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387B1 -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387B1
KR101525387B1 KR1020130126620A KR20130126620A KR101525387B1 KR 101525387 B1 KR101525387 B1 KR 101525387B1 KR 1020130126620 A KR1020130126620 A KR 1020130126620A KR 20130126620 A KR20130126620 A KR 20130126620A KR 101525387 B1 KR101525387 B1 KR 10152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urbine
ventilation system
filter unit
filt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970A (ko
Inventor
김보람
김기웅
김종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3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 F02C7/052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with dust-sepa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 F02C7/05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with intake grids, screens or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가스터빈의 노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해수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으로부터 필터링된 외기가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이 안착된 보관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에서 분할된 덕트부; 및 상기 가스터빈과 동축으로 연결된 발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Gas turbine ventilation system and filter unit}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가스터빈의 안정적인 환기 및 상기 가스터빈의 노즐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의 연료로 공급되는 연료 가스는 다량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는 바닷가와 인접한 지역 또는 해수면과 인접한 위치에서는 황화수소의 성분이 상기 가스터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황화수소는 터빈의 연료로 사용되는 연료 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가 알칼리 금속이 결합될 경우 상기 가스터빈에 내부에 설치된 가스 노즐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고가의 가스터빈의 고장 및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FPSO와 같은 해양 구조물의 경우 시추된 원유를 이용하여 정제를 실시할 때 사용되는 다수대의 가스터빈은 다량의 염화 나트륨이 포함된 외기를 공급받아 작동되므로 상기 가스터빈의 노즐이 부식될 수 있는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터빈의 전단에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황화수소 제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황화수소 제거기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고, 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공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황화수소 제거기를 통해 제거된 황화수소를 별도로 처리하기 위한 시설을 유지해야 하고, 이에 대한 안전 시설도 함께 설치해야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20755호(2001.01.23.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고가의 황화수소 처리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가스터빈으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염화 나트륨 성분을 제거하여 터빈 노즐의 부식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가스터빈의 노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해수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으로부터 필터링된 외기가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이 안착된 보관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에서 분할된 덕트부; 및 상기 가스터빈과 동축으로 연결된 발전기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부는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터빈과 연결된 제1 덕트;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관 탱크와 연결된 제2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가스터빈의 연소를 위한 연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 덕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제2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관 탱크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필터유닛 내부에 배치된 제1 내지 제n필터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덕트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위한 제1 댐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 내부에 연료 가스가 기준치 이상으로 존재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댐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유닛은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설치되고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그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용 필터장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용 필터장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베이스 필터와, 상기 베이스 필터를 경유한 외기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필터링하여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가스터빈의 부식 노즐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이 안착된 보관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에서 분할된 덕트부; 및 상기 가스터빈과 동축으로 연결된 발전기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터는 합성섬유가 사용되고, 변색도법 효율(dust spot efficiency)이 70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필터는 단위 시간당 4000 m3/h 이상의 에어 플로우(airflow)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단 필터는 상기 베이스 필터와 이격되고 유리섬유(Glass fiber)로 이루어진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와 이격되고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제2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필터는 변색도법 효율(dust spot efficiency)이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단 필터는 단위 시간당 4000 m3/h 이상의 에어 플로우(airflow)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필터와 제1,2 필터의 압력 손실은 상기 베이스 필터에서 제2 필터로 갈수록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제1 필터 압력 손실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터빈과 연결된 제1 덕트;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관 탱크와 연결된 제2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제1 덕트에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가스터빈의 노즐 부식을 방지하여 고가의 가스터빈에 대한 안정적인 작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스터빈이 설치된 보관 탱크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연료 가스 중독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의 필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가스터빈(2)의 노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해수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100)과, 상기 필터유닛(100)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가스터빈(2)과, 상기 가스터빈(2)이 안착된 보관 탱크(3)의 내부로 공급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100)에서 분할된 덕트부(200); 및 상기 가스터빈(2)과 동축으로 연결된 발전기(300)를 포함한다.
가스터빈(2)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을 실시하여 작동되므로, 상기 가스터빈(2)이 바닷가 근처에 설치될 경우 해수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에 의해 부식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필터유닛(100)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외부공기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최대한으로 필터링하여 가스터빈(2)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덕트부에 대해 설명한다.
덕트부(200)는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10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터빈(2)과 연결된 제1 덕트(210)와,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10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관 탱크(3)와 연결된 제2 덕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덕트(210)는 가스터빈(2)의 연소를 위한 연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 덕트(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가스터빈(2)의 연소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제2 덕트(2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관 탱크(3)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 유닛(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1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팬이 설치되어 제2 덕트(22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보관 탱크(3)로 공급한다.
팬 유닛(10)은 가스터빈(2)의 작동과 동시에 함께 작동되고, 상기 가스터빈(2)이 오프될 경우 작동 중지되며, 작동 상태는 별도의 제어기(미도시)를 통해 제어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필터유닛(100) 내부에 배치된 제1 내지 제n필터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부(20)는 압력 감지 센서가 사용되고, 기 설정된 압력 범위 이상일 경우 제어기가 기 입력된 기준치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이상 압력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n 필터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이유는 필터유닛(100)의 오작동에 따른 가스터빈(2)의 오작동 및 손상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덕트부(2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감지부(30)는 필터유닛(100)을 경유한 외부 공기가 덕트부(200)에서 압력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유입되는지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전술한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 감지부(30)는 감지한 압력값을 제어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입력된 압력값이 특정 압력 범위 이상일 때 외부 공기가 안정적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는 상기 제2 감지부(30)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기 설정된 압력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가스터빈(2)은 정상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이 경우 필터유닛(100)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안정적인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덕트부(200)의 내부가 이물질로 인해 밀폐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필터유닛(100) 또한 덕트부(200)의 내부 상태를 점검한다.
본 발명의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3)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된 감지 신호가 제어기로 입력된다. 보관 탱크(3) 내부의 압력은 외부 공기가 안정적으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현재 상기 보관 탱크(3)의 내부 상태를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들어가보지 않고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보관 탱크(3)는 가스터빈(2)이 내부에 설치되기 위해 높이가 10m내외의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탱크로서 가스터빈(2)이 작동되면서 노즐에서 부분적으로 누설이 발생될 경우 상기 보관 탱크(3)의 내부가 연료 가스로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보관 탱크(3)의 내부에 연료 가스가 누출되었는지는 별도의 감지기(미도시)를 통해 산소 농도를 사전에 확인하고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미 확인한 상태로 작업을 실시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3)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위한 제1 댐퍼(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50)는 가스터빈(2)의 작동과 연동하여 온, 오프 된다.
예를 들면 가스터빈(2)이 작동될 경우 제1 댐퍼(50)는 오픈 상태로 작동되어 다량의 외기가 보관 탱크(5)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스터빈(2)이 오프될 경우 제1 댐퍼(50) 또한 클로즈 상태로 작동된다.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3) 내부에 연료 가스가 기준치 이상으로 존재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댐퍼(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댐퍼(60)는 전술한 제1 댐퍼(50)와 마찬가지로 가스터빈(2)과 연동하여 작동되고, 상기 보관 탱크(3)의 내부가 다량의 연료 가스가 잔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필터유닛(100)은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0a)에 설치되고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그릴(102)을 포함한다. 상기 그릴(102)은 필터유닛(100)의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먼지, 종이 및 빗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필터유닛(100)은 작업자가 내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별도의 점검구(4)가 설치되므로 필터유닛(100)을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용 필터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용 필터장치는 덕트부(200)와 발전기(3))의 구성은 동일하며 필터유닛(100)의 구성만 상이하므로 상기 필터유닛(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터유닛(100)은 베이스 필터(110)와 다단 필터(12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터(110)는 합성섬유가 사용되고, 변색도법 효율(dust spot efficiency)이 70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위 시간당 4000m3/h 이상의 에어 플로우(airflow)가 유지된다.
베이스 필터(110)는 그릴(102)을 경유한 외기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설치되고, 상기 외기가 베이스 필터(110)를 경유하여 이동될 경우 92Pa의 압력 손실이 발생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단 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다단 필터(120)는 베이스 필터(110)와 이격되고 유리섬유(Glass fiber)로 이루어진 제1 필터(122)와, 상기 제1 필터(122)와 이격되고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제2 필터(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필터(122,124)는 변색도법 효율(dust spot efficiency)이 95% 이상이므로 박테리아에 해당되는 마이크로 단위까지 필터링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외기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안정적으로 필터링하여 가스터빈(2)의 노즐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제1,2 필터(122,124)는 단위 시간당 4000 m3/h 이상의 에어 플로우(airflow)가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 필터(110)와 제1,2 필터(122,124)의 압력 손실은 상기 베이스 필터(110)에서 제2 필터(124)로 갈수록 증가되는데, 이와 같은 압력 손실의 차이가 발생되는 이유는 상기 제1 필터(122)에 비해 제2 필터(124)가 상대적으로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외기에 대한 필터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색도법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필터(124)는 상기 제1 필터(122) 압력 손실의 2배 이상이 유지된다. 따라서 외기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은 제1 필터(122)에서 대부분 필터링되고, 상기 제1 필터(122)에서 필터링되지 못한 염화나트륨 성분은 제2 필터(124)에서 모두 필터링되므로 가스터빈(2)으로는 염화나트륨 성분이 제거된 순수한 공기만 공급되어 노즐의 부식이 방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필터유닛(100)은 덕트부(200)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부(200)는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10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터빈(2)과 연결된 제1 덕트(210)와,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10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관 탱크(3)와 연결된 제2 덕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필터(124)는 상기 제1 덕트(210)에만 설치되어 가스터빈(2)으로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필터링한다. 상기 제2 필터(124)는 제1 덕트(210)와 연결된 보관 탱크(3)의 내부로는 염화 나트륨 성분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가스터빈(2)에 직접적인 영향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미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외기는 유입구(100a)를 경유하여 베이스 필터(110)와 제1 필터(122)로 이동되고, 상기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베이스 필터(110)와 제2 필터(122)를 경유하연서 필터링되되, 상기 외기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은 95% 이상의 필터링 효율을 가지는 제1 필터(122)에서 필터링된 후에 제2 덕트(220)를 경유하여 보관 탱크(3)로 이동된다.
보관 탱크(3)는 외기에 염화나트륨 성분이 일부 포함된 경우에도 가스터빈(2)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극히 소량의 염화나트륨 성분이 보관 탱크(30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가스 터빈(2)의 작동 및 노즐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외기가 가스터빈(2)으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전술한 베이스 필터(110)와 제1 필터(122)를 경유한 후에 제2 필터(124)를 경유하면서, 상기 외기에 포함된 염화 나트륨 성분 및 기타 성분이 모두 제거된 상태로 상기 가스터빈(2)으로 공급되므로 가스터빈(2)의 노즐이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가스터빈(2)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외기가 제1,2 덕트(2210,220)를 경유하여 가스터빈(2)으로 이동되는 동안 압력 손실은 발생되나, 상대적으로 고가인 가스터빈(2)의 노즐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스터빈(2)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압력 손실로 인한 손실은 무시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외기가 베이스 필터(110)를 경유하여 제1 필터(122)로 이동될 경우 제1 감지부(20)가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기(미도시)로 감지된 압력값을 전송하고, 제2 감지부(30) 및 제3 감지부(40)가 각각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기로 전송한다.
제어기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감지부(20,30,40)에서 전송된 압력 데이터를 입력 받아 현재 압력 상태가 기 설정된 압력범위 이내인지 연산한 후에, 정상 상태일 경우 팬 유닛(10) 및 제1 댐퍼(50)를 작동시켜 외기를 가스터빈(2)과 보관 탱크(3)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 중에 가스터빈(2)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보관 탱크(3) 내부에 진입해야 하므로, 연료 가스의 잔존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가스터빈(2)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제어기가 제2 댐퍼(60)를 작동시켜 상기 보관 탱크(3)에 잔존하는 연료 가스 및 유해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관 탱크(2)에서 작업을 실시하기 전에 인체에 유해한 연료 가스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가스터빈(2)의 노즐 부식도 방지되어 발전기(300)를 통한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가스터빈
3 : 보관 탱크
10 : 팬 유닛
20, 30, 40 : 제1,2,3 감지부
50, 60 : 제1,2 댐퍼
100 : 필터유닛
110 : 베이스 필터
120 : 다단필터
122 : 제1 필터
124 : 제2 필터
200 : 덕트부
210 : 제1 덕트
220 : 제2 덕트

Claims (20)

  1.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가스터빈의 노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해수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으로부터 필터링된 외기가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이 안착된 보관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에서 분할된 덕트부; 및
    상기 가스터빈과 동축으로 연결된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는,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터빈과 연결된 제1 덕트;
    일단이 상기 필터유닛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관 탱크와 연결된 제2 덕트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가스터빈의 연소를 위한 연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 덕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제2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관 탱크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필터유닛 내부에 배치된 제1 내지 제n필터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덕트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위한 제1 댐퍼를 더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탱크 내부에 연료 가스가 기준치 이상으로 존재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댐퍼를 더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설치되고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그릴을 포함하는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126620A 2013-10-23 2013-10-23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 KR101525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20A KR101525387B1 (ko) 2013-10-23 2013-10-23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20A KR101525387B1 (ko) 2013-10-23 2013-10-23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70A KR20150046970A (ko) 2015-05-04
KR101525387B1 true KR101525387B1 (ko) 2015-06-03

Family

ID=5338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620A KR101525387B1 (ko) 2013-10-23 2013-10-23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28U (ko) 2015-07-22 2017-0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에어인테이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755A (ja) * 1999-07-07 2001-01-23 Hitachi Ltd 排気再循環型ガスタービン設備及びそのガスタービン設備を備えた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755A (ja) * 1999-07-07 2001-01-23 Hitachi Ltd 排気再循環型ガスタービン設備及びそのガスタービン設備を備えた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70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3196B2 (en) Racked power supply ventilation
US9662604B2 (en) Telescopic cleaning system for exhaust air filters
JP6217536B2 (ja) 燃料フィルタ異常検出装置
JP5340842B2 (ja) 換気装置
KR20140098453A (ko) 촉매 재생 기능이 강화된 비상 발전기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EP3140711B1 (en) Purge and pressurization system with feedback control
KR101591350B1 (ko)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KR101525387B1 (ko) 가스터빈 환기 시스템 및 필터장치
US10229840B2 (en) Ion implanter comprising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CN102380824B (zh) 风源装置
EP37475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degassing of a fuel tank
CN103790605A (zh) 一种隧道救援车用大风量过滤通风系统
CN207294599U (zh) 玻璃划线切割机适用的清理控制装置及清理系统
CN105521677A (zh) 集尘系统
KR101493861B1 (ko) 오일 순환 시스템
KR101517033B1 (ko) 케미컬 공급장치
CN104343542A (zh) 用于机壳的空气干扰系统
KR101478818B1 (ko) 집진 장치
CN100448514C (zh) 一种局部废气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274385A (zh) 一种车载净化器
KR20210105756A (ko)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KR101407274B1 (ko) 집진 장치 및 그에 대한 시스템
KR20140121313A (ko) 공정 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한 누출가스 자동 제어 시스템
CN109443658A (zh) 一种出油座泄露检测装置
CN115054998A (zh) 小型循环系统过滤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