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359B1 -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 Google Patents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359B1
KR101527359B1 KR1020140017093A KR20140017093A KR101527359B1 KR 101527359 B1 KR101527359 B1 KR 101527359B1 KR 1020140017093 A KR1020140017093 A KR 1020140017093A KR 20140017093 A KR20140017093 A KR 20140017093A KR 101527359 B1 KR101527359 B1 KR 10152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sub
link
sub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슬기
Original Assignee
정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슬기 filed Critical 정슬기
Priority to KR102014001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3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3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ing and sitting desk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anding and sitting desk capable of being used while freely converting a standing type and a sitting type with on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ing and sitting desk comprises: a main upper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support part to support upward the main upper plate; a sub upper plate coupled to be independently and vertically lifted with respect to the main upper plate; and a lift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upper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b upper plate to vertically lift the sub upper plate with respect to the main upper plate.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sub upper plate is inserted when the sub upper plate is lifted down is formed on the main upper plate to be opene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upper plate has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when the sub upper plate is lifted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upper plate is arrang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when the sub upper plate is lifted up.

Description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Standing and sitting table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본 발명은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책상으로 입식과 좌식을 자유롭게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up type and a stand-type shared de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type and desk-type desk which can be freely converted into a stand-

일반적으로 입식 책상은 현재 여러 분야의 다양한 직업군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사무용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wardrobe is currently used in various occupational groups in various fields, and it is widely used in offices as well as at home.

서서 공부하거나 작업하는 것은 허리에 부담을 최소로 줄일 수 있어 요통이 있거나 허리 질환이 있는 경우 가장 권장되는 자세이며,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Standing or studying is the most recommended posture if you have back pain or back problems because i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back to a minimum and it also helps to improve your concentration.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입식책상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한다. Despite these advantages, stand-up desks are generally not widely used.

그것은 일반적인 작업환경이 좌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입식책상 자체가 갖고 있는 몇 가지 상충되는 특성에 기인한다고 본다.It is because the general working environment consists of the left-handed structure, but it is attributed to some conflicting characteristics of the standing-in desk itself.

즉, 입식 책상은 작업자가 서서 사용하는 구조적 특성상 책상의 다리가 앉아서 사용하는 좌식 책상에 비해 길다. In other words, the standing table is longer than the sitting table used by the legs of the desk becaus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used by the workers.

그러한 입식 책상에서 장시간 일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항상 서 있어야 하고 이로 인한 피로 누적을 생각해야 한다.In order to work long hours on such a table, the worker must always stand and think about the fatigue accumulation.

또한, 입식책상의 높이에 맞춰진 다리가 긴 입식의자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주변 구조물(예, 일반 책상)보다 너무 높고, 또한 입식책상의 장점인 서서 일함으로 집중력을 높이고, 허리 부담을 줄인다는 취지에도 부합되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the legs with long legs aligned to the height of the standing table are too taller than the surrounding structures (eg, a normal desk) to perform their independent functions, and they also increase their concentration by working as standstill, It does not meet the intention.

또한 보관하는 물품이 많은 작업장에서는 입식의자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In addition, in a workshop where many articles to be stored are store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eparate space for storing the standing chairs.

결국, 좌식 책상 및 좌식 의자를 기본으로 하되 입식 책상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책상, 즉, 입식좌식 공용책상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a desk capable of utilizing a dining table function, that is, a dining table, based on a left-handed desk and a left-handed chair is further demand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73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773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1개의 책상으로 좌식과 입식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k and a sitting console which can use both a sitting table and a standing t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상면과 하면이 구비된 메인상판과; 상기 메인상판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서브상판과;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을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상판에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nd and a dining table having a main upper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upper plate in an upward direction; A sub top plate independently vertically coupled to the main top plat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n elevat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upper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b top plate to vertically elevate the sub top plate with respect to the main top plate,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have the same height when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when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is lifted, And the upper surface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상기 서브상판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 중 2개 이상의 측면이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과 대면하도록 한다.And 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face an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in a state where the sub top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이때, 상기 서브상판은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서브상판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4개의 내측면 중 1개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상판의 4개의 측면 중 3개는 상기 안착홈의 3개의 내측면과 대면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나머지 1개의 측면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b top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and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n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b top plate, wherein one of the four inner side surfaces is horizontally opened to form an opening, Three of the four side faces of the sub top plate face three inner side faces of the seating groove and the other one side face of the sub top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portion.

상기 메인상판에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를 막는 수납부가 형성되되,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main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for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the receiving part is disposed below the sub top plate.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는 커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And a cover plat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 top plate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이때, 상기 커버판은 상기 메인상판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late is drawn out from the main upper plate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groove.

그리고, 상기 커버판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커버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과 그 높이가 동일하도록 한다.When the cover plate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is made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상기 서브상판은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면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can be varied in a state where the sub top plate is raised.

이러한 상기 서브상판은, 상기 승강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회전 결합 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날개판으로 이루어진다.The sub top plate includes a lift plat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lift portion is coupled; And a wing plate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to be rotatable or slidably pullable to vary an area of the sub top plate.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메인상판과 서브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의 높낮이가 가변된다.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rail member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 pair of second rail members coupled to side surfaces of the sub top plate; And a pair of link members slidable along the first rail member and the second rail member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or lowered, the height of the link members being adjustable, wherein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And the height of the sub top plate is vari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nk member.

상기 제1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안착홈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X'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된다.Wherein the first rail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groove having a long ho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econd rail member is formed with a long second guide groove having a long ho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first link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or the second rail member; And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or the first rail member and the other end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groove, And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an " X " shape.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restrained in such a manner that their central portions are mutually rotatable.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제2링크의 일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최대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은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제2링크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상판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Wherein the first guide groove is located forward of one end of the second link and the second guide groove is locat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insert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to prevent the sub top plate from descending.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링크의 일단 또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may have hook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grooves and the second guide grooves, and one end of the first link 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ay be hooked by the hooks when the sub- So that the member and the sub top plate ar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이때, 상기 승강부는, 한 쌍의 제1링크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거나, 한 쌍의 제2링크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걸림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축은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한 쌍의 상기 제2가이드홈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걸림축은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의 하강을 저지시킬 수도 있다.The elev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shaft connecting one ends of the pair of first links or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second links with each other, Or the pair of second guide grooves.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or lowered, the latch shaft may be caught by the engaging jaws to prevent the link member and the sub top plate from descending.

그리고, 상기 제1링크 또는 제2링크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link or the second link may be varia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hel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개의 책상으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좌식과 입식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좌식책상(메인상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브상판을 상승시켜 입식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One desk can be used for both sitting and standing depending on the user's intention.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as a standing table by raising the sub top plate while keeping the left desk (main top plate) inta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판에 의해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태의 사시도 및 측단면구조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서브상판이 전개되어 면적이 증가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승강부에 의해 서브상판이 승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걸림축을 추가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링크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sectional structural view in the state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ub-
Fig. 5 is a side sectional structural view in the state shown in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sectional structur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late in the state shown in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b-upper plate is expanded to increase the area in the state shown in FIG. 4,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ub-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a sub top plate by a lifting unit in a de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length of a link member is variable in a de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판에 의해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태의 사시도 및 측단면구조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서브상판이 전개되어 면적이 증가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sectional structural view in the state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b top plate is lifted,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in the state shown in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upper plate is expanded and the area is increased in the state shown in FIG. 4,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late.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메인상판(10)과, 지지부(20)와, 서브상판(30)과, 승강부(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7, the standing and stan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upper plate 10, a supporting portion 20, a sub top plate 30, a lift portion 40, and the like .

상기 메인상판(10)은 상면과 하면이 구비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main upper plate 10 has a flat plate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상기 지지부(20)는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상판(10)을 지면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지지한다.The supporting portion 20 is composed of three or more, preferably four, and supports the main upper plate 10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서브상판(30)은 상기 메인상판(1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상기 승강부(40)에 결합된다.The sub top plate 30 is coupled to the elevating portion 4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independently of the main top plate 10.

상기 승강부(40)는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30)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30)을 상기 메인상판(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One end of the elevating part 40 is coupled to the main upper plate 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b top plate 30 so that the sub top plate 30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top plate 10 .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에는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30)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11)이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O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10, a seating groove 11 into which the sub top plate 30 is inserted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owered is formed upward.

상기 안착홈(1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eating groove 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안착홈(11)에는 상기 승강부(40)에 의해 하강된 상기 서브상판(30)이 삽입 배치된다.The sub top plate (30) lowered by the elevat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1).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and the top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10 have the same height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ower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10. [

이를 통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이 동일한 높낮이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상판(10) 및 서브상판(30)의 상면에 책 등을 단차없이 올려놓고 사용자가 의자 등에 앉아 좌식 상태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1 and 3,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and the top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10 have the same height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owered,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without a step and the user can sit on the chair and use the desk in a sitting state.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40)에 의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책 등을 상승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에 올려놓고 입식 상태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4 and 5,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10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ifted by the lifting unit 40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book or the lik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sed upper plate 30 and use the desk in a standing state.

상기 서브상판(30)이 상기 안착홈(11)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 중 2개 이상의 측면이 상기 안착홈(11)의 내측면과 대면하도록 한다.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face the inside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1 in a state where the sub top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상판(30)은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은 상기 서브상판(30)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 top plate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seating grooves 11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b top plate 30.

그리고, 상기 안착홈(11)은 4개의 내측면 중 1개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4개의 측면 중 3개는 상기 안착홈(11)의 3개의 내측면과 대면하며, 상기 서브상판(30)의 나머지 1개의 측면은 상기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One of the four inner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groove 11 is opened horizontally to form an opening 12. Three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sub top plate 30 are connected to the seating groove 11, And the other on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 [

이러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안착홈(11)은 상기 서브상판(30)의 모서리부분에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부(12)를 2곳이 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 중 2개가 상기 안착홈(11)의 2개의 내측면과 대면하게 된다.When the seating groove 11 is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sub top plate 30, the opening portion 12 is formed in two places,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Two facing the two inner surfaces of the seating groove 11. [

상기 안착홈(11)은 하부가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수납부(14)에 의해 막혀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seating groove 11 may be opened down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but is preferably closed by the receiving portion 14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수납부(14)는 상기 메인상판(10)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1)의 하부를 막고,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수납부(14)는 상기 서브상판(3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housing part 1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top plate 10 to close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11.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owered, .

이러한 상기 수납부(14)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수납부(14)에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ifted up, the storage unit 14 can be used to place objects or the like on the storage unit 14.

상기 서브상판(30)을 승강시키는 상기 승강부(40)는, 제1레일부재(41)와, 제2레일부재(43)와, 링크부재(4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levating portion 4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ub top plate 30 includes a first rail member 41, a second rail member 43, a link member 46, and the like.

상기 제1레일부재(41)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홈(1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The first rail member 41 is formed in a long bar shape and is configured as a pair, and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1. [

상기 제2레일부재(43)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에 결합된다.The second rail member 43 is formed in a long bar shape and is configured as a pair, and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상기 제1레일부재(41)에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홈(42)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레일부재(43)에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홈(44)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rail member 41 is formed with a long first guide groove 4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econd rail member 43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groove 44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s shown in FIG.

상기 링크부재(46)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서브상판(30)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승강시 상기 제1레일부재(41)와 제2레일부재(43)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된다.The link members 46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b top plate 30 and are slidable along the first and second rail members 41 and 43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ifted or lowered. The height is adjusted.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46)는, 제1링크(47)와 제2링크(48)로 이루어진다.The link member 46 includes a first link 47 and a second link 48.

상기 제1링크(47)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end of the first link 47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4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47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or the second rail member 43 As shown in Fig.

상기 제2링크(48)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안착홈(11)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레일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link 48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has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1 or the first rail member 4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groove 44 As shown in Fig.

위와 같은 상기 제1링크(47)와 제2링크(48)는 중심부가 'X'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링크(47)와 제2링크(48)는 중심부가 가위처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The first link 47 and the second link 48 are arrang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s thereof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the shape of an 'X', and the first link 47 and the second link 48 are arranged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y are rotatably restrained.

상기 제1가이드홈(42)은 상기 제2링크(48)의 일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이드홈(44)은 상기 제1링크(47)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The first guide groove 42 is located forward of one end of the second link 48 and the second guide groove 44 is locat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47.

위와 같은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메인상판(10)과 서브상판(30)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홈(11)에 수납되고, 상기 링크부재(46)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의 높낮이가 가변되게 된다.The lifting unit 4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11 between the main upper plate 10 and the sub upper plate 30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owered, The height of the sub top plate 30 is varied by adjusting the height.

그리고, 상기 승강부(40)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30)이 임의로 하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상판(30)의 최대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상기 제2가이드홈(44)에 삽입된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sub top plate 30 from being lowered arbitrarily in a state where the sub top plate 30 is raised by the elevating portion 40, And the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top plate 30 is locat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8 insert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44. [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은 상기 서브상판(30)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또는 책 등을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에 올려 놓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A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top plate 30 may be generated by the weight of the sub top plate 30 itself or a book may be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Or may be generated by an external force F.

위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이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상기 제2가이드홈(44)에 삽입된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47)의 타단에는 상승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4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은 전방에 위치한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 및 마찰력 등 때문에 상기 제2가이드홈(4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The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upper plate 30 due to its own weight or an external force in the state where the sub top plate 30 is lifted up to the maximum is lower tha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link 48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44 The one end of the first link 47 is not moved forwar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42 due to the upward force acting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47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8 is not moved forwar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44 because of a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upper side plate 30 located at the front and frictional force.

따라서, 상기 서브상판(30)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별도의 스토퍼 구성없이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으로 상기 서브상판(30)이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ub top plate 30 can be prevented from descending arbitrarily at a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top plate 30 without a separate stopper structure in a maximally raised state.

이때, 상기 서브상판(30)의 전방에 책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더욱 전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상기 승강부(40)가 하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a book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front of the sub top plate 30, the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top plate 30 is positioned further forward, so that the elevating portion 40 can be prevented from descending .

한편, 본 발명의 책상은,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의 하부에서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는 커버판(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13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1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 top plate 30 when the sub top plate 30 rises.

상기 커버판(13)은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구조로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The cover plate 13 can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1 in various positions and various structure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판(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상판(1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어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plate 13 is slidably drawn out from the main upper plate 1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1, as shown in FIG.

위와 같은 상기 커버판(13)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승된 상태에서도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과 상기 커버판(13)의 상면의 높낮이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3 can be substantially equal in height even when the sub upper plate 30 is raised by the cover plate 13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서브상판(30)은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면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can be varied in an elevated state.

이를 위해, 상기 서브상판(30)은 상기 승강부(40)의 타단이 결합되는 승강판(31)과, 상기 승강판(31)에 회전 결합 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30)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날개판(32)으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upper plate 30 includes a lifting plate 31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unit 40 is coupled and a lower plate 30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31 so as to be rotatable or slidable, And a wing plate 32 for varying the area of the wing plate 32.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판(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31)의 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날개판(32)이 상기 승강판(3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날개판(32)이 회전되어 전개됨으로써 상기 서브상판(30)의 면적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7, the wing plate 32 may be sli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31. However, when the wing plate 32 is rot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31, So that the area of the sub top plate 30 can be varied by rotating the blade plate 32 to rotate.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책상으로 좌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기 안착홈(11)에 안착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desires to use the tabletop as a left-hand style, the sub top plate 3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 as shown in FIGS.

이때,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일반적인 책상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upper plate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10 have the same height, they can be used as a general desk.

한편 사용자가 책상을 입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즉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책상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서브상판(3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Meanwhile, 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desk in a standing position, that is, when the user wishes to use the desk while he is at home, the user lifts up the sub top plate 30 upward.

그러면, 상기 서브상판(30)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서브상판(30)에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46)의 타단도 상승하게 된다.As a result, the other upper end of the link member 46 coupled to the sub upper plate 30 is raised.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4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홈(4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링크부재(46)는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4 and 5, one end of the first link 47 is moved rearwar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4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8 is moved rearwar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42, 2 guide groove 44, the height of the link member 46 is increased.

이러한 상태 즉 상기 서브상판(30)이 최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은 상기 서브상판(30)의 자체무게 또는 상기 서브상판(30)에 올려진 책 무게 등에 의해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 및 제2링크(48)의 일단은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30 is maximally raised, the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top plate 30 is adjusted by the self weight of the sub top plate 30 or the weight of the book One end of the first link 47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48 are not moved forward because they are locat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8.

따라서, 상기 서브상판(30)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서브상판(30)에 놓인 책을 서서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ub top plate 30 can be maintained in a raised state, and the user can stand the book placed on the sub top plate 30.

위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승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상판(10)에도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고, 1개의 책상을 이용하여 동시에 입식과 좌식을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upper plate 30 is elevated, the user can place objects or the like on the main upper plate 10 and can utilize the standing type and the sitting type at the same time using one desk.

또한, 상기 수납부(14)에는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13)이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판(13)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의 높이를 거의 동일하게 맞추어 일반 좌식책상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6, when the cover plate 13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1, the cover plate 13 may be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4,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10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upper plate 1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판(32)가 인출되어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 면적을 증가시켜 큰 책 또는 물건 등을 상기 서브상판(30)에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7, the wing plate 32 is drawn out to increase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sub top plate 30 so that a large book or object can be easily placed on the sub top plate 30 .

위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책상을 이용하여, 좌식용도와 입식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상기 서브상판(30)이 메인상판(1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승강되기 때문에 좌식과 입식을 동시에 활용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itting and standing applications by using one desk. Further, since the auxiliary upper plate 30 is independently lifted and lowered from the main upper plate 10, it is possible to utilize both the left type and the standing type at the same tim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승강부에 의해 서브상판이 승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구조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걸림축을 추가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elevating and lowering a sub top plate in a de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atching axis is added. FIG.

제2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상판(10)과, 지지부(20)와, 서브상판(30)과, 승강부(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8 to 9,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main upper plate 10, a support portion 20, a sub top plate 30, a lift portion 40, and the like.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승강부(4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elevation part 40 and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승강부(40)는, 제1레일부재(41)과, 제2레일부재(43)과, 링크부재(46)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 elevating portion 40 is composed of a first rail member 41, a second rail member 43 and a link member 46, which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제1레일부재(41)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42)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43)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44)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림턱(45)이 형성되어 있다.A locking protrusion 45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groove 42 formed in the first rail member 41 or the second guide groove 44 formed in the second rail member 43.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홈(42) 및 제2가이드홈(44) 모두에 상기 걸림턱(45)이 형성되도록 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engagement protrusions 45 are formed in both the first guide groove 4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44.

상기 서브상판(30)의 승강시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 및/또는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45)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46) 및 서브상판(30)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One end of the first link 47 and / 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8 are hooked by the engaging protrusions 45 when the sub top plate 30 is lifted up and the link member 46 and the sub top plate 30 ) From falling.

이때에는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In this cas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top plate 30 need not be locat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8. [

제2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걸림턱(45)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sub top plate 30 can be variously adjust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s 45. [

한편, 상기 승강부(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거나, 한 쌍의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걸림축(4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elevating unit 40 may connect one end of the pair of first links 47 or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second links 48 to each other And may further comprise a latching shaft 49.

상기 걸림축(49)은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42) 또는 한 쌍의 상기 제2가이드홈(44)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승강시 상기 걸림축(49)은 걸림턱(45)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46) 및 서브상판(30)의 하강을 저지시킨다.The latching shaft 49 is disposed across a pair of the first guide grooves 42 or the pair of second guide grooves 44. When the auxiliary top plate 30 is lifted or lowered, Is caught by the engaging jaw 45 to prevent the link member 46 and the sub top plate 30 from descending.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ther detail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링크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FIG. 11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length of a link member varies in a des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상판(10)과, 지지부(20)와, 서브상판(30)과, 승강부(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1,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main upper plate 10, a support portion 20, a sub top plate 30, a lift portion 40, and the like.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승강부(4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elevation part 40 and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승강부(40)는, 제1레일부재(41)과, 제2레일부재(43)과, 링크부재(46)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 elevating portion 40 is composed of a first rail member 41, a second rail member 43 and a link member 46, which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링크부재(46)를 구성하는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link 47 and / or the second link 48 constituting the link member 46 may be variable.

즉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가 다수개의 관으로 연결되어 인출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상기 서브상판(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link 47 and / or the second link 4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pipes, and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47 and / or the second link 48 is changed by drawing, Can be adjusted.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승된 상기 서브상판(30)의 각도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서브상판(30)에 놓인 책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서브상판(30)에 놓인 책을 보다 잘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link 47 and / or the second link 48 is adjusted so that the angle of the raised upper plate 30 is inclined forward so that the book placed on the upper plate 30 is inclined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book placed on the sub top plate 30 more clearly.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가 다수개의 관으로 연결되고 볼 및 홈을 통해 그 길이를 조절 및 고정시키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공지된 다양한 구조 및 방법을 통해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link 47 and / or the second link 48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ipes 47 and / or the second link 48 in such a manner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47 and /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47 and / or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48 may be varied through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known in the art. have.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홈(42) 및 제2가이드홈(44)에는 제2실시예의 걸림턱(45)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engagement protrusions 45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first guide groove 4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44.

그 외 다른 사항은 상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ther detail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인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메인상판, 11 : 안착홈, 12 : 개방부, 13 : 커버판, 14 : 수납부,
20 : 지지부,
30 : 서브상판, 31 : 승강판, 32 : 날개판,
40 : 승강부, 41 : 제1레일부재, 42 : 제1가이드홈, 43 : 제2레일부재, 44 : 제2가이드홈, 45 : 걸림턱, 46 : 링크부재, 47 : 제1링크, 48 : 제2링크, 49 : 걸림축,
10: main upper plate, 11: seating groove, 12: open part, 13: cover plate, 14:
20: support,
30: a sub top plate, 31: a steel plate, 32: a blade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for a railroad car which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portion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portion, : Second link, 49: latching axis,

Claims (15)

상면과 하면이 구비된 메인상판과; 상기 메인상판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서브상판과;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을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상판에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메인상판과 서브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의 높낮이가 가변되며,
상기 제1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안착홈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X'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제2링크의 일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최대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은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제2링크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상판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A main upper plate provided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upper plate in an upward direction; A sub top plate independently vertically coupled to the main top plat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lift part coupled to the main upper plate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sub top plate at the other end to elevate the sub top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top plate,
Wherein the main upper plate has an upwardly open seating groove in which the sub top plate is inserted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have the same height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and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pair of first rail members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 pair of second rail members coupled to side surfaces of the sub top plate; And a pair of link members slidable along the first rail member and the second rail member to adjust the height thereof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and lowered,
Wherein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the elevat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between the main top plate and the sub top plate,
The height of the sub top plate is vari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nk member,
Wherein the first rail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groove having a long hole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groove having a long hole shape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second rail member,
The link member
A first link having one end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or the second rail member; A first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or the first rail member and the other end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groove,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mutually crossed in an 'X'
Wherein the first guide groove is located forward of one end of the second link and the second guide groove is locat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Wherein a center of gravity acting on the sub top plate at a maximum rise of the sub top plate is located forward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insert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to prevent the sub top plate from being lowered, And a sitting table.
상면과 하면이 구비된 메인상판과; 상기 메인상판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서브상판과;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을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상판에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메인상판과 서브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의 높낮이가 가변되며,
상기 제1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안착홈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X'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며,
상기 제1링크 또는 제2링크는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A main upper plate provided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upper plate in an upward direction; A sub top plate independently vertically coupled to the main top plat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lift part coupled to the main upper plate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sub top plate at the other end to elevate the sub top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top plate,
Wherein the main upper plate has an upwardly open seating groove in which the sub top plate is inserted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have the same height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and the top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top plate,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pair of first rail members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 pair of second rail members coupled to side surfaces of the sub top plate; And a pair of link members slidable along the first rail member and the second rail member to adjust the height thereof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and lowered,
Wherein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the elevat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between the main top plate and the sub top plate,
The height of the sub top plate is vari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nk member,
Wherein the first rail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groove having a long hole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groove having a long hole shape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second rail member,
The link member
A first link having one end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b top plate or the second rail member; A first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or the first rail member and the other end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groove,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mutually crossed in an 'X'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or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is variable.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서브상판은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서브상판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4개의 내측면 중 1개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상판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의 4개의 측면 중 3개는 상기 안착홈의 3개의 내측면과 대면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나머지 1개의 측면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b top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Wherein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b top plate,
Wherein one of the four inner surfaces is horizontally opened to form an opening,
Wherein three of the four sides of the sub top plate face thre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groove in a state where the sub top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nd the other one side of the sub top plate Wherein the door is exposed to the outside.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메인상판에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를 막는 수납부가 형성되되,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for closing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Wherein when the sub top plate is lowered, the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sub top plate.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는 커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cover plat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 top plate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up.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메인상판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ver plate is drawn out from the main upper plate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서브상판은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면의 면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upper plate is variable when the auxiliary upper plate is raised.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서브상판은,
상기 승강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회전 결합 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날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of claim 7,
The sub-
A lifting plat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unit is coupled;
And a wing plate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so as to be rotatable or slidable to change an area of the sub top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restrained in such a manner that their central portions are mutually rotatable.
삭제delete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링크의 일단 또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has a latching protrusion,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link 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is hooked by the engaging jaw to prevent the link member and the sub top plate from being lowered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or lowered.
청구항13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한 쌍의 제1링크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거나, 한 쌍의 제2링크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걸림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축은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한 쌍의 상기 제2가이드홈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걸림축은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의 하강을 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levat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latching shaft interconnecting one ends of the pair of first links or inter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second links,
The holding axis is disposed across a pair of the first guide grooves or a pair of the second guide grooves,
Wherein the latching shaft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to prevent the link member and the sub top plate from descending when the sub top plate is lifted or lowered.
삭제delete
KR1020140017093A 2014-02-14 2014-02-14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KR101527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93A KR101527359B1 (en) 2014-02-14 2014-02-14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93A KR101527359B1 (en) 2014-02-14 2014-02-14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359B1 true KR101527359B1 (en) 2015-06-09

Family

ID=5350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093A KR101527359B1 (en) 2014-02-14 2014-02-14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3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2920A (en) * 2016-05-11 2016-09-07 金华职业技术学院 Folding table plate
KR101892349B1 (en) * 2016-08-04 2018-09-28 윤석헌 Folding T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010A (en) * 1994-01-24 1995-05-16 Woo; Jong R. Table attached with refrigerator
JPH0919324A (en) * 1995-07-05 1997-01-21 Chitose Kk Side chest for desk
KR19980032204U (en) * 1998-05-28 1998-08-17 이대진 Desk with monitor room of computer
KR20120112956A (en) * 2011-04-04 2012-10-12 윤준우 Use is convenient desk for sch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010A (en) * 1994-01-24 1995-05-16 Woo; Jong R. Table attached with refrigerator
JPH0919324A (en) * 1995-07-05 1997-01-21 Chitose Kk Side chest for desk
KR19980032204U (en) * 1998-05-28 1998-08-17 이대진 Desk with monitor room of computer
KR20120112956A (en) * 2011-04-04 2012-10-12 윤준우 Use is convenient desk for sch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2920A (en) * 2016-05-11 2016-09-07 金华职业技术学院 Folding table plate
KR101892349B1 (en) * 2016-08-04 2018-09-28 윤석헌 Folding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0699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KR101743983B1 (en)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CN107257640B (en) Height-adjustable table
US20060230992A1 (en) Workstation with adjustable height work surface
US8424983B1 (en)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CN107666842A (en) Height adjustable regulating device with hiding hoisting mechanism
CN105124920A (en) Lifting workbench
US20160037909A1 (en) Height Adjustable Work Surface
US8556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torage space
US20090179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torage space
US11337516B1 (en) Height adjustable workstation
KR101527359B1 (en)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JP2013530002A (en) seat
KR102161940B1 (en) Desk for storage of monitor
CN110353435A (en) A kind of modular lower table bedroom bed of going to bed
KR101748414B1 (en) Height adjustable storage funiture using an empty space
AU2017100496A4 (en) An Adjustable Desk
US20130152833A1 (en) Adjustable desk
KR101932430B1 (en) Multi-functional purpose Furniture for standing work
JP3512391B2 (en) Multipurpose desk
US4760801A (en) Outdoor cooking table
CN205547932U (en) Liftable tilting type drawing desk
CN208821856U (en) Lifting device and tables and chairs
KR102121490B1 (en) Height adjustable desk
JP5047351B2 (en) Fall prevention furniture and fall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