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699B1 -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699B1
KR101524699B1 KR1020130158254A KR20130158254A KR101524699B1 KR 101524699 B1 KR101524699 B1 KR 101524699B1 KR 1020130158254 A KR1020130158254 A KR 1020130158254A KR 20130158254 A KR20130158254 A KR 20130158254A KR 101524699 B1 KR101524699 B1 KR 101524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time
user
exceeds
se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699B1/ko
Priority to PCT/KR2014/011699 priority patent/WO20150937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 G06F11/3423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where the assessed time is active or idl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을 계산하고, 미사용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능동적인 조치 없이도 응급 상황, 사고, 고독사 등을 예방하고 빠르게 수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Method for User Monitoring based on Unused Time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모니터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긴급 알림 서비스는 사용자가 긴급하거나 이상 상태에 놓이게 되었을 때 비상벨을 누른다거나 긴급 연락처로 전화를 건다거나 하는 등의 능동적인 조치를 스스로 취할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갑작스런 범죄적 위협을 알린다거나 사고를 당한 후 의식이 있을 때는 유용할 수 있지만, 돌발적인 질병으로 의식을 잃었을 때, 동사/아사 직전 상태 등으로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무용지물이다. 사용자가 능동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어 해당 기능을 동작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들이나 신체가 자유롭지 못한 분들의 시신이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야 발견되어 주위를 안타깝게 하는 경우가 종종 언론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이들은 가까운 친지/가족/이웃들과 정기적인 연락조차 끊긴 채 혼자 생활하다 돌발적인 질병, 동사, 아사, 사고사 등으로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고 있다.
이들의 이상 상태를 미리 감지하여 가족이나 지인에게 연락을 취할 수만 있었어도 몇몇의 목숨을 살릴 수 있을 것이고, 안타깝게 돌아가신 분들의 경우도 시신 수습이 가급적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존의 서비스를 통해서는 모두 불가능한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능동적인 조치 없이도 응급 상황, 사고, 고독사 등을 예방하고 빠르게 수습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사용 시간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락단계는, 상기 지정된 연락처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락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등록되며, 상기 메시지의 내용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락단계는, 상기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부동(不動)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부동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락단계는, 상기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주변 기기에 대한 미사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미사용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미사용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주변 기기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 잔량 미만이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통신망에 액세스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인 조치 없이도 응급 상황, 사고, 고독사 등을 예방하고 빠르게 수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나, 구속 상태, 우울증 등으로 스스로 갇혀 지내는 상태, 사고 등으로 거동이 힘들어진 상태 등과 같이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타인에게 도움을 청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지인들에게 자동으로 알려주어, 그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응급 상황, 사고, 고독사 등을 예방하고 빠르게 수습하기 위한 기능/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지인들에 메시지 자동 발송을 통해 그 사실을 알려 도움을 청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통신부(110), 터치 스크린(120), 프로세서(130), '사용자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으로 약칭)(140), 저장부(150) 및 센서(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에 액세스하여, 이동 통신과 무선 네트워킹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3G/4G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GPS 신호 수신 등의 각종 통신을 지원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한편,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 기능한다.
프로세서(130)는 모바일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140)을 실행하여, 사용자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프로세서(130)가 어플리케이션(140)을 실행하여 사용자 모니터링을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데이터와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센서(160)는, 사용자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 모바일 기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와 모바일 기기(100)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감지결과와 측정결과를 프로세서(130)에 전달한다.
이하에서,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140)에 의한 사용자 모니터링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프로세서(13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140)이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S210), 백그라운드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140)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하면서 모바일 기기(100)의 상태를 감시한다(S220).
그리고, S220단계에서의 감시대상은, 모바일 기기(100)의 미사용 시간, 즉,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하지 않은 시간이다.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면, 미사용 시간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09:00:30에 마지막으로 조작하였고, 현재 시각이 15:10:40인 경우, 미사용 시간은 6시간 10분 10초가 된다.
모바일 기기(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잠금 해제, 전화 걸기, 전화 받기, 문자 메시지 전송, 문자 메시지 내용 확인 등과 같이 사용자의 구체적인 행동이 수반된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전화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받지 않은 경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에도 그 내용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등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조작하여 사용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반면, 전화를 받지 않았더라도, 수신 거부 명령을 입력한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구체적인 행동이 수반된 경우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조작하여 사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S220단계에서의 감시 주기는, 모바일 기기(100)의 사양과 사용자의 연령/건강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연령대가 높거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감시 주기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감시 주기가 작아지면 배터리 소모가 많아지기 때문에,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S220단계에서의 감시결과, 미사용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S230-Y), 어플리케이션(140)은 지정된 연락처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240).
S230단계에서 판단 기준이 되는 설정 시간, S240단계의 지정된 연락처 및 문자 메시지 내용은 어플리케이션(140)의 환경 설정을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지인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는 어플리케이션(140)의 환경 설정 화면을 예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140)의 환경 설정 화면을 통해, 도 2의 S240단계에서 판단 기준이 되는 설정 시간과 문자 메시지 전송 대상으로 지정된 연락처는 물론, 문자 메시지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연락처는 2개 이상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상용구" 메뉴를 이용하여 기입력되어 있는 상용구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40)의 환경 설정 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 여부를 입력/설정하기 위한 "켜짐/꺼짐"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S240단계 이후의 과정을 설명한다.
S240단계에서의 문자 메시지 전송 후에, 어플리케이션(140)은 미사용 시간을 강제로 초기화한다(S250). 사용자의 조작이 없었음에도 S250단계에서 미사용 시간을 강제로 초기화하는 것은, 문자 메시지가 계속하여 중복적으로 자동 발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S240단계에서의 미사용 시간 초기화는, 어플리케이션(140)이 '문자 메시지 전송 시각'을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어플리케이션(140)은 센서(160)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100)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한다(S260). S260단계에서 파악된 배터리 잔량이 설정 잔량 미만인 경우에도(S270-Y), 어플리케이션(140)은 지정된 연락처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280).
단, S280단계에서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은 S240단계에서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과 다르며, 이는 어플리케이션(140)의 설정 환경을 통해 다르게 설정가능하다.
S240단계와 S280단계에서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각각 다르게 설정/입력할 수 있음은, 도 3에 예시된 어플리케이션(140)의 환경 설정 화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S280단계에서의 문자 메시지 전송은, 모바일 기기(100)가 온 상태를 지속하여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이 계속될 수 있도록, 지인이 사용자에 모바일 기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할 것을 알리기 위한 절차에 해당한다.
한편, S270단계에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설정 잔량은, 모바일 기기(100)의 사양과 사용자의 성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설정 잔량을 작게 할 수 있지만, 배터리 소모 속도가 빠른 모바일 기기(100)의 경우 설정 잔량을 너무 작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지금까지, 모바일 기기(100)의 미사용 시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지인들에 메시지 자동 발송을 통해 그 사실을 알려 도움을 청하는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모바일 기기(100)의 미사용은 사용자의 이상 상태에 기인하지 않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즉, 사용자의 의식이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도 있다.
이에, 사용자가 비록 모바일 기기(100)를 설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지인에게 문자 메시지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보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S220단계에서의 감시결과, 미사용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S230-Y), S240를 바로 수행하여 지정된 연락처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미사용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을 초과하더라도, S232단계와 S234단계를 모두 충족한 경우에만 지정된 연락처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S240단계가 비로소 수행된다.
즉, 미사용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라도(S230-Y), S232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휴대하여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S240단계에서의 메시지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S220단계에서의 모바일 기기(100)의 상태를 감시시에, 어플리케이션(140)은 센서(160)에 포함된 움직임 센서나 통신부(110)에 포함된 GPS 모듈을 기동하여, 모바일 기기(100)의 움직임(궁극적으로는, 모바일 기기(100)를 휴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S232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140)은 모바일 기기(100)의 부동(不動) 시간을 계산하여, 부동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 전송(S240단계 수행)을 배제할 수 있다.
여기서, 부동 시간은, 모바일 기기(100)가 움직이지 않은 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면 모바일 기기(100)가 마지막으로 움직인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가 11:05:30에 마지막으로 움직였었고, 현재 시각이 15:10:40인 경우, 미사용 시간은 4시간 5분 10초가 된다.
그리고, 설정 시간은 S230단계에서의 설정 시간과 동일하게 할 수 있지만, 그러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미사용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을 초과하였고(S230-Y),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를 휴대하여 이동하고 있지도 않았지만(S232-N), S234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의 주변기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S240단계에서의 메시지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S220단계에서의 모바일 기기(100)의 상태를 감시시에, 어플리케이션(140)은 통신부(11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로 주변기기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주변기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S234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140)은 주변기기의 미사용 시간을 계산하여, 주변기기 미사용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 전송(S240단계 수행)을 배제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기기 미사용 시간은, 사용자가 주변기기를 사용하지 않은 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면 사용자가 주변기기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이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로 TV/STB(Set Top Box)를 상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12:00:00에 마지막 조작으로 채널을 변경하였고, 현재 시각이 15:10:40인 경우, 미사용 시간은 3시간 10분 40초가 된다.
주변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내용은, S220단계에서 모바일 기기(100)의 통신부(11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이 TV/STB와 블루투스 연결된 상태에서, TV/STB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파악 가능하다.
다른 한편, S220단계에서 TV/STB이 자신의 상태 정보(채널, 볼륨 등)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140)이 상태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마지막 상태 변화가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을 주변 기기 미사용 시간으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주변기기의 미사용 시간과 비교 대상이 되는 설정 시간은 S230단계에서의 설정 시간과 동일하게 할 수 있지만, 그러지 않아도 무방하다.
위 실시예에서는, 미사용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을 초과하더라도, S232단계와 S234단계를 모두 충족한 경우에만 지정된 연락처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S240단계가 비로소 수행되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선택적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S232단계와 S234단계 중 하나만이 추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모바일 기기(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S232단계 및/또는 S234단계를 추가 적용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이 '40% ~ 100%'인 경우 S232단계와 S234단계 모두를 추가 적용하고, 배터리 잔량이 '20% ~ 40%'인 경우 S232단계만 추가적용하며, 배터리 잔량이 '0% ~ 20%'인 경우 S232단계와 S234단계 모두를 추가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한편, 위 실시예들에서 지인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SMS 메시지)인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외에도 애플리케이션(140)은 다양한 연락 방식으로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연락 방식은 전화 또는 다른 종류의 메시지(예를 들어,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메시지, 푸시 메시지 등)로 대체가능하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제시한 모바일 기기(100)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스마트 폰이 가장 일반적이겠지만, 모바일 PC, PDA,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기기(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모바일 기기 110 : 통신부
120 : 터치 스크린 130 : 프로세서
140 : 사용자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150 : 저장부 160 : 센서

Claims (10)

  1.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1 잔량 미만'이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제1 연락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1 잔량 이상이고 제2 잔량 미만'이면, 상기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부동(不動)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락처에 연락하는 제2 연락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잔량 이상'이면, 상기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부동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주변 기기에 대한 미사용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락처에 연락하는 제3 연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 시간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락단계, 상기 제2 연락단계 및 상기 제3 연락단계는,
    상기 지정된 연락처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등록되며,
    상기 메시지의 내용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을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미사용 시간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주변 기기를 마지막으로 조작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 잔량 미만이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7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통신망에 액세스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에 연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1 잔량 미만'이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락처에 연락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1 잔량 이상이고 제2 잔량 미만'이면, 상기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부동(不動)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락처에 연락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잔량 이상'이면, 상기 미사용 시간이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부동 시간이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주변 기기에 대한 미사용 시간이 제3 설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락처에 연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KR1020130158254A 2013-12-18 2013-12-18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KR101524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254A KR101524699B1 (ko) 2013-12-18 2013-12-18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PCT/KR2014/011699 WO2015093756A1 (ko) 2013-12-18 2014-12-02 전자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254A KR101524699B1 (ko) 2013-12-18 2013-12-18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699B1 true KR101524699B1 (ko) 2015-06-01

Family

ID=5340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254A KR101524699B1 (ko) 2013-12-18 2013-12-18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4699B1 (ko)
WO (1) WO201509375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32B1 (ko) * 2006-08-0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상황을 알리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1175346A (ja) * 2010-02-23 2011-09-08 Nec Corp 端末装置における電子メール自動送信方法、電子メール自動送信装置及び電子メール自動送信プログラム
JP2012155465A (ja) * 2011-01-25 2012-08-16 Sharp Corp 監視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20107815A (ko) * 2011-03-22 2012-10-04 주식회사 열림기술 어린이 안심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는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32B1 (ko) * 2006-08-0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상황을 알리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1175346A (ja) * 2010-02-23 2011-09-08 Nec Corp 端末装置における電子メール自動送信方法、電子メール自動送信装置及び電子メール自動送信プログラム
JP2012155465A (ja) * 2011-01-25 2012-08-16 Sharp Corp 監視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20107815A (ko) * 2011-03-22 2012-10-04 주식회사 열림기술 어린이 안심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756A1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518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launching an applic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US9685064B2 (en) Automated detection of an emergency by a user device
US201403334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orker location and safety confirmation
US20130232552A1 (en) Automatic Context Sharing with Privacy
KR20170055278A (ko) 전자 장치 및 정보 제공방법
US201200528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emergency mobile communication
US9954991B2 (en) Status notification method and device
JP201423932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報知制御方法
JP2006350869A (ja) 端末装置、サーバ、安全確認システム、安全確認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KR20150059612A (ko) 디바이스 위치 모니터링
TWI549076B (zh) 電子裝置及其服務管理方法
US201800472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arming with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20507979A (ja) 呼制御方法および関連製品
US9826568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reducing data transmission delay
CN108200546B (zh) 数据上报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50062858A (ko) 중계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그에 대한 방법
KR101524699B1 (ko) 모바일 기기의 미사용 시간에 근거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WO2015096428A1 (zh) 移动终端状态切换方法及装置
JP612934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544415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position checking method, position checking program, and position checking system
JP5973283B2 (ja) 通信端末装置
WO2021261048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の接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2087717B (zh) 一种定位方法、可穿戴设备、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600579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80498A (ja) 異常事態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