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947B1 -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47B1
KR101524947B1 KR1020130158636A KR20130158636A KR101524947B1 KR 101524947 B1 KR101524947 B1 KR 101524947B1 KR 1020130158636 A KR1020130158636 A KR 1020130158636A KR 20130158636 A KR20130158636 A KR 20130158636A KR 101524947 B1 KR101524947 B1 KR 10152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ip
orc
steam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이재익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선박 폐열을 간접 열교환하여 빙해 방한 장비에 공급하여 착빙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은 선박에 구비되며 메인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를 상기 메인 엔진에 장착된 배기 가스 리시버를 통해서 터보 차저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터보 차저부; 상기 터보 차저부로부터 출력된 고온의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이코노마이저; 상기 이코노마이저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팀을 열교환하고 온도가 낮아진 배기 가스를 굴뚝부로 출력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스팀에 의해 열교환되어 온열원의 청수를 열교환원으로 입력받고 상기 온열원에 의해 유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 장치;를 구비하고 착빙을 방지하도록 열원을 방한 지역에 공급하는 ORC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시스템 적용시 방한 기술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 또는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발전기의 용량을 줄여 연료 사용량을 줄임으로 각종 환경 규제 강화를 대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A vessel equipping Organic rankine cycle system for ice classes winterization via indirect heat transfer of waste heat in a ship}
본 발명은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선박 폐열을 간접 열교환하여 빙해 방한 장비에 공급하여 착빙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북극 해역은 세계 석유 매장량 13%, 천연 가스 매장량 30% 등 대규모 자원 매장 지역으로 밝혀짐과 동시에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해 항로가 열리면서 열악한 기후 및 빙상 환경 등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극지 자원 개발 및 북극해 항로를 통한 물류 운송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자원의 탐사와 채굴을 위한 각종 해양 플랜트 및 보급, 수송을 위한 쇄빙 선박의 건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극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빙해 선박이라 할지라도 극지역의 Risk(위험 요소)로 인해 빙해 선박의 극지해역 운항시 주의를 요하고 있다.
Risk 항목은 다음과 같다.
Arctic Risk : Low temperature, Sea ice(Icing), Darkness, Operation, Remoteness, Environment(Fog, snow, wind, etc)
이러한 위험 요소 중 Icing(착빙)은 극지역 항해에 있어서 수분(Snow, Rain, Fog, Sea water spray 등)과 환경 조건(Wind, Low temperature, Open sea 등)의 상관 관계로 인해 도 1의 상단 그림처럼 발생하게 된다.
착빙은 선박의 Stability(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Draft, Trim, 저항 성능 등에 변화를 주고 항해 장비(Antenna, Radar, Window 등) 및 노출 갑판 기자재(Life boat, Anchor, Valves, Gangway, Railing 등)에 영향을 주어 선원의 안전과 선박 항해에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빙해 선박에 있어서 극지역 운항시 중요한 문제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방한 기술(Winterization)을 선박에 적용하고 있다.
방한 기술은 극지역에서의 위험 요소(착빙)을 줄여주는 역할로 선원의 건강과 안전, 장비의 작동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으로서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문제로서 강제 규정은 아니지만 선박의 안전 운항 및 저온 환경에서 기자재 및 긴급, 구난 장비 등의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항이다.
그러므로 극지환경에서 상부 구조물의 착빙에 따른 빙해 선박의 안전성 확보 대책과 함께 빙해 선박에 탑재되는 의장품들은 북극해의 저온 상태에서 결빙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가 되어야 한다.
방한 기술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로 Anti-Icing으로 Radar나 Anchor, Life boat 등 항상 착빙이 될 수 없도록 사전에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둘째로 De-Icing으로 Gangway, Lighting 등 착빙이 되어 있는 기자재를 어느 일정 시간 안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박에서 방한 기술이 적용 고려되어지는 부분은 도 1의 하단 그림과 같다.
최근 스웨덴 Stena사로부터 수주된 극지용 시추선(Ice class drill ship)의 경우 갑판 통로와 루버 등에 열선(Heating cable)을 이용한 결빙 방지 시공 기술이 적용된 사례가 있으며, 난간, PV valve, Air vent head 등의 선박 기자재에 대한 저온 성능 평가 시험이 수행된 바와 있다.
또한 밸러스트 수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 버블(Air bubble) 장치 및 도 2의 좌측 그림처럼 열선 코일(Heating coil) 설치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미국 선급에서는 밸러스트 수의 결빙 방지를 위한 설계 온도(Design service temperature,DST)를 -30℃ ~ -10℃로 구분을 하고 있으며, 밸러스트 수의 결빙 방지를 위해 선체 내부에 난류 발생 장치(Turbulence-inducing system) 또는 난방 장치(Heating system)가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상선에 적용하는 M/E(Main engine)은 주로 2행정 저속 디젤 엔진으로 전체 효율의 약 50%를 선박 추진에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열 에너지 상태로 외부로 방출한다.
특히 배기 가스(Exhaust gas)와 소기(Scavenge air)의 폐열량은 방출 에너지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배기 가스의 경우 약 25%를 차지한다.
배기 가스의 폐열 온도는 T/C(Turbo chatger)를 작동시킨 후 후단에서 약 240℃ ~ 300℃를 보인다.
최근 M/E의 효율을 높이고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고온의 배기 가스 폐열을 이용하여 Exhaust gas boiler나 Economizer를 통해 선박에 필요한 Steam을 생성한다.
이때 Steam 생성 후 버려지는 배기 가스 온도는 일반 상선의 M/E 배기 가스 배출 한계 온도 160℃(배기 가스 성분 중 황산화물이 존재하는데 160℃ 이하가 될 경우 황산화물이 침전하여 배관, boiler 등의 기자재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음) 이상인 약 200℃ ~ 220℃를 보인다.
도 2의 좌측 그림의 ORC(Organic rankine cycle) 발전 시스템은 기존의 랭킨 사이클과 달리 물 보다 낮은 온도에서 증발이 일어나는 유기 냉매(Refrigerants)를 작동 유체로 사용하는 랭킨 사이클로 저온의 열원으로도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성하여 고효율의 전력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지열 발전 등에 상용화되고 있으며 최근들어 선박 배기 가스의 온실 가스 및 황산화물, 질산화물, 분진 등의 유해 배출 가스 정화 설비 적용 및 연료비 절감을 위한 감속 운항이 지속되면서 선박 배기 가스의 온도가 낮아지고 있어 ORC 시스템을 이용한 폐열 회수 발전 시스템이 주목되고 있다.
ORC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동 유체가 다양한데 앞서 설명하였듯이 선박 배기 가스를 Exhaust gas boiler 등을 통해 Steam을 생성한 후 후단의 온도는 약 160℃ ~ 220℃로 지열 발전의 온도 영역과 근사하며 선박 배기 가스 등의 폐열 조건에서 사용가능한 유기 냉매를 물과 비교하여 다음의 표 1에 정리하였다.
유기 냉매 물성치
작동 유체 Water Ammonia Isopentane R134a R235fa
Type Wet Wet Wet Isentropic Dry
화학식 H20 NH3 (CH3)2CHC2H5 CH2FCF3 CHF2CH2CF3
분자량 18 17.03 72.15 102.03 134.05
GWP Natural
Refrigerant
Natural
Refrigerant
11 1,300 950
Tc
[임계온도 ℃]
375.95 132.25 187.8 101.06 154.05
Pc
[임계압력 bar]
220.64 113.33 32.9 40.59 36.40
Tb
[비점 ℃]
100.0 -33.33 27.9 -26.07 14.9
Tf
[융점 ℃]
0 -77.73 -160 -96.6 -67.2
최근 결빙 방지를 위해 앵커 또는 체인의 경우 묘쇄공 주위에 증융기를 이용하여 구명 보트 또는 안전 장비 등에는 보온 커버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구명정 대빗 또는 출입구에는 열선 코일을 적용시키고 갑판 저장고, 선수 추진기실 또는 비상 발전실 등에는 전기 히터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결빙 방지 기술이 도 2의 우측 그림의 열선을 이용한 시공법으로서 갑판에 노출되는 장비에 열선 시공을 통해 저온 상태에서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한 기술은 대부분의 선박의 발전기에 의존하는 기술로 방한 기술 적용시 일반 선박과 달리 발전기 용량이 급격히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선박의 발전기의 경우 대부분 연료를 연소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최근 배기 가스 등에서 발생하는 SOx, NOx 등 환경 규제 등이 강화되고 있어 대체 연료나 발전 방식이 고려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선박의 결빙 방지에 관한 기술이 대한 조선 학회 논문집(Vol.48,No.1, pp.93-97, February 2011, 극지 운항용 방해 선박의 밸러스트 수 결빙 방지 기법 연구) 및 대한 조선 학회 논문집(Vol.48,No.6, pp.575-580, December 2011, 내빙 선박용 풍우밀 문의 결빙 방지 기법 연구)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코노마이저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간접적으로 열교환하여 방한 지역에 공급하는 ORC 시스템을 구비하여 착빙을 방지하는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은 선박에 구비되며 메인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를 상기 메인 엔진에 장착된 배기 가스 리시버를 통해서 터보 차저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터보 차저부; 상기 터보 차저부로부터 출력된 고온의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이코노마이저; 상기 이코노마이저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팀을 열교환하고 온도가 낮아진 배기 가스를 굴뚝부로 출력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스팀에 의해 열교환되어 온열원의 청수를 열교환원으로 입력받고 상기 온열원에 의해 유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 장치;를 구비하고 착빙을 방지하도록 열원을 방한 지역에 공급하는 ORC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화 장치는 상기 스팀에 의해 열교환된 온열 매체의 청수를 저장하는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온열 매체를 유체 순환 파이프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제2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로부터 출력된 온열 매체를 온열원으로 입력받고 열전달 매체의 유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ORC 시스템은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출력된 온열 매체를 이용하여 액체의 유기 냉매를 기화시켜 스팀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스팀을 상기 방한 지역에 공급하는 기화 장치, 상기 방한 지역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된 상기 스팀을 입력받고 온도를 낮추어 유체로 상을 변환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출력된 유체의 압력을 높여 유기 냉매 순환 파이프를 통하여 다시 상기 기화기로 입력하여 재순환시키는 제1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한 지역은 선박의 굴뚝부 주변 거주구, 구명 보트, 레이더 장비 및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방한 지역은 하나 이상의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는 방한용 스팀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ORC 시스템은 상기 파이프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파이프에서 출력된 유기 냉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콘덴서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유기 냉매는 발화점이 없는 발포제이며 HFC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시스템 적용시 방한 기술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 또는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발전기의 용량을 줄여 연료 사용량을 줄임으로 각종 환경 규제 강화를 대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선박 폐열과 ORC 시스템의 직접적인 열교환을 피하여 장비 파손에 따른 유기 냉매의 유출 등의 사고 피해를 줄여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착빙, 방한 기술이 고려되는 선박의 각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른 ORC 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와 결빙 방지를 위해 선박의 갑판에 설치된 열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간접 열교환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유기 냉매(R245fa)의 T-s 선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간접 열교환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유기 냉매(R245fa)의 T-s 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3 내지 도면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선박의 배기 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Exhaust gas boiler나 Economizer를 통해 선박에 필요한 Steam을 생성 후 장비 후단에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는 약 200℃~220℃로 배기 가스 배출 한계 온도(160℃) 이상을 보인다.
결국 배기 가스 배출 한계 온도까지 열교환기 등을 통해 재회수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는데 이때 재회수된 폐열 에너지를 통해 빙해 선박의 방한 기술에 적용을 검토해 보았다.
배기 가스 폐열 회수를 이용한 빙해 선박 방한 기술의 시스템 구성은 도 3과 같다.
먼저 M/E에서 T/C를 작동시킨 후의 배기 가스 폐열을 이용해 Exhaust gas boiler나 Economizer를 통해 청수(Fresh water)와 열교환시켜 선박에 필요한 Steam을 생성한다.
이후 후단의 배기 가스(약 200℃~220℃)를 배출 한계 온도인 160℃까지 Heat exchanger를 통해 청수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Hot water를 생성한다.
이 Hot water는 ORC 시스템의 열원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구성 이유는 선박 폐열과 ORC 시스템의 직접적인 열교환을 피하여 장비 파손에 따른 유기 냉매 유출 등의 사고 피해를 줄일 수 있어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ORC 시스템에 있어서 배기 가스와 직접적인 열교환을 피하는 이유는 유기 냉매의 Vaporizer를 통해 ORC 시스템의 작동 유체인 유기 냉매(Refrigerants)와 열교환시켜 건포화 증기(Dry saturated steam) 이상의 Steam을 생성한다.
생성된 유기 냉매 Steam을 방한 기술이 필요한 공간에 설치된 Pipe에 통과시켜 외부 온도를 대기 온도 이상으로 올려 착빙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후 사용된 유기 냉매 Steam은 Valve를 통과시켜 감압시킨 후 Condenser를 거쳐 유체로 상을 바꾼 후 Tank로 유입시키고 다시 Pump를 통해 Vaporizer로 유입시켜 재순환 하도록한다.
여기서 ORC 작동 유체를 앞서 제시한 유기 냉매 중 R245fa로 가정하면, 표 1에서 보듯이 대기압에서 끊는점이 14.9℃, 임계 압력 36.4bar, 임계 온도 154.05℃로 저온의 열원으로도 증기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대기압 상태에서 융점은 극지역의 대기온보다 낮은 -67.2℃를 보여 극지역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R245fa는 도 5에서 보듯이 3bar로 가압시 건포화 증기 온도는 45.81℃, 6bar로 가압시 69.45℃를 보이는데 이 온도 대역의 Steam을 생성시켜 방한 기술 장소에 제공(Pipe) 된다면 대기 온도를 높여 착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시스템은 접근성이 가까운(Funnel 주변) 거주구나 Life boat, Radar 장비 그리고 최근 착빙 문제가 거론되는 Ballast Tank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시스템 적용시 방한 기술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나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기존 발전기 용량을 줄여 연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M/E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각종 환경 규제 강화를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은 메인 엔진(110), 배기 가스 공급 파이프(110a), 이코노마이저(120), 스팀 공급 파이프(120a), 열교환기(130), 유체 순환 파이프(130a), 굴뚝부(140), ORC 시스템(150) 및 선박 서비스 스팀부(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엔진(110)은 배기 가스 리시버(111)와 터보 차저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ORC 시스템(150)은 기화 장치, 밸브(153), 콘덴서(154), 제1 탱크(155), 유기 냉매 순환 파이프(150a), 제1 펌프(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박 서비스 스팀부(160)는 스팀 내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필터 장치 등을 구비하며 파이프를 통하여 거주구 내의 난방 장치와 온수 생성 장치와 같은 선내 스팀 이용 설비에 건조된 스팀을 공급한다.
상기 기화 장치는 제2 탱크(130b), 제2 펌프(130c) 및 기화기(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보 차저부(112)는 선박에 구비되며 메인 엔진(110)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를 상기 메인 엔진(110)에 장착된 배기 가스 리시버(111)를 통해서 터보 차저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킨다.
상기 이코노마이저(120)는 터보 차저부(112)로부터 출력된 고온의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열교환기(130)는 상기 이코노마이저로(120)부터 출력된 상기 스팀을 열교환하고 온도가 낮아진 배기 가스를 굴뚝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ORC 시스템(150)은 열교환기(130)에서 상기 스팀에 의해 열교환되어 온열원의 청수를 열교환원으로 입력받고 상기 온열원에 의해 유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 장치를 구비하고 착빙을 방지하도록 온열원을 방한 지역에 공급한다.
상기 기화 장치는 상기 스팀에 의해 열교환된 온열 매체의 청수를 저장하는 제2 탱크(130b),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온열 매체를 유체 순환 파이프(130a)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제2 펌프(130c) 및 상기 제2 펌프(130c)로부터 출력된 온열 매체를 온열원으로 입력받고 열전달 매체의 유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51)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또한 상기 ORC 시스템(150)은 상기 열교환기(130)로부터 출력된 온열 매체를 이용하여 액체의 유기 냉매를 기화시켜 스팀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스팀을 상기 방한 지역(152)에 공급하는 기화 장치, 상기 방한 지역(152)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된 상기 스팀을 입력받고 온도를 낮추어 유체로 상을 변환하는 콘덴서(154), 상기 콘덴서(154)로부터 출력된 유체의 압력을 높여 유기 냉매 순환 파이프(150a)를 통하여 다시 상기 기화기(151)로 입력하여 재순환시키는 제1 펌프(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한 지역(152)은 선박의 굴뚝부 주변 거주구, 구명 보트, 레이더 장비 및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방한 지역은 하나 이상의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연결되는 파이프(152a)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152a)의 내부에는 방한용 스팀이 공급된다.
상기 ORC 시스템(150)은 상기 파이프(152a)와 상기 콘덴서(154) 사이에 밸브(15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153)는 상기 파이프(152a)에서 출력된 유기 냉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콘덴서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ORC 시스템(150)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냉매는 발화점이 없는 발포제이며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HFC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R245fa) 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a는 열교환기(130)의 청수 측 출구, b는 입구, c는 스팀 측 입구, d는 스팀 측 출구이다.
110 : 메인 엔진 110a : 배기 가스 공급 파이프
111 : 배기 가스 리시버 112 : 터보 차저부
120 : 이코노마이저 120a : 스팀 공급 파이프
130 : 열교환기 130a : 유체 순환 파이프
130b : 제2 탱크 130c : 제2 펌프
140 : 굴뚝부 150 : ORC 시스템
150a : 유기 냉매 순환 파이프 151 : 기화기 152 : 방한 지역 152a : 파이프 153 : 밸브 154 : 콘덴서 155 : 제1 탱크 156 : 제1 펌프
160 : 선박 서비스 스팀부

Claims (6)

  1. 선박에 구비되며 메인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를 상기 메인 엔진에 장착된 배기 가스 리시버를 통해서 터보 차저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터보 차저부;
    상기 터보 차저부로부터 출력된 고온의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이코노마이저;
    상기 이코노마이저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팀을 열교환하고 온도가 낮아진 배기 가스를 굴뚝부로 출력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스팀에 의해 열교환되어 온열원의 청수를 열교환원으로 입력받고 상기 온열원에 의해 유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 장치;를 구비하고 착빙을 방지하도록 열원을 방한 지역에 공급하는 ORC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방한 지역은 선박의 굴뚝부 주변 거주구, 구명 보트, 레이더 장비 및 발라스트 탱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방한 지역은 하나 이상의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는 방한용 스팀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 장치는 상기 스팀에 의해 열교환된 온열 매체의 청수를 저장하는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온열 매체를 유체 순환 파이프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제2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로부터 출력된 온열 매체를 온열원으로 입력받고 열전달 매체의 유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ORC 시스템은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출력된 온열 매체를 이용하여 액체의 유기 냉매를 기화시켜 스팀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스팀을 상기 방한 지역에 공급하는 기화 장치,
    상기 방한 지역을 가열하기 위해 공급된 상기 스팀을 입력받고 온도를 낮추어 유체로 상을 변환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출력된 유체의 압력을 높여 유기 냉매 순환 파이프를 통하여 다시 상기 기화기로 입력하여 재순환시키는 제1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ORC 시스템은 상기 파이프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파이프에서 출력된 유기 냉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하여 상기 콘덴서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냉매는 발화점이 없는 발포제이며 HFC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ORC)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20130158636A 2013-12-18 2013-12-18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152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36A KR101524947B1 (ko) 2013-12-18 2013-12-18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36A KR101524947B1 (ko) 2013-12-18 2013-12-18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947B1 true KR101524947B1 (ko) 2015-06-01

Family

ID=5349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636A KR101524947B1 (ko) 2013-12-18 2013-12-18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970B1 (ko) 2020-05-26 2021-05-10 성원전기 주식회사 쇄빙선용 착빙방지 발열 루버벤트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975A (ko) * 2003-12-19 2005-06-28 호 박 선박용 공기조화 장치
KR20130032225A (ko) * 2011-09-22 2013-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975A (ko) * 2003-12-19 2005-06-28 호 박 선박용 공기조화 장치
KR20130032225A (ko) * 2011-09-22 2013-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970B1 (ko) 2020-05-26 2021-05-10 성원전기 주식회사 쇄빙선용 착빙방지 발열 루버벤트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33B1 (ko) 발전 및 담수화 복합 플랜트
KR101507660B1 (ko) 선박 폐열을 이용한 빙해 방한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1544806B1 (ko) 선박용 폐열회수시스템의 폐열을 이용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20160010956A (ko) 해수 순환 시스템 및 방법
Civgin et al. Analyzing the dual-loop organic rankine cycle for waste heat recovery of container vessel
KR102614528B1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시스템
KR101524947B1 (ko) 선박 폐열을 이용한 간접 열교환 장치를 통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1739451B1 (ko) 극저온 지역에서의 해양부유물의 밸러스트탱크 동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WO2018144024A1 (en) Liquid natural gas regasification and power generation heat optimization system
KR101519755B1 (ko) 선박 폐열을 이용한 빙해 방한용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1419009B1 (ko) 복합화력발전설비를 구비한 엘엔지 재기화 설비
KR102530053B1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 시스템
RU2613756C1 (ru) Судовая газотурбинная установка с утилизацией тепла уходящих газов
RU2573540C1 (ru) Пар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дводн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KR101917396B1 (ko)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한 빙해선박의 방한방법 및 그 시스템
Suarez De La Fuente Making shipping greener: ORC modelling under realistic operative conditions
KR101454385B1 (ko) 선박
EP2940256A1 (en) Hybrid plant with a combined solar-gas cycle, and operating method
KR20190068876A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lng 재기화열을 이용한 육상 hvac 냉매 순환 시스템
KR102578398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온도 제어 시스템
KR20150080885A (ko)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재기화 설비에서 발생한 저온해수를 이용한 해양온도차발전 시스템
RU2650916C1 (ru) Морской энергокомплекс
KR20170114332A (ko) 복합 발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RU166326U1 (ru) Судовая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установка
KR101895787B1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