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773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773B1
KR101524773B1 KR1020080102584A KR20080102584A KR101524773B1 KR 101524773 B1 KR101524773 B1 KR 101524773B1 KR 1020080102584 A KR1020080102584 A KR 1020080102584A KR 20080102584 A KR20080102584 A KR 20080102584A KR 101524773 B1 KR101524773 B1 KR 10152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receptacle
main body
dust receptacle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3325A (en
Inventor
조정희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460,932 priority Critical patent/US8505157B2/en
Publication of KR2010003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3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7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는 집진장치;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집진장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장치에서 분리된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되는 제 1 오물수거통;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장치에서 분리된 부피가 작은 미세먼지가 수거되는 제 2 오물수거통; 및 상기 집진장치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을 서로 면 접촉하도록 밀착시켜 밀봉 및 록킹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집진장치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을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켜, 상기 집진장치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의 밀봉 및 록킹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를 가지는 록킹장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오물수거통과 강제 이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이 제거된 후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A dust collecting device fixed to the cleaner main body; A first dust receptac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collect large-sized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 second dust receptac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dust receptacle and collecting fin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first position for sealing and lock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receptacle in a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osition for sealing and lock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receptacle, And a locking device having a second position for releasing the sealing and locking of the first and the second dirt receptacle, wherein the second dirt receptacle is forcedly spaced from the first dirt receptacle in the second position, And is removably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after the first dust receptacl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진공청소기, 오물수거통, 록킹장치, 승강장치, 자동분리 Vacuum cleaner, dirt container, locking device, lifting device, automatic separation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물수거통 제거 동작을 개선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which improves ease of use by improving a dirt receptacle remov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설치된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대용량의 오물수거통을 가진다. 최근들어 미세먼지 포집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부피가 큰 오물을 수거하는 1차 사이클론장치와, 미세먼지를 수거하는 2차 사이클론장치를 가지는 집진장치의 경우,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되는 제 1 오물수거부와, 미세먼지가 수거되는 제 2 오물수거부를 가질 수 있다.Generally, the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s a large amount of dust collection box. In recent years, in the case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primary cyclone apparatus for collecting bulky dirt and a secondary cyclone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dust to improve the fine dust collecting effect, the number of first dirt particles Rejection, and second dirt rejection in which fine dust is collected.

이처럼 서로 수거된 오물의 부피별로 서로 제 1 및 제 2 오물수거부를 가질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오물수거부는, 오물수거통에 격벽을 설치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on receivers have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on receivers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collected dirt,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on receivers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in the dirt receptacle.

하지만, 하나의 오물수거통에 격벽을 설치하여 제 1 및 제 2 오물수거부를 형성하여, 부피가 큰 오물과 미세먼지를 모두 수용할 경우, 오물을 버리면서, 미세먼지가 날려 사용자의 손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when a bulkhead is installed in one dirt receptacle to form first and second dirt receptacles, if large amounts of dirt and fine dust are accommodated, fine dust is blown away while the dirt is being removed, A problem may occur.

한편, 제 1 오물수거부의 하측에 제 2 오물수거부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오물수거부는 트위스트 결합과 같은 별도의 록킹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부피가 큰 오물이 포집되는 상기 제 1 오물수거부는 상기 제 2 오물수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주 비워줘야 하기 때문에, 제 2 오물수거부가 다 차지 않더라도, 제 1 오물수거부와 함께 제 2 오물수거부가 진공청소기 본체로부터 취출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제 2 오물수거부를 제 1 오물수거부로부터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이들의 결합을 분리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면서, 제 2 오물수거부에 포집된 미세먼지가 쏟아지거나, 사용자의 손을 오염시킬 수 있어 불편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second dirt collection member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irt collection member.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on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eparate locking structure such as a twisted joint. However, since the first dirt rejection in which the bulky dirt is caught must be emptied relatively frequently as compared with the second dirt rejection, even if the second dirt rejection is not made,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rejection is taken out from the body of the vacuum cleaner. In addition, when the second dirt rejectio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dirt rejection, the user may separately perform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dirt, the fine dust collected in the second dirt rejection may be poured, It is polluted and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물수거통의 분리 및 장착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mproved in user-friendliness by improving the separation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dust recepta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는 집진장치;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집진장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장치에서 분리된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되는 제 1 오물수거통;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장치에서 분리된 부피가 작은 미세먼지가 수거되는 제 2 오물수거통; 및 상기 집진장치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을 서로 면 접촉하도록 밀착시켜 밀봉 및 록킹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집진장치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을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켜, 상기 집진장치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의 밀봉 및 록킹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를 가지는 록킹장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오물수거통과 강제 이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이 제거된 후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A dust collecting device fixed to the cleaner main body; A first dust receptac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collect large-sized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 second dust receptac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dust receptacle and collecting fin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first position for sealing and lock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receptacle in a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osition for sealing and lock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receptacle, And a locking device having a second position for releasing the sealing and locking of the first and the second dirt receptacle, wherein the second dirt receptacle is forcedly spaced from the first dirt receptacle in the second position, And is removably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after the first dust receptacl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 2 오물수거통 하측과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된 승강 경사로; 및 상기 제 2 오물수거통과 상기 승강 경사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 경사로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을 상하 이동시키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ramp formed at a position facing a lower 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box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 rotary knob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ust receptacle and the ramp for raising and lowering along the ramp to move the second dust receptacle up and down.

상기 회전 손잡이는,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에 돌출 형성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knob includes: a handle body; A lever protruding from the handle body; And a hook protruding upward from the lever.

상기 승강 경사로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 몸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승강 경사로가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 몸체는, 상기 보조 승강 경사로와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 슬라이딩 경사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At least one auxiliary ramp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ramp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le body and the handle body has an auxiliary ramp slo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facing the auxiliary ramp, good.

상기 레버는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을 향해 돌출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 상기 후크와 마주보는 위치에 후크 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후크 홈에 후킹되고,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과 손잡이 몸체의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을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lever includes a hook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dirt receptacle, the second dirt receptacle having a hook groove at a position facing the hook, the hook being adapted to hook into the hook groove at the first position, An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second dust receptacle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p body so that the second dust receptacle is lowered.

상기 후크 홈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후크가 삽입 및 이탈되는 개구부; 및 상기 후크가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hook groove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hook is inserted and relea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a latch jaw that prevents the hook from being released as the hook moves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되고,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 상기 제 1 오물수거통 장착 위치로 상승시킨 후,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dust receptacle is taken ou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second dust receptacle is raised to the first dust receptacle mounting position and then taken ou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오쿨수거통의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cleaner body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ail for supporting the first dust receptacle, and a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of the first oil receptacle.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에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에는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cleaner main body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first dust receptacle; And a second protrusion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second dust receptacle, wherein the first dust receptacle is formed with a first engaging part engaging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dust receptacle is provid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latching portion is formed to be engaged.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 바닥면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배출구는,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손잡이는, 중앙에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ust receptacle may have an air outle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the air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dirt from the discharged air. At this time, the rotary knob may include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at the cente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장치와 오물수거통의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포집되는 오물의 부피별로 마련된 제 1 오물수거통과 제 2 오물수거통의 분리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을 진공청소기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dust storage receptacle and the second dust storage receptacle provided for each volume of the collected dust in cooperation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betwe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dust receptacle, The second dust receptacle can be taken out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또한, 상대적으로 자주 비우는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되는 제 1 오물수거통만을 취출하여 버릴 수 있어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only the first dirt collecting bin for collecting relatively large volume of dirt that is relatively frequently empty can be taken out and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의 분리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S. 1 to 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separation procedure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s.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0), 집진장치(110), 제 1 오물수거통(120), 제 2 오물수거통(130) 및 록킹장치(200)를 포함한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00, a dust collector 110, a first dust receptacle 120, a second dust receptacle 130, and a locking device 200.

청소기 본체(100)는 내부에 부압 형성을 위한 미도시의 진공흡입모터가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101)과, 오물이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그릴(102)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103)을 포함한다.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motor (not shown) for forming a negative pressure there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includes a suction nozzle 101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from a bottom surface thereof, (102), and a handle (103) that the user grips.

상기 집진장치(11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흡입 노즐(101)이 흡입한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부피가 큰 오물과 미세먼지로 구분하여 분리한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is fixedly coupled to the cleaner main body 100 and sucks the air containing the dust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101 to separate the dust into fine dust and fine dust.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은 상기 집진장치(110)의 아래 쪽에 배치되고, 상 기 집진장치(110)에서 분리된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된다.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은, 상기 록킹장치(200)의 록킹이 해제되었을 경우,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된다.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is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and the bulky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is collected. When the locking device 200 is unlocked,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is taken ou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록킹장치(200)의 회전 동작시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의 회전을 방지하고, 제 1 오물수거통(120)이 상하 방향 이동만 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제 1 걸림부(12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걸림부(125)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 1 돌출부(105)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05)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 탄성편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의 삽입 및 취출 동작시 일정 이상의 힘을 사용자가 가할경우,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 1 걸림부(125)와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On both sides of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is prevented from rotating during the rotation of the locking device 200, and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can only move up and down A first engaging portion 125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is provided. The first locking part 125 is engaged with the first protrusion 105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The first protrusion 105 is provided as an elastic pie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eaner main body 100.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during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operations of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So that the locking with the first locking part 125 can be released.

한편,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의 상측 둘레에는 지지부(129)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지지부(129)가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109)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9)은 상기 지지부(129)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록킹장치(200)의 록킹 해제시 제 1 오물수거통(120)이 상기 집진장치(110)와 이격될 정도만 하강하고,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록킹장치(200)의 록킹 해제시 하강하는 제 2 오물수거통(130)이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A support portion 129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and a guide rail 109 is formed on the cleaner body 100 to receive the support portion 129. The guide rails 109 are lowered so that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when the locking device 200 is unlocked by the engagement with the support portion 129, So that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descending when the locking device 200 is unlocked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은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의 아래 쪽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장치(110)에서 분리된 미세먼지가 수거된다. 상기 제 2 오물수거 통(130)은 상기 록킹장치(200)의 록킹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이 청소기 본체(100)로부터 제거된 후에 취출되는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이 청소기 본체(100) 전면 방향으로 제거되면, 먼저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이 배치되어 있던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된다.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and fin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is collected. When the 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200 is released,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s taken out after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is remov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00.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120 are remov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is lifted up to the upper side and then taken ou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록킹장치(200)의 회전 동작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의 회전을 방지하고, 제 2 오물수거통(130)이 상하 방향 이동만 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제 2 걸림부(137)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걸림부(137)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돌출부(107)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돌출부(107)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20)의 삽입 및 취출 동작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의 상하 방향이동을 가이드한다.4,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s prevented from rotating during the rotation of the locking device 200, A second latching part 137 is provided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so that the first latching part 130 can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137 is engaged with a second projection 107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The second protrusions 107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so that 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operations of the second dust receptacle 120, do.

록킹장치(200)는 상기 집진장치(110)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을 서로 면 접촉하도록 밀봉 및 록킹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집진장치(110)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을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켜, 상기 집진장치(110)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의 밀봉 및 록킹을 해제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locking device 200 includes a first position for sealing and lock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waste receptacles 120 and 130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basins 120 and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able to move between a second position for releasing the sealing and unlocking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receptacle 120, .

상기 록킹장치(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경사로(210) 및 회전 손잡이(220)를 포함한다.The locking device 200 includes a ramp 210 and a rotary knob 220, as shown in FIGS.

상기 승강 경사로(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 하측면과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포트(21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경사로(210)와 배기포트(212) 사이에는 동축적으로 보조 승강 경사로(2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이 좋다. 7, the ascending ramp 210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and an exhaust port 212 are provided. At least one auxiliary ramp 211 may be provided coaxially between the ramp 210 and the exhaust port 212.

상기 회전 손잡이(220)는 상기 승강 경사로(210) 및 보조 승강 경사로(211)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The rotary knob 22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ramp 210 and the auxiliary ramp 211 to raise and lower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상기 회전 손잡이(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몸체(221), 레버(222), 후크(223), 보조 슬라이딩 경사면(221a) 및 공기유로(221b)를 포함한다.5 and 6, the rotary knob 220 includes a knob body 221, a lever 222, a hook 223, an auxiliary sliding slope 221a, and an air flow path 221b.

상기 손잡이 몸체(221)는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의 바닥면과 밀착되고, 보조 슬라이딩 경사면(221a)과, 공기유로(221b)를 포함한다.The handle body 2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and includes an auxiliary sliding slope 221a and an air passage 221b.

상기 보조 슬라이딩 경사면(221a)은 상기 보조 승강 경사로(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 몸체(22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손잡이 몸체(221)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 손잡이 몸체(221)가 회전하면, 상기 보조 슬라이딩 경사면(221a)은 상기 보조 승강 경사로(211)를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 몸체(221)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손잡이 몸체(221)가 회전하면, 상기 보조 승강 경사로(211)를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 몸체(221)를 하강시킨다.The auxiliary sliding inclined surface 221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ramp 211 so that the handle body 221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body 22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le body 221 is rotated toward the first position, the auxiliary sliding slope 221a moves on the auxiliary lift slope 211, And when the handle body 221 rotat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handle body 221 is lowered while moving on the auxiliary ramp 211.

상기 공기유로(221b)는 상기 손잡이 몸체(221)의 중앙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221)는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39)와 상기 배기포트(212)를 밀봉된 상태로 연결한다.The air passage 221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body 221. Therefore, a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the handle body 2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and the air outlet 13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And the exhaust port 212 in a sealed state.

상기 레버(222)는 상기 손잡이 몸체(221)에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사용자가 이 레버(222)를 파지하여, 상기 손잡이 몸체(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22)는 상기 승강 경사로(2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 몸체(221)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즉, 상기 레버(222)를 제 1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222)는 상기 승강 경사로(210)를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 몸체(221)를 상승시키고,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승강 경사로(210)를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 몸체(221)를 하강시킨다.The lever 222 is protru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handle body 221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lever 222 to rotate the handle body 221. As shown in FIGS. 5 to 7, the lever 222 moves up and down the grip body 221 while moving along the ramp 210. That is, when the lever 222 is rotated toward the first position, the lever 222 moves up the ramp body 210 while raising the grip body 221, and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grip body 221 is lowered while moving along the ramp 210.

상기 후크(223)는 상기 레버(222)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고,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에 마련된 후크 홈(230)에 후킹되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후크 홈(230)과의 후킹이 해소될 수 있다. The hook 223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ver 222 and is hooked to a hook groove 230 provided in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at a first position and hooked to the hook groove 230 at a second position, ) Can be eliminated.

상기 후크 홈(2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31)와 걸림턱(23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hook groove 230 includes an opening 231 and an engagement protrusion 232.

상기 개구부(231)는 제 2 위치에서 상기 후크(223)가 후크 홈(230)으로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The opening 231 allows the hook 223 to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hook groove 230 at the second position.

상기 걸림턱(2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223)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 손잡이(220)가 회전할 경우, 상기 후크(223)가 걸림턱(232)에 후킹되어, 제 2 오물수거통(130)과 회전 손잡이(22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하는 회전 손잡이(220)가 하강할 경우, 제 2 오물수거통(130) 역시 함께 하강할 수 있다.The hook 232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hook 223 so that when the rotary knob 220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Can be hooked on the latching jaw 232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and the rotary knob 2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rotary knob 220 rotat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descends,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can also descend.

도 9는 제 1 위치에서의 후크(223)와 후크 홈(23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232)은 상기 후크(223)를 지지하여, 이 결합에 의해 제 2 오물수거통(130)과 회전 손잡이(22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9 shows the engaged state of the hook 223 and the hook groove 230 in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the first position, the latching jaw 232 supports the hook 223 The second dust receptacle 130 and the rotary knob 220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오물수거통 취출 동작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aking out the dust receptacl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청소 후 가득찬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을 분리할 경우, 사용자는 제 1 위치에서,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손잡이(220)를 회전시켜 록킹장치(200)의 록킹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 손잡이(220)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손잡이(220)에 의해 면 접촉으로 밀착되어 있던 집잔장치(110)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은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진 상태로 이격되어 밀봉 및 록킹이 해제된다.As shown, when the user removes the filled first and second dirt receptacles 120 and 130 after cleaning, the user rotates the rotary knob 220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ure 1 There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200 to the second position. The rotary knob 220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ust storage baskets 120 and 120,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rotary knob 220,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release sealing and locking.

즉, 회전 손잡이(22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하면, 먼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은 면접촉 및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함께 하강하고, 청소기 본체(100)에 고정된 상기 집진장치(110)와 제 1 오물수거통(120)의 면 접촉 및 밀봉이 해소된다. That is, when the rotary knob 220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receptacles 120 and 130 are lowered together while maintaining the surface contact and the sealed state, The surface contact and the sealing of the dust collector 110 and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fixed to the dust receptacle 100 are eliminated.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물수거통(120)의 상측 둘레에는 지지부(129)가 돌출 형성되고, 이 지지부(129)가 청소기 본체(10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09)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은 상기 집진장치(110)와의 밀봉 및 면접촉이 해제될 만큼 하강하지만, 상기 지지부(129)와 가이드 레일(109)이 접촉 지지되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한다.2, a support portion 129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and the support portion 129 is supported by a guide rail 109 provided on the cleaner main body 100 .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may be lowered to release the sealing and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However, if the support portion 129 and the guide rail 109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y can not be lowered.

한편, 제 2 오물수거통(130)은 상기 회전 손잡이(220)와 후크(223) 및 후크 홈(230)의 후킹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은 상기 회전 손잡이(220)가 제 2 위치에 도착할 때 까지, 계속 하강하게 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ry knob 220 by hooking the hook 223 and the hook groove 230.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knob 220,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receptacles 120 and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ntil the first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arrives at the second position.

따라서, 집진장치(110)와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되고, 사용자는 제 1 오물수거통(120)을 도 2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receptacles 120 and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ser can move the first dust receptacle 120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It can be taken out.

도 2와 같이 제 1 오물수거통(120)을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하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을 최초 제 1 오물수거통(120)이 배치된 위치로 상승시킨 후(화살표 C 방향),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취출한다.3, when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is taken ou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2, the user inserts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nto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 손잡이(220)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제 2 오물수거통(130)이 회전하지 않도록 이를 규제하는 제 2 걸림부(137)가 마련되는데, 이 제 2 걸림부(137)는 상기 제 2 오물수거 통(130)이 장착위치에 있을 경우,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처럼, 제 2 오물수거통(130)을 상측으로 상승시킨 후 전방으로 취출하는 이유는,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의 취출 동작시, 상기 제 1 오물수거통(120)과 제 2 오물수거통(130)의 결합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제 1 오물수거통(120)과 함께, 제 2 오물수거통(130)이 함께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a second securing part 137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220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The second latching part 137 also prevents the second dirt collecting container 130 from being disengaged when the second dirt collecting container 130 is at the mounting position. The reason why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s lifted upward and then taken out forward is that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and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s prevented from being taken out together with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irt receptacle 130 and the second dirt receptacle 130 is not completely eliminated.

한편,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120)(130)을 장착하는 과정은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된다.Meanwhile, the process of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dust storage baskets 120 and 130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자주 비울 필요가 있는 제 1 오물수거통(120) 만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first dirt receptacle 120, which needs to be emptied relatively frequently, can be easily separated, it is convenient to us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의 제거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2 to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basket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손잡이를 가지는 록킹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locking device having a rotary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회전 손잡이의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rotary knob of Figure 5,

도 7은 도 5에서 회전 손잡이가 제거된 청소기 본체의 바닥면을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in which the rotary knob is removed in FIG. 5,

도 8은 도 5의 회전 손잡이와 결합되는 제 2 오물수거통의 바닥면을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second dust receptacle combined with the rotary knob of FIG. 5,

도 9는 도 5의 회전 손잡이와 제 2 오물수거통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rotating handle and the second dust receptacle in FIG.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청소기 본체 101; 흡입 노즐100; A cleaner main body 101; Suction nozzle

102; 배기그릴 103; 핸들102; An exhaust grill 103; handle

200; 록킹장치 210; 승강 경사로200; Locking device 210; Ascending ramp

211; 보조 승강 경사로 220; 회전 손잡이211; Auxiliary ramp 220; Rotary knob

221; 손잡이 몸체 222; 레버221; A handle body 222; lever

223; 후크 230; 후크 홈223; Hook 230; Hook home

Claims (15)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청소기 본체;A cleaner main body having guide rails formed therein; 상기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는 집진장치;A dust collecting device fixed to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집진장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장치에서 분리된 부피가 큰 오물이 수거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제 1 오물수거통;A first dust receptacle provided detachably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posed und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collect large volume of dir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supporting part for selectively engaging with the guide rail;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장치에서 분리된 부피가 작은 미세먼지가 수거되는 제 2 오물수거통; 및A second dust receptac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dust receptacle and collecting fin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를 움직이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And a locking device mov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상기 록킹장치는,The locking device includes: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 시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지지부로부터 결합해제하고, 상기 집진장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 사이를 씰링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을 상기 집진장치를 향해 가압하며,Disengages the guide rails from the support portion when moving to the first position and presses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ontainers toward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seal betwe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containers ,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제 1 및 제 2 오물수거통을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키고,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지지부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Wherein the first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first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guide rail is engaged with the support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supported by the cleaner body.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ust receptacle comprises: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오물수거통과 강제 이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이 제거된 후에,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Wherein the vacuum cleaner body is removably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after the first dust receptacl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at the second position, being forcedly separated from the first dust receptac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 2 오물수거통 하측과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된 승강 경사로; 및An ascending ramp formed at a position facing a lower 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box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상기 제 2 오물수거통과 상기 승강 경사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 경사로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을 상하 이동시키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rotary knob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ust receptacle and the ramp for raising and lowering along the ramp to move the second dust receptacle up and dow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는,[5] The apparatus of claim 3, 손잡이 몸체;Handle body; 상기 손잡이 몸체에 돌출 형성된 레버; 및A lever protruding from the handle body; And 상기 레버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hook protruding upward from the lever.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승강 경사로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 몸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승강 경사로가 동축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Wherein at least one auxiliary ramp is disposed coaxially on the inside of the ramp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le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는,6. The handle of claim 5, 상기 보조 승강 경사로와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 슬라이딩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n auxiliary sliding inclined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facing the auxiliary lifting ramp.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레버는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을 향해 돌출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Wherein the lever includes a hook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dust receptacle,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 상기 후크와 마주보는 위치에 후크 홈을 구비하며,The second dust receptacle has a hook groove at a position facing the hook, 상기 후크는, The hook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후크 홈에 후킹되고,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과 손잡이 몸체의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Wherein the first dust receptacle is hooked into the hook groove at the first position an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o keep the second dust receptacle and the handle bod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lower the second dust receptac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홈은,8. The apparatus of claim 7,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후크가 삽입 및 이탈되는 개구부; 및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hook is inserted and relea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상기 후크가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hook to prevent the hook from being released when the hook moves to the first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되고,The first dust receptacle is taken ou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 상기 제 1 오물수거통 장착 위치로 상승시킨 후,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Wherein the second dust receptacle is raised to the first dust receptacle mounting position and then taken ou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돌출부; 및A first protrusion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first dirt receptacle; And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second protrusion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second dust receptacle. 제 11 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오물수거통에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Wherein the first dust receptacle is formed with a first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first projection,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에는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the second dust receptacle is formed with a second latch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second proj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물수거통은,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dust receptacle comprises: 바닥면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n air outlet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acuum clean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14.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3,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dirt from the discharged ai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는,1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중앙에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And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at a center thereof.
KR1020080102584A 2008-09-19 2008-10-20 Vacuum cleaner KR101524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60,932 US8505157B2 (en) 2008-09-19 2009-07-2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255908P 2008-09-19 2008-09-19
US61/192,559 200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325A KR20100033325A (en) 2010-03-29
KR101524773B1 true KR101524773B1 (en) 2015-06-02

Family

ID=4218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584A KR101524773B1 (en) 2008-09-19 2008-10-20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7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38A (en) * 2003-10-07 2005-04-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attaching/disattaching device for contaminant collecting receptacle of cyclone separator
KR100611026B1 (en) * 2005-03-29 2006-08-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ulti-cyclone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20070091721A (en) * 2006-03-07 2007-09-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38A (en) * 2003-10-07 2005-04-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attaching/disattaching device for contaminant collecting receptacle of cyclone separator
KR100611026B1 (en) * 2005-03-29 2006-08-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ulti-cyclone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20070091721A (en) * 2006-03-07 2007-09-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325A (en)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5810B1 (en) Latch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dirt receptacle
KR100880492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408726B1 (en) Cyclone contaminants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8032983B2 (en) Dust cup latch for cyclone separator vacuum
US8505157B2 (en) Vacuum cleaner
CN103476313B (en) Vacuum cleaner
US6991667B2 (en)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for contaminant collecting receptacle of cyclone separator
KR101196128B1 (en) Open/closing apparatus of dust collecting unit
KR102409218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1535563A2 (en) Water filtration vacuum cleaner
GB2370979A (en) Dust collecting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N115177182B (en) Separation fence, separation structure, sewage storage device and surface cleaning equipment
US7743461B2 (en) Vacuum cleaner with large debris receptacle
EP1179312B1 (en) Vacuum cleaner
KR100556498B1 (en) union device for dust-box in cyclone type vacuum cleaner
EP1621127A2 (en) Rigid dust receptacle for use in a vacuum cleaner
KR101524773B1 (en) Vacuum cleaner
CN111904323B (en) Dust deposition base and cleaning equipment assembly with same
JP2007167451A (en) Cyclone type vacuum cleaner
ITUD990115A1 (en) SUCTION CLEANING APPARATUS
KR101449582B1 (en) Vacuum cleaner
CN216569748U (en) Dust suction device and cleaning equipment
KR101574689B1 (en) Wet vacuum cleaner
CN215899553U (en) Separation structure, sewage storage device and surface cleaning equipment
JP2013034750A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