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943B1 -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 - Google Patents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43B1
KR101524943B1 KR1020130141576A KR20130141576A KR101524943B1 KR 101524943 B1 KR101524943 B1 KR 101524943B1 KR 1020130141576 A KR1020130141576 A KR 1020130141576A KR 20130141576 A KR20130141576 A KR 20130141576A KR 101524943 B1 KR101524943 B1 KR 10152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eat
communication
heart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7792A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송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수 filed Critical 송현수
Priority to KR102013014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943B1/en
Publication of KR2015005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24D2200/18Flue gas recuperation

Abstract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가 개시된다. 외부로 배기되는 연통의 열원을 회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난로는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난로 본체와,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실외까지 안내하는 연기통로인 연통과, 상기 난로 상부에 상기 연통과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고 상단에 구비된 흡기구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된 다음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단에 구비된 배기구로 배출되는 열교환 케이스와, 상기 흡기구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한다.A furnace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ve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the heat source of communication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supplying it to the inside of the room, and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designed to save space. Th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ve main body that is supplied with fuel and discharges heat energy while being internally supplied with fuel, a communication path that is a smoke path for guiding the exhaust gas connected to the stove main body to the outside, A heat exchange cas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exchanging space so as to form a heat exchange space and sucking indoor air through an intake port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n performing heat exchange and then being discharged to an exhaust port provided at a lower end; Lt; RTI ID = 0.0 > pressure. ≪ / RTI >

Description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ve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heat of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외부로 배기되는 연통의 열원을 회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th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stove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the heat source of the communication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supplying the heat to the room and recovering the heat of communication designed to save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ve having a function.

일반적으로, 난로는 화석연료를 태워 실내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난로는 산업용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의 가정용으로 최근 늘어나는 추세이다. Generally, a stove is a device for supplying thermal energy to a room by burning fossil fuel. These stoves are growing not only for industrial use but also for home use in general houses.

난로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중에서 석유를 연료로 하는 석유난로가 화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선호의 대상이나, 기름 값의 상승에 따라 화목, 갈탄, 연탄난로들도 각광받게 되었고, 특히 난로의 에너지 효율을 올리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 are many kinds of stoves, among which petroleum stoves made of petroleum fuel have excellent firepower. Therefore, firewood, lignite and briquette stoves have been populariz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oil and the object of preference. Especially, Research on efficiency enhancement technology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난로 중에 상술한 화목, 갈탄, 연탄 등의 난로는 발생되는 연기를 염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따라서 난로의 상부에는 염통이 설치되어 실외까지 연장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the stoves, such as firewood, lignite, and briquettes, the generated smoke mus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salt tank. Therefore, the upper part of the hearth is provided with a salt tank and extended to the outside.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난로는 연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염통으로 많은 열에너지가 함께 방출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stove is lowered because a lot of heat energy is discharged together with a salt tank for discharging smoke and the lik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8005호에 난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난방시스템은 목재, 연탄 등을 연료로 하는 난로. 난로에 의해 가열되는 수조, 수조에 연통되어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난방배관, 바이패스관, 바이패스관을 거쳐 유입되는 온수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재차 수조로 공급하는 리턴관으로 구성되어, 농가 등에서 목재, 연탄 등을 연료로 하여 저렴한 연료비로 기름난로 및 가스난로 수준의 효과적인 난방을 실시할 수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tried to solve this problem. A heating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18005. This heating system is a fireplace made of wood, briquette and other fuel. A heating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 heating pipe formed in a zigzag manner, a bypass pipe, a radiator using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ipe, and a return pipe supplying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radiator to the water tank again , Farmers can use wood, briquettes, etc. as fuels for efficient heating of oil stoves and gas stoves at low fuel cost.

그러나 이러한 난방시스템은 수조, 다수개의 관들을 복잡하게 구성하여 장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이 어렵고, 또한 설치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heating system is constructed by complicatedly constructing a water tank and a plurality of pipes, it is difficult to purchase the water pump at a low cost,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complicated.

더불어,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장치의 구성들은 여러 부품들을 새로 부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하여 현재 유행하는 오토캠핑 등과 같은 휴대, 이동성이 필요한 난로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recovering the heat of communic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fireplace requiring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an auto camping which is currently popular due to an increase in volume since various components must be newly added.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8005Korea Registration Office 20-041800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통의 열을 회수할 수 있는 부품들을 난로 생산 시부터 고려하여 설계하되, 휴대성이 강조되는 캠핑 등에 사용되는 난로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분해 후 부품 적재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구성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the components capable of recovering the heat of communication from the production stage of the stove, And to recover the heat of the communication which is configured to occupy a small space when the parts are mounted after the disassemb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난로 본체;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실외까지 안내하는 연기통로인 연통; 상기 난로 상부에 상기 연통과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고 상단에 구비된 흡기구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된 다음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단에 구비된 배기구로 배출되는 열교환 케이스; 상기 흡기구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rnace main body including a furnace body for supplying heat to the furnace and discharging heat energy while being combusted; A communication passage which is a smoke passage for guiding the exhaust gas connected to the hearth main body to the outside; A heat exchange case disposed above the hearth and spaced apart from the heat exchanging space so as to form th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heat exchange space, the room air being sucked through an intake port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A fan provided at the inlet port to provide a pressure for transferring indoor air to the heat exchange space;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fan.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 케이스는 상면에 흡기구가 구비되고, 하단 측면에 복수개의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 배기구가 구비된다.Preferably, the heat exchange case has an inlet por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exhaust port formed in a plurality of slots on a lower side surface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 케이스는 상기 난로의 상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난로 본체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핀들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그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heat exchange case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from the upper part of the hearth,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its height in a state of being raised by a plurality of fins inserted into holes provided in the hearth main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 케이스는 상기 난로 본체에 구비된 돌출된 손잡이에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부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heat exchange cas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truding handle provided on the hearth main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 케이스 흡기구 하부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연통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된다.Preferably, a guide for guiding indoor air sucked to the communication side is provided below the air inlet of the heat exchange case.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이고, 상기 구동모터는 열전소자에 의해 구동된다.Preferably, the driving means is a driving motor, and the driving motor is driven by a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난로 본체;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실외까지 안내하는 연기통로인 연통; 상기 난로 상부에 상기 연통과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고 상단에 구비된 흡기구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된 다음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단에 구비된 배기구로 배출되는 주름관; 상기 흡기구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ve burner comprising: a stove main body for emitting heat energy while being supplied with fuel; A communication passage which is a smoke passage for guiding the exhaust gas connected to the hearth main body to the outside; A corrugated pipe spaced apart from the hearth so as to form th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heat exchange space and being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provided at the lower end after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inlet port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n heat exchanged; A fan provided at the inlet port to provide a pressure for transferring indoor air to the heat exchange space;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fan.

바람직하게, 상기 주름관의 흡기구에는 실내 바닥까지 연장된 연장관이 연결되고, 그 끝단에 상기 팬이 구비된다.
Preferably, an extension pipe extending to the floor of the room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of the corrugated pipe, and the fan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는 난로의 연통과 열교환 박스 또는 주름관 사이의 열교환공간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실내로 다시 순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많은 폐열을 재사용하게 되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1) Since the hearth having the function of recovering the heat of th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heated by the heat exchange space between the stove and the heat exchange box or the corrugated tube is circulated back to the roo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system.

(2) 본 발명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는 연통을 따라 설치되는 열교환 박스는 휴대 시 난로 본체와 겹치도록 슬라이드식으로 구성되고 주름관도 휴대 시에는 접히도록 구성하여 휴대하여 이동 시 공간을 충분히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2) The heat exchanger box having the function of recovering the heat of th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heat exchange box installed along the communication is slidably mounted so as to overlap with the stove body when carrie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ufficiently saving tim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사시도로서, 난로 미작동시 열교환 케이스가 하강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의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일부 구성인 주름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place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place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eplace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rth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eat exchange case is lowered when the stove is not operate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ove in the state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rth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the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place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a hearth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rrugated pipe which is a part of a furnace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rth having a function of recovering the hea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난로 본체(1)와, 상기 난로 본체(1)의 상단구멍(10d)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실외까지 안내하는 연기통로인 연통(4)과, 상기 난로 상부에 상기 연통(4)과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고 상단에 구비된 흡기구(10a)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된 다음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단에 구비된 배기구(10b)로 배출되는 열교환 케이스(10)와, 상기 흡기구(10a)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팬(30)과, 상기 팬(3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인 모터(20)를 포함한다.1 to 5, a furn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rnace body 1 for emitting heat energy while being supplied with fuel and an upper hole 10d (4), which is a smoke passage for guiding the exhaust gas generated to the outside of the hearth, to the outside of the hearth, and an air intake port (10a) A heat exchanging case 10 which is sucked indoor air and then heat exchanged and is discharged to an exhaust port 10b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ing compartment 10a; (30), and a motor (20) as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fan (30).

상기 난로 본체(1)는 펠릿 난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난로 본체(1)가 적용될 수 있다. 난로 본체(1)는 대략 함체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인 난로와 같이 내부에서 연료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난로 본체(1) 상부에는 연통(4)이 연결되어 연기를 배기하도록 되어 있다.The stove main body 1 may be various kinds of stove main bodies 1 such as a pellet stove. The furnace body 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ox-like shape, and fuel combustion is performed inside the furnace like a general furnac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port 4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earth main body 1 to exhaust the smoke.

상기 난로 본체(1) 정면에는 상하부에 개구부(1a,1b)가 형성되는 바, 그 개구부(1a,1b)에 배출서랍(3)과 도어(2)가 각각 설치된다. 즉 하부에 연소가 이루어진 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서랍(3)이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2)가 구비되어 있다. 배출서랍(3)과 도어(2)는 각각 손잡이(3a,2a)를 구비하고 있다.Openings 1a and 1b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earth main body 1 and a discharge drawer 3 and a door 2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openings 1a and 1b. That is, a discharge drawer 3 for discharging the ash which is burned in the lower part, and a door 2 for injecting fuel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thereof. The discharge drawer 3 and the door 2 are provided with handles 3a and 2a, respectively.

상기 열교환 케이스(10)는 상기 난로 본체(1)와 마찬가지로 대략 함체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난로 본체(1) 상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 케이스(10)는 상면에 흡기구(10a)가 구비되고, 하단 측면에 복수개의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 배기구(10b)가 구비된다. 물론 상단에는 연통(4)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The heat-exchanging case 10 is substantially in the shape of a hull, like the furnace body 1,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rth main body 1 so as to be slidable and ascendable. (10a), and an exhaust port (10b) having a plurality of slots in the lower end side surface thereof. At the upper end, of course,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pipe 4 passes is formed.

상기 열교환 케이스(10)는 상기 난로 본체(1)에 구비된 구멍(1c)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핀(11)들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그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드식으로 케이스(10)를 올린 다음 핀(11)들을 각각의 본체 구멍(1c)에 꽂아 케이스(10)가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이다.The heat exchange case 10 is configured to maintain its height in a state of being raised by a plurality of fins 11 inserted into a hole 1c provided in the hearth main body 1. [ That is, the structure is such that the case 10 is lifted by a slide type and then the pins 11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body holes 1c to support the case 10 so as not to descend.

상기 열교환 케이스(10)는 상기 난로 본체(1)에 구비된 돌출된 손잡이(2a,3a)에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부(10c)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가 승강할 때 본체 손잡이들(2a,3a)과 간섭하지 않는다.The heat exchange case 1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0c so as not to interfere with protruding grips 2a and 3a provided on the hearth main body 1. Therefore, when the case 10 is lifted and lowere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ain body grips 2a and 3a.

상기 열교환 케이스(10) 상부에는 배기구(10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배기구(10a)에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팬(3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0) 구동에 따라 실내공기는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슬롯 배기구(10b)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배기된다.An exhaust port 10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 case 10 and a fan 30 driven by a motor 20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ort 10a. Accordingly,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se 10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motor 20, and then exhausted to the room through the slot exhaust port 10b.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열교환 케이스 흡기구(10a) 하부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연통(4)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40)가 구비된다. 이것에 의해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guide 40 for guiding indoor air sucked to the communication 4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inlet 10a of the heat exchange case.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에 의한 난로는 오토캠핑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2와 도 4를 참고하면, 연통(4), 케이스(10), 난로 본체(1)가 모두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 4와 도 5 같은 상태에서 연통(4)만 분리하여 본체(1)와 케이스(10)가 겹친 상태에서 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연통(4)을 부위별로 분리하여 정리하고, 난로 본체(1)와 케이스(10)가 겹치도록 슬라이딩 시킨 상태에서 차량에 싣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The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utocamping. 2 and 4, since the communication 4, the case 10 and the stove main body 1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ly the communication 4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And the case 10 are overlapp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in carrying. That is, the communicating tubes 4 can be separated and arranged for each part, and can be loaded and moved in the vehicle while the hearth body 1 and the case 10 are sli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난로의 사용법이 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상부로 케이스(10)를 상승시켜 핀(11)을 본체(1)에 꽂아 케이스(10)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난로 본체(1)를 가동시키면, 난로 본체(1)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열에너지가 실내로 전달되고, 배기가스는 연통(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3, the use of th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illustrated. The position of the case 10 is fixed by lifting the case 10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 and inserting the pin 11 into the main body 1. [ When the stove body 1 is operated in this state, the fuel is burned in the stove body 1, and the heat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room, and the exhaust gas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4.

이와 동시에,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팬(30)이 구동되면,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 케이스(10)의 흡기구(10a)를 통하여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40)의 안내에 따라 상기 연통(4) 쪽으로 이동한 다음, 연통(4)과 열교환을 진행하게 된다.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팬(30)의 압력에 의해 하강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fan 30 is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motor 20, the room air is sucked into the case through the inlet 10a of the heat exchange case 10. [ The sucked air moves toward the communication port (4)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of the guide (40), and then conducts heat exchang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4). The air sucked into the case 10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fan 30 as heat is exchanged.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하강되면서 뜨거워진 공기는 복수개의 슬롯인 배기구(10b)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기됨으로써 순환한다.The air heated in the case 10 is circulated by being exhausted to the room through the exhaust port 10b, which is a plurality of slots.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난로가 도 6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난로는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난로 본체(101)와, 상기 난로 본체(101)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실외까지 안내하는 연기통로인 연통(104)과, 상기 난로 상부에 상기 연통(104)과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고 상단에 구비된 흡기구(121a)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된 다음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단에 구비된 배기구(122a)로 배출되는 주름관(120)과, 상기 흡기구(121a)에 연결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팬(134)과, 상기 팬(134)을 구동하는 모터(135)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firepla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The st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ve main body 101 for discharging heat energy while being supplied with fuel and a smoke path for guiding the exhaust gas connected to the stove main body 101 to outside,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21a)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stove so as to form a heat exchange space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04), and then heat exchange is performed. A fan 134 connected to the inlet 121a to provide the pressure for transferring indoor air to the heat exchange space, a motor 135 for driving the fan 134, ).

여기서, 상기 주름관(120)의 흡기구(121a)에는 실내 바닥까지 연장된 연장관(130)이 연결되고, 그 끝단에 상기 팬(134)이 구비된다.An extension pipe 130 extending to the floor of the room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21a of the corrugated pipe 120 and the fan 134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상기 주름관(120), 연장관(130), 모터(135), 팬(134)은 연통(104)의 열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열 회수장치(110)를 구성한다.The corrugated pipe 120, the extension pipe 130, the motor 135 and the fan 134 constitute a heat recovery device 110 for recovering and circulating the heat of the communication pipe 104.

상기 난로 본체(101)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난로는 함체형상의 몸체로 구성되고, 그 전방에 연료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102)와 재를 수거하기 위한 배출서랍(103)이 개구부(101a,101b)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 손잡이(102a,103a)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난로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난로 본체(101)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면 배기가스는 연통(104)을 통하여 배기된다.The stove main body 10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urnace is composed of a body having a box shape, and a door 102 for injecting fuel and a discharge drawer 103 for collecting ash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openings 101a and 101b, 102a, and 103a are also provided. Therefore, it operates like a normal fireplace. When combustion is performed inside the furnace body 101, the exhaust gas is exhaus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104.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주름관(120)이 상기 연통(104) 주위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열교환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주름관(120)은 상부로부터 흡기구(121a)를 구비한 상단부(121)와, 주름이 형성된 중간의 주름부(122)와, 상기 난로 본체(101) 구멍(101c)과 조립 결합되는 하판(123)과 연결된 하단부(124)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실상 접히는 부분은 주름부(122)가 될 것이다. 주름부(122)의 하단에는 배기구(122a)가 형성되어 열교환되어 뜨거워진 공기가 실내로 다시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ellows pipe 120 is installed around the communication pipe 104 to form a heat exchange space. The corrugated pipe 120 includes an upper portion 121 having an inlet 121a from the upper portion thereof, a middle corrugated portion 122 formed with corrugations, a lower plate 123 assembled with the hole 101c of the furnace body 101, And a lower end portion 124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124. Therefore, the folded portion will be the fold 122 in effect. At the lower end of the corrugated portion 122, an exhaust port 122a is formed so that the heat exchanged air is circulated back to the room.

상기 연장관(130)은 상부의 수평관(131), 중간의 수직관(132), 하부의 수평관(13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의 수평관(133)에는 흡기구(133a)가 형성되어 있어서 실내 바닥의 공기가 흡입된다. 또 수평관(133)에는 팬(134)과 모터(135)가 설치되어 있다.The extension pipe 130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pipe 131, a middle vertical pipe 132, and a lower horizontal pipe 133. An air inlet 133a is formed in the lower horizontal pipe 133 to suck air in the room. The horizontal pipe 133 is provided with a fan 134 and a motor 135.

상술한 난로는 모두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주름관(1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으면 그 부피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오토캠핑용 난로에 적용 시 공간 활용면에서 이점이 있다.All of the above-described stoves can be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structure. Particularly, when the corrugated pipe 120 is folded as shown in Fig. 9, the volume thereof is remarkably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space utilization when applied to an auto camping stove.

조립은, 먼저 도 9와 같은 상태의 주름관(120)을 도 8관 같이 펴 늘린 다음 연통(104)을 삽입하여 난로 본체(101)에 조립한다. 그 후, 연장관(130)을 흡기구(121a)에 끼우고 동작시키면 된다. 물론 반대로 분해한다.First, the corrugated pipe 120 in the state shown in FIG. 9 is stretched like a pipe in FIG. 9, and then the communication pipe 104 is inserted and assembled to the stove main body 101. Thereafter, the extension pipe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ake port 121a and operated. Of course, disassembly is reversed.

조립 후, 난로를 동작시키면, 난로 본체(101) 내부의 연소열은 실내로 열전달된다. 그와 동시에 연소 시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통(104)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When the stove is operated after the assembly, the heat of combustion inside the stove body 101 is transferred to the room. At the same time, the exhaust gas generated at the time of combustion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104).

이때, 상기 모터(135)가 구동되어 팬(134)이 회전하게 되면, 실내 바닥의 공기가 흡기구(133a)를 통하여 연장관(130)으로 흡입된 다음, 수평관(133), 수직관(132), 수평관(131)을 통과하여 주름관(120)의 흡기구(121a)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주름관(120)과 상기 연통(104) 사이의 열교환 공간에서 연통(104)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팬(134)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결국 뜨거워진 공기는 상기 주름관(120)의 배기구(122a)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배기되어 순환된다.At this time, when the motor 135 is driven and the fan 134 rotates, air in the room floor is sucked into the extension pipe 130 through the suction port 133a, and then the horizontal pipe 133, the vertical pipe 132, And then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21a of the bell pipe 120 through the horizontal pipe 131. The sucked air is exchanged with the communication pipe 104 in the heat exchange space between the corrugated pipe 120 and the communication pipe 104 and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fan 134. As a result, The air is exhausted to the room again and circulat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a.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난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소비하는 형태를 구성한 점이다.Referring to Fig. 10, a sto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but electricity is produced and consumed by itself.

즉, 열교환 케이스(1) 흡기구(10a)에 설치되어 있는 팬과 모터 대신에, 열전소자에 의해 생산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팬(30')을 설치한 것이다. 전기발생장치(20')에 의해 팬(30')이 구동되는 것이다.That is, a fan 30 'driven by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instead of the fan and the motor provided in the inlet port 10a of the heat exchange case 1. [ And the fan 30 'is driven by the electricity generating device 20'.

전기발생장치(20')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구조를 갖는다. 열전소자는 흡기구(10a)에서 올라오는 열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고, 그 생산된 전기는 바로 팬(30')으로 공급되어 팬(30')을 구동하게 된다.The electricity generating device 20 'has a structure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uses a method of producing electricity by the heat coming from the inlet 10a, and the produced electricity is directly supplied to the fan 30 'to drive the fan 30'.

이렇게 외부전원 없이도 팬(30')의 구동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충분히 동작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an 30 'can be driven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an 30' without a power sour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 난로 본체
2 : 도어 3 : 배출서랍
4 : 연통 10 : 열교환 케이스
20 : 모터 30 : 팬
40 : 가이드 120 : 주름관
1:
2: Door 3: Empty drawer
4: communication 10: heat exchange case
20: motor 30: fan
40: guide 120: corrugated tube

Claims (9)

내부에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난로 본체;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실외까지 안내하는 연기통로인 연통;
상기 난로 상부에 상기 연통과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고 상단에 구비된 흡기구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된 다음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단에 구비된 배기구로 배출되는 열교환 케이스;
상기 흡기구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열교환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팬;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케이스는 하강위치에서는 상기 난로 본체를 덮어 겹친 상태로 되고 상승위치에서는 상기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도록 슬라이드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난로 본체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핀들에 의해 상승위치에서 그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
A furnace main body which is supplied with fuel and burns and emits thermal energy;
A communication passage which is a smoke passage for guiding the exhaust gas connected to the hearth main body to the outside;
A heat exchange case disposed above the hearth and spaced apart from the heat exchanging space so as to form th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heat exchange space, the room air being sucked through an intake port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A fan provided at the inlet port to provide a pressure for transferring indoor air to the heat exchange space;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fan;
/ RTI >
The heat exchange case is slidably disposed to cover the hearth body at a lowered position and to overlap the heat exchange body at a raised position. The heat exchange body is provided at a raised position by a plurality of fins inserted into holes provided in the hearth body. Wherein the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케이스는 상면에 흡기구가 구비되고, 하단 측면에 복수개의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 배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exchange case has an inlet por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exhaust port formed in a lower side surface in a plurality of slo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케이스는 상기 난로 본체에 구비된 돌출된 손잡이에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exchange cas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truding handle provided on the hearth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케이스 흡기구 하부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연통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for guiding indoor air to be sucked to the communication sid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 of the heat exchang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이고, 상기 구동모터는 열전소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means is a driving motor and the driving motor is driven by a thermoelectric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41576A 2013-11-20 2013-11-20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 KR1015249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576A KR101524943B1 (en) 2013-11-20 2013-11-20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576A KR101524943B1 (en) 2013-11-20 2013-11-20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792A KR20150057792A (en) 2015-05-28
KR101524943B1 true KR101524943B1 (en) 2015-06-01

Family

ID=5339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576A KR101524943B1 (en) 2013-11-20 2013-11-20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9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28B1 (en) * 2015-08-19 2016-02-15 임재욱 Safety guide device for stovepi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16B1 (en) * 2020-03-02 2020-09-03 박영주 A Stove-Free Heat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533Y1 (en) * 1998-03-05 2001-04-02 우덕환 Hot air heater using briguette combusting heat
JP2009174820A (en) * 2008-01-28 2009-08-06 Sanshu Sangyo Co Ltd Greenhouse horticulture hot air heater
KR20120119886A (en) * 2012-09-17 2012-10-31 석 규 이 Exhaust gas waste heat recovery system
KR20130026866A (en) * 2011-09-06 2013-03-14 주동현 Waste heat recover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533Y1 (en) * 1998-03-05 2001-04-02 우덕환 Hot air heater using briguette combusting heat
JP2009174820A (en) * 2008-01-28 2009-08-06 Sanshu Sangyo Co Ltd Greenhouse horticulture hot air heater
KR20130026866A (en) * 2011-09-06 2013-03-14 주동현 Waste heat recovery system
KR20120119886A (en) * 2012-09-17 2012-10-31 석 규 이 Exhaust gas waste heat recover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28B1 (en) * 2015-08-19 2016-02-15 임재욱 Safety guide device for stove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792A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943B1 (en) Heater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stovepipe heat
CN203024409U (en) Environment-friendly conduction oil circulating heater
KR20100110493A (en) The air conditioner where the board type heating element had built-in
CN103206787B (en)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heat conducting oil circulation heater
KR20120125415A (en) A briquette boiler for agricultural
JP2010266184A (en) Device for heating air during duty cycle of heating boiler
KR200459702Y1 (en) Wood Boiler
CN2800110Y (en) Combined heat-storage heating stove
CN2893459Y (en) Domestic warm-air stove
CN208846406U (en) Boosting type granular fuel combustion furnace
KR20150057789A (en) heat collecting apparatus from stovepipe
KR101535983B1 (en) Fire wood type hot blaster heater
CN201740220U (en) Inner water liner upright downdraft boiler
KR100502545B1 (en) A briquet boiler for warm wind maker
CN104996317A (en) Heating equipment for chicken rearing room
CN212457409U (en) Novel gas hot-blast stove
CN104613747A (en) Synthetic leather printing line heated by mini-type thermal conductivity oil furnace
KR20120088912A (en) Pellet boiler enhancing warm water heat transfer efficiency
KR100875615B1 (en) Auxiliary heating device of boiler
CN201680420U (en) Biomass energy water heated air-conditioner system for cooking, bathing and heating
CN201652445U (en) Honeycomb briquet air conveying warming stove
CN201215381Y (en) Highly efficient energy-saving heating stove
CN201582855U (en) Air heat exchanger inside furnace
CN201032259Y (en) Efficient energy-saving heating boiler
KR200378546Y1 (en) A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