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312B1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들 사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들 사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312B1
KR101527312B1 KR1020137029765A KR20137029765A KR101527312B1 KR 101527312 B1 KR101527312 B1 KR 101527312B1 KR 1020137029765 A KR1020137029765 A KR 1020137029765A KR 20137029765 A KR20137029765 A KR 20137029765A KR 101527312 B1 KR101527312 B1 KR 10152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andwidth
subframe
bandwidth configuration
channel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037A (ko
Inventor
로버트 티. 러브
아짓 님발커
라비키란 노리
케니스 에이. 스튜어트
라비 쿠치브호틀라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0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스케쥴링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102)와 네트워크 장비(110) 사이에서 서브프레임(426)이 전달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을 가진다. 전송 대역폭 구성은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고, 여기서, 자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영역(408)으로서 구성된다. 제어 영역은 후속 서브프레임(424)을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되는 표시자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후속 서브프레임(421, 423)에 대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해 표시자를 이용한다.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은 제어 영역에서 자원 블록들의 전력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은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들 사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ADJUST THE CONTROL REGION OF A SUBFRAME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e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of a Channel in Connection with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인 출원인의 특허출원(대리인 정리번호 CS37541)과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Using Two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Schedul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인 출원인의 특허출원(대리인 정리번호 CS38542)에 관련되어 있고, 이들 양쪽 모두는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되었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는 대체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보호 대역(guard band) 또는 분리 영역(separation region)이라 알려진 주파수 분리가 비교적 작을 때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에서 동작하는 수신기의 디센싱(desensing)을 완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과 같은 3G 및 4G 원리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은 보호 대역에 의해 분리된다. 보호 대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에 배치된 수신기에 대한 이들 채널들 상의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이 수신기의 동작을 상당히 열화시키는 것을 피하는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또는 필요한 수준 아래로 감소시키도록 충분히 크도록(예를 들어, > 2x 채널 대역폭) 설계된다. 한 채널 상의 수신기는, 또 다른 채널 상의 근처의 전송기로부터의 시간 및 주파수에서의 간섭 전력이 그 간섭을 거부하는 수신기의 능력을 초과할 때 디센싱(desensing)된다. 수신기는 간섭이 수신기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레벨의 간섭을 거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제어 신호와 패킷 전송을 적절하게 디코딩하는 능력을 가진다.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에서, 무선 캐리어는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이용될 수 있는 추가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액세스한다.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 중 어느 하나로서 추가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이용함으로써, 보호 대역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감소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 상의 신호의 전송 동안에 간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적어도,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 상의 전송이, 전송에 이용되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에 인접하는 대응하는 채널에서 동작하는 수신기에 대해 지리적 및 RF 위치와 주파수의 관점에서 가까이 또는 근접하게, 그리고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에서, 간섭은 인접한 채널들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수신기들을 디센싱하여, 제어 채널 또는 공유된 (데이터) 채널 상에서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이 어렵게 될 수 있다. 기존의 할당된 전송 대역폭 구성과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에 대한 채널들로서 이용되는 추가의 구성들의 더 큰 스펙트럼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디센싱 문제를 야기하는 간섭은 감소될 필요가 있다.
별개의 도면들에 걸쳐 유사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추가로 예시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원리와 이점들 모두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이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통신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디센싱(desensing)이 발생할 수 있는 트랜시버의 블록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고 디센싱이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통신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디센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디센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2개의 상이한 전송 대역폭 구성으로 전송되는 TDD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디센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디센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흐름도이다.
당업자라면, 도면들 내의 요소들은 간소화와 명료성을 위해 예시된 것이고 반드시 축척비율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 내의 요소들 중 일부의 크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향상시키도록,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이전에, 이 실시예들은, 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들 사이의 디센싱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방법 단계들과 장치 컴포넌트들의 조합에 관한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설명의 혜택을 입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한 세부사항들로 본 개시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에 관련된 특정한 세부사항들만을 도시하고 도면들 내에서 적절하다면 종래의 기호들에 의해 장치 컴포넌트들 및 방법 단계들을 나타내었다.
본 문서에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상대적 용어들은, 한 엔티티나 동작을 다른 엔티티나 동작으로부터 구분하되, 이러한 엔티티나 동작들 사이의 실제의 이러한 관계나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구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또는 기타 임의의 그 파생어들은, 비-배타적 포함(non-exclusive inclusion)을 아우르도록 의도된 것이므로,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항목, 또는 장치는 반드시 이들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항목, 또는 장치에 고유하거나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을 포함한다"에 후속되는 요소는, 추가의 제약없이, 그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항목, 또는 장치에서 추가의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종래의 프로세서와 상기 하나 이상의 종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소정의 비-프로세서 회로와 연계하여, 여기서 설명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 사이의 디센싱을 감소시키는 기능들 중 일부, 대부분, 또는 모두를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고유의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비-프로세서 회로는, 무선 수신기, 무선 전송기, 신호 드라이버, 클록 회로, 전원 회로, 및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이들 기능들은 디센싱을 감소시키는 방법의 단계들로서 해석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은, 어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도 갖지 않는 상태 머신에 의해 구현되거나, 각 기능이나 소정 기능들의 조합이 맞춤형 로직으로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2가지 접근법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위한 방법들 및 수단들이 여기서 설명된다. 또한,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아마도 상당한 노력과 가용 시간, 현재의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에 의해 동기부여된 많은 설계 선택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개시된 개념과 원리에 의해 지도받을 때, 최소한의 실험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어 및 프로그램과 IC를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캐리어(또는 채널)는 채널 대역폭(예를 들어, LTE의 경우 1.4, 3, 5, 10, 15 또는 20MHz), 및 채널 대역폭보다 작은 점유된 또는 할당가능한 채널 대역폭(MHz 단위)을 가진다. 할당가능한 채널 대역폭은 LTE에서 채널 대역폭의 90%이고, 나머지 10%는 보호 대역에 이용된다. 채널 대역폭은 또한, 시스템 대역폭이라고도 한다. 할당가능한 채널 대역폭은 또한 전송 대역폭 구성이라도 하며, LTE의 경우 자원 블록(RB)의 관점에서 주어지는 주어진 서브프레임 내의 가용 (할당가능한) 주파수 자원의 관점에서 주어진다. Rel-8 LTE에서, 전송 대역폭이 6, 15, 25, 50, 75, 또는 100 RB인 6개의 상이한 전송 대역폭 구성이 있다. 할당가능한 자원 세트는 서브세트 단위로 하나 이상의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LTE에서, 각각의 RB는 12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이용되는 주기적 전치부호(cyclic prefix) 길이에 따라 시간적으로 서브프레임의 6 또는 7개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있으며, 여기서 RB 블록 쌍(동일한 주파수를 점유하지만 상이하며 인접한 시간(심볼) 구간을 점유하는 2개의 자원 블록)은 전체 1ms 서브프레임에 걸쳐 있다. 용어 "주파수 범위(frequency span)"는 "전송 대역폭 구성"의 대역폭 또는 주파수 넓이(extent)와 동등하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송 대역폭 구성"의 대역폭은 전송 대역폭이라 불릴 수 있다.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스케쥴링 할당(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라고도 함)을 통해 전송 대역폭 구성 자원으로부터 취해진 할당된 자원 세트의 주파수 넓이(또는 대역폭)는 "활성 전송 대역폭"이라고 한다.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감소된 보호 대역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및 디센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브프레임에서 상이한 전송 대역폭 구성을 스케쥴링하고 수신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수많은 방법들이 개발되며, 여기서 각 전송 대역폭 구성은 주파수에 있어서 그 채널에 대한 할당가능한 자원을 아우르는 별개의 대역폭(전송 대역폭이라 함)을 가진다. 또한, 서브프레임 내의 상이한 전송 대역폭 구성들에 대해 스케쥴링된 차이들을 결정하거나 검출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들이 개발된다. 스케쥴링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서브프레임이 전달되고, 서브프레임은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을 가진다. 다운링크에 관한 전송 대역폭 구성은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 OFDM 심볼들과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OFDM 심볼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자원 블록으로부터 형성된 제어 영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은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고, 자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영역으로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 영역의 제어 채널은 제어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로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영역의 제어 채널은, 제어 영역 내의 소정 개수의 자원 요소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그룹으로 구성된다. 제어 영역은 후속 서브프레임을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되는 표시자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후속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표시자를 이용한다. 표시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주파수 범위라고도 하는 전송 대역폭은, 할당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들을 후속 서브프레임에 포함한다. 후속 서브프레임에서의 통신은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 대한 표시자로부터의 전송 대역폭을 이용한다.
실시예에서, 이 방법의 통신 단계는, 사용자 장비가 제어 영역에서 표시자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표시자에 의해 설정된 전송 대역폭을 갖는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갖는 후속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시자는, 후속 서브프레임이 후속 서브프레임 내의 하나 이상의 자원 요소(서브캐리어) 또는 한 세트의 자원 요소 그룹을 뮤팅(mute)함으로써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할당가능한 자원 요소 그룹 및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원 요소 그룹들의 뮤팅된 개수는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 발견되는 업링크 자원 할당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제어 영역은 서브프레임 내의 업링크 자원 할당을 이용하여 한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를 결정하고 제어 채널 요소들에 대한 제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 범위를 검출하는 방법도 역시 개시된다. 이 방법에서, 서브프레임이 수신되고, 이 서브프레임은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무선 통신의 일부이다. 제어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형성하는 제1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들은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제1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모니터링된다. 제어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형성하는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들은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제2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모니터링된다. 제어 영역 대역폭은 모니터링된 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들 중 하나에서 검출된다. 실시예에서, 제1 또는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들에 기초한 제어 채널(예를 들어, LTE에서 PDCCH(Packet Downlink Control Channel))이 검출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및 그에 따라 그 전송 대역폭)은 모니터링된 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들 중 하나에서 검출된다. 서브프레임 전송 대역폭은, 제1 세트의 제어 후보 또는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후보 중 하나의 검출된 제어 채널에 이용된 전송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의 시스템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세트의 PDCCH 후보(즉, 사용자 장비에 알려진 제어 영역 내의 복수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제어 자원으로서, 각각의 세트는 PDC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해 서빙 셀에 의해 이용되거나 이용되지 않을 수 있음)가 제1 제어 영역 대역폭을 가정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되고, 제2 세트의 PDCCH 후보는 제2 제어 영역 대역폭을 가정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된다. 제1 또는 제2 세트의 PDCCH 후보들 내의 PDCCH가 검출된다(즉, 성공적으로 디코딩된다). PDCCH가 검출되는 PDCCH 후보 세트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내의 시스템 대역폭이 결정된다. 실시예에서, PDCCH가 검출되는 PDCCH 후보 세트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영역의 시스템 대역폭이 결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DCCH가 검출되는 PDCCH 후보 세트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이 결정된다.
디센싱을 피하도록 스케쥴링하는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장비가 서브프레임의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장비의 수신기에서 간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간섭은 서브프레임의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 기초한 통신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 기초한 통신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제어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간섭이 후속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것이라는 결정이 서브프레임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방법은, 서브프레임의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제어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센싱을 피하도록 스케쥴링하는 역시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1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무선 통신의 일부로서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제어 채널 또는 제어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제어 채널 또는 제어 영역과 서브프레임은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을 가지고, 제어 채널 또는 제어 영역은 제2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제2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들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그랜트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2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 전송되는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제2 제어 채널 또는 제어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서브프레임의 제2 제어 채널 또는 제어 영역은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의 그랜트에 따라 구성되는 제2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제1 주파수 범위의 제어 영역 내의 표시자는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데 이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제1 주파수 범위의 제어 채널 또는 제어 영역 내의 표시자는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의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선택을 포함한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데 이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2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제2 제어 채널은 제1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들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제2 스케쥴링 그랜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제3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제3 제어 채널은 스케쥴링 그랜트에 따라 구성된다.
역시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에서, 메시지가 수신되고, 여기서 메시지는 서브프레임들의 시퀀스에 대한 제어 영역 대역폭 패턴을 나타낸다. 그 다음, 수신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들의 시퀀스에서 제어 시그널링이 수신되고,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들의 제어 영역 대역폭들은 상이하다.
도 1에서,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시간 및/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 위해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산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베이스 기반구조 유닛(base infrastructure unit)과 같은 하나 이상의 고정된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비(110)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터미널, 베이스, 기지국, Node-B, eNode-B, 중계 노드, 기반구조 노드, 또는 본 분야에 사용되는 기타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 각각은 사용자 장비(102)로부터 업링크 전송(112)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신기와, 사용자 장비(102)에 다운링크 전송(114)을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송기를 포함한다. 논의된 전송기 및 수신기는 또한 집합적으로 트랜시버라고 알려질 수도 있다. 베이스 유닛은 일반적으로, 공지되고 표준화된 무선 액세스 기술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베이스 유닛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어기(120)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특히 인터넷 및 공중 교환 전화망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130)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130, 14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액세스 및 코어 네트워크의 이들 및 다른 요소들은 예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제어기(120) 및 기타의 네트워크 노드(미도시)는 시스템(100)이 제어 표준 및 요건에 따라 동작하고 수행하는데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제공한다.
도 1에서,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10)은, 대응하는 서빙 영역, 예를 들어, 셀이나 셀 섹터 내에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장비 또는 원격 유닛(102)을 서빙한다. 사용자 장비는 고정된 유닛 또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 또는 원격 유닛은 또한, 가입자 유닛, 모바일, 이동국, 사용자, 단말기, 가입자 스테이션, 사용자 단말기, 릴레이, 또는 본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타의 용어로 언급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또한 하나 이상의 전송기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네트워크 장비(110)는 다운링크 채널(114) 상에서 시간 및/또는 주파수 및/또는 공간적 및/또는 코드 영역에서 원격 유닛(102)을 서빙하기 위해 다운링크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원격 유닛(102)은 업링크 채널(112) 상에서 업링크 통신 신호를 통해 베이스 유닛(110)과 직접 통신한다. 일부 경우에, 원격 유닛은 중간 릴레이 노드를 통해 간접적으로 베이스 유닛과 통신할 수도 있다.
한 구현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기술에 기반을 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포함하는 3G HSPA(High-Speed Packet Access) 프로토콜과 호환된다. 대안으로서, 무선 통신은, EUTRA 또는 Release-8(Rel-8) 3GPP LTE, Release-10 LTE 또는 그 어떤 이후 세대라고 언급되기도 하는 LTE 프로토콜과 호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 유닛은 다운링크 채널에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DFT-SOFDM)을 이용하여 업링크 채널에서 전송한다. 그러나, 더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어떤 다른 개방된 또는 전용의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특히 IEEE802.16e 또는 IEEE802.16m 표준에 기초한 WiMAX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임의의 특정한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쳐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도 2에서, UE(200)는, 시스템 버스(미도시)를 통해 메모리(220), 트랜시버(2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24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유사한 컴포넌트들이 네트워크 장비(110)의 일부로서 이용된다. UE는 자신이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예를 들어, 앞서 논의된 3GPP LTE Rel-8, Rel-10, 또는 이후 세대의 프로토콜과 호환된다. 도 2에서, 제어기/프로세서(210)는 임의의 프로그램된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된 기능은 또한,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 주변 집적 회로 소자,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또는 기타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어레이 등과 같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소자, 이산 요소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전자 로직 회로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UE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또는 WLAN 또는 WiFi), Bluetooth 등과 같은, 기타의 무선 기술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메모리(22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캐쉬, 하드 드라이브, 판독 전용 메모리(ROM), 펌웨어, 또는 기타의 메모리 소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 메모리를 포함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데이터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특정한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가속하는 캐쉬를 가질 수도 있다. 데이터는 메모리에 또는 별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는 ASIC에 임베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때때로 온-칩 메모리라고 부른다. 대안으로서, 메모리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래픽 프로세서와 같은 장치 내의 다른 프로세서들과 공유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메모리는 오프-칩 메모리라고 부를 수 있다. 트랜시버(230)는, 구현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및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UI(240)는, 키보드, 마우스, 펜-작동형 터치 스크린 또는 모니터, 음성-인식 장치, 또는 입력을 수락하는 기타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에 접속된다. UI는, 모니터, 프린터, 디스크 드라이브, 스피커,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공된 기타 임의의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에도 접속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110)에도 동등하게 메모리(220) 및 트랜시버(23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제어기/프로세서(210)가 장착되어 HSPA, LTE 등에 따른 공지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102, 200)와 연계하여 동작한다.
LTE Release 8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110)와 같은 베이스 유닛, 예를 들어, Node B 또는 eNB(enhanced Node B)로부터 원격 유닛(102)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사용자 장비 또는 "UE")로의 다운링크 통신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한다. OFDM의 이용시, 직교 서브캐리어들은,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기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디지털 스트림으로 변조되어 한 세트의 OFDM 심볼을 형성한다. 직교 서브캐리어들은 연속 또는 불연속 주파수 대역일 수 있고, 다운링크 데이터 변조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keying), 16QAM(16-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64QAM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14개의 OFDM 심볼들이, 보통의 CP(Cyclic Prefix) 경우에 베이스 유닛으로부터의 전송에 대해 1밀리초(1 ms)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구성된다(그리고, 확장된 CP 경우에는 12개의 OFDM 심볼들이 구성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서빙 베이스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그 UE들에 전송되고 제어 정보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에서 시그널링된다. TDD에서, 캐리어 상의 서브프레임들은, 다운링크 부분, 업링크 부분, 및 업링크 부분과 다운링크 부분 사이의 보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PDCCH의 제어 정보는 상이한 미리정의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의 스케쥴링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이들 스케쥴링 메시지들은 UE에게 PDSCH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디코딩하거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변조 및 코딩 방식,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및 위치, 프리-코딩 정보, 하이브리드-ARQ(HARQ) 정보, UE 식별자 등)를 통보한다. 이 제어 정보는 채널 코딩(통상적으로, 오류 검출을 위한 CRC(cyclic-redundancy check) 코드, 및 오류 정정을 위한 콘볼루션 인코딩)에 의해 보호되고, 그 결과의 인코딩된 비트들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의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 맵핑된다.
전송을 위한 가장 작은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는 자원 요소(RE)라 표기되고, 이것은 하나의 서브캐리어(가장 작은 주파수 단위)당 하나의 OFDM 심볼(가장 작은 시간 단위)이다. 4개의 RE로 된 그룹(또는 4개의 RE + 2개의 기준 신호 RE)는 자원 요소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이라 불린다. 한 구현에서, 9개의 REG는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를 형성할 수 있다. 인코딩된 PDCCH 비트들은 통상적으로, 집성 레벨 1, 2, 4, 및 8이라 불리는 1, 2, 4, 또는 8개의 CCE들 상에 맵핑된다.
UE는 유한 개수의 허용가능한 구성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전송의 디코딩을 시도함으로써 상이한 가설(즉, 집성 레벨, DCI 포맷 크기 등에 관한 가설)을 탐색한다. 이 프로세스를 "블라인드 디코딩"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UE는 그 특정한 UE에 대해 허용된 시작 CCE 위치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 UE-특유의 탐색 공간은 통상적으로 무선 링크의 초기 셋업 동안에 구성되고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eNB에 의해 서빙되는 모든 UE들에 대해 유효하며 페이징, 랜덤 액세스 응답 등과 같은 브로드캐스트 다운링크 정보를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는 공통의 탐색 공간도 역시 정의된다.
특정한 UE는 모니터링할(즉, 각 서브프레임 제어 영역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할) 각 PDCCH 후보에 대응하는 CCE들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각 PDCCH의 CRC는 통상적으로 베이스 유닛이 스케쥴링을 시도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에 의해 (예를 들어, 배타적-OR 연산을 이용하여) 마스킹된다. 식별자는 그 서빙 베이스 유닛에 의해 UE에 할당된다. 이 식별자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알려져 있다. LTE에서는 셀 RNTI(C-RNTI), 반-영구 스케쥴링 RNTI(SPS-RNTI), 및 임시 셀 RNTI(TC-RNTI)와 같은 몇 가지 타입의 RNTI들이 존재한다. UE가 PDCCH를 디코딩할 때, UE는 성공적인 PDCCH 디코딩이 발생하도록 마스크 형태의 적절한 RNTI를 PDCCH CRC에 적용해야 한다. UE가 특정한 DCI 포맷 타입의 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디코딩된 PDCCH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대응하는 스케쥴링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하이브리드-ARQ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다운링크 HSPA에서, UE 식별자는 H-RNTI라 불린다.
PDCCH 시그널링에 추가하여,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은 또한, 하이브리드-ARQ 접수확인, 기준 신호, 및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전송하는 데 이용되는 물리적 하이브리드-ARQ 표시자 채널(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을 포함한다. LTE Release 8의 정황에서, 각 eNB-대-UE 다운링크는 제어 신호를 위한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부에 1, 2, 또는 3개의 OFDM 심볼들을 가진다. 이 제어 영역의 OFDM 심볼들의 개수는 각 서브프레임마다 다를 수 있고,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PCFICH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일부 경우에, PCFICH의 값은 상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시그널링되거나 고정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OFDM 심볼들 모두는 통상적으로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으로서 간주되고, 이들 심볼들은 PDSCH를 생성한다. PDSCH 전송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RB) 내에 맵핑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RB는 한 세트의 서브캐리어와 한 세트의 OFDM 심볼이다. 예를 들어, RB는, (서브캐리어 분리가 15 kHz인) 12개의 서브캐리어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자원 요소들은 파일럿 신호 등을 운반하는데 할당된다. UE에 대한 PDSCH 할당은 통상적으로 RB 쌍들로 스케쥴링되고, 각 RB 쌍은 단일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있고(span), 단일의 RB 식별자를 이용하여 인덱싱된다.
다중캐리어 네트워크 내의 무선 통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지원하고, 각 컴포넌트 캐리어는 구성된 대역폭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제1 전송 대역폭 구성과 연관되고,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제2 전송 대역폭 구성과 연관될 수도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는 FDD의 경우에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이거나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일 수 있고, TDD의 경우에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통신 양쪽 모두를 지원한다.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전송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은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2 전송 대역폭 구성과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은 75 RB인 반면,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은 25 RB이어서, 100 RB의 집성 전송 대역폭 구성으로 이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은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2 전송 대역폭 구성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송 대역폭 구성 각각은 각각 50 RB를 가져, 100 RB의 집성 전송 대역폭 구성으로 이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1 시스템 대역폭은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2 시스템 대역폭과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제1 시스템 대역폭은 15 MHz인 반면, 제2 시스템 대역폭은 5 MHz이어서, 20 MHz의 집성 시스템 대역폭으로 이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1 시스템 대역폭은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2 시스템 대역폭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시스템 대역폭은 각각 10 MHz이어서, 20 MHz의 집성 시스템 대역폭으로 이어진다.
도 3은, 사용자 장비(102)와, 기지국 또는 eNodeB(110)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114)의 종래 기술의 실시예(300)를 나타낸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114)은, 적어도 HSPA와 LTE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FCC 하위 700 MHz 블록 B와 C를 이용하는 3GPP 대역 17과 같은 대역에서 쌍을 이룬다.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112, 114)은 그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위해 5 MHz 또는 10MHz 시스템 대역폭을 가진다.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114)은, 수직 방향 또는 y-축으로 표시된 주파수 범위에서 분리되어 있다. 주파수 범위에서의 분리는 보호 대역(302)이라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서, 할당된 보호 대역(302)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112 및 114)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크다.
주파수 영역 외에도,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은 시간 영역에서 신호를 전송한다. 시간 영역의 신호들은 사용자 장비(102)와 네트워크 장비(110) 사이에서 서브프레임(304)이라 알려진 시간 블록에서 전송된다. 각 주파수 범위의 서브프레임들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306),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308),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310)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312)을 포함한 상이한 영역들로 구분된다. PDCCH(306), PUCCH(308), PDSCH(310) 및 PUSCH(312)는 주파수 영역으로 확장되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통신을 허용한다. 시분할 듀플렉스(TDD) 통신에 동일한 채널들 PDCCH, PUCCH, PDSCH, PUSCH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역시 이해된다. 프로토콜의 일부인 PDCCH, PUCCH, PDSCH, 및 PUSCH 외의 별개의 다른 수 개의 채널들 또는 신호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논의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러한 다른 채널들(PCFICH, PHICH 등) 및 신호들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신호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도 4a는 간섭과 디센싱(desensing)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401, 403)의 블록도이다. 사용자 장비(401, 403)는, 스케일가능한 대역폭에서의 변화로 인해 RF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 블록은 간섭에 기여하는 스퓨리어스 성능(spurious performance)을 보인다. 수신 간섭은 전송기들의 동일장소 배치(co-location)(예를 들어, UE 내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 또는 서로 매우 근접한 복수의 UE들)에 기인한 것이거나 복수의 채널로부터일 수 있다. 따라서, 스퓨리어스 방출은 동일장소에 배치된 가장 가까운 수신 주파수들에서 일어난다. 대안으로서, UE(또는 eNB)에서의 수신기 디센싱은 자체-간섭(즉, UE(또는 eNB) 내에서의 어떤 다른 컴포넌트에 의한 작용(예를 들어, 또 다른 신호의 전송))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스퓨리어스 방출은 듀플렉스 수신 채널 상에서 발생하고 동일한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연관된 전송기로부터 자체-디센싱을 생성한다.
도 4b는 전송 대역폭 구성, 대역 Z(402)를 갖는 추가 캐리어가 제공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추가의 주파수 범위는, 더 많은 사용자들의 서빙, 기존 사용자에 대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제공, 또는 일반적으로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의 향상된 서비스의 제공에 유용한 무선 통신을 위해 추가의 스펙트럼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전송 대역폭 구성(402)은,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으로부터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112, 114)에 이용되는 주파수 범위들 사이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 대역폭 구성(402)은 업링크 채널(112)에 근접하거나 가장 가깝다. 전송 대역폭 구성(402)은 또한 다운링크 채널(114)에 근접하거나 가장 가까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 대역폭 구성(402)은 예전의 보호 대역(302) 또는 다운링크와 업링크 채널 사이의 분리 영역 내에 할당되어, 전송 대역폭 구성(402)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112, 114)과의 간섭을 야기할 수 있게 한다.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114)은 또한 전송 대역폭 구성(402) 내로의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402)은 다운링크 채널(404)로서 이용될 수 있고, 다운링크 채널(404)이 다운링크 채널(114)과 업링크 채널(112)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와 집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와 유사하게, 시간 영역의 신호는, 사용자 장비(102)와 네트워크 장비(110) 사이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의 상이한 주파수 범위의 서브프레임(406)에서 송수신된다. 서브프레임(406)에서, 서브프레임(406)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은, PDCCH(408), PUCCH(410), PDSCH(412) 및 PUSCH(414)로 분할된다. PDCCH(408), PUCCH(410), PDSCH(412) 및 PUSCH(414)는 전송 대역폭 구성으로 확장되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통신을 허용한다. TDD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동일한 채널들이 역시 이용될 수 있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PDCCH 및 PUCCH에 소정 개수의 서브캐리어들이 제공되어 PDCCH 및 PUCCH가 서브프레임(406)의 제어 영역으로서 기능하도록 한다. 제어 영역은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타입의 채널들(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보호 대역(302) 또는 분리 영역 내로의 전송 대역폭 구성(402)의 삽입은 가용 주파수 스펙트럼을 감소시켜, 업링크 채널(112)과 다운링크 채널(404) 사이에는 감소된 보호 대역(416)이 존재하도록 한다. 또한, 감소된 보호 대역(416)은, 특정 사용자 장비(102)에 대해 업링크 채널(112)과 다운링크 채널(404) 사이의 간섭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채널(112 및 404)에 의해 야기된 간섭은 자체 간섭이다. 간섭은, 기지국-대-기지국 간섭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 장비와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 장비가 주파수 범위(402)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 근처의 또는 동일장소에 배치된 사용자 장비는 업링크 채널(112)의 전송 대역폭 구성 상에서 전송중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2)와 네트워크 장비(예를 들어, eNodeB(110)) 사이의 전송이 동시에 또는 적어도 중첩하는 기간에서 스케쥴링될 때, 업링크 및 다운링크 양쪽 모두에서의 전송의 디센싱이 발생할 수 있다. 디센싱은 간섭 및 감소된 보호 대역(416)으로부터 발생한다.
간섭은 업링크 채널(112)의 서브캐리어들에 근접한 다운링크 채널(404)의 서브캐리어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데, 이것은 2개 채널들을 분리하는 대역폭이 분리의 감소된 대역폭(416)으로 인해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간섭은, 업링크 채널(112)에 근접하지 않고 멀리 있는 다운링크 채널(404)의 서브캐리어들에 의해 업링크 채널(112) 상에서 야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운링크 채널(404)의 구성 및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자원의 할당은 업링크 채널(112)에서의 간섭 및 디센싱을 야기할 수 있다. 양쪽 채널들 사이의 간섭과 디센싱의 근원을 알아내기 위해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404)의 서브캐리어들을 검사하는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 내의 자원 요소 또는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자원의 할당은, 어떤 서브캐리어들(또는 자원 요소들)이 간섭을 야기하는지의 이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요인들은 유효 보호 대역(418)을 형성하는 채널들에서의 대역폭의 할당에 대한 고려사항이다. 실시예에서,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404)의 엣지에 있는 자원 요소들 또는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자원들의 서로 근접한 할당은, 감소된 보호 대역(416)이 있는 상황에서 채널들 사이에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고 이해된다.
도 4b는 업링크 채널(112)과 다운링크 채널(404) 사이에 발생하는 디센싱을 줄이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보호 대역(418)은 다운링크 채널(404)과 업링크 채널(112)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전송 대역폭을 조정함으로써 생성된다. 이하에 제공되는 상세사항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의 조정된 전송 대역폭은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 내에서의 할당가능한 자원 요소들의 일부로서 간주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채널(404) 및 업링크 채널(112)에 제공되는 10 MHz 채널 대역폭은, 유효 보호 대역(418)이 가능한 크도록 채널의 엣지 상에 유효 5 MHz 대역이 제공되는 경우, 예를 들어, 5 MHz로 감소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는, 주파수 범위(112) 내에서의 업링크 전송에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의 일부는 전송 대역폭 구성(402)에 대한 간섭을 줄이도록 수정된다. 당업자라면, 다운링크 채널(404) 및 업링크 채널(112)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 내에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가능한 전송 대역폭의 축소나 수정은, 필요성 및 측정된 디센싱 및 채널들 사이의 간섭의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널들의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은, 채널들에서 유효 전송이 발생할 수 있는 값에 유지되어야 한다. 유효 보호 대역(418)은 채널(404)와 채널(112) 사이의 디센싱을 줄이기 위하여 상이한 소스들로부터의 대역폭을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효 보호 대역(418)은, 감소된 대역폭(416) 뿐만 아니라 다운링크 채널(404)로부터의 대역폭(420) 외에도 업링크 채널(112)로부터의 대역폭(422)을 포함한다.
업링크 채널(112)의 전송 대역폭은 다운링크 채널의 제어 영역에 제공되는 표시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표시자는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grant),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또는 비트맵의 일부일 수 있다. 비트 맵의 경우,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은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즉, 전용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UE에 직접 전달되거나,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마스타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의 일부인 셀-특유의 RRC 시그널링(브로드캐스트 제어)을 이용하여 많은 UE들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의 이용은,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 내에서의 전송 대역폭의 신속하고 동적인 설정 방식인데, 이것은 표시자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그랜트는, 통상적으로 더 느린 변화(예를 들어, 수십 또는 수백개의 서브프레임)를 초래하는 상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이 타입의 시그널링의 비교적 덜 빈번한 본질을 감안- 에 비해, 서브프레임별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RRC 스케쥴링의 사용은, 더 느린 속도의, 때때로 조정되는, 또는 주어진 주파수 범위에 대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정적인 전송 대역폭 설정 방법을 반영한다. 스케쥴링은, 대역폭 설정이 RRC 스케쥴링 파라미터에 따라 달리 변경되지 않는다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반-정적이다.
표시자는 사용자 장비(102)에 의해 PDCCH(408)에서 수신된다. 실시예에서, 주어진 서브프레임 n(424)에서 업링크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는 서브프레임(n-4)(426)과 같은 이전 프레임에서 수신된다. 서브프레임(424)과 이전 서브프레임(426)의 타이밍 관계는 상이할 수 있고 TDD 시스템에서 가변적이라고 이해된다. TDD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는 서브프레임(n-k)에서 수신되고, 여기서 k의 값은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n의 실제값에 의존한다.
이전 서브프레임의 PDCCH(408)는, 일반적으로 업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을 갖는 인접 채널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채널의 선호되는 부분을 점유하는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한다. PDCCH(408)에 의해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은 그 범위가 최소(예를 들어, LTE의 경우 6 RB)에서 최대(예를 들어, LTE의 경우 100 RB)에 이를 수 있다. 업링크 채널(112)의 전송 대역폭 구성도 역시 그 범위가 최소(예를 들어, LTE의 경우 6 RB)에서 최대(예를 들어, LTE의 경우 100 RB)에 이를 수 있다.
업링크 채널(112)과 다운링크 채널(404) 상의 동시 전송이 디센싱을 야기하는 예에서,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은 유효 보호 대역(418)을 생성하기 위해 감소될 것이다. 유효 보호 대역(418)을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대역폭은, 업링크 채널(112)의 경우 이전 서브프레임(n-4)(426)에서의 수신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와 다운링크 채널(404)의 경우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서의 주파수 범위의 할당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으로부터 결정된다. 감소된 전송 대역폭을 이용한 업링크 채널(112)와 다운링크 채널(404)은 시간적으로 동시에 또는 중첩해서 발생하는 유효 보호 대역(418)을 생성한다.
도 4b는, 다운링크 상의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이 다운링크 채널(404)에서 선택될 수 있는 전송 대역폭 구성보다 작다(감소되거나 부분적인 대역폭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운링크 상의 서브프레임(426)은 제어 영역(428)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428)의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케쥴링 그랜트가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중 하나일 수 있는 표시자를 갖는 스케쥴링 그랜트를 포함한다. 제어 영역(428)은,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후속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표시하는 데 이용되는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나 비트맵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n-4)(426)으로부터의 제어 영역(428)의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는 후속 서브프레임(n)(424)에서의 업링크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스케쥴링하는 것에 대응한다.
사용자 장비(102)는, 서브프레임(426)에서 수신된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는 스케쥴링 그랜트로부터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102)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의 디코딩에 의해 서브프레임(424)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을 결정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자는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서브프레임(426)의 표시자는 업링크 채널(112)의 특성을 수정한다(즉, 표시자는 업링크 채널의 전송 대역폭 특성을 수정한다). 서브프레임(n-4)(426)의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는 서브프레임(n)(424)의 자원 요소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업링크 채널(112)의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업링크 채널(112) 상의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421)은 감소되어, 서브프레임(424)은 보호 대역(416)을 유효 보호 대역(418)으로 증가시키는 대역폭(42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426)의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는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서브프레임(424)의 다운링크 채널(404)의 전송 대역폭(423)을 결정하는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 상의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423)은 감소되어, 서브프레임(424)은 보호 대역(416)을 유효 보호 대역(418)으로 증가시키는 대역폭(420)을 포함한다.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데 배정되는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채널의 할당가능한 대역폭은,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이라 부를 수 있다.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은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대역폭(즉,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UE가 구성되거나 스케쥴링되는 대역폭)일 수 있다.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또는 다운링크 채널 대역폭)은 또한, UE의 관점으로부터 서브프레임의 할당가능한 자원 블록들의 최대 개수라고 부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5 MHz이면, 서브프레임의 할당가능한 자원 블록의 총 최대 개수(즉, LTE의 경우 RB로 주어지는 전송 대역폭 구성의 주파수 범위)는 겨우 25인(5 MHz 시스템 대역폭의 90%(즉, 4.5 MHz)만이 RB로서 할당가능하고 나머지는 보호 대역에 이용되기 때문, 보호 대역에 할당되지 않는다면, 97.2%의 할당가능한 대역폭에 대응하는 27 RB가 5MHz에 존재할 수 있음) 반면, 10 MHz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할당가능한 자원 블록의 총 최대 개수는 90% 할당가능한 대역폭의 경우에는 50이고 99% 할당가능한 대역폭의 경우에는 55이다. 채널 대역폭(시스템 대역폭)의 할당가능한 대역폭 퍼센트가 고정되고 가능한 채널 대역폭과 함께 미리 알려진다면, 시스템 대역폭 또는 전송 대역폭 구성은 검출된 제어 정보에 의해 자원 할당 필드의 크기(dimension)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유추될 수 있다. (주어진 점유율의 명시된 보호 대역을 고려한 후의)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 또는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명시적인 보호 대역이 없음) 중 어느 하나는, UE가 서브프레임 내에서 네트워크로부터의 소정 신호들의 전송을 예상하는 대역폭을 지칭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는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 또는 셀-특유의 기준 신호(CRS)와 같은 셀-특유의 기준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명시된 보호 대역을 고려한 이후의) 시스템 대역폭 또는 전송 대역폭 구성은 UE가 네트워크로부터 표준에 따른 신호를 예상하는 UE-특유의 대역폭으로서 해석될 수 있고, 이 대역폭은 동적 기초로 가변적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보호 대역을 고려한 이후의) 시스템 대역폭 또는 전송 대역폭 구성은 또한, UE가 CSI 측정, RSRP, RSRQ, RSSI, RLM 등과 같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역폭을 말할 수도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업링크 시스템 대역폭 또는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에 대해 유사한 원리가 이용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및 비트 맵의 일부로서의 표시자의 이용은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할당한다. 따라서, 업링크 채널(112)의 대역폭(421) 및 다운링크 채널(404)의 대역폭(423)은 유효 보호 대역(418)을 제공하는 대역폭(420 및 422)을 생성한다. 즉, 대역폭(420 및 422)은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404)로부터의 부분 주파수 범위이어서, 서브프레임(424)의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112, 404)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421, 423)은 각각 더 작거나 감소된 대역폭이다. 후속하는 서브프레임(n)의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은 서브프레임(n-4)에 대한 주파수 범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는 서브프레임(424)에 대한 유효 보호 대역(418)의 생성을 설명하는 흐름도(500)를 나타낸다. 도 5의 방법은 후속 서브프레임(424)에서 디센싱을 야기할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112, 404) 사이의 간섭이 있을 것이라고 또는 그러할 가능성이 있다고 서브프레임(n-4)(426)의 제어 영역의 구성 동안에 결정함으로써(502) 시작한다. 간섭은, 기지국(110), 제어기(120), 또는 네트워크 내에 위치한 연관된 스케쥴링 또는 제어 엔티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2)는 또한 간섭을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후속 프레임에서 간섭이 있을 것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서브프레임(424)의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한 서브캐리어들의 할당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을 조정할 수 있다(504). 이해하는 바와 같이, 전송 대역폭 구성을 설정하는 것은, 채널 내의 서브캐리어들, 자원 블록들, 자원 요소 블록들, 서브채널들, 자원 요소 그룹들, 및 기타의 할당가능한 자원들 중 어느 것이 채널(112, 404)에서 스케쥴링 또는 할당에 이용가능한지를 지정하는 것과 동등하다. 채널의 제어 영역(408, 410) 및 데이터 영역(412, 414)에서의 상이한 영역들은, 전송 대역폭 구성이 간섭 및 디센싱을 감소하게끔 설정될 수 있도록 뮤팅되거나(muted) 회피될 수 있다. 자원 요소 그룹들은, 이들 그룹들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키거나, 이들 자원 요소 그룹들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거나, 기타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뮤팅될 수 있다.
이들 전송 대역폭 구성은, 서브프레임(426)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전달될 수 있다. 표시된 전송 대역폭 구성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에서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과는 상이할 수 있다. 할당된 서브캐리어에 이용된 업링크 채널 또는 다운링크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은 상이하게 설정되므로, 유효 보호 대역(418)의 대역폭은 또한 반대로 설정되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의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이 작을수록 유효 보호 대역에 대한 대역폭은 커진다.
따라서, 서브프레임(426)은 업링크 채널(112) 또는 다운링크 채널(40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설정하는 데 이용된다. 서브프레임(426)은, 적절한 표준으로 설정될 수 있는 주어진 전송 대역폭 구성을 가진다. 전송 대역폭 구성은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고, 여기서, 자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영역(408)으로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은 복수의 자원 블록쌍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자원 블록쌍의 첫 번째 자원 블록의 제1, 제2, 또는 제3 OFDM 심볼들은 제어 영역(408)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자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데이터 영역(412)으로서 구성된다.
제어 영역은 후속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전송 대역폭을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표시자를 포함한다. 표시자는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의 일부일 수 있다. 전송 대역폭을 조정하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426)은 네트워크 장비(110)와 사용자 장비(102) 사이에서 전달된다(506). 사용자 장비(102)에 의한 표시자의 수신시에, 서브프레임(426)에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에 관해 수정되거나 조정될 수도 있는, 후속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424)이 결정되어(508) 이들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가능한 서브캐리어 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제어 영역의 제어 채널을 디코딩할 때, 표시자가 디코딩되어, 사용자 장비는 후속 서브프레임(424)의 가능한 서브캐리어 할당을 결정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을 통보받는다. 표시자는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및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장비(102)는 네트워크 장비(110)와의 통신에 이용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양쪽 모두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을 디코딩한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비(110)로부터 사용자 장비(102)로 후속 서브프레임(424)이 전달된다(510). 이전 서브프레임(426)에서 서브프레임(424)에 대한 간섭이 예상되었고 계획되었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비(110)는 서브프레임(424)에 대해 설정된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채널(404)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 장비(102)는 서브프레임(424)에 대해 설정된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채널(404)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장비(102)는 서브프레임(424)에 대한 업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업링크 채널(112)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장비(110)는 서브프레임(424)에 대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업링크 채널(112)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송 대역폭 구성은 제어 영역(408) 및 데이터 영역(412) 양쪽 모두에 대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업링크 데이터 영역(414) 및 업링크 제어 영역(410)에 대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대역폭(420 및 422)은, 다운링크 채널(402)의 제어 영역에서 한 세트의 자원 요소 그룹을 뮤팅하고 업링크 채널(112)의 제어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을 뮤팅하여 뮤팅된 세트의 자원 요소 그룹들과 자원 블록들에서 서브캐리어들이 할당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뮤팅된 자원 요소 그룹은, 할당 동안에 이들 영역들이 회피되도록 디센싱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된 전송 대역폭 구성의 이들 영역들에 대응할 수 있다. 자원 요소 그룹들은, 주어진 자원 요소 그룹들에 대한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이들 주어진 자원 요소 그룹들로의 데이터의 할당을 제한함으로써, 및 기타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뮤팅될 수 있다. 또한, 뮤팅되거나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할당되지 않는 자원 요소 그룹들의 세트는 서브프레임(n)(424)에 대해 서브프레임(n-4)(426)에서의 업링크 자원 할당으로부터 결정된다. 후속 서브프레임(n)(424)의 제어 영역이 수신될 때, 서브프레임(n-4)으로부터의 적어도 업링크 자원 할당에 기초하는 한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들이 결정될 수 있고, 수신된 세트의 제어 채널 요소들을 이용하여 채널의 제어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에 비추어, 네트워크 장비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들에서의 간섭은 서브프레임 내의 채널들의 속성을 조정함으로써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해 감소된다. 전송 대역폭 구성과 같은 이들 속성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의 수신 뿐만 아니라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 제공될 수 있는 기타의 대응하는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조정된 속성들은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의 듀플렉스 이격(duplex spacing)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114 및 404)과 업링크 채널(112) 사이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에서 또는 또다른 전송 대역폭 구성의 주파수 범위의 PDCCH를 이용함으로써, 업링크 채널(112)과 같은, 전송 대역폭 구성의 주파수 범위에서 더 작은 제어 영역 및 더 큰 제어 영역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다양한 제어 영역들은, 제어 영역의 표시자로부터 또는 후술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주파수 범위의 블라인드 디코딩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비는 서브프레임의 상이한 주파수 범위에 대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및/또는 데이터 영역에 대해 스케쥴링되거나, 할당되거나, 또는 구성되는 자원 블록의 수 또는 자원 요소 그룹(REG)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제어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자원 블록 또는 REG의 스케쥴링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에 존재하는 알려진 디센싱 및 간섭 패턴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n-4)의 그랜트에 따라 서브프레임(n)에서 사용자 장비가 스케쥴링되는 상황에서,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서브프레임(n)에서 그 제어 채널 탐색 공간을 수정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서브프레임(n)에서의 전송과 수신의 동시발생 사건의 결과일 수 있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블라인드 검출을 이용하지 않고, 또는 명시적 표시의 수신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는 서브프레임(n-4)에서 그랜트를 전달하므로, 네트워크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제어 영역에 대해 감소된 대역폭을 이용할 것임을 알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비와 사용자 장비는 동기화된다. 사용자 장비가 오류 또는 CRC 실패로 인해 스케쥴링된 그랜트를 놓치는(miss) 경우, 사용자 장비는 간단히, 고정된, 미리결정된 또는 구성된 제어 채널 탐색 공간의 가정을 이용하여 디폴트 수신 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도 6은 블라인드 디코딩의 원리를 이용하여 서브프레임(424)의 할당된 대역폭 또는 유효 보호 대역(418)의 이용을 검출하고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600)를 나타낸다. 서브캐리어를 할당하는 데 이용가능한 전송 대역폭 구성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또는 비트맵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도 5와 연계하여 설명된 방법과 대조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이용하여 설명되는 이 방법은 수신된 상이한 전송 대역폭 구성들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업링크 채널이나 다운링크 채널 중 하나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설명되는 블라인드 디코딩은, 주어진 서브프레임의 주파수 범위에 대해 대역폭을 할당하는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 표시자의 실제 이용이나 정확한 디코딩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설명되는 방법은, 서브프레임(424)에서 디센싱을 야기할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간섭이 있을 것이라고 결정함으로써(602) 시작한다. 간섭의 결정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서브프레임(424)에 대해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서 할당에 대해 자원 요소들이 이용가능한 전송 대역폭 구성을 조정한다(604).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이 조정될(상이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결정이 서브프레임(n-4)(426)과 같은 서브프레임(n)(424) 이전의 임의의 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424)은 전송 대역폭 구성을 조정하여, 그 대역폭이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의 할당된 주파수 범위로부터 감소된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424)에 대한 조정은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404)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의 할당된 대역폭은, 서브캐리어들이 할당될 수 있는 5 MHz의 전송 대역폭으로까지 감소되는 10 MHz일 수 있다.
네트워크에 의해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조정하는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네트워크 장비(110)는 다운링크 채널(404) 상에서 조정된 제어 영역(428)을 갖는 서브프레임(424)을 사용자 장비(102)에 전송한다(606). 서브프레임(424)의 전송은 사용자 장비(102)에 의해 수신된다(608). 제어 표준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수신된 서브프레임(424)의 전송된 대역폭 구성은 표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의 할당된 대역폭(예를 들어, 10MHz)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다운링크 채널(404)에 의해 발생하는 디센싱을 피하기 위해, 수신된 다운링크 채널 서브프레임(424)의 조정된 전송 대역폭 구성은 사용되는 수신된 전송 대역폭 구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결정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는 다운링크 채널(404) 상에서 서브프레임(424)을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는 서브프레임(424)의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제1 세트의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한다(610). 또한, 사용자 장비는 서브프레임(424)의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한다(612). 실시예에서, 수신된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제어 영역(428)을 복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수신된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제어 채널들은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수신된 대역폭을 복조함으로써 모니터링된다.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은 표준에 의해 설정된 미리-구성된 값으로서 채널의 대역폭을 할당받을 수 있고, 제2 전송 대역폭 구성값은 조정되거나 디센싱을 피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비가 사용하는 감소된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대역폭은 또한, 사용자 장비에 시그널링되거나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도 있는, 표준에 의해 지원되는 한 세트의 구성된 대역폭으로부터 나온 것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6으로 되돌아가면, 제1 세트의 제어 채널 후보 및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후보 중 하나로부터 다운링크 채널의 제어 채널(428)이 검출된다(614). 제어 채널은 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후보 중 하나에서 검출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해 제어 채널 후보들을 복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424)에 대한 서브캐리어 할당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고 있는 전송 대역폭 구성은, 검출된 제어 채널에 이용된 전송 대역폭 구성으로부터 결정된다(616). 즉, 다운링크 채널(404)의 데이터 채널(412)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서브캐리어 할당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제어 채널(428)용의 검출된 전송 대역폭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전송 대역폭 구성을 검출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 장비는 전송 대역폭 구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메시지는, 서브캐리어 할당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 채널 후보의 검출과 연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404)과 업링크 채널(112) 사이에 아무런 디센싱도 없을 때, 채널에 대한 결정된 전송 대역폭 구성은 10 MHz의 할당된 채널(또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한다. 그러나, 디센싱이 예상되면, 채널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에 이용되는 결정된 대역폭은 5 MHz의 채널 대역폭(대응하는 25 RB의 채널 전송 대역폭 구성과 함께), 또는 대역폭에 대한 어떤 다른 수정되거나 감소된 값으로 감소될 수 있다. 10 MHz(50 RB) 및 5 MHz(25 RB)의 이들 알려진 채널 대역폭 값 또는 50 RB와 25 RB의 전송 대역폭 구성이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제어 채널 후보의 모니터링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도 6에 의해 설명된 방법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양쪽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제1 대역폭으로부터의 모니터링되거나 복조된 제어 채널 후보와 제2 대역폭으로부터의 모니터링되거나 복조된 제어 영역이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제어 채널 후보의 전송 대역폭을 복수의 서로 다른 알려진 대역폭(즉, 상위층 통신을 통해 구성된 한 세트의 값이거나 표준에 명시된 한 세트의 값임)과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사용 중인 예에서, 이 비교 단계는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을, 예를 들어, 10 MHz 대역폭 및 5 MHz 대역폭과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은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엣지를 검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전송 대역폭 구성의 대역폭이 채널 대역폭(예를 들어, 10 MHz)의 전체 할당가능한 대역폭(예를 들어, 9MHz)까지 연장되는 경우, 데이터는 그 주파수 범위에 걸쳐 할당될 것이다. (예를 들어, 5 MHz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감소된 대역폭(예를 들어, 25 RB)을 갖는 전송 대역폭 구성의 경우, 데이터는 채널 대역폭의 전체 주파수 범위 미만과 대역폭(421, 423)에 할당될 것이다. 따라서, 주파수 범위(420, 422)는 할당된 데이터를 갖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데이터 할당을 스케쥴링하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 요소 내에서 자원 할당 필드의 크기 또는 해석을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의 감소된 주파수 범위(또는 대역폭)가 5 MHz이면, 서브프레임의 할당가능한 자원 블록들의 총 최대 개수는 겨우 25일 수 있는 반면, 10 MHz 주파수 범위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할당가능한 자원 블록들의 총 최대 개수는 50이다.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은 서브프레임(424)의 서브캐리어들에 데이터가 어떻게 할당되는지를 검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는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가능한 채널의 전송 대역폭에 따라 서브프레임의 대역폭에 걸쳐 할당된다. 이와 같이, 대역폭은 서브프레임의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경계 또는 엣지의 주파수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엣지가 전송 대역폭 구성의 할당된 대역폭까지 연장된다면, 대역폭은 10 MHz인 것으로 알려진다. 그렇지 않다면, 대역폭은 서브프레임의 엣지의 서브캐리어들의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디센싱은 알려진 패턴에 따라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채널(112, 404)의 서브캐리어들의 알려진 패턴을 복조함으로써, 조정된 전송 대역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예에 비추어, 주파수 범위에 대해 더 큰 대역폭 내에서 작은 대역폭 캐리어가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블라인드 검출될 수 있다.
도 7은 유효 보호 대역(418)을 검출, 결정, 및 확립하는 또 다른 방법의 흐름도(700)를 나타낸다. 도 7에 설명되는 방법은, 서브프레임(424)에서 디센싱을 야기할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간섭이 있을 것이라고 결정함으로써(702) 시작한다. 간섭의 결정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가 사용자 장비에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고 업링크 상에서 서브캐리어들을 수신할 서브프레임(424)에 대해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조정한다(704).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의 대역폭이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결정이 서브프레임(n-4)(426)과 같은 서브프레임(n)(424) 이전의 임의의 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424)은 서브프레임(424)의 최대 허용된 전송 대역폭 구성으로부터 감소된 전송 대역폭 구성(25 RB)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할당된 주파수 범위는 5 MHz의 대역폭까지 감소되는 10 MHz일 수 있다.
네트워크에 의해 서브프레임(42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조정하는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네트워크 장비(110)는 서브프레임(424)의 다운링크 채널(404)의 제어 영역(428)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전력을 조정한다(706). 채널들(112 및 404)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센싱을 줄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다운링크 채널(40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들에서 전력을 감소시킨다. 실시예에서, 그들의 전력을 감소시키는 서브캐리어들은, 업링크 채널(112)의 주파수 범위에 근접하거나 전송 대역폭 구성의 엣지에 있는 서브캐리어들이다. 이것은 채널들 사이의 보호 대역(416)을 유효 보호 대역(418)까지 증가시킨다. 네트워크 장비(110)는 또한, 서브프레임(424)의 업링크 채널(112)에 대해 제어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708). 채널들(112 및 404) 사이에 발생할 수도 있는 디센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다운링크 채널(404)의 주파수 범위에 근접한 업링크 채널(112)의 주파수 범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들에서의 전력의 감소를 요청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캐리어들 사이의 간섭의 근원에 관해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간섭은, 채널들 중 다른 나머지들에 있는 서브캐리어들에 근접한 채널들 중 하나에 있는 서브캐리어들에 의해서만 야기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간섭은 채널 내의 서브캐리어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간섭을 야기하고 있는 서브캐리어들의 결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식별된 서브캐리어들의 전력을 조정하여 그 서브캐리어들이 간섭에 덜 기여하게 할 수 있다.
지정된 서브캐리어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키는 조정은 보호 대역(416)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운링크 채널(404)에서의 감소된 전력과 더불어, 유효 보호 대역(418)이 생성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주파수 범위의 서브캐리어들에 근접한 주어진 주파수 범위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들에서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대역폭은 10 MHz로부터, 예를 들어, 유효 보호 대역을 생성하는 5 MHz로 감소될 수 있다. 주어진 서브캐리어들에서의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외에도, 네트워크 장비와 사용자 장비는 주어진 대역폭에서 소정의 서브캐리어들에만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발생하는 네트워크 장비 간섭은 또한, 다운링크 채널의 지정된 서브캐리어들의 전력 레벨들을 수정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전력 레벨은 필요하다면 최소한으로 감소되어, 네트워크 장비(110)와 사용자 장비(102) 중 하나 사이의 통신을 위한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디센싱을 경감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전력 상태를 수정하기 위해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상에서 표시자가 이용될 수 있다. 표시자가 서브프레임(n-4)(426)의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서 이용되어, 사용자 장비가 다운링크 채널(n)(424)의 수신된 전송 대역폭 구성을 미리 알 수 있다. 표시자가 서브프레임(n-4)(426)의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서 이용되어, 사용자 장비가 업링크 채널(n)(424)에서 이용하고 그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을 미리 알 수 있다. 연장된 전력 상태 수정은, 타이밍 전진(timing advance) 또는 사용자 장비로의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할 것이라는 네트워크 장비의 지식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업링크 전력 상태는 하나보다 많은 서브프레임에 대한 수정된 상태에 머무르는 것이다. 또한,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해 사용자 장비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가 스케쥴링될 것인지에 따라 2개의 상이한 개방된 루프 전력 레벨들 사이에서 스위칭이 있을 수 있다. 업링크 상의 2개의 개방된 루프 전력 레벨들 사이에서 명시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그랜트에서 표시자 또는 심지어 단일 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업링크 전력 레벨들은 작은 성능 손실만 수반한 채 특정 서브프레임들에 관해 감소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에 대한 주파수 범위 내의 서브캐리어들의 전력 레벨은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것은 자원 요소들이 서브캐리어들의 일부일 경우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8은, FDD 캐리어가, 하나의 대역폭 구성은 업링크 채널(112)에 대해 이용되고 다른 대역폭 구성은 다운링크 채널(114)에 대해 이용되는 2개의 상이한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전송되는 경우의 FDD 쌍(예를 들어, 다운링크 채널(114) 및 업링크 채널(112))의 블록도이다. 또한, 추가의 다운링크 채널(404)에 대해 적어도 추가의 전송 대역폭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각각에 대해 무선 액세스 기술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114)은 HSPA와 같은 제1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주파수 쌍일 수 있는 반면, 다운링크 채널(404)은 LTE와 같은 제2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404)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이용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에 관계없이 채널들 사이에 간섭과 디센싱을 야기할 수 있는 감소된 보호 대역(416)이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에서 주어진 설명과 유사하게, 각 채널(112, 114, 404)은 각 채널(112, 404)의 서브프레임들이 네트워크 장비(110)와 사용자 장비(102) 사이에서 서브캐리어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데에 상이한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는 시간 영역에서 일련의 서브프레임(802, 804)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n-4)(802)의 제어 영역(806)의 사용은 서브프레임(n)(804)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제어 영역의 표시자는, 서브프레임(n)(804)에서 유효 보호 대역(418)이 구성되도록 채널들(112 및 404)에서 서브캐리어들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n)(804)의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전송 대역폭을 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전송 대역폭 구성들 각각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므로, 하나의 무선 액세스 기술에서의 표시자 또는 그랜트의 사용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에서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에 대해 전송 대역폭 및 기타의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404)에 대한 서브프레임(n-4)(802)의 제어 영역(806)에서 할당된 HSPA 표시자는, LTE에 따라 동작되는 채널(112 또는 404)의 서브프레임(n)(804)의 전송 대역폭을 결정하거나 기타의 파라미터(예를 들어, 변조 및 코딩 방식, 자원 할당, 리던던시 버전,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 등과 같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포맷 콘텐츠)를 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채널(404)에 대한 서브프레임(n-4)(804)의 제어 영역(806)에서 할당된 LTE 표시자는 HSPA에 따라 동작되는 채널(112)의 서브프레임(n)(804)의 대역폭을 결정하거나 기타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HSPA 표시자 또는 LTE 표시자는,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다운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서브프레임(804)의 제어 영역 또는 데이터 영역 내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데 이용되는 비트 맵 또는 기타의 지정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 그랜트는, 그랜트 내용이 제1 타입의 RAT, 제2 타입의 RAT, 또는 양쪽 타입의 RAT에 대응하는지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스케쥴링 그랜트 내에서 명시적 RIF(RAT-Indicator-Function)의 포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스케쥴링 그랜트의 예시가 표 1에 도시되어 있으며, 표에서 총 57개 비트의 그랜트는 2비트의 RIF와 그랜트를 통해 스케쥴링된 각각의 잠재적 RAT 타입을 위한 그랜트의 55 비트까지를 포함한다.
Figure 112013102038259-pct00001
RIF 필드가 0비트를 가진다면, 그랜트는, 어떠한 크로스-RAT 스케쥴링도 가능하지 않은 베이스라인 케이스를 디폴트로 한다. RIF 필드가 1 비트를 가지면, 필드값 = 0인 경우 Grant는 제1 타입의 RAT(예를 들어, HSPA)에 대응하고, 필드값 = 1인 경우 Grant는 제2 타입의 RAT(예를 들어, LTE)에 대응할 수 있다.
동시에 HSPA와 LTE 캐리어 상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하이브리드 그랜트를 생성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RIF 필드가 1 비트를 가지면, 필드값 = 0인 경우 Grant는 제1 타입만의 RAT(예를 들어, HSPA)에 관한 그랜트에 대응할 수 있고, 필드값 = 1인 경우 Grant는 제1 및 제2 타입의 RAT(예를 들어, HSPA 및 LTE) 양쪽 모두에서 자원을 스케쥴링하는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 2에 도시된 예의 경우, RIF가 1 비트를 가진다면, 그랜트가 LTE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경우, Grant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도 있다. 특별 정보(Special Information)는, 선택사항으로서 트랜스포트 블록의 제2 또는 제3 전송에 이용되는 추가 정보일 수 있다. 선택사항적인 패딩 비트들은, 그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HSPA 및 LTE 그랜트에 대해 그랜트 크기를 정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패딩 비트들이다. 프리-코딩 벡터,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정보 등과 같은 다른 필드들도 역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Figure 112013102038259-pct00002
표 3에 도시된 예에서, 그랜트가 HSPA 그랜트에 대응한다면, Grant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특별 정보(Special Information)는, 선택사항으로서 트랜스포트 블록의 제2 또는 제3 전송에 이용되는 추가 정보일 수 있다. 선택사항적인 패딩 비트들은, 그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HSPA 및 LTE 그랜트에 대해 그랜트 크기를 정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패딩 비트들이다. 프리-코딩 벡터,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정보 등과 같은 다른 필드들도 역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Figure 112013102038259-pct00003
따라서, 표시자는 자원이 제1 타입의 RAT 상에, 또는 이에 대해 할당되는지, 또는 제2 타입의 RAT 상에, 또는 이에 대해 할당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 비트맵을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비트맵은 제1 RAT가 활성일 때 한 세트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제2 타입의 RAT가 활성일 때 한 세트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제1 RAT는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활성이고 제2 RAT는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활성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1 RAT의 서브프레임 지속기간 및 제2 RAT의 서브프레임 지속기간은 항상 정렬되거나 동일한 지속기간인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TE RAT는 1ms의 서브프레임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는 반면, HSPA 서브프레임은 2ms 지속기간 또는 10ms 지속기간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각 RAT에 대해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t time interval)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비트맵이 이용될 수도 있다. 비트맵은 또한, UE에 대한 서브프레임의 표시자로서 이용될 수 있는 반면, UE는 제1 RAT의 수신으로부터 제2 RAT의 소정 채널들의 취소(cancellation)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PA RAT의 소정 서브프레임들 또는 TTI들이 블랭크이거나 거의 블랭크(HSPA 신호가 매우 적고, C-PICH만으로 적재됨)이면, 그 정보는 LTE UE에 의해 자신의 수신기를 HSPA 신호에 의해 LTE 수신기에 발생하는 간섭을 고려, 최소화, 또는 상쇄하도록 적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역시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에서, 메시지가 수신되고, 여기서 메시지는 서브프레임들의 시퀀스에 대한 제어 영역 대역폭 패턴을 나타낸다. 그 다음, 수신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들의 시퀀스에서 제어 시그널링이 수신되고,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들의 제어 영역 대역폭들은 상이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900)가 예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설명되는 방법은, 후속 서브프레임(804)에서 디센싱을 야기할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에 간섭이 있을 것이라고 결정함으로써(902) 시작한다. 간섭의 결정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채널들 중 하나에서 서브프레임(804)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904).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비는 서브프레임(804)에 대한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전송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조정된 전송 대역폭은,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에서 서브캐리어들이 할당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 내의 대역폭이다. 도 8과 연계한 논의에 비추어, 네트워크 장비(110)는 제1 채널에서 LTE와 같은 제1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802)의 제어 영역(806)에서 표시자를 이용하여 제2 채널에서 HSPA와 같은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서브프레임(804)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는 무선 액세스 기술로서, 예를 들어, LTE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표시자를 전송한다(906).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원리는 HSPA와 같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이 LTE와 같은 제2 무선 액세스 기술과 상이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102)는 LTE와 HSPA 트랜시버를 갖는 듀얼 모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서, 제1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은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에 대한 주어진 전송 대역폭을 갖는 다운링크 채널에서 수신된다(908). 다운링크 채널은 LTE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수신되고 업링크 채널에서의 사용을 위해 서브캐리어들의 자원 할당의 표시자를 포함한다. 자원 할당의 표시는 서브프레임(804)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에서 자원이 어떻게 할당되는지 뿐만 아니라 무선 액세스 기술로서 HSPA를 이용하는 서브프레임(804)의 업링크 채널에서 자원을 어떻게 할당하는지를 사용자 장비에 지정한다. 사용자 장비는 상이한 주어진 전송 대역폭을 갖는 제2 채널 상에서 서브프레임(804)의 제2 제어 영역을 전송한다(910).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제1 타입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서브프레임(804)을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되는 업링크 제어 그랜트, 다운링크 제어 그랜트 또는 비트맵의 일부일 수 있는 표시자는 제2 주파수 범위의 제어 영역에서 전송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의 서브프레임(802)에서 발견되는 그랜트는,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서브프레임(804)에서 전송 대역폭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된다.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채널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해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표시자의 사용은 서브프레임(804)의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들 사이의 디센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업링크 채널(112)과 다운링크 채널(404)로서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전송 대역폭을 할당하는 또 다른 방법(1000)을 나타낸다. 상기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센싱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송 대역폭의 할당은, 상이한 전송 대역폭들에 대한 전송 대역폭들이 서브프레임별 기초로 수정될 수 있도록 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서브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전송 대역폭 구성은 상이한 전송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전송 대역폭 구성에 대한 전송 대역폭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반-정적 또는 반-영구적일 수 있다.
도 10에 설명되는 방법은,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디센싱을 야기할 업링크와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간섭이 있을 것이라고 결정함으로써(1002) 시작한다. 간섭의 결정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804)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1004). 실시예에서, 조정은, 업링크 채널(112) 또는 다운링크 채널(404)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전송 대역폭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후속 서브프레임들 각각이 채널에 대한 전송 대역폭 구성의 동일한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도록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송 대역폭에 대한 조정을 결정한 후에, 업링크 채널(112) 및 다운링크 채널(40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정된 전송 대역폭을 사용자 장비에 통보하는 메시지가 네트워크 장비(110)로부터 사용자 장비(102)로 전송될 수 있다(1006).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 메시지는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에 대해 업링크 채널 또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전송 대역폭을 설정한다.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고(1008)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전송 대역폭을 설정한다. 실시예에서, 조정된 대역폭은 서브프레임(804)의 제어 영역에 대한 것이거나 서브프레임(804)의 제어 및 데이터 영역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메시지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으로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대역폭을 지정하는 적어도 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는 서브프레임(804) 내의 제어 영역의 무선 자원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무선 자원 구성은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의 제어 영역에 대한 대역폭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메시지는 전송 대역폭에 대한 블록 그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정적 또는 반-영구적 방법으로서, 메시지는 네트워크 장비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층 2 또는 층 3 통신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걸친 서브프레임들의 스케쥴링과 스케쥴링의 검출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단일 캐리어 관련하여 주어졌었다. 설명된 원리는 캐리어 집성 뿐만 아니라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하의 청구항들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모든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혜택, 이점,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혜택, 이점, 및 해결책을 발생시키거나 더욱 현저하게 하는 임의의 요소(들)은, 임의의 청구항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한, 요구되는, 또는 필수적 특징이나 요소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계류 중에 이루어진 임의의 보정과 특허된 청구항들의 모든 등가물들을 포함하여,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10)

  1.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서브프레임으로 통신하는 단계 - 상기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는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자원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는 제어 영역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어 영역은 후속 서브프레임을 스케쥴링하는 데 이용되는 표시자를 포함함 - ;
    상기 후속 서브프레임에서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상기 후속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전송 대역폭을 상기 표시자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후속 서브프레임으로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으로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속 서브프레임으로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후속 서브프레임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 통신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간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간섭은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 기초한 통신에 의해 발생함 - ; 및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 기초한 통신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제어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의 제어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에 근접한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의 엣지(edge)에 있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과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 중 하나를 갖고, 상기 메시지는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과 상기 제2 전송 대역폭 구성 중 적어도 하나로 된 전송 대역폭을 제어 영역에 대해 표시함 - ; 및
    상기 메시지에 의해 표시된 전송 대역폭의 제어 영역을 갖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후속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제어 영역 대역폭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제어 영역 대역폭 패턴은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제어 영역 대역폭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방법.
  8.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전송 대역폭 구성과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시버 - 적어도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은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원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는 제어 영역으로서 구성됨 - ;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 상에서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 전송될 표시자를 설정하고, 상기 표시자는 후속 서브프레임에서 서브캐리어들을 할당하는 데 이용되는 상기 후속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설정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장치.
  9.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전송 대역폭 구성과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 적어도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은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원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요소는 제어 영역으로서 구성됨 - ;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송 대역폭 구성 상에서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 수신된 표시자를 디코딩하고, 상기 표시자는 후속 서브프레임에서 서브캐리어들을 수신하는 데 이용되는 상기 후속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2 전송 대역폭 구성을 설정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대역폭 구성 장치.
  10. 삭제
KR1020137029765A 2011-04-13 2012-03-27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들 사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7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86,203 2011-04-13
US13/086,203 US20120263117A1 (en) 2011-04-13 2011-04-13 Method and Apparatus to Adjust the Control Region of a Subframe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CT/US2012/030675 WO2012141882A1 (en) 2011-04-13 2012-03-27 Method and apparatus to adjust the control region of a subframe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37A KR20140002037A (ko) 2014-01-07
KR101527312B1 true KR101527312B1 (ko) 2015-06-09

Family

ID=4593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765A KR101527312B1 (ko) 2011-04-13 2012-03-27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들 사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63117A1 (ko)
EP (3) EP2698019B1 (ko)
JP (1) JP5969592B2 (ko)
KR (1) KR101527312B1 (ko)
WO (1) WO2012141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190B2 (en) 2006-07-25 2017-04-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pectrum emission level variation in schedul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91829B1 (ko) * 2009-07-17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대역폭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US8934500B2 (en) 2011-04-13 2015-01-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using two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schedul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565655B2 (en) 2011-04-13 2017-02-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e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of a channel in connection with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3007010A1 (en) * 2011-07-08 2013-01-17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via channel reservation in la tdd network
TW201320692A (zh) * 2011-08-10 2013-05-16 Ind Tech Res Inst 資料傳送方法及使用此方法的基地台及用戶端設備
US9900131B2 (en) 2011-08-15 2018-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transmission of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transmit antennas
US9780931B2 (en) 2011-08-15 2017-10-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transmission of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06740A2 (en) * 2012-01-11 2013-07-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daptive control channel
US9491738B2 (en) * 2012-02-03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ownlink and uplink resources for low cost user equipments
US9807747B2 (en) 2012-06-15 2017-10-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480059B2 (en) * 2012-06-15 2016-10-2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indica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655103B2 (en) * 2012-11-02 2017-05-16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9131368B2 (en) * 2012-11-02 2015-09-08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O2014119246A1 (ja) * 2013-01-29 2014-08-0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WO2014123335A1 (en) * 2013-02-05 2014-08-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902962T3 (es) 2013-02-28 2022-03-30 Huawei Tech Co Ltd Método y dispositivo de configuración de recursos de radio
US9485777B2 (en) * 2013-03-14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wireless communications
EP2991238B1 (en) * 2013-04-25 2022-1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US20160050667A1 (en) * 2014-08-18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on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MX2017007786A (es) * 2014-12-15 2017-10-02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Programacion de recursos de enlaces ascendentes en multiples instantes de tiempos.
US10153857B1 (en) 2015-04-10 2018-12-11 Marvell International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rotection
US9974093B2 (en) * 2015-04-29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Slotted sub-band duplex frame structure design in a wideband time-division duplex system
US10231191B2 (en) * 2015-06-16 2019-03-12 Lg Electronics Inc. Interference alleviation method and apparatus performed by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6755298B2 (ja) * 2015-07-06 2020-09-1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のためのリソース割り当て
CN106612524A (zh) * 2015-10-26 2017-05-03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资源块rb的配置方法及装置
JP2019149591A (ja) * 2016-07-14 2019-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8016828A1 (ko) * 2016-07-17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CN113472503B (zh) * 2016-11-04 2022-1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带宽的配置方法及发射节点
GB2559383B (en) * 2017-02-03 2021-09-22 Vodafone Ip Licensing Ltd Transmission time frame structure for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US10819405B2 (en) * 2017-12-04 2020-10-27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Mitigating beam squint in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201905222D0 (en) 2019-04-12 2019-05-29 Airspan Networks Inc Air-to-ground (ATG)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11419123B2 (en) * 2019-05-03 2022-08-1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cancellation
US11729050B2 (en) 2019-11-14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s for full-duplex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099883A1 (en) * 2021-09-24 2023-03-30 Qualcomm Incorporated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ilot allocation sizes
KR20240022132A (ko) * 2022-08-11 2024-0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간섭 제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2692A1 (en) * 2008-03-10 2009-10-22 Kim Olszewski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sized resource block allocation within ofdma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5068B1 (en) * 1999-05-21 2005-08-02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62810B2 (en) * 1999-05-21 2013-06-11 Wi-Lan,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obtaining bandwidth allocation requests
EP1530388A1 (en) * 2003-11-06 2005-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power level setting during channel assignment for interference balancing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81305B1 (en) * 2005-10-04 2013-06-26 Sharp Kabushiki Kaisha A paging method, a mobile station device and a base station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JP2007124578A (ja) * 2005-10-31 2007-05-17 Ntt Docomo Inc 複数の信号帯域幅を定義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受信帯域幅設定方法、移動端末および基地局
US20070232349A1 (en) * 2006-04-04 2007-10-04 Jones Alan E Simultaneous dual mode operation in cellular networks
KR101082978B1 (ko) * 2006-09-18 2011-11-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스펙트럼 대역에서 큐 오 에스 데이터를 위치시켜 보호 대역 크기 조절
US8532605B2 (en) * 2007-08-09 2013-09-1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Determining a receiving quality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140102B2 (en) * 2007-08-14 2012-03-20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WO2009038350A1 (en) *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pping physical resource to logical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22567B2 (ja) * 2008-01-07 2014-02-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電力が制限された端末での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
US8670419B2 (en) * 2008-02-01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ra-user quality of service uplink scheduling
JP4982409B2 (ja) * 2008-03-06 2012-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US8249029B2 (en) * 2008-03-28 2012-08-21 Qualcomm Incorporated Low reuse preambl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U2441349C1 (ru) * 2008-06-23 2012-01-27 Нтт Досомо, Инк.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KR20100011879A (ko) * 2008-07-25 2010-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US8325661B2 (en) * 2008-08-28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8310921B2 (en) * 2008-09-04 2012-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andom access in a wireless system
US8031670B2 (en) * 2008-11-13 2011-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the size of a control region of a downlink subframe
US20100124181A1 (en) * 2008-11-17 2010-05-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908595B2 (en) * 2009-03-12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itigation in access point base stations
WO2010112066A1 (en) * 2009-03-31 2010-10-07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ling ue emissions for avoiding self-interference and for demanding coexistence situations
US9565011B2 (en) * 2009-06-04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cross-subframe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8600424B2 (en) * 2009-06-19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in a heterogeneous network
PT2464048T (pt) * 2009-08-07 2019-01-23 Sun Patent Trust Dispositivo terminal e método de controlo de retransmissão
US20110230144A1 (en) * 2010-03-17 2011-09-22 Iana Siomina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604081A4 (en) * 2010-08-12 2016-10-19 Nokia Technologies Oy CONFIGURING AN UPLINK AND DOWNLINK DIVISION DIAGRAM FOR 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US8908571B2 (en) * 2010-10-01 2014-12-09 Clearwire Ip Holdings Llc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networks
US8830923B2 (en) * 2010-11-05 2014-09-09 Intel Corporation Bandwidth adaptation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2692A1 (en) * 2008-03-10 2009-10-22 Kim Olszewski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sized resource block allocation within ofdma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0198A1 (en) 2015-07-01
JP2014515230A (ja) 2014-06-26
JP5969592B2 (ja) 2016-08-17
US20120263117A1 (en) 2012-10-18
EP2890198B1 (en) 2019-05-08
EP2698019A1 (en) 2014-02-19
EP2698019B1 (en) 2017-11-01
KR20140002037A (ko) 2014-01-07
WO2012141882A1 (en) 2012-10-18
EP2890197A1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3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들 사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5971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들 사이의 간섭 감소와 연계하여 채널의 전송 대역폭 구성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575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2개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09702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4124328B (zh) 无线通信系统中接收下行链路数据的方法和设备
EP2759076B1 (en) Syste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of a narrowband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wideband and narrowband terminals
KR102036161B1 (ko) 방송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749341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参考信号设计
CN108496388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KR20190002439A (ko) 무선시스템에서의 기준 신호 측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4283A (ko) 비대칭 캐리어 집성에서 충돌들을 갖는 사운딩 참조 신호들
CN115701011A (zh) 用于窄带lte操作的方法和过程
CN113615244A (zh) 用户设备、基站和方法
CN112492613A (zh) 在支持未授权带的无线接入系统中执行cca的方法及其装置
CN112514484A (zh) 用于每个载波多个激活带宽部分的方法和系统
US119437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9145870A (j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2200184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30095232A (ko) 협력 멀티 포인트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7479214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信道状态信息参考资源的方法和设备
CN117479215A (zh) 用于半双工下的信道状态信息参考资源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