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279B1 - 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 Google Patents

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279B1
KR101526279B1 KR1020140051876A KR20140051876A KR101526279B1 KR 101526279 B1 KR101526279 B1 KR 101526279B1 KR 1020140051876 A KR1020140051876 A KR 1020140051876A KR 20140051876 A KR20140051876 A KR 20140051876A KR 101526279 B1 KR101526279 B1 KR 10152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upport
adventure
wire cab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어드벤처닷케이알(주)
길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처닷케이알(주), 길승환 filed Critical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to KR102014005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2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board for adventure experience facilities. A step board for adventure experience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oard for the adventure experience facilities enabling a user to experience adventures using coupling facilities installed between columns made of nature wood or treated woo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connecting the columns with a wire cable while supporting a user to stand on by being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s of the columns, includes lower beam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install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central upper beam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in the upper central parts of each lower beam; both upper beam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both ends of the lower beam across the central upper beams; and multiple supporting plate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upper beams and both upper beams to support the user while the user is stood on the step board.

Description

모험 시설용 발판{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본 발명은 모험 시설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각 기둥 사이에 체험자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모험 시설물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 기둥의 특정 높이에 설치되는 모험 시설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installed at a specific height of each column for safely using various adventure facilities, .

일반적으로 놀이시설이나 훈련장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모험 시설물은 지면에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을 입설시키고, 입설된 기둥의 사이에 모험물을 설치하여 기둥을 오르거나 그 상부에 마련된 모험물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Generally, the adventure facilities used in the playgrounds and the training grounds include a plurality of pillars formed of natural wood or shelter poles on the ground, installing the adventures between the installed pillars, climbing the pillars, or passing the adventures provided on the pillars .

이러한 모험 시설물은 그물, 로프 또는 사다리와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체험자는 그물, 로프 또는 사다리를 오르내리거나 수평 또는 사선으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체험에 따라 신체의 리플레쉬와 스트레칭 그리고 팀웍 및 팀빌딩, 경쟁과 협력, 솔선수범, 의사소통, 도전의식, 문제해결, 상호존중, 신뢰와 책임감, 원만한 관계형성, 자신감 등 전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These adventure facilities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such as nets, ropes or ladders, which allow the experience to refine and stretch the body in various ways, such as raising or lowering nets, ropes or ladders, moving horizontally or diagonally, They can receive full education including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itiative, communication, challenge awareness, problem solving, mutual respect, trust and responsibility, good relationship, confidence.

상기 모험 시설물에는 상기 모험물을 통과할 때 체험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가이드 케이블을 설치하게 되고, 또한 체험자의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로프가 연결되는 빌레이 케이블을 기둥과 기둥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한다.A guide cable is installed in the adventure facility to protect the user when passing through the adventure, and a belay cable to which a safety rope for preventing fall of the user is connected is install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또한, 모험 시설물의 기둥에는 체험자가 지상에서부터 계단, 로프 사다리, 네트 등을 이용하여 기둥의 일정높이에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illar of the adventure facility is equipped with a footrest so that the experimenter can ascend from the ground to a certain height of the pillar by using stairs, rope ladder, net,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험 시설물은 야외에 설치되는 바, 자연목이 적용된 기둥일 경우, 지역 기후에 따른 성장 정도를 고려해 와이어 케이블을 정기적으로 풀어줘야 하는데, 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와이어 케이블이 기둥 속으로 파고 들어가 자연목이 죽어버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dventure facility installed in the outdoors, when the natural column is applied to the column, the wire cable should be released regularly 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rate depending on the local clima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natural throat may die.

또한, 발판을 자주 사용하고 기둥 간 연결되는 체결물이 발판 상부에 체결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발판의 공간이 협소해지고, 체험자가 발판 위에 돌출된 각종 체결물에 의해 걸리는 등 장애요소로 작용하여 체험활동이 불편해지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inevitable to frequently use the footrests and to fasten the joints between the pillars to the upper part of the footrests, the space of the footrests becomes narrow and the participants are caught by the various fasten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footres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becomes uncomfortable.

또한, 체험자의 지속적인 하중이 발판에 작용함에 따라, 발판과 기둥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기둥 하부로 일부 미끄러져 내려가거나, 흔들림이 발생되고, 발판보다 높거나 낮게 기둥 사이의 연결 체험물이 체결됨에 따라 체험자가 출발 및 도착 시의 이동에 많은 불편함과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Also, as a continuous load of the user acts on the foot plate,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foot plate and the pillars, and a part of the slip is lowered or shaken to the lower part of the pillars. Accordingly, the disadvantages that the user experiences a lot of inconveniences and safety incidents during the departure and arrival movements are increased.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험 시설물에서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기둥에 가해지는 부하 및 성장 중단을 감소시키면서 시공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nstalling a stowing apparatu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ooting for an adventure facility that facilitates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while reducing interruptions.

또한, 각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을 하부에서 발판과 그 높이를 유사하게 하여 설치하여 체험자가 상부에서 걸리는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체험자의 이동 불편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체험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동 공간 확보를 통해 2인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체험활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the passengers from moving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of the passengers by eliminating the obstacle which the passenger hangs from the upper part by providing the connecting joints connecting the pillars between the lower part and the foot plat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ooting for an adventure facility that prevents two people from using in advance, and secures a moving space so that experience activities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은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을 지면에 설치하고, 각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 시설물을 통해 체험자가 모험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모험 시설물에서 상기 기둥 상의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올라 설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각 기둥 사이를 와이어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모험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상기 기둥의 양측에서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되는 하단보; 상기 각 하단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앙 상단보; 상기 중앙 상단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하단보의 양단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양측 상단보; 및 체험자가 올라 선 상태로 체험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 상단보와 상기 양측 상단보의 상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지지판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otstep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ar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protective collar on a ground surface, and enables a user to experience adventure activities through a fastening facility installed between the pillars A pedestal for an adventure facility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columns with a wire cable, the pedestal being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column at an adventure facility, Bottom beam installed; A center top beam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enter of each lower beam with the column therebetween; A pair of upper and lower upper beams mounted on both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lower beams with the central upper end bea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mounted on the upper center beam and the upp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upper beams so as to support the user in a raised state.

상기 각 하단보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과 맞닿는 일면 중앙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과 상기 장착홈의 사이에 패드부재를 개재시켜 장착되며, 체결볼트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Each lower end of the column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and is mount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mounting groove with a pad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장착홈은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as a concave roun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상기 중앙 상단보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과 맞닿는 일면 중앙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과 상기 지지홈의 사이에 패드부재를 개재시켜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아이볼트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The center upper end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and is mounted through a pad member between the column and the support groove. have.

상기 양측 상단보는 상기 아이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와이어 홀이 형성될 수 있다.And wire hole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ye bolts on both upper end views.

상기 지지홈은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groove may be formed as a concave roun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상기 패드부재는 그 재질이 일정두께를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d member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중앙 상단보와 상기 양측 상단보는 상기 하단보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center upper end beam and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end beam.

상기 지지판은 상기 중앙 상단보와 상기 양측 상단보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may be mounted verticall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upper end beam and the upper end upper end beam.

상기 하단보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상단보와 상기 양측 상단보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view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central upper end beam and the upper end views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상기 하단보와, 상기 중앙 상단보와, 상기 양측 상단보와, 상기 지지판은 그 재질이 목재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beam, the center upper beam, the upper beam, and the support plate may be made of a wood material.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은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을 지면에 설치하고, 각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체결 시설물을 통해 체험자가 모험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모험 시설물에서 상기 기둥 상의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체험자를 지지하면서, 각 기둥 사이를 와이어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모험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패드부재를 개재시켜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착부; 일단이 상기 장착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체험자가 올라 선 상태로 체험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익스펜디드 메탈판을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is provided with a pillar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backing pillar on the ground, and an adventure facility for allowing an experiencer to experience adventure activities through a fastening facility installed between the pillars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column to support an experiencer so that the experience can be lifted up, and connecting between the pillars by a wire cable, the foot plate being mounted on the column with a pad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connector is connected;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periphery of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by mutually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s; And an expanded metal plate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support the experiencer in a raised state.

상기 장착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으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결합단을 통하여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pillars therebetween through a coupling end integrally bent from both ends.

상기 결합단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아이볼트가 장착될 수 있다.And an eye bolt to which the wire cable is connected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end.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s may be radially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연결부는 반원형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semicircular ring.

상기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는 그 재질이 스틸소재의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made of a steel material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can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기둥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기둥에 지지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may be supported on the column through at least one support bracke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lum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기둥에 체결밴드를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The support bracket may be mounted to the column through a fastening band.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장착부에서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둥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bracket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bracket is inclined from the column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mount portion.

상기 장착부는 반원형 또는 상호 결합된 형상이 원형을 이루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or fan-like shape having circular shapes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about the pillar.

상기 패드부재는 그 재질이 일정두께를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d member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as it does not mean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must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로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Also,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the middle,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의하면, 모험 시설물에서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패드부재를 통하여 기둥에 가해지는 부하 및 성장 중단을 최소화하면서, 성장 및 기후변화에 따른 유격 발생으로 인한 흔들림 및 슬립 현상 발생을 방지하고, 시공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otstep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install the footstep for an adventure facility on a column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backing poles, while minimizing a load applied to the column through the pad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ocking and slip phenomenon due to the occurrence of clearance due to growth and climate change, and to facilitat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또한, 각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을 발판의 하부에서 발판과 높이차이 없이 비슷하게 설치함에 따라, 발판의 상부에 배치 될 수 있는 각종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체험자의 발이 각종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체험자의 출발 및 도착 시에 이동 불편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s connecting the pillars are similar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oot plate with no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foot plate, the various obstacles that may be disposed on the foot plate are removed so that the foot of the participant is not caught by various obstacles Thereby preventing movement inconvenience at the time of departure and arrival of an experienced person,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또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의 설치 시, 발판을 통해 높이 단차를 최소화한 상태로 설치하여 기둥에 직접 와이어 케이블을 감지 않아도 됨으로써, 기둥의 성장 및 기후변화에 따라 정기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의 장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 작업 및 관리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connecting joint connecting the column and the column, it is installed with the height step difference minimized through the foot plate so that the wire cable is not directly detected on the column. Thus, the tension of the wire cable There is also an effect of reducing work and management costs.

또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의 설치 시, 발판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기둥에 직접 와이어 케이블을 감지 않아도 됨으로써, 기둥의 성장 및 기후변화에 따라 정기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 작업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wire cable regularly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column and the change of the climate,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joint connecting the column and the column is installed through the foot plate, There is also a reduction effect.

아울러, 발판의 상부에서 이동 공간 확보를 통해 2 인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체험활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securing the moving space at the upper part of the scaffolding, it is possible to use the two persons safely and conveniently, thereby making the experience activity more smoo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하단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중앙 상단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중앙 상단보와 양측 상단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지지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서 익스펜디드 메탈 장착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ting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lower beam applied to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center top beam applied to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center upper end beam and both upper end beams applied to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support plate applied to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xpanded metal is mounted on the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n escutcheon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 footrest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하단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중앙 상단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중앙 상단보와 양측 상단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 적용되는 지지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lower beam applied to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center upper end beam and both upper end beams applied to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support plate applied to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100)은 모험 시설물에서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10)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기둥(10)에 가해지는 부하 및 성장 중단을 감소시키면서 시공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oot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installed in a pillar 10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protective poles in an adventure facility, and a load applied to the pillar 10 and a growth stop So as to facilitat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또한, 각 기둥(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을 하부에서 발판(100)과 그 높이를 유사하게 하여 설치하여 체험자가 상부에서 걸리는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체험자의 이동 불편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체험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사연에 예방하고, 이동 공간 확보를 통해 2인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체험활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모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from moving by installing the connecting fastener connecting between the pillars 10 at a similar height to the foot plate 100 at the bottom,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by the learners, and securing the space for moving, the two people can use freely, so that the experiential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more smoothl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10)을 지면에 다수개 설치하고, 각 기둥(10)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 시설물을 통해 체험자가 모험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모험 시설물에서 상기 기둥(10) 상의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올라 설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각 기둥(10) 사이를 와이어 케이블(W)로 연결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 하단보(110), 중앙 상단보(120), 양측 상단보(130), 및 지지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a foot plate 100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ar 10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backing pillar on the ground, (1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column (10) so as to allow the experience person to stand on an adventure facility that allows the experience person to experience the adventure activity through the fastening facilities installed on the column W, and includes a lower beam 110, a center upper beam 120, upper beam 130, and a support plate 140.

여기서, 상기 기둥(10)은 자연상태 그대로의 자연목이나 통나무로 제작된 방부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가 지면에 일정부분 견고하게 타설된 상태로 모험 시설이 설치되는 장소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lumn 10 may be formed of a natural pole made of a natural tree or a log as it is in a natural state, and a plurality of blocks may be provided at a place where an adventure facility is installed have.

이러한 기둥(10)은 자연목 또는 방부폴 등의 나무 및 목재로 형성되거나 스틸소재의 원형 봉 또는 스틸 강관 또는 사각관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나무나 목재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column 10 may be formed of wood or wood such as a natural wood or a bearing pole, or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teel round bar, a steel steel pipe or a square pipe. In this embodiment, the column 10 is made of wood or wo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상기 하단보(1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상기 기둥(10)의 양측에서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상승된 위치에 설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lower beam 1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10 installed on the ground, at a position elevated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여기서, 상기 각 하단보(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기둥(10)의 외주면과 맞닿는 일면 중앙에 장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0)과 상기 장착홈(111)의 사이에 패드부재(150)를 개재시켜 장착된다.Each of the lower beams 110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111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mounting groove 111 Is mounted via the pad member (150).

이러한 각 하단보(11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10)의 양측에서 상기 장착홈(111)에 패드부재(150)를 개재시킨 상태로, 체결볼트(113)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Each of the lower beams 110 is formed of a ro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111 at both sides of the column 10 with the pad member 150 interposed therebetween. ). ≪ / RTI >

상기 장착홈(111)은 원통 형상의 상기 기둥(1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111 may be formed as a concave roun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lumn 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상단보(12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하단보(110)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기둥(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center upper end beam 12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center of the lower end beam 110 with the column 10 interposed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중앙 상단보(120)는 상기 기둥(10)의 외주면과 맞닿는 일면 중앙에 지지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0)과 상기 지지홈(121)의 사이에 패드부재(150)를 개재시켜 장착된다.The center top beam 120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121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10 and a pad member 150 is interposed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support groove 121. [ .

이러한 중앙 상단보(120)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W)이 연결되는 아이볼트(123)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The center top beam 120 may be assembled through the eye bolts 123 to which the wire cables W are connected.

상기 지지홈(121)은 원통 형상의 상기 기둥(1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groove 121 may be formed as a concave roun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lumn 1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부재(150)는 그 재질이 일정두께를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d member 15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ertain thickness.

따라서, 상기 패드부재(150)는 상기 기둥(10)이 자연목이나 방부폴로 형성될 경우, 기후환경이나 성장에 따라 기둥(10)의 직경이나 휘어짐 등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어 상기 하단보(110)와 중앙 상단보(120)가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기둥(10)에 장착된 초기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lumn 10 is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backing pillar, the pad member 150 can absorb changes in diameter or warpage of the column 10 according to the climate environment or growth, 110 and the center top beam 120 are stably installed in the column 10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패드부재(150)는 체험자의 몸무게 하중에 의한 부하로 상기 기둥(10)과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러짐 또는 슬립현상과 기둥(10)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d member 150 can prevent a slip phenomenon or a slip phenomenon that may occur between the pad member 150 and the column 10 due to a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홈(111)과 상기 지지홈(121)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기둥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groove 111 and the support groove 121 are formed as concave round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owev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thereof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lum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양측 상단보(1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상단보(1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하단보(110)의 양단 상부에 각각 장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side upper side beams 130 are mounted on both upper ends of the lower side beams 110 with the central upper-side beam 120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이러한 양측 상단보(130)는 상기 아이볼트(123)에 장착되는 와이어 케이블(W)이 관통되도록 상기 아이볼트(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와이어 홀(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 홀(131)을 통하여 원활하게 와이어 케이블(W)을 장착하게 된다.A wire hole 13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yebolt 123 so that the wire cable W mounted on the eye bolt 123 passes through the wire 130, The wire cable W can be smoothly mounted through the wire 131. [

여기서, 상기 중앙 상단보(120)와 상기 양측 상단보(130)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보(110)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교되게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center upper beam 120 and the both upper beam 13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may be orthogonally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beam 110.

그리고 상기 지지판(14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험자가 올라 선 상태로 체험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 상단보(120)와 상기 양측 상단보(130)의 상부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된다.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plate 140 has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rtions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upper beam 120 and the upper ends of the upp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beams 130 so as to support the experimenter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지지판(140)은 상기 중앙 상단보(120)와 상기 양측 상단보(130)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교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각 사이사이에 일정간격의 갭을 형성하여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상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Here, the support plate 140 may be installed orthogonally to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upper end beam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upper end beam 130, Thereby preventing rainwater, foreign matter, and the like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하단보(110)와, 상기 중앙 상단보(120)와, 상기 양측 상단보(130)와, 상기 지지판(140)은 그 재질이 목재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 상단보(130)는 하단보(110)의 양단 상부에 볼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을 통해 조립되고, 각각의 지지판(140)도 중앙 상단보(120)와 양측 상단보(130)에 볼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The upper beam 110, the upper center beam 120, the upper beam 130, and the support plate 140 may be made of a wood material, The support plate 140 is assembled by mechanical fastening using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or rivets on both ends of the lower end beam 110. The support plates 140 are also attached to the upper end beam 120 and the upper end beams 130 It can be assembled through mechanical fastening using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or rivet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 footstool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10)에 장착되는 상기 발판(100)은 상기 각 중앙 상단보(120)를 상호 연결하여 기둥(10)에 장착하는 아이볼트(123)에 와이어 케이블(W)을 연결하고, 이 와이어 케이블(W)을 양측 상단보(130)의 와이어 홀(131)을 관통시켜 미도시된 다른 기둥(10)에 장착된 발판(100)의 아이볼트(123)에 팽팽하게 연결하게 된다.The pedestal 100 mounted on the pillar 10 is connected to the eye bolts 123 attached to the pillar 10 by interconnecting the respective upper center beams 120 with wire cables And the wire cable W is passed through the wire hole 131 of the upper side upper beam 130 to be connected to the eye bolt 123 of the foot plate 100 mounted on the other pillar 10 It is tightly connected.

그런 후, 와이어 케이블(W)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구름다리(20)를 설치하여 체험자가 이 구름다리(20)를 건너서 다른 기둥(10)을 향하여 이동하는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Thereafter, a cloud bridge 20 spaced apart from the wire cable W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W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crossing the bridge bridge 20 and moving toward the other column 10. [

이 때, 상기 구름다리(20)는 상기 지지판(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중앙 상단보(120)에서 아이볼트(123)를 통해 연결된 와이어 케이블(W)의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지지판(140)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에 위치되어 체험자가 발을 딛는 높이 단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rane leg 2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W connected to the upper end beam 120 via the eye bolts 123,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plate 14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ep height of the user's feet.

이에 따라, 체험자는 각 기둥(10) 사이를 구름다리(20)를 통해 오갈 때, 출발하는 기둥(10)의 발판(100)에서 구름다리(20)를 원활하게 딛으면서 출발하여 이동할 수 있고, 구름다리(20)로부터 도착하는 다른 기둥(10)에서 도착하는 발판(100)을 원활하게 딛으면서 도착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모험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This allows the experimenter to start and move while smoothly touching the rolling leg 20 at the foot plate 100 of the starting pillar 10 when the walker goes through the pivot bridge 20 between the pillar 10, It can arrive smoothly on footpath 100 arriving from another pillar 10 arriving from cloud bridge 20 so that adventure facilities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케이블(W)의 상부에 구름다리(20)를 설치하여 체험자가 체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 케이블(W)에 로프나 브릿지 등의 다양한 연결 체결물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체험자가 다양한 연결 체결물의 체험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erience of the experienced person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rolling bridge 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ridge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experience a variety of connected fasteners through the experien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에서 익스펜디드 메탈판 장착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측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xpanded metal plate is mounted on a foot plate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an escutche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an escutche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200)은 모험 시설물에서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10)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기둥(10)에 가해지는 부하 및 성장 중단을 감소시키면서 시공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edestrian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installed on a column 10 formed of a natural tree or a barrier poles in an adventure facility, and a load applied to the column 10 and growth Make it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while reducing interruptions.

또한, 각 기둥(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을 하부에서 발판(100)과 그 높이를 유사하게 하여 설치하여 체험자가 상부에서 걸리는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체험자의 이동 불편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체험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사연에 예방하고, 이동 공간 확보를 통해 2인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체험활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모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from moving by installing the connecting fastener connecting between the pillars 10 at a similar height to the foot plate 100 at the bottom,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by the learners, and securing the space for moving, the two people can use freely, so that the experiential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more smoothl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10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10)을 지면에 다수개 설치하고, 각 기둥(10)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 시설물을 통해 체험자가 모험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모험 시설물에서 상기 기둥(10) 상의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올라 설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각 기둥(10) 사이를 와이어 케이블(W)로 연결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 장착부(210), 지지부(220), 연결부(230), 및 익스펜디드 메탈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7, a plurality of posts 10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barrier poles are provided on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posts 10 formed between the posts 10 (1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column (10) so as to allow the experience person to stand on an adventure facility that allows the experience person to experience the adventure activity through the fastening facilities installed on the column W,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10, a supporting portion 220, a connecting portion 230, and an expanded metal plate 240. [

여기서, 상기 기둥(10)은 자연상태 그대로의 자연목이나 통나무로 제작된 방부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가 지면에 일정부분 견고하게 콘크리트 타설 및 고정앵커가 설치된 상태로 모험 시설이 설치되는 장소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lumn 10 may be formed of a natural pole made of a natural tree or a log as it is, and a place where an adventure facility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concrete pouring and fixed anchors are firmly installed May be provided.

이러한 기둥(10)은 자연목 또는 방부폴 등의 나무 및 목재로 형성되거나 스틸소재의 원형 봉 또는 스틸 강관 또는 사각관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나무나 목재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column 10 may be formed of wood or wood such as a natural wood or a bearing pole, or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teel round bar, a steel steel pipe or a square pip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상기 장착부(210)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00)에 패드부재(250)를 개재시켜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케이블(W)이 연결된다.7 to 9, the mounting portion 210 is mounted on the column 100 with a pad member 25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wire cable W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부재(250)는 그 재질이 일정두께를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d member 25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ertain thickness.

따라서, 상기 패드부재(250)는 상기 기둥(10)이 자연목이나 방부폴로 형성될 경우, 기후환경이나 성장에 따라 기둥(10)의 직경이나 휘어짐 등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어 상기 장착부(210)가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기둥(10)에 장착된 초기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lumn 10 is formed of a natural neck or a protective collar, the pad member 250 can absorb changes in the diameter and warpage of the column 10 depending on the climate environment and growth, ) Stably maintains the initial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column 10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패드부재(250)는 체험자의 몸무게 하중에 의한 부하로 상기 기둥(10)과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러짐 또는 슬립현상과 기둥(10)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d member 250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page or slip phenomenon that may occur between the pad member 250 and the column 10 due to a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and a clearance between the column 10 and the pad member 250 .

여기서, 상기 장착부(21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으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결합단(211)을 통하여 상기 기둥(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column 10 therebetween through a coupling end 211 integrally bent from both ends.

상기 결합단(211)은 상기 장착부(210)가 기둥(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여 각각 면 접촉된 상태로, 볼트나 리벳 등의 기계적 체결이나 용접 등을 통하여 상호 접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ends 211 may b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mechanical fastening such as bolts or rivets, welding,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portions 21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pillars 10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결합단(211)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W)이 연결되는 아이볼트(213)가 장착될 수 있으며, 아이볼트(213)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샤클, 턴버클, 소켓, 링크 등의 적용도 가능하다.The connection terminal 211 may be equipped with an eye bolt 213 to which the wire cable W is connected and may be applied with a shackle, a turnbuckle, a socket, a link or the like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eyebolt 213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20)는 일단이 상기 장착부(210)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22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one end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10.

여기서,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장착부(210)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각 장착부(210)에 대응하여 하나의 장착부(210)에 4 개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220 is radially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an angle of 45 degre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art 210 and has a mounting part 210 corresponding to each mounting part 210 formed in a semi- Each of which may be integrally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210)는 상기 기둥(10)을 사이에 두고 결합 시, 각 결합단(210)과 함께, 양단에 위치되는 각 지지부(220)가 다른 장착부(220)의 양단에 위치되는 각 지지부(220)와 접촉된 상태로 볼트나 리벳 등의 기계적 체결이나 용접 등을 통하여 상호 접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portion 210 is coupled with the column 10 there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s 220 positioned at both ends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other mounting portion 220 together with the coupling ends 210 They may b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mechanical fastening such as bolt or rivet or weldin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부(210)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기둥(10)에 결합된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설정각도로 분리된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장착부(21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기둥(10)에 장착 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odified such that the shape coupled to the column 10 is circular, And the mounting portions 2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mount the mounting portions 210 on the column 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장착부(210)에 대응하여 반원형 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부(220) 타단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230 is formed as a semicircular ring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210, and the other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220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익스펜디드 메탈판(240)은 원형의 철판망으로서, 체험자가 올라 선 상태로 체험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220)의 상부에 장착된다.The expanded metal plate 240 is a circular iron net,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220 so as to support the experience person in a raised stat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장착부(210)와, 상기 지지부(220)와, 상기 연결부(230)는 그 재질이 스틸소재의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210, the supporting portion 2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0 may be made of a steel material such as steel,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20)는, 도 7과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기둥(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22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260)을 통하여 상기 기둥(10)에 지지된다.7 and 10, one end of the support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column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220. At this time, Is supported on the column (10) through a bracket (260).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260)은 상기 장착부(210)로부터 일정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둥(10)에 장착되는 체결밴드(270)를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bracket 260 may be mounted through a fastening band 270 mounted on the column 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portion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지지브라켓(260)은 일단이 상기 장착부(210)에서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체결밴드(27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기둥(10)으로부터 상기 지지부(220)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upport bracket 260 is fixed to the fastening band 270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210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from the column 10 towar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20. [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260)은 상기 기둥(10)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밴드(27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2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90°각도로 이격된 위치에서 4개가 상기 지지부(220)와 연결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지지브라켓(260)의 개수 및 위치는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Here, the support bracket 26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illar 10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band 270 to support the support portion 220. The support bracket 26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220 at four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90 degre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support bracket 260 may be changed Do.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 footrest for an adven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10)에 장착되는 상기 발판(200)은 상기 장착부(210)의 결합단(211)에 장착된 아이볼트(213)에 와이어 케이블(W)을 연결하고, 이 와이어 케이블(W)을 미도시된 다른 기둥(10)에 장착된 발판(200)의 아이볼트(213)에 팽팽하게 연결하게 된다.The pedestal 200 mounted on the pillar 10 connects the wire cable W to the eye bolt 213 mounted on the coupling end 211 of the mounting part 210 And the wire cable W is tightly connected to the eye bolt 213 of the foot plate 200 mounted on the other column 10 (not shown).

그런 후, 와이어 케이블(W)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구름다리(20)를 설치하여 체험자가 이 구름다리(20)를 건너서 다른 기둥(10)을 향하여 이동하는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Thereafter, a cloud bridge 20 spaced apart from the wire cable W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W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crossing the bridge bridge 20 and moving toward the other column 10. [

이 때, 상기 구름다리(20)는 상기 익스펜디드 메탈판(240) 또는 메탈망의 하부에 위치되는 와이어 케이블(W)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익스펜디드 메탈판(240) 또는 메탈망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에 위치되어 체험자가 발을 딛는 높이 단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olling bridge 20 is mounted on the expanded metal plate 240 or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W positioned under the metal mesh, so that the expanded metal plate 240 or the metal mesh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ep height of the user's feet.

이에 따라, 체험자는 각 기둥(10) 사이를 구름다리(20)를 통해 오갈 때, 출발하는 기둥(10)의 발판(200)에서 구름다리(20)를 원활하게 딛으면서 출발하여 이동할 수 있고, 구름다리(20)로부터 도착하는 다른 기둥(10)에서 도착하는 발판(200)을 원활하게 딛으면서 도착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모험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This allows the user to start and move while smoothly touching the rolling leg 20 at the foot plate 200 of the starting pillar 10 when going through the pillar 10 between the pillar 10,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ach the footstep 200 arriving from the other pillar 10 arriving from the cloud bridge 2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adventure facilities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케이블(W)의 상부에 구름다리(20)를 설치하여 체험자가 체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 케이블(W)에 로프나 브릿지 등의 다양한 연결 체결물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체험자가 다양한 연결 체결물의 체험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erience of the experienced person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rolling bridge 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ridge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experience a variety of connected fasteners through the experienc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험 시설용 발판(100, 200)에 의하면, 모험 시설물에서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10)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패드부재(150 ,250)를 통하여 기둥(10)에 가해지는 부하 및 성장 중단을 최소화하면서, 성장 및 기후변화에 따른 유격 발생으로 인한 흔들림 및 슬립 현상 발생을 방지하고, 시공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ootstep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footsteps 100 and 200 for an adventure facility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pillars 10 formed of natural wood or anti-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column 10 through the pad members 150 and 250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page due to the occurrence of clearance due to growth and climate change while minimizing the growth interruption and facilitat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an do.

또한, 각 기둥(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을 발판의 하부에서 발판(100, 200)과 높이차이 없이 비슷하게 설치함에 따라, 발판(100, 200)의 상부에 배치 될 수 있는 각종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체험자의 발이 각종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체험자의 출발 및 도착 시에 이동 불편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s connecting the pillars 10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oot plate in a similar manner to the foot plates 100 and 200 in a similar manner, various obstacles that can be placed on the foot plates 100 and 200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convenience of movement at the time of starting and arriving of the experient,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또한, 기둥(10)과 기둥(10)을 연결하는 연결 체결물의 설치 시, 발판(100, 200)을 통해 높이 단차를 최소화한 상태로 설치하여 기둥(10)에 직접 와이어 케이블(W)을 감지 않아도 됨으로써, 기둥(10)의 성장 및 기후변화에 따라 정기적으로 와이어 케이블(W)의 장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 작업 및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pillar 10 and the pillar 10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illar 10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step is minimized through the foot plates 100 and 200 to detect the wire cable W directly to the pillar 10 It is not necessary to regularly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cable W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column 10 and the change of the climate, thereby reducing the work and management cost.

아울러, 발판(100, 200)의 상부에서 이동 공간 확보를 통해 2 인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체험활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curing the moving space at the upper part of the footstools 100 and 200, the two persons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used, so that the experience activity can be smoothly perform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change.

10 : 기둥 W : 와이어 케이블
100, 200 : 발판 110 : 하단보
111 : 장착홈 113 : 체결볼트
120 : 중앙 상단보 121 : 지지홈
123, 213 : 아이볼트 130 : 양측 상단보
131 : 와이어 홀 140 : 지지판
150, 250 : 패드부재 210 : 장착부
211 : 결합단 220 : 지지부
230 : 연결부 240 ; 익스펜디드 메탈판
260 : 지지브라켓 270 : 체결밴드
10: Column W: Wire cable
100, 200: scaffold 110: lower beam
111: mounting groove 113: fastening bolt
120: center top beam 121: support groove
123, 213: Eye Bolt 130: Both upper side beams
131: wire hole 140: support plate
150, 250: pad member 210:
211: coupling end 220: support
230: connection 240; Expanded metal plate
260: support bracket 270: fastening band

Claims (22)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의 양측에서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되는 하단보;
상기 각 하단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앙 상단보;
상기 중앙 상단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하단보의 양단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양측 상단보; 및
체험자가 올라 선 상태로 체험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중앙 상단보와 상기 양측 상단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 상단보와 상기 양측 상단보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의 갭을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직교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 상단보와 상기 중앙 상단보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보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교되게 장착되어지며,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을 지면에 설치하고, 각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체결 시설물을 통해 체험자가 모험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모험 시설물에서 상기 기둥 상의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체험자를 지지하면서, 각 기둥 사이를 와이어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모험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중앙 상단보는 와이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아이볼트를 통해 상호 조립되어지며,
상기 양측 상단보는 상기 아이볼트에 장착되는 와이어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상기 아이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와이어 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홀을 통하여 와이어 케이블을 장착하며,
상기 기둥에 장착되는 상기 발판은 상기 각 중앙 상단보를 상호 연결하여 기둥에 장착하는 아이볼트에 와이어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 케이블을 양측 상단보의 와이어 홀을 관통시켜 다른 기둥에 장착된 발판의 아이볼트를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 케이블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름다리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중앙 상단보에서 아이볼트를 통해 연결된 상기 와이어 케이블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판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A bottom beam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t both sides of a column installed on the ground;
A center top beam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enter of each lower beam with the column therebetween;
A pair of upper and lower upper beams mounted on both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lower beams with the central upper end bea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gap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upper end beam and the upper end upper end beams so as to support the experimenter in a state in which the experimenter stands up, And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disposed orthogonally,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beam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beam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arranged orthogonally to the lower end beam,
This is an adventure facility that allows visitors to experience adventure activities through a connecting facility installed between the pillars by installing pillars made of natural wood or shelter poles on the ground and connecting the pillars to each other. In a footstep for an adventure facility for connecting an individual column with a wire cable,
The center upper end is assembled through an eye bolt to which a wire cable is connected,
And a wire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ye bolt so that the wire cable mounted on the eye bolt passes through the wire harness,
The footplate mounted on the column connects a wire cable to an eye bolt that connects each of the center upper end beams to the column and connects the wire cable to a wire hole of both upper end beams, And a bridge bridge which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connected through an eye bolt at a center upper end beam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Of the ventil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보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과 맞닿는 일면 중앙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과 상기 장착홈의 사이에 패드부재를 개재시켜 장착되며, 상기 기둥의 양측에서 상기 장착홈에 패드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체결볼트를 통해 상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view
Wherein a mounting groove is formed at a center of on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the mounting member is mounted with a pad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mounting groove,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상단보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과 맞닿는 일면 중앙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과 상기 지지홈의 사이에 패드부재를 개재시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upper view
Wherein a support groove is formed at a center of on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and a pad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support groove.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장착홈 또는 지지홈은
원통 형상의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드 진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The mounting groove or support groove
And the groove is formed as a concave roun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shaped colum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상단보는
상기 하단보의 양단 상부에 볼트 또는 리벳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기계적 체결을 통해 조립되며, 각각의 지지판도 중앙 상단보와 양측 상단보에 볼트 또는 리벳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을 통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wer beam are assembled by mechanical fastening using bolts or rivets, and each of the supporting plates is assembled through mechanical fastening using a bolt or a rivet fastening member to the center upper end beam and both upper end beams Features a footboard for adventure facilities.
기둥에 패드부재를 개재시켜 장착되며, 와이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착부;
일단이 상기 장착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체험자가 올라 선 상태로 체험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원형의 익스펜디드 메탈판 또는 메탈라스망을 포함하며,
자연목 또는 방부폴로 형성된 기둥을 지면에 설치하고, 각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체결 시설물을 통해 체험자가 모험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모험 시설물에서 상기 기둥 상의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체험자를 지지하면서, 각 기둥 사이를 와이어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모험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며, 각 결합단과 함께 양단에 위치되어 각 지지부가 다른 장착부의 양단에 위치되는 각 지지부와 접촉된 상태로 볼트 또는 리벳으로 기계적 체결 또는 용접을 통해 상호 접합되어지며,
상기 결합단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이 연결되는 아이볼트가 장착되어지며,
상기 익스펜디드 메탈판 또는 메탈라스망의 하부에 위치되는 와이어 케이블의 상부에는 구름다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A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pillar via a pad member and connected to the wire cable;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periphery of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by mutually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s; And
And a circular expanded metal plate or metal mesh net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 with the experience being raised,
This is an adventure facility that allows visitors to experience adventure activities through a connecting facility installed between the pillars by installing pillars made of natural wood or shelter poles on the ground and connecting the pillars to each other. In a footstep for an adventure facility for connecting an individual column with a wire cable,
The mounting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bolts or rivets by mechanical fastening or welding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supporting portion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other mounting portions, In addition,
An eye bolt to which the wire cable is connected is mounted on the coupling end,
Wherein a rolling bridg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cable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panded metal plate or the metal mesh.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장착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각 장착부에 대응하여 하나의 장착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ort
Wherein one end is radially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에 결합된 형상이 원형이 되며, 상기 기둥에 결합된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설정각도로 분리된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pedestal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shape coupled to the pillar is circular, and the shape coupled to the pillar is circula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부에 대응하여 반원형 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부 타단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semicircular ring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s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기둥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기둥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ort
Wherei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umn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column through at least one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제 10항에 있어서,
지지브라켓은
상기 장착부로부터 일정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둥에 장착되는 체결밴드를 통하여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장착부에서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체결밴드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기둥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대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bracke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astening band at a position where one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om the column,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20) in a slanting manner toward the supporting part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밴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험 시설용 발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bracket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s moun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band to support the suppor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1876A 2014-04-29 2014-04-29 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KR101526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76A KR101526279B1 (en) 2014-04-29 2014-04-29 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76A KR101526279B1 (en) 2014-04-29 2014-04-29 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279B1 true KR101526279B1 (en) 2015-06-05

Family

ID=5350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876A KR101526279B1 (en) 2014-04-29 2014-04-29 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27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42B1 (en) * 2018-08-10 2020-02-10 길승환 Deck structure in natural tree or treated pole safety
KR102189413B1 (en) * 2020-07-20 2020-12-11 (주)신흥이앤지 Two-person cooperative Exciting Experience facility
KR102354301B1 (en) 2021-10-28 2022-01-24 (주)신흥이앤지 Experience facility platform structure with excellent installation freedom
KR102420303B1 (en) 2022-01-24 2022-07-13 주식회사 지에스웹 Installation Structure of platform using by real trees
KR20220142262A (en) 2021-04-14 2022-10-21 윤치영 Playground with Sound
KR102641496B1 (en) * 2023-08-29 2024-02-28 어드벤처 주식회사 Eco-friendly safety frame system mounted on natural wo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769A (en) * 2007-03-23 2007-04-17 송수근 Repeater workbench for ladder
KR101246665B1 (en) * 2010-04-01 2013-03-25 홍경국 Supporting bracket and supporting device with safety net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769A (en) * 2007-03-23 2007-04-17 송수근 Repeater workbench for ladder
KR101246665B1 (en) * 2010-04-01 2013-03-25 홍경국 Supporting bracket and supporting device with safety net using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42B1 (en) * 2018-08-10 2020-02-10 길승환 Deck structure in natural tree or treated pole safety
KR102189413B1 (en) * 2020-07-20 2020-12-11 (주)신흥이앤지 Two-person cooperative Exciting Experience facility
KR20220142262A (en) 2021-04-14 2022-10-21 윤치영 Playground with Sound
KR102354301B1 (en) 2021-10-28 2022-01-24 (주)신흥이앤지 Experience facility platform structure with excellent installation freedom
KR102420303B1 (en) 2022-01-24 2022-07-13 주식회사 지에스웹 Installation Structure of platform using by real trees
KR102641496B1 (en) * 2023-08-29 2024-02-28 어드벤처 주식회사 Eco-friendly safety frame system mounted on natural wo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279B1 (en) Pedestrian Board for Adventure Play Facilities
KR101945159B1 (en) Double floor cable suspension pedestrian bridge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10060146B2 (en)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KR101556968B1 (en) Suspension pedestrian bridge integrated with parapet using parapet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US7896132B2 (en) Multi-level fall protection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KR101442558B1 (en) A mixed experience equipment
KR101449654B1 (en) Angle and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inspecting bridge
KR102075442B1 (en) Deck structure in natural tree or treated pole safety
CN206815163U (en) A kind of suspension cable construction bridge
CN206045250U (en) High-altitude outward bound frame
US20180296931A1 (en) Adventure Park
CN107227839B (en) Integrated support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and installation method
KR100585816B1 (en) A railing can be regulated height of veranda
KR101183081B1 (en) Joint structure of design fence
JP3306861B2 (en) Net for working at height
KR101339642B1 (en) The establishment method of a trampolin
KR101265139B1 (en) Bridge safe experience apparatus in the construction field
CN103924813B (en) A kind of electric power line steel tower and half space thereof
KR102372270B1 (en) Bridge pier safety check passage
KR200371027Y1 (en) Playing instrument
KR101100870B1 (en) Railing reinforcement a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RU206779U1 (en) FENCE TE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