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409B1 -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409B1
KR101525409B1 KR1020140018935A KR20140018935A KR101525409B1 KR 101525409 B1 KR101525409 B1 KR 101525409B1 KR 1020140018935 A KR1020140018935 A KR 1020140018935A KR 20140018935 A KR20140018935 A KR 20140018935A KR 101525409 B1 KR101525409 B1 KR 10152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tching
image
data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학
이재현
김동우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하이텍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하이텍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터나 명함 등을 휴대폰 카메라의 앱(application)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미리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은, 휴대폰의 앱(application)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단계(S100)와; 상기 스캔단계(S10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픽셀정보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인식단계(S110)와; 상기 인식단계(S110)에서 인식된 정보를 DB(10)의 정보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120)와; 상기 변환단계(S120)에 의해 변환된 정보자료를 DB(10)의 정보자료와 매칭(matching)하여 비교하는 매칭단계(S200)와; 상기 매칭단계(S200)에서 매칭된 DB(10)의 정보자료를 어떤 형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설정단계(S130)와; 상기 설정단계(S130)에서 결정된 내용에 따라 DB(10)의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S14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홍보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Augmented method of contents using image-cognition modules}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포스터나 명함 등을 휴대폰 카메라의 앱(application)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미리 저장된 데이타베이스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하고, 인식된 QR 코드가 지시하는 특정 웹 사이트의 접속이나 특정 웹 사이트의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등의 홍보 방법은 근래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촬영 시 현실의 공간에 다양한 정보를 덧씌워 보여주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도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노력은 여러 방식으로 강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 특허번호 제10-1272658호에서와 같이, QR 코드를 이용한 다양한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으나, 이러한 대부분의 종래기술들은 QR 코드를 미리 제작하여 온/오프라인으로 배포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미리 제작된 QR 코드는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미리 정해진 홍보 영상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QR 코드가 인화된 POP(printing-out paper)를 배포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127265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스터나 명함 등과 같이 특정 이미지나 글자를 앱(application)이 인식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홍보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당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2 이상의 동영상이나 이미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은, 휴대폰의 앱(application)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단계와; 상기 스캔단계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픽셀정보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인식단계와; 상기 인식단계에서 인식된 정보를 DB의 정보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변환단계에 의해 변환된 정보자료를 DB의 정보자료와 매칭(matching)하여 비교하는 매칭단계와; 상기 매칭단계에서 매칭된 DB의 정보자료를 어떤 형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단계에서 결정된 내용에 따라 DB의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B는, 스마트폰(smartphone)에 내장되거나, 서버(server)에 저장되어 원격으로 제공되는 정보자료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칭단계는, 상기 변환단계를 거쳐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DB정보와 연결하여 상호 비교하는 비교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을 통해 입력정보와 DB정보의 일치 비율을 결정하여,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판단과정과; 상기 매칭판단과정에 의해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매칭된 정보가 최초로 실행되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최초판단과정과; 상기 최초판단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최초 실행인지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최초실행과정 또는 연속실행과정과; 추가로 입력되는 정보(대상물)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판단과정과; 상기 추가판단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추가 정보(대상물)가 입력된 경우에는 기존 정보와 추가정보를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는 공동실행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칭판단과정에서는, 입력정보와 DB정보의 일치율이 2/3 이상인 경우에는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단계에서는, DB정보의 실행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의문과정과, 최신 앱(application)을 로딩하는 업데이트과정과, 해당 DB정보의 실행 그래픽을 제공하는 제공과정을 포함하는 앱설정단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j에서는 특정 이미지나 글자 등을 인식하여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의 자료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매칭(matching)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베이스(DB)의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별도의 QR코드 등을 제작하거나 부착할 필요없이 다양한 홍보자료의 실행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영중이거나 상영 예정작의 영화포스터를 핸드폰 화면에 비추게 되면 해당 영화의 예고편을 볼 수 있으며, 프린터된 마커는 물론 컴퓨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스터 이미지도 인식하여 해당 홍보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입력되는 대상을 인식하여 동시에 외부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홍보 동영상이 구비되거나 다양한 컨텐츠가 설정된 경우에는 시너지 홍보효과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해당 정보의 실행 여부와, 정지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재실행시에는 연속실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규의 자료만 디스플레이하여 볼 수 있으므로 항상 새로운 홍보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는 핸드폰을 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로 인쇄물의 상호작용을 보다 손쉽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 입체적으로 인쇄물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의 흥미와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매체가 가진 2차원의 한계를 깨뜨리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인쇄매체도 다른 뉴미디어처럼 동영상과 부가 정보 구현이 가능하게 되므로, 인쇄매체가 가지는 거부감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입체적이고 시각적,청각적 방법에 의해 홍보가 가능하므로 홍보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칭단계의 상세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블럭도와 구성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은, 카메라의 앱(application)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단계(S100)와; 상기 스캔단계(S10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픽셀정보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인식단계(S110)와; 상기 인식단계(S110)에서 인식된 정보를 DB(10)의 정보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120)와; 상기 변환단계(S120)에 의해 변환된 정보자료를 DB(10)의 정보자료와 매칭(matching)하여 비교하는 매칭단계(S200)와; 상기 매칭단계(S200)에서 매칭된 DB(10)의 정보자료를 어떤 형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설정단계(S130)와; 상기 설정단계(S130)에서 결정된 내용에 따라 DB(10)의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S1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캔단계(S100)는, 사용자가 휴대폰의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카메라(camera)가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사용자가 휴대폰의 카메라 부분이 영화 포스터(poster)나 명함 등과 같은 이미지(길거리 포스터나 프린터물 마커 또는 컴퓨터 화면에 비춰지는 이미지 등도 포함됨) 물체에 근접하도록 하여 포스터나 명함 등을 촬영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물론, 이와 같은 스캔단계(S100)에서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할 때와 같이 별도의 터치를 통해 촬영할 필요는 없으며, 카메라를 물체(이미지)에 근접함에 따라 자동으로 촬영이 이루어져 스캔(scan) 작업이 수행된다. 이는 이미 보급되어 있는 QR코드의 인식과정에도 사용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식단계(S110)는, 상기 스캔단계(S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픽셀(Pixel) 단위로 세분화하여 인식하는 단계이다. 이때에는 특히 이미지의 모서리나 꼭지점 부분의 픽셀(Pixel) 정보를 중심으로 인식하여 이미지의 골격(frame)에 대한 정보를 도출해낸다. 이는 이미지의 형태가 변형이 가해지거나 인식률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골격(frame)의 재생을 통해 이미지 비교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 인식단계(S110)에서는 이미지의 인식 외에도 문자의 인식도 함께 이루어진다. 즉, 이미지 내부에 글자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자(글자)를 인식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DB(10)의 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변환단계(S120)는, 상기 인식단계(S110)에서 인식된 정보를 DB(10)의 정보 형태와 일치하도록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는 DB(10)에 저장된 정보형태와 입력된 정보형태가 다른 경우에는 비교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DB(10)에 저장된 정보형태대로 입력정보를 변환하여 정보비교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이다. 물론, 이러한 단계는 입력정보의 형태와 DB(10)에 저장된 정보형태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매칭단계(S200)는, 상기 변환단계(S120)에 의해 변환된 정보자료를 DB(10)의 정보자료와 매칭(matching)하여 얼마나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즉, 입력된 정보와 매칭(matching)도는 저장 정보를 불러와서 외부로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는데, 입력정보와 매칭된 정보가 미리 저장된 DB(1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과정이다.
여기서, DB(10)자료는 홍보나 광고 등을 위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료이며, 이러한 DB(10)자료는 가공이나 추가 또는 삭제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DB(10)는, 스마트폰(smartphone)에 내장되거나, 서버(server)에 저장되어 원격으로 제공되는 정보자료이다. 즉, 휴대폰과 같은 스마트폰(smartphone)에 직접 내장시키거나 외부의 저장메모리에 저장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서버(server) 등에 저장하여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매칭단계(S200)의 상세 과정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설정단계(S130)는, 상기 매칭단계(S200)에서 매칭된 DB(10)의 정보자료를 어떤 형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즉,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DB(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어떤 형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그리고, 디스플레이(display)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평면 이미지로만 디스플레이(display)할 것인지?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할 것인지? 아니면 음성을 함께 출력할 것인지? 등의 다양한 출력형태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설정단계(S130)에는, 앱설정단계(S30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즉, 해당 앱(application)이 DB(10)정보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앱설정단계(S300)는, DB(10)정보의 실행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의문과정(S310)과, 최신 앱(application)을 로딩하는 업데이트과정(S320)과, 해당 DB(10)정보의 실행 그래픽을 제공하는 제공과정(S3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의문과정(S310)은, 기존 설치된 앱(application)이 상기 매칭단계(S200)에서 선택된 DB(10)정보를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업데이트과정(S320)은, 상기 의문과정(S310)에 의해 기존 설치 앱(application)이 DB(10)정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앱(application)을 업데이트(update) 하는 과정이다. 즉, 해당 DB(10)정보를 실행할 수 있는 최신의 앱(application)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업데이트(update)는,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게 설치여부를 확인받아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공과정(S330)은, 상기 업데이트과정(S320)이 진행되어 해당 앱(application)이 충분히 선택된 DB(10)정보를 실행 가능하게 된 경우에, 해당 DB(10)정보가 수행되도록 하는 그래픽(graphics) 등을 제공하는 과정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단계(S140)는, 상기 설정단계(S130)에서 결정된 내용에 따라 DB(10)의 정보를 스마트폰(smartphone) 등으로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단계(S140)는, 이미 상용화된 과정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는 상기 매칭단계(S200)의 일례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칭단계(S200)는, 상기 변환단계(S120)를 거쳐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DB(10)정보와 연결하여 상호 비교하는 비교과정(S210)과, 상기 비교과정(S210)을 통해 입력정보와 DB(10)정보의 일치 비율을 결정하여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판단과정(S220)과, 상기 매칭판단과정(S220)에 의해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매칭된 정보가 최초로 실행되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최초판단과정(S230)과, 상기 최초판단과정(S230)에서의 판단결과 최초 실행인지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최초실행과정(S240) 또는 연속실행과정(S250)과, 추가로 입력되는 정보(대상물)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판단과정(S260)과, 상기 추가판단과정(S260)에서의 판단결과 추가 정보(대상물)가 입력된 경우에는 기존 정보와 추가정보를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는 공동실행과정(S27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교과정(S210)은, 상기 변환단계(S120)를 거쳐 입력된 정보를 DB(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매칭판단과정(S220)은, 상기 비교과정(S210)을 통해 입력정보와 DB(10)정보의 비교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입력정보와 DB(10)정보의 일치 비율을 결정하여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이미지의 형태나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실상 흔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일치가 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약 2/3 이상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즉, 상기 매칭판단과정(S220)에서는, 입력정보와 DB(10)정보의 일치율이 2/3 이상인 경우에는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최초판단과정(S230)은, 상기 매칭판단과정(S220)에 의해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DB(10)에 저장된 매칭 정보가 최초로 실행되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선택된 DB(10)정보가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smartphone)의 앱(application)에서 최초로 실행되는 것인지? 아니면 이전에 실행된 적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최초실행과정(S240)은, 상기 최초판단과정(S230)에서의 판단결과, 선택된 DB(10)정보가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smartphone)의 앱(application)에서 최초로 실행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최초실행과정(S240)에서는 당연히 선택된 DB(10)정보가 처음부터 실행된다.
상기 연속실행과정(S250)은, 상기 최초판단과정(S230)에서의 판단결과, 선택된 DB(10)정보가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smartphone)의 앱(application)에서 실행된 적이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연속실행과정(S250)에서는 이전에 실행되었다가 중단된 상태로부터 연속하여 DB(10)정보가 실행된다. 즉, 이 경우에는 DB(10)정보가 처음부터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실행되지 않음 부분만 실행된다.
상기 추가판단과정(S260)은, 추가로 입력되는 정보(대상물)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최초실행과정(S240) 또는 연속실행과정(S250)이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 추가로 새로운 대상물(objects)이 입력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콘텐츠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이미지를 인식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추가판단과정(S260)이 진행된다. 즉, 기존의 콘텐츠 실행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콘텐츠의 수행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새로운 콘텐츠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추가판단과정(S260)은 해당 입력정보에 매칭되는 DB(10)정보가 2 이상인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즉, DB(10)에 저장된 매칭 정보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 이상의 콘텐츠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거나, 특정 콘텐츠만 수행되도록 사용자가 화면 터치를 통해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2 이상을 선택하거나, 특정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외부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공동실행과정(S270)은, 상기 추가판단과정(S260)에서의 판단결과, 추가 정보(대상물)가 입력된 경우에는 기존 정보와 추가정보를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2 이상의 정보가 하나의 스마트폰(smartphone)을 통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이며, 이때에는 2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각각의 화면 크기와 위치 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해당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포스터(poster)나 명함 등에 스마트폰(smartphone)의 카메라를 근접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스캔단계(S100)와 인식단계(S110) 및 변환단계(S120)가 자동으로 수행되고, 연이어 상기 매칭단계(S200)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매칭단계(S200)에서 매칭된 DB(10)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단계(S130)와 디스플레이단계(S140)가 진행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동영상 등이 실행된다. 물론, 매칭되는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아무런 영상이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스마트폰(smartphone)의 카메라를 해당 포스터(poster)나 명함(business card)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면, 상기의 각 단계가 중지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도 멈추거나 사라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이전의 포스터나 명함에 카메라를 근접시키면, 이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초판단과정(S230)에 의해 이전에 정지된 화면으로부터 연속하여 DB(10)자료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칭된 DB(10)자료가 2 이상이거나 또 다른 포스터나 명함이 동시에 인식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 이상의 콘텐츠가 동시에 외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DB(database) S100. 스캔단계
S110. 인식단계 S120. 변환단계
S130. 설정단계 S140. 디스플레이단계
S200. 매칭단계 S210. 비교과정
S220. 매칭판단과정 S230. 최초판단과정
S240. 최초실행과정 S250. 연속실행과정
S260. 추가판단과정 S270. 공동실행과정
S300. 앱설정단계 S310. 의문과정
S320. 업데이트과정 S330. 제공과정

Claims (5)

  1. 휴대폰의 앱(application)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단계(S100)와;
    상기 스캔단계(S10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픽셀정보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인식단계(S110)와;
    상기 인식단계(S110)에서 인식된 정보를 DB(10)의 정보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120)와;
    상기 변환단계(S120)에 의해 변환된 정보자료를 DB(10)의 정보자료와 매칭(matching)하여 비교하는 매칭단계(S200)와;
    상기 매칭단계(S200)에서 매칭된 DB(10)의 정보자료를 어떤 형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display)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설정단계(S130)와;
    상기 설정단계(S130)에서 결정된 내용에 따라 DB(10)의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S140)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단계(S200)는,
    상기 변환단계(S120)를 거쳐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DB(10)정보와 연결하여 상호 비교하는 비교과정(S210)과, 상기 비교과정(S210)을 통해 입력정보와 DB(10)정보의 일치 비율을 결정하여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판단과정(S220)과, 상기 매칭판단과정(S220)에 의해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매칭된 정보가 최초로 실행되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최초판단과정(S230)과, 상기 최초판단과정(S230)에서의 판단결과, 최초 실행인지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최초실행과정(S240) 또는 연속실행과정(S250)과, 추가로 입력되는 정보(대상물)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판단과정(S260)과, 상기 추가판단과정(S260)에서의 판단결과, 추가 정보(대상물)가 입력된 경우에는 기존 정보와 추가정보를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는 공동실행과정(S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B(10)는,
    스마트폰(smartphone)에 내장되거나, 서버(server)에 저장되어 원격으로 제공되는 정보자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판단과정(S220)에서는,
    입력정보와 DB(10)정보의 일치율이 2/3 이상인 경우에는 정보 매칭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130)에서는,
    DB(10)정보의 실행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의문과정(S310)과, 최신 앱(application)을 로딩하는 업데이트과정(S320)과, 해당 DB(10)정보의 실행 그래픽을 제공하는 제공과정(S330)을 포함하는 앱설정단계(S30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KR1020140018935A 2014-02-19 2014-02-19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KR10152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935A KR101525409B1 (ko) 2014-02-19 2014-02-19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935A KR101525409B1 (ko) 2014-02-19 2014-02-19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409B1 true KR101525409B1 (ko) 2015-06-09

Family

ID=5350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935A KR101525409B1 (ko) 2014-02-19 2014-02-19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40B1 (ko) * 2019-11-20 2021-04-08 한국과학기술원 동영상이 연계된 ar 사진 제작 및 상영 시스템
KR20240001463A (ko)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파르온 대상물 인식 및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9814A (ko) * 2011-01-27 2012-09-12 리얼타임비쥬얼(주) 증강현실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9814A (ko) * 2011-01-27 2012-09-12 리얼타임비쥬얼(주) 증강현실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40B1 (ko) * 2019-11-20 2021-04-08 한국과학기술원 동영상이 연계된 ar 사진 제작 및 상영 시스템
KR20240001463A (ko)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파르온 대상물 인식 및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2086B2 (en) Target object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559053B2 (en) Screen watermarking methods and arrangements
US103393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JP6572468B2 (ja) スマートフォンベースの方法、スマートフォン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8419105B (zh) 显示设备和替换广告的方法
CN106664465B (zh) 用于创建和再现增强现实内容的系统以及使用其的方法
KR102463304B1 (ko) 비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0569835B (zh) 一种图像识别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5474622A (zh) 用于产生全对焦图像的方法和设备
CN102436460A (zh) 用于提供对象信息的装置和方法
AU2013273829A1 (en) Time constrained augmented reality
WO2014114118A1 (en) Realization method and device for two-dimensional code augmented reality
US20200304713A1 (en) Intelligent Video Presentation System
CN111126372B (zh) 视频中logo区域的标记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791703B (zh) 基于二维媒体内容生成三维用户体验
KR101525409B1 (ko)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EP27931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bjects of interest
US107257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KR101754993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포토존 촬영 장치
CN116453131B (zh) 文档图像矫正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39632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38193A (ko) 명함 또는 브로슈어를 통해 제공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한 기업 소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50013372A (ko) 모바일 마케팅 어플리케이션 통합 시스템
CN113744172A (zh) 文档图像的处理方法及装置、训练样本的生成方法及装置
US11270472B2 (en) Small vector image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