도록 되어 있다. 호 발신에 대한 제어권을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획득하게 되면,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통화 전후 및 통화 도중의 적절한 시점을 택하여 광고, 쇼핑정보, 또는 특허 웹페이지 접속 유도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통화방법은 사용자 기기의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호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호를 송신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는 데이터망 또는 음성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정보는 시각 또는 청각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정보는 광고, 링크, 웹페이지에 관한 정보, 또는 쇼핑몰 로그인 입력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정보가 상기 링크인 경우, 상기 링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링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된 호의 수락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상기 호의 송신시점과 상기 호의 수락시점을 포함하는 연속된 시구간을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된 호의 종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호의 종료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통화시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최초 활성화시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음성통신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되어 있던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외부의 서버에게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사용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사용자 기기는,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이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매체는,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망을 이용한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다. 그 대신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실제로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백그라운드로 이미 실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위의 ‘자동으로 실행’된다는 것은 예컨대,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화연결화면 또는 광고화면 또는 각종 정보출력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 통화 연결 대기 시간, 통화 도중, 및/또는 통화 종료 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광고, 인터넷 링크 등의 정보를 사용자 기기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의 모니터링 프로세스와 사용자 기기의 인터럽트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인터럽트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의 모니터링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의 인터럽트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인터럽트 프로세스의 순서도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7b 및 도 7c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고, 도 7d 및 도 7e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의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킨 후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화기능과 광고, 인터넷 링크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음성통신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데이터망 및/또는 음성통신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은,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획득한 후에 최초로 실행하는 단계(S100), 최초 실행 후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재실행하는 단계(S200), 모니터링 프로세스 구동 단계(S300)(=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인터럽트 프로세스 구동 단계(S400)(=인터럽트 프로세스), 및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또는 인터럽트 프로세스 종료 단계(S500)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프로세스는 사용자 기기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종료되지 않고 계속 실행될 수도 있다.
이때,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최초로 실행하는 단계(S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각종 권한에 대한 동의를 수락해야한다. 이때, 예컨대, 상기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각종 권한은 통화, 요금이 부과되는 서비스, 저장소, 개인 정보, 네트워크 통신, 하드웨어 제어 등에 대한 권한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화에 대한 권한은,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화를 걸거나 전화 걸 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이 권한이 허가된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즉, 사용자 기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휴대폰의 일련번호, 통화 실행 여부, 통화가 연결된 전화번호 등을 알아내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정보에 대한 권한은,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디바이스에 저장된 모든 연락처(주소)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허용하며, 수신 및 발신 통화 데이터를 포함한 휴대전화의 통화 기록을 읽고 쓰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최초로 실행한다. 단계(S110)에서 설명한 상기 각종 권한에 대한 동의는 단계(S110)가 아니라 단계(S12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단계(S130)에서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최초로 실행시킨 이후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한 이후에 재실행시킬 때에, 사용자가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버튼을 직접 클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기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자동실행 플래그(flag)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단계(S300) 내지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플래그는 후술하는 단계(S200)에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재실행되는 단계(S200) 중 단계(S210)에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원이 온(ON) 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세팅정보를 확인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각종 세팅정보를 확인한 후, 자동실행 프로그램으로 등록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단계(S130)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부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자동실행 플래그를 저장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사용자 기기의 전원이 켜질 때에 자동 실행될 수 있다. 이후, 단계(S300) 내지 단계(S500)가 실행될 수 있다.
단계(S300)에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모니터링 프로세스가 구동된다. 이 모니터링 프로세스는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즉, 수신자에게 전화를 시도하는 행위 또는 이 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후속 이벤트(ex: 호 송신)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도하는 행위는 통화버튼을 누르는 행위일 수 있고, 상기 후속 이벤트의 일 예는 상기 통화버튼을 누르는 행위에 의해 유발되어 자동으로 수행되는 각종 단계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최초 활성화시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초 활성화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사용자 기기를 생산한 공장에서부터 설치되어 있던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는 다른 임의의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S400)에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인터럽트 프로세스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인터럽트 프로세스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세스가 감지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구동이 시작될 수 있다.
단계(S500)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또는 상기 인터럽트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또는 상기 인터럽트 프로세스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상기 인터럽트 프로세스가 감지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구동을 마친 후에 종료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에 종료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인터럽트 프로세스를 별도의 다른 프로세스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모든 기능이 한 개의 단일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프로세스로 나뉘어 실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의 모니터링 프로세스(S300)와 사용자 기기의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의 모니터링 프로세스(S300)와 사용자 기기의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모니터링 프로세스 및 인터럽트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2의 각 단계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 단계(S310)에서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신자에 대한 통화시도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통화시도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화버튼을 누르는 행위, 또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이 행위 뒤에 발생하는 임의의 이벤트일 수 있다. 여기서 단계(S310)는 상술한 단계(S300)의 모니터링 프로세스에 포함된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설명하는 단계(S410~S470)는 상술한 단계(S400)의 인터럽트 프로세스에 포함된 단계일 수 있다.
단계(S410)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나중에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 임시로 저장하고,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기 수신자에 대한 호 송신 기능을 강제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이미 호의 송신이 시작된 경우라면 호의 송신을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 송신 기능을 강제로 중지시킬 수 있다.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 시도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는 단계(S410)가 아니라 단계(S31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단계(S420)에서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스로 상기 임시 저장된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호의 송신은 데이터 통신망(예컨대, 3G 데이터망, 4G 데이터망, WiFi, Wibro 등), 또는 음성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호를 송신한 이후 상대방인 수신자가 전화를 받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S420)와 수신자와의 호 연결에 성공하는 단계(S440) 사이의 기간(P31) 동안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1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430)는 기간(P31)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실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수신자와의 호 연결에 성공하면,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수신자와의 호가 종료되는 단계(S460)에 이르는 기간(P32) 동안, 수신자와의 통화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S450)). 단계(S450)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단계(S430)를 통해 제공되던 제1 정보가 계속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제1 정보와는 다른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S450)에서 사용자에게 제1 정보와 같은 정보를 출력할 때에는 통화에 방해되지 않도록 청각정보를 제외하여 출력할 수 있다.
수신자와의 호 연결에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수신자에 대한 호가 종료되는 단계(S460)는 여전히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호의 종료는 발신자가 통화를 포기하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통화종료버튼 누름)을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포기 행위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수신자와의 호 연결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설정, 또는 이와 연동된 전화 교환기/서버에서의 설정에 따라 호 연결 시도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호가 종료될 수도 있다.
수신자와의 호가 종료되면, 단계(S470)에서 일정기간 동안 사용자에게 사용자 기기를 통해 제2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이때, 단계(S430)와 단계(S470)에서 상기 출력은 사용자 기기가 제공하는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2 정보가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소리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진동을 통해 촉각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의 제1,2 정보는, 일방향의 단순 광고일 수도 있고, 양방향 광고일 수도 있다. 그리고 위의 제1,2 정보는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웹페이지일 수도 있고, 특정 웹페이지 사이트에 대한 링크(하이퍼링크, 인터넷링크)일 수도 있다. 링크인 경우에는 해당 링크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사용자 기기에 설치된 각종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정보, 제2 정보와 같이,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화통화와 별개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되어 있던 것일 수 있다. 또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신자에 대한 통화시도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310) 이후에,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의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여 제공받은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제1,2 정보가 인터넷 링크인 경우, 상기 인터넷 링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인터넷 링크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넷 링크가 쇼핑몰 홈페이지인 경우, 추천 상품의 정보 및 가격 등의 광고를 함께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에 관심을 갖고 쇼핑몰 홈페이지를 클릭한 경우에는 쇼핑몰 홈페이지의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도 4 내지 도 7e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을 이용한 전화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의 모니터링 프로세스(S300)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기기의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모니터링 프로세스(S300) 및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의 순서도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200)을 이용한 전화방법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에서,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기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전화 응용프로그램이며, 음성망을 통해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에 별도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제공되는 전화 응용프로그램이며, 데이터망 또는 음성 망을 통해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아이콘(100)을 선택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으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아이콘(200)을 선택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로 동작 중일 때에는 제2 아이콘(200)을 선택하지 않고 제1 아이콘(100)을 선택하더라도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에서는,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모니터링 프로세스(S300) 및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가 수행되기 이전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계(S100) 및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 사용자가 수신자와의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을 실행하였는지 여부(또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여부) 또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을 이용한 호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단계(S311)). 이때, 나중에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임시로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을 이용한 호 송신 이벤트의 발생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누른 후 통화버튼을 누르는 행위에 따라 유발되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11)에 따라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의 실행이 감지되거나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을 이용한 호 송신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의 구동을 트리거(trigger)하는 단계(S321)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21)가 수행됨에 따라,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의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인터럽트 프로세스(S400)의 각 단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411~S481)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프로세스(S300)에서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을 이용한 호 송신 이벤트를 감지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11)를 수행한다. 이때, 모니터링 프로세스(S300)에서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을 이용한 호 송신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 송신 이벤트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호를 강제로 차단시킨다(단계(S421)). 이때, 상기 호가 아직 송신되기 이전 상태이면 상기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키고, 상기 호가 이미 송신된 상태이면 상기 송신된 호를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터럽트 프로세스가 강제로 종료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단계(S421)가 수행됨에 따라 도 7c와 같은 화면이 일시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도 7b 및 도 7c는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화면의 실시예이다.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을 이용한 호가 강제로 차단된 후, 단계(S431)에서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이 상기 임시 저장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한다. 호의 송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망 또는 음성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을 이용하여 호를 송신하는 단계(S431)와 수신자와의 호 연결에 성공하는 단계(S451) 사이의 기간(P41) 동안 사용자 기기의 화면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41)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단계(S441)에서 상기 정보의 출력은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단계(S421) 및 단계(S431)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S451)에서 수신자와의 호 연결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호 연결이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호가 연결된 시점부터 수신자에 대한 호가 종료되는 단계(S471) 사이의 기간(P42) 동안, 수신자와의 통화 기능이 제공된다(단계(S461)). 이때, 상기 통화 기능이 제공됨과 동시에 사용자 기기의 화면에 상기 정보가 계속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수신자와의 호 연결에 실패한 경우에는 수신자에 대한 호가 종료되는 단계(S471)가 수행된다. 예컨대, 수신자와의 호 연결에 실패하여 수행된 호의 종료는 사용자가 호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종료버튼을 누르는 행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자에 대한 호가 종료된 후에도, 사용자 기기의 화면에 미리 결정된 기간(P43) 동안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단계(S481)). 이때, 단계(S481)에서 상기 정보의 출력은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사용자 기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정보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1,2 정보와 같이, 예컨대, 광고 콘텐츠, 인터넷 링크, 웹페이지에 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일 수 있으며, 시각 또는 청각 또는 촉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단계(S441), 단계(S461), 및 단계(S481)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정보는, 모두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ex: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미리 결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는 데이터망을 통해 전송되거나 음성망을 통해 전송된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정보는 시각 또는 청각 정보이며, 광고, 인터넷링크, 또는 웹페이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정보가 인터넷링크인 경우, 상기 인터넷링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인터넷링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은, 상기 송신된 호의 수락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호의 송신시점과 상기 호의 수락시점을 포함하는 연속된 시구간을 포함하여 출력된다. 또한,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화방법은, 상기 송신된 호의 종료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호의 종료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해 전화하기 위해 필요한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통화시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최초 활성화시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며, 음성통신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호가 아직 발신되기 이전이면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하는 단계, 또는 상기 호가 이미 발신된 경우라면 상기 발신된 호를 종료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되어 있던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외부의 서버에게 상기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코드를 저장부 및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미리 결정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코드를 저장부 및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에,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미리 결정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감시하고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다른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개발자들이 만들어서 제공한 또 다른 종류의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4)

  1. 사용자 기기의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차단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호를 송신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한 것인,
    통화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정보는 광고, 링크, 웹페이지에 관한 정보, 또는 쇼핑몰 로그인 입력정보인, 통화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정보가 상기 링크인 경우, 상기 링크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링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화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호의 종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호의 종료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한 것인,
    통화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되어 있는, 통화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통화시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통화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최초 활성화시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통화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음성통신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통화방법.
  10.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되어 있던 것인, 통화방법.
  11.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로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차단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사용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한 것인,
    사용자 기기.
  13.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기기로 하여금,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차단된 상기 제1 수신자에 대한 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신자에게 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데이터망을 통해 임의의 시점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저장한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30081283A 2013-07-11 2013-07-1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152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283A KR101528352B1 (ko) 2013-07-11 2013-07-1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283A KR101528352B1 (ko) 2013-07-11 2013-07-1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420A KR20150007420A (ko) 2015-01-21
KR101528352B1 true KR101528352B1 (ko) 2015-06-11

Family

ID=5257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283A KR101528352B1 (ko) 2013-07-11 2013-07-11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3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317A (ko) * 2011-04-26 2013-06-26 구교필 송수신 단말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317A (ko) * 2011-04-26 2013-06-26 구교필 송수신 단말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420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3575B (zh) 改进的向移动电信服务提供商的注册
KR101209951B1 (ko)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별 연계 작업 사전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5814591A (zh) 一种验证信息的传输方法及终端
KR101410377B1 (ko) 통화 시도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785292A (zh) 在漫游网络环境中提供数据服务和对其收费
KR101574959B1 (ko)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로밍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4135556A (zh) 基于移动终端的通话方法及装置
CN104221408A (zh) 利用智能手机防止误用滥用紧急呼叫的系统及方法
CN111222861B (zh) 一种欠费后的充值方法、装置及计算设备
KR102170178B1 (ko)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CN103402186A (zh) 一种来电转接方法及通讯终端
CN108833585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1005509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른 과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530232B (zh) 一种账号登录方法和装置
CN104702701A (zh) 一种数据分享方法及装置
CN111724233B (zh) 车辆订单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528352B1 (ko)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CN106528283B (zh) 程序恢复方法及装置
KR101203152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30124142A (ko)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실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495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396415B (zh) 双卡智能终端的通信方法及终端
US8938056B2 (en) Terminal equipment for providing an additional call processing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51695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단말 장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3453151B (zh) 短信发送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