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063B1 -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063B1
KR101526063B1 KR1020130106184A KR20130106184A KR101526063B1 KR 101526063 B1 KR101526063 B1 KR 101526063B1 KR 1020130106184 A KR1020130106184 A KR 1020130106184A KR 20130106184 A KR20130106184 A KR 20130106184A KR 101526063 B1 KR101526063 B1 KR 101526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device
mode
smart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574A (ko
Inventor
장달현
이승환
이희용
정호열
박창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063B1/ko
Priority to PCT/KR2014/008258 priority patent/WO2015034254A1/ko
Publication of KR2015002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스마트폰이 소정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를 등록한 다음, 단말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글자를 배치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단말장치를 하나의 큰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시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색다른 응원문화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a Message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메시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에 스마트폰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 소득증대 및 여가 활동시간 확대에 따라 다양한 공연과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응원 문화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응원 문화는 현재까지도 대부분이 개인의 경우 주로 막대기, 고무풍선, 머리띠 등을 이용하였고, 그룹 응원의 경우 경기장에서 플랜 카드, 카드 섹션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렇지만 상기의 응원문화를 위한 도구로 막대기나 고무풍선, 머리띠 등은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가 어렵고, 표현하고자 하는 문구가 극히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는 조명이 없는 공간에서도 응원이나 격려의 메시지를 표출할 수 있어야 하는데, 막대기나 고무풍선 등으로는 응원 문구 등을 나타낼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응원 도구는 응원이 끝나면 응원 도구를 수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응원 도구가 거리 응원의 경우 지자체 등에서 쓰레기 처리 비용 등이 불필요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플랜 카드나 카드 섹션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쓰레기 발생량이 많고, 이를 준비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플랜 카드나 카드 섹션에 문구가 이미 인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준비한 응원만 가능하다.
이에 현재의 응원도구를 발전시켜 다양한 표현과 이를 연동하여 대형 그룹 응원 도구로 확대하는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근래 공연장이나 경기장 등을 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원 문화가 일부 선보이고 있다. 스마트폰을 응원도구로 활용할 경우, 쓰레기 배출에 대한 염려가 없다. 또한 표출하고자 하는 응원문구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외 조명이 없는 어두운 장소에서도 응원, 격려 문구를 정확하게 표출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스마트폰은 개인들 각각의 소지품으로 개별적으로 문자를 입력하고 이를 표시하여 상대방에게 보여주는 형태이다. 이 경우 아주 근거리에 있는 상대방이라면 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상대방이 조금만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화면 사이즈 때문에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문구 등을 인지하기란 사실상 어려웠다. 또한 스마트폰에는 개인이 각자 입력한 문구 등이 표시되기 때문에 그룹 응원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개인이나 특정 모임이 가지는 색깔, 또는 자신들만의 생각이나 의견 등을 응원받는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색다른 응원문화를 필요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20-2006-0019784호(2006. 03.06, 전광판을 이용한 3차원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를 통해 다양한 응원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장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그룹 응원이 가능하게 하고, 상대방에게 자신들의 추구하는 응원 색깔을 정확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메시지 작성 툴(tool)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메시지 작성 툴(tool)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표시창에 모두 표시하는 하나의 단말장치 또는 표시창에 한 글자 이상을 각각 표시하는 복수 개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일괄 등록모드 또는 무작위 등록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단말장치 등록부; 상기 메시지 작성 툴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에 따라서 표현하는 모드 지원부; 상기 단말장치들의 위치 선정에 필요한 개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모드 선택부; 및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 전송모드로 셋팅된 된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를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전송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 모드는, 메시지의 글자 수와 표현 틀에 따라 글자 배치와 사용될 최적의 단말장치 개수가 지정되는 제1 모드, 및 사용할 단말장치 개수를 먼저 지정하면 작성된 메시지에 대한 최적화된 글자 배치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작성 툴은, 글자 입력부, 표현 틀 선택부, 움직임 틀 선택부 및 색상 틀 선택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모드 선택부;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표시하며, 상기 모드 선택부의 선택 동작에 따라 단말장치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표시창에는 단말장치마다 표시할 글자 정보, 글자 개수 및 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틀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등록 단계; 스마트폰에 메시지 입력 및 표현 틀이 선택되는 선택 단계; 상기 표현 들이 선택되면 글자 배치와 단말장치의 개수를 제공하는 자동 모드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개수가 지정되면 최적화된 글자 배치를 제공하는 수동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의 표현 방법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상기 메시지 표현 방법에 따라 정해진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표현 방법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메시지를 표시할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들의 위치 선정에 필요한 개별 위치정보를 포함된 구성 틀을 해당 단말장치로 함께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및 구성 틀은 상기 스마트폰 및 상기 단말장치가 전송 모드로 셋팅된 상태에서 전송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만 전송되고, 상기 전송 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폰 및 상기 단말장치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는 일시 중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스마트폰이 소정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를 등록하고, 그 단말장치가 메시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단말장치에 하나의 글자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단말장치들이 하나의 표시장치로 구동할 수 있어, 가시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키면서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색상, 움직임 등을 스마트폰 사용자나 자신이 속한 모임의 특성에 따라 제공할 수 있어, 색다른 응원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기대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를 보인 구성도로서, 하나의 스마트폰과 하나의 단말장치를 연동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과 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스마트폰 및 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N 개의 단말장치를 통해 메시지를 표현하는 실시 예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를 보인 구성도로서, 하나의 스마트폰과 하나의 단말장치를 연동한 구성 예이다.
스마트폰(100)과 단말장치(200)는 서로 블루투스(blue tooth), 무선랜(Wi-Fi), 지그비(ZigBee)나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CDMA)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폰(100)은 다음의 구성들을 포함한다. 이는 도 2를 참조한다.
단말장치(200)를 등록하기 위한 단말장치 등록부(110)가 구성된다. 단말장치 등록부(110)는, 예컨대 단말장치(200)의 고유번호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경우 단말장치(200)는 스마트폰(1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메시지 작성부(120)가 구성된다. 메시지 작성부(120)는 단말장치(200)에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구성이고, 아울러 표시되는 메시지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역할도 한다. 예컨대, 단말장치(200)의 표시창(230)에 메시지를 1열 또는 2열과 같은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되는 메시지의 표현 틀이나 메시지 색상, 깜빡임, 그리고 메시지의 움직임 상태 등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메시지 작성부(120)는 대부분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동되며, 따라서 이외의 메시지 표시를 위한 새로운 기능 등이 있을 경우 해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메시지 작성부(120)를 통해 완료된 메시지 및 그 형태는 스마트폰(100)의 미리보기 기능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기본적으로 단말장치 등록부(110) 및 메시지 작성부(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도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제어부(130)는 스마트폰(100)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메시지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는 RF 송신부(140)도 구성된다.
아울러 스마트폰(100)은 후술하는 모드 선택부(150), 및 모드 선택부(150)에 의해 전송 모드가 된 경우에만 조작 가능한 전송버튼(160)이 구성된다. 전송버튼(160)은 스마트폰(100)의 전송 모드 및 단말장치(200)의 표시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단말장치(200)는 스마트폰(100)이 전송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단말장치(200)가 단순히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단말장치(200)는 스마트폰이 사용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단말장치(200)를 스마트폰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경우에 따라서 동호회나 팬클럽 등은 자신들만의 특색있는 메시지를 표현하고자 하기 때문에 일부 추가 구매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위한 전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용 단말기 예로,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RF 수신부(210)와,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창(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및 표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20)도 구성된다.
한편, 스마트폰(100)과 단말장치(200)에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150)(240)가 구성된다. 모드 선택부(150)(240)가 선택되면, 스마트폰(100)의 경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가 되고, 단말장치(200)의 경우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모드가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스마트폰(100)에 하나의 단말장치(200)를 연동시키면 도 1과 같이 단말장치(200)의 표시창(230)에 일련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폰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에 상기 단말장치(200)를 등록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의 메시지 작성부(120)를 이용하여 단말장치(200)에 표시하고자 하는 메시지, 예컨대 '사랑해 !!!! 장미♥' 메시지를 작성한다. 사용자는 이렇게 작성된 메시지 형태를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확인하여 더 이상 수정할 내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후, 스마트폰 사용자 및 단말장치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150)(240)를 선택하면, 스마트폰(100)은 전송 모드가 되고, 단말장치(200)는 표시 모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스마트폰 사용자는 전송버튼(160)을 조작하면, 작성된 메시지는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표시된다. 단말장치(200)에 표시된 예는 도 1과 같다. 이때 단말장치(200)에 표시되는 메시지가 2열 이상인 경우 각 열마다 서로 다른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열마다 표시된 글자 조합은 좌에서 우, 우에서 좌, 위에서 아래, 아래에서 위로 글자가 흐르게 표현할 수도 있다. 이는 종래에 스마트폰에 제공되었던 헤드라인 기능과 차별화가 가능한 부분이다. 즉, 종래 헤드라인 기능은 각 열이 존재하더라도 그 각각의 열에 표시되는 내용은 모두 같은 내용이 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100)의 전송모드, 단말장치(200)의 표시모드가 반드시 설정될 필요는 없다. 스마트폰(100)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고 일련의 조작을 통해 바로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단말장치(200)는 전송받은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처럼, 도 1의 제1 실시 예는 하나의 단말장치(200)만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단말장치는 반드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전광판 등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제2 실시 예를 제공한다. 제2 실시 예는 하나의 스마트폰과 N개의 단말장치를 상호 연동시킨 구성이고, 각각의 단말장치마다 메시지를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각 단말장치에 한 글자 이상을 지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300)은 블루투스(blue tooth), 무선랜(Wi-Fi), 지그비(ZigBee)나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CDMA)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N개의 단말장치(400)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스마트폰 및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먼저 스마트폰(300)에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RF 송신부(310)가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300)에서 N개의 단말장치(400)를 등록하기 위하여 단말장치 등록부(320)가 구성된다. 단말장치 등록부(320)는 스마트폰 주위에 있는 모든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페어링(pairing) 기능을 이용한다. 스마트폰(300)이 단말장치(400)를 등록하는 방법은 2가지 모드에 의해 수행된다. 2가지 모드 중 하나는 일괄 등록을 위한 일괄 등록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무작위 등록을 위한 무작위 등록모드로 구분된다. 일괄 등록모드는 스마트폰(300)에 단말장치 리스트(list)가 먼저 제공된 상태에서 이 후 검색(searching) 동작을 실행하여 검색된 단말장치(400)를 등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스트에 있는 단말장치가 반드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말장치가 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표시할 메시지의 글자 수나 글자 배치 의도에 따라 실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말장치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무작위 등록모드는 스마트폰(300) 주변의 일정 영역에 있는 단말장치(400)를 먼저 검색하고 그 검색된 단말장치(400)를 무순위로 넘버링(numberin) 하여 등록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등록된 모든 단말장치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장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글자 수나 글자 배치 의도에 따라 실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말장치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일괄 등록모드 및 무작위 등록모드에 의해 등록된 단말장치(400)는 그 이름을 특정 이름으로 변경하여 등록할 수 있는 네이밍(naming) 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일괄 등록모드 및 무작위 등록모드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400) 중에서 등록 해제를 원하거나 새로운 단말장치를 신규로 등록하는 과정은 그 단말장치마다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말장치(400)에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는 툴(tool)인 메시지 작성부(330)가 구성된다. 메시지 작성부(3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 입력부(330a), 표현 틀 선택부(330b), 움직임 틀 선택부(330c) 및 색상 틀 선택부(330d) 등을 포함한다. 글자 입력부(330a)는 단말장치(400)에 표시할 글자, 기호, 특수문자 등을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표현 틀 선택부(330b)는, 단말장치(400)의 표시창(430)에 표시되는 표현 틀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표현 틀은 예컨대, 정사각형, 직사각형, 편지지 등과 같은 틀을 제공한다. 움직임 틀 선택부(330c)는 글자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고, 색상 틀 선택부(330d)는 글자의 색상을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메시지 작성부(330)의 각종 틀은 미리 제공되나,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아 업데이트 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직접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표현 틀 내에 작성된 메시지를 표현하도록 모드 지원부(340)가 구성된다. 모드 지원부(340)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모드는 메시지의 글자 수와 표현 틀에 따라 글자 배치와 사용될 최적의 단말장치 개수가 지정되는 제1 모드, 및 먼저 사용할 단말장치 개수를 지정하면 작성된 메시지에 대한 최적화된 글자 배치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제공한다. 수동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글자를 배치하는 모드이다.
스마트폰(300)에는 단말장치(400)들의 위치 선정에 필요한 개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350)가 구성된다. 위치정보 제공부(350)는 스마트폰(300)에서 작성한 메시지가 해당 단말장치(400)에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 틀(500, 도 6 및 도 7 참조) 형태로 제공한다. 즉 구성 틀(500)은 단말장치(400)의 개수 및 표시할 글자 개수, 메시지를 표시할 열(즉, 1열, 2열 등)의 구성 등과 대응되어 작성된다. 이렇게 작성된 구성 틀(500)은 메시지 전송시에 단말장치(400)에 함께 전송되고, 단말장치(400)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 틀(500)은 계속 표시된 상태이거나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삭제될 수 있다. 구성 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작용설명을 할 때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300)에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모드 선택부(360)가 구성된다. 전송모드 선택부(360)가 구성되는 것은 작성된 메시지가 실수로 단말장치(400)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송모드 선택부(360)에 의해 전송모드가 된 경우에만 작성된 메시지를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전송버튼(370)이 제공된다. 전송버튼(370)은, 물리적인 구조의 버튼이 될 수도 있거나 또는 터치패드 상의 버튼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송버튼(370)은 전송모드 선택부(360)가 선택되기 전까지는 조작 가능한 상태가 아니다.
물론, 상기 전송모드 선택부(360) 및 전송버튼(370)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즉 메시지 작성 이후에 기 정의된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380)가 구성된다. 저장부(380)에 메시지를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동일한 메시지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300)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390)가 구성된다.
다음, 스마트폰(300)이 전송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단말장치(400)가 구성된다. 실시 예에서 단말장치(400)는 스마트폰(300)이 전송한 메시지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역할을 하지만, 표시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동작한다. 물론 단말장치(400)는 스마트폰 이외의 PMP, 태블릿 PC 등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PMP나 태블릿 PC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동작 가능할 것이다.
각 단말장치(4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스마트폰(300)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부(410)가 구성된다.
그리고 단말장치(400)의 기능을 일시 중지시키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440)가 구성된다. 모드 선택부(440)가 선택되면 단말장치(400)는 표시 모드가 된다. 표시모드에서는 스마트폰(300)이 전송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역할만 한다. 물론 표시모드에서도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발신인이 전화를 할 경우 메시지 표시기능을 일시 중지시키고 통화를 할 수 있게 셋팅(setting)이 가능하다. 즉, 표시모드가 선택되면 반드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의 셋팅에 따라 다른 기능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300)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창(430)에 표시하며, 모드 선택부(440)의 선택 동작에 따라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20)가 구성된다.
이외에도 단말장치(400)는 FM 라디오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등이 더 제공된다.
이어서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복수 개의 단말장치에 표시하는 작용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스마트폰 사용자는 스마트폰(300)에 메시지를 표시할 단말장치(400)를 등록한다(s100). 단말장치 등록은 단말장치 등록부(320)가 페어링(pairing)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할 단말장치(400)를 검색하고 등록하는 절차를 말한다. 이때 단말장치 등록은 일괄 등록모드 또는 무작위 등록모드에 의해 수행된다. 일괄 등록모드는 스마트폰(300)이 미리 보유하고 있는 단말장치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검색동작을 수행하고, 그 검색결과 검색된 단말장치(400)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 다음 일부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모드를 말한다. 무작위 등록모드는 스마트폰 (300) 주변의 일정 영역에 있는 단말장치를 검색한 다음 무순위로 넘버링을 하고, 그 넘버링된 단말장치 중에서 등록할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처럼 일괄 등록모드 또는 무작위 등록모드에 의해 복수 개의 단말장치가 등록된 다음에는 스마트폰 사용자는 단말장치(300)에 표시할 메시지 작성 및 표현 틀을 선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102). 메시지 입력은 스마트폰(300)의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작성부(330)를 이용할 수 있다. 메시지 작성부(330)는 일반 글자 및 숫자, 기호,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표현 틀 선정은 표현 틀 선택부(330b)를 이용하는 것으로, 글자를 표시하는 표시창(430)의 테두리 형태 등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즉 스마트폰 사용자가 표현 틀 선택부(330b)를 조작하면, 표현 틀 선택부(330b)는 기 저장된 복수의 표현 틀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 표시하게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단말장치(400)에 메시지를 표현할 방법을 선택한다(s104). 메시지 표현 방법은, 사용자가 모드 지원부(340)를 선택하여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수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메시지를 표시할 단말장치를 결정하고, 그 단말장치 별로 표시할 글자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메시지 표현 방법을 구성하게 된다. 반면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모드 지원부(340)는 다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가 제1 모드를 선택하면, 모드 지원부(340)는 작성된 메시지 및 표현 틀과 대응되게 글자 배치 및 사용될 최적의 단말장치 개수를 지정해준다. 만약 제2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미리 단말장치 개수를 지정하면 그에 맞게 최적화된 글자 배치를 자동으로 제공해주게 된다.
메시지 표현 방법까지 선택되며, 다음으로는 단말장치(400)에 표시될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 글자 움직임이나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s106). 즉 사용자가 강조하고 싶은 글자, 단어 등이 있는 경우, 깜박임이나 다른 색상으로 처리하여 강조 효과를 부여하도록 한다.
이러한 메시지 입력 및 표현 방식 등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단말장치(400)에 표시될 메시지를 미리보기 메뉴를 통해 확인한다(s108). 확인 결과 수정사항 등이 있으면 사용자는 메시지 입력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최종 표시할 메시지를 확정한다. 이렇게 확정된 메시지는 저장부(380)에 저장된다(s110).
단말장치(400)에 표시할 메시지까지 저장되면, 이후 스마트폰 사용자는 저장된 메시지를 단말장치(400)에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시지를 표시할 단말장치(400)는 상기 일괄 등록모드 또는 상기 무작위 등록모드에 의해 정해진 상태이다. 또한 등록모드에 의해 정해진 단말장치 중 실제 메시지를 표시할 단말장치(400)도 상기 모드 지원부(340)의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조작에 따라 결정된 상태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메시지와 대응되어 단말장치 개수가 정해진 상태이고,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이미 단말장치 개수가 정해진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마트폰(300)이 메시지를 단말장치(400)로 전송하여 표시하면 된다(s112). 그러나 이때 메시지를 전송할 때 글자 순서와 이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장치의 순서가 일치해야 한다. 즉, 작성된 메시지가 '사랑해 !!!! 장미♥' 이고 이를 표시할 단말장치가 7대라고 한다면, 그 메시지의 글자 순서대로 단말장치는 순서대로 배열되어야 한다. 물론, 초기에 단말장치를 등록할 경우 그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메시지를 그대로 전송하여 표현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단말장치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메시지는 '사랑해 !!!! 장미♥' 의 순서대로 표현되지 않고, '사 !!!! 랑해 장미♥' 등과 같이 잘못 표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300)은 메시지를 전송할 때 단말장치(400)마다 표시할 글자 정보와 단말장치(400)의 위치 선정에 필요한 개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 틀(500)을 작성하고, 이를 함께 전송하게 된다(s114).
그러면 단말장치(400)는 자신이 표시할 글자를 표시한다(s116).
이는 다음과 같다. "사랑해 !!!! 장미♥" 메시지를 전송받은 7대의 단말장치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글자씩 1열로 표시할 경우, 각 단말장치의 소정 영역에 그 단말장치의 순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 틀(500)을 해당 글자와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랑해 !!!! 장미♥" 메시지를 2열로 표시할 경우, 각 단말장치에는 2열 구성 틀(500)과 함께 해당 글자를 함께 표시한다. 이에 단말장치 사용자는 구성 틀(500)을 보고, 자신이 몇 번째 위치에 있어야 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단말장치(400)는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화면 표시할 수 있어 응원이나 상대방을 격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복 수개의 단말장치는 각 표시창에 글자를 구분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처럼 취급할 수 있고, 따라서 상대방이 메시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가시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단말장치(400)를 통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다양한 다른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예들은 상술한 메시지 표시장치를 스마트폰(300) 및 N개의 단말장치(400)의 구성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N 개의 단말장치(400)를 통해 메시지를 표현하는 실시 예 도면들이 도 8 내지 도 10에 더 도시되었다.
도 8은 "사랑해 !!!! 장미♥" 메시지를 7대의 단말장치가 각각 글자 한 자씩 표시하되 글자가 흐르는 형태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처음에는 일부 단말장치에는 글자는 표시되지 않는다.
도 9는 "사랑해 !!!! 장미♥" 메시지를 전부 표시한 상태에서, 그 다음에 메시지의 일부를 깜빡임 표현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메시지를 표현하면서, 각 글자 또는 단어를 색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즉, 도 10을 보면 "사랑해'와 "!!!! 장미♥"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고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다.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단말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글자를 배치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때 메시지를 표현하는 단말장치는 각각 독립적인 장치이지만 메시지를 표시할 때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 : 스마트폰 310 : RF 송신부
320 : 단말장치 등록부 330 : 메시지 작성부
340 : 모드 지원부 350 : 위치정보 제공부
360 : 전송모드 선택부 370 : 전송 버튼
380 : 저장부 390 : 스마트폰 제어부
400 : 단말장치 410 : RF 수신부
420 : 단말장치 제어부 430 : 표시창
440 : 모드 선택부

Claims (7)

  1. 메시지 작성 툴(tool)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메시지 작성 툴(tool)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표시창에 모두 표시하는 하나의 단말장치 또는 표시창에 한 글자 이상을 각각 표시하는 복수 개의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모드 선택부;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표시하며, 상기 모드 선택부의 선택 동작에 따라 단말장치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장치의 표시창에는 단말장치마다 표시할 글자 정보, 글자 개수 및 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틀이 표시되는 메시지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일괄 등록모드 또는 무작위 등록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단말장치 등록부;
    상기 메시지 작성 툴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에 따라서 표현하는 모드 지원부;
    상기 단말장치들의 위치 선정에 필요한 개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모드 선택부; 및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 전송모드로 셋팅된 된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를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전송버튼을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는,
    메시지의 글자 수와 표현 틀에 따라 글자 배치와 사용될 단말장치 개수가 지정되는 제1 모드; 및
    사용할 단말장치 개수를 먼저 지정하면 작성된 메시지에 대한 글자 배치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작성 툴은, 글자 입력부, 표현 틀 선택부, 움직임 틀 선택부 및 색상 틀 선택부을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장치.
  5. 삭제
  6. 스마트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등록 단계;
    스마트폰에 메시지 입력 및 표현 틀이 선택되는 선택 단계;
    상기 표현 틀이 선택되면 글자 배치와 단말장치의 개수를 제공하는 자동 모드 또는 상기 단말장치의 개수가 지정되면 글자 배치를 제공하는 수동 모드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의 표현 방법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상기 메시지 표현 방법에 따라 정해진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표현 방법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메시지를 표시할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들의 위치 선정에 필요한 개별 위치정보를 포함된 구성 틀을 해당 단말장치로 함께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및 구성 틀은 상기 스마트폰 및 상기 단말장치가 전송 모드로 셋팅된 상태에서 전송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만 전송되고,
    상기 전송 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폰 및 상기 단말장치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는 일시 중지된 상태인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KR1020130106184A 2013-09-04 2013-09-04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KR101526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184A KR101526063B1 (ko) 2013-09-04 2013-09-04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PCT/KR2014/008258 WO2015034254A1 (ko) 2013-09-04 2014-09-03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184A KR101526063B1 (ko) 2013-09-04 2013-09-04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74A KR20150027574A (ko) 2015-03-12
KR101526063B1 true KR101526063B1 (ko) 2015-06-04

Family

ID=5262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184A KR101526063B1 (ko) 2013-09-04 2013-09-04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6063B1 (ko)
WO (1) WO2015034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884B1 (ko) * 2015-02-23 2017-01-0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태깅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6015A (ja) * 2005-07-15 2007-02-01 Hitachi Ltd 情報表示方法
KR20130021505A (ko) * 2011-08-23 2013-03-06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브라우저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6015A (ja) * 2005-07-15 2007-02-01 Hitachi Ltd 情報表示方法
KR20130021505A (ko) * 2011-08-23 2013-03-06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브라우저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talk.co.kr, "내 손안의 미니전광판 - Apptalk Android app review," YouTube, 2012.01.15. *
차진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광판 관리 시스템," 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74A (ko) 2015-03-12
WO2015034254A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9188B (zh) 用于提供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CN106462356B (zh) 用于控制多个显示器的方法和装置
CN101133379B (zh) 具有操作功能选择提示能力的移动电话
US20120223966A1 (en) Terminal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US8775969B2 (en) Contact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pplied mobile terminal
CN103841525A (zh) 基于消息的会话操作方法以及支持所述方法的移动终端
CN101226442A (zh) 控制移动终端中的显示
RU2007144706A (ru) Способ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для добавления визуального эффекта к символу при вводе символа 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CN102063187A (zh) 一种终端输入方法
CN109307518A (zh) 导航设备、导航方法和导航系统
CN102857640A (zh) 终端和托盘管理方法
CA2639415A1 (en) Purchasing system and method
KR20150071971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526063B1 (ko)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CN106649574A (zh) 商户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205175414U (zh) 一种用于智能锁的操作导航系统
KR201401271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0027017A (ja) データ検索装置およびデータ検索システム
CN108700997A (zh) 显示控制装置、显示系统及显示控制方法
CN107799039B (zh) 一种交互式智能灯箱及其控制方法
KR200368534Y1 (ko) 노래방 기기용 리모콘
KR20120040047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921283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および地図表示プログラム
JP201913894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83451B1 (ko)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