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95B1 - 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 - Google Patents

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95B1
KR101524495B1 KR1020130107074A KR20130107074A KR101524495B1 KR 101524495 B1 KR101524495 B1 KR 101524495B1 KR 1020130107074 A KR1020130107074 A KR 1020130107074A KR 20130107074 A KR20130107074 A KR 20130107074A KR 101524495 B1 KR101524495 B1 KR 10152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lamp
lantern
hol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8473A (en
Inventor
이정의
이단용
Original Assignee
이정의
이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의, 이단용 filed Critical 이정의
Priority to KR102013010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495B1/en
Publication of KR2015002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21V33/0084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03Auxiliary devices for installing or removing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06Auxiliary devices for installing or removing discharge tubes or lamps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3/00Apparatus or processes adapted to the manufacture, installing, removal, or maintenance of incandescent lamps or parts thereof
    • H01K3/32Auxiliary devices for cleaning, placing, or removing incandescen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를 교체하는데 사용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는, 전구가 삽입 결착되도록 전방이 개방되면서 내측에 결착홀더가 삽착된 중공의 전구결합부와; 상기 전구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와 일체화되며, 케이스 전면(前面)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함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램프를 온(on), 오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랜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착홀더를 통해 전구결합부에 전구를 결착시킴과 동시에 랜턴부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봉을 회전시키는 등 상기 전구소켓으로부터 전구를 보다 원활하게 탈,결착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랜턴부와 일체화된 전구결합부 자체가 상,하단이 관통된 중공의 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도 상기 전구결합부를 통해 램프 빛이 발출되면서 주위를 밝게 하여 교체 전구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하는 등의 랜턴 기능으로도 전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전구 교체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use in replacing a bulb.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low bulb-to-bulb attachment portion in which a bulb holder is inserted inwardly while being opened frontward so that the bulb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lamp which is integrated with a neck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ulb coupling part and is provided with a lamp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to supply power, And a lantern unit provided at one side to provide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lamp.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ind the bulb to the bulb-connecting portion through the binding holder and to smoothly detach the bulb from the bulb socket by rotating the handle ba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antern portion, Since the bulb coupling unit itself integrated with the lantern unit is formed in a hollow cone shape having upper and lower ends penetrated, the lamp light is extracted through the bulb coupling unit in a basement, a dark place or a dark room due to suns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bulb replacement mechanism that can be used only with a function of a lantern, such as making sure that a replacement bulb is checked smoothly.

Description

전구 교체 기구{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전구를 교체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이나 아파트, 전시장 등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된 전구소켓 내에 결합된 전구를 삽입 결착시킬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면서 내측에 결착홀더가 삽착된 중공의 전구결합부, 및 상기 전구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에 랜턴부가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착홀더를 통해 전구결합부에 전구를 결착시킴과 동시에 랜턴부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봉을 회전시키는 등 상기 전구소켓으로부터 전구를 보다 원활하게 탈,결착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랜턴부와 일체화된 전구결합부 자체가 상,하단이 관통된 중공의 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도 상기 전구결합부를 통해 램프 빛이 발출되면서 주위를 밝게 하여 교체 전구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하는 등의 랜턴 기능으로도 전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전구 교체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placing a bulb,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lb socket provided in a ceiling of a building, such as an office, an apartment, or an exhibition hall, And the lantern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ck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ulb-to-bulb-coupling unit. Thus, the bulb is coupled to the bulb-coupling unit through the bulb holder and the bulb- So that the bulb can be smoothly detached from the bulb socket by rotating the bulb socket. Further, since the bulb-coupling part itself integrated with the lantern part is formed in a hollow cone shape having upper and lower ends penetrated, Or even in a dark room due to sunset, the lamp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bulb coupling portion, Lantern with features such as confirmation of the replacement bulb than to smooth relates to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so that one can be dedicated.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 천장에 설치된 전구의 경우 대개 사람의 손이 미치지 않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전구 중 수명이 다한 전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의자나 사다리 등 별도의 보조장비가 꼭 필요하며, 상기와 같은 보조장비를 이용해 올라가 전구를 교체할 때 작업자의 부주의로 추락 및 낙상사고가 종종 발생함과 아울러, 이러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의자나 사다리를 잡아주어야 할 별도의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bulb installed in a ceiling of a building, a bulb or a ladder is required to replace the bulb which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When replacing a bulb using the same ancillary equipment, a worker's carelessness often caused a fall or fall acciden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a separate manpower needed to hold a chair or a ladder was required to prevent such a worker's safety accident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삼파장 형광전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형광전구 교체기구(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24470호)'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구조의 형광전구용 교체기구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내벽면이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이 다각으로 이루어져 중공이 형성된 램프삽입부와, 이 램프삽입부의 하측에서 하향 연장된 핸들부로 구성되어 상기 램프삽입부를 형광전구의 방전관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부를 파지한 후, 바닥에 선 채로 형광전구 상단의 베이스를 소켓에 맞추어 회전시킴으로써 형광전구를 소켓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hree-wavelength fluorescent light bulb and a fluorescent bulb replacement mechanism used there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3-0024470), a fluorescent bulb replacement mechanism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s. 1 and 2, A lamp insertion portion having a hollow interior wall formed by a plurality of angles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le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amp insertion portion to insert the lamp insertion portion into the discharge tube of the fluorescent bulb, After gripping, the fluorescent bulb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socket by rotating the base of the fluorescent bulb to the socket while rotating on the floor.

그러나, 상기한 형광전구용 교체기구의 경우 형광전구를 소켓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램프삽입부에 형광전구의 방전관을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방전관에 가해지는 힘은 비교적 큰 반면에, 이 방전관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유리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하나의 방전로를 형성하도록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램프삽입부에 형광전구의 방전관을 삽입하여 회전시킬 때의 압력이 상기 연결관에 특히 집중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이 연결관 부분이 깨져 형광전구를 못쓰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함과 아울러, 이처럼 상기 형광전구를 소켓에 착탈 할 때 실수로 파손할 경우, 새로운 형광전구를 다시 구입해야 하는 등 자원의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상기 파손된 형광전구를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직접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해 올라가 파손된 형광전구를 분리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함께 파손된 유리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replacing mechanism for a fluorescent lamp, if a discharge tube of a fluorescent lamp is inserted and rotated in the lamp inserting portion to couple or separate the fluorescent lamp into the socket, the force applied to the discharge tube is relatively large, Since the lamp is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portion and the discharge tube of the fluorescent lamp is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portion to rotate the lamp, The fluorescent tube bulb is broken and the fluorescent bulb is often broken. In addition, if the fluorescent bulb is accidentally damaged when the fluorescent bulb is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socket, a new fluorescent bulb must be purchased again, In order to separate the broken fluorescent lamp from the socket, Problems inflicted injury by broken glass with hassles such as removing the need to climb a broken fluorescent bulb with your legs were too.

이외의 또 다른 전구 교체 기구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446호의 '전구교체기구' 역시 제안되었는데, 이는 전구 고정용 고정안전판이 스프링조절나사와 결합된 상태로 캡 안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조절나사로 고정안전판을 캡 안쪽으로 좌우 이동시켜 전구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another alternative bulb replacement mechanism,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of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29446 has also been proposed, in which a fixed safety bulb for fixing the bulb is installed in the cap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a spring adjusting screw, The fixed safety plate can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p to adjust it to fit the bulb size.

그러나, 상기한 전구교체기구의 경우 고정안전판을 전구의 크기에 맞게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안전판과 나사 결합된 스프링조절나사를 작업자가 일일이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상기 고정안전판을 이용해 전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프링조절나사를 조임에 있어 과한 힘으로 조일 경우 상기 고정안전판에 의해 전구가 가압되면서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스프링조절나사에 의한 고정안전판의 전구 조임작용을 통해 파손될 경우 이를 전구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직접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해 올라가 파손된 전구를 분리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함께 파손된 유리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bulb replacement mechanism, it is troublesome for the worker to tighten or loosen the spring adjusting screw screwed to the fixed safety plate in order to move the fixed safety plate to the size of the bulb, When the spring adjusting screw is tightened with an excessive force in tightening the lamp,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ulb is pressed by the fixed safety plate and the lamp is damaged. When the lamp is broken through the bulb tightening action of the fixing screw by the spring adjusting scre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er directly climbs up the ladder to separate the broken bulb,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jured glass is injured by the broken glass.

한편, 전술한 종래 형광전구용 교체기구와 전구교체기구의 경우 각각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 램프의 빛을 발출시켜 주위를 밝게 하는 랜턴기능과 더불어, 상기 형광전구 교체기구의 선단부나 상기 전구교체기구의 고정안전판을 통한 전구 결착시 상기 선단부나 고정안전판에 전구의 결착이 완전하게 이루어졌음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전구결착감지기능이 전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술한 기능인 랜턴기능이나 전구결착감지기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특히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 전구를 교체할 경우 별도의 랜턴 및 상기 랜턴을 들어줄 보조작업자가 더 필요할 수밖에 없으며, 상기와 같이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 랜턴이나 보조작업자 없이 종래 형광전구 교체기구와 전구교체기구를 이용하여 전구 교체작업을 실행할 경우 부주의로 작업자가 의자나 사다리로부터 추락 및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ight bulb replacing mechanism and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a lantern function of emitting light of a lamp in a basement, a dark room or a dark room due to sunset, thereby brightening the surroundings, Since the bulb fastening detection function is not provided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that the bulb is fully engaged with the front end portion or the fixed safety bulb when the bulb is fastened through the fixed fastening plate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It is impossible to expect a binding detection function at all. In particular, when the bulb is replaced in a basement, in a dark place or in a dark room due to sunset, a separate lantern and an auxiliary worker for holding the lantern are required. Further, Or in a darkened room by sunset If no auxiliary worker using a conventional fluorescent bulb replacement bulb replacement bodies and organizations run a bulb replacement problem was even inflicted a great injury accidents are caused by such a worker falls and falls from a chair or ladder inadvertently.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된 전구소켓 내에 결합된 전구를 삽입 결착시킬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면서 내측에 결착홀더가 삽착된 중공의 전구결합부, 및 상기 전구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에 랜턴부가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결착홀더를 통해 전구결합부에 전구를 결착시킴과 동시에 랜턴부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봉을 회전시키는 등 상기 전구소켓으로부터 전구를 보다 원활하게 탈,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lb socket which has a hollow bulb coupled with a bulb holder inserted into the bulb socket, And the lantern unit is integrated with the neck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ulb coupler, the bulb is coupled to the bulb coupler through the bulb holder and the handle ba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antern is rotated, So that the bulb can be smoothly detached and adhered from the socket.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랜턴부와 일체화된 전구결합부 자체가 상,하단이 관통된 중공의 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도 상기 전구결합부를 통해 램프 빛이 발출되면서 주위를 밝게 하여 교체 전구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하는 등의 랜턴 기능으로도 전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lb-coupling unit integrated with the lantern unit is formed as a hollow cone having upper and lower ends penetrating, the lamp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bulb-coupling unit even in a dark room,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lantern function such that the surroundings are brightened and the replacement bulb is checked smoothly while being taken out.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전구결합부의 결착홀더 내측면에 전원오프스위치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 랜턴부를 통해 발출된 램프 빛에 의해 교체 전구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결착홀더를 통해 전구결합부에 전구를 삽입 결착시 상기 전구의 외주면 둘레에 전원오프스위치가 접점되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등 이를 통해 상기 전구결합부의 결착홀더에 전구의 완전한 결착이 이루어졌음을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off switch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inding holder of the bulb-coupled portion, the bulb is checked by the lamp light extracted through the lantern portion in the basement, The power off switch contacts the periphery of the bulb when the bulb is inserted into the bulb-connecting portion through the binding holder,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lamp is cut off, whereby the bulb holder of the bulb- Another purpose is to make it easier for the operator to confirm that a complete settlement has been made.

이와 더불어, 종래와 같이 전구결합부의 결착홀더에 전구의 결착이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힘을 가할 경우 결국 전구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를 전구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직접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해 올라가 파손된 전구를 분리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함께 파손된 유리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bulb is fully engaged with the binding holder of the bulb-coupling portion as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the bulb is continuously applied, the bulb is eventually damaged. 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bulb from the bulb- There is another purpose of preventing the troubles such as climbing up the ladder by using a broken bulb and separating the bulb from the broken glass.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는, 전구가 삽입 결착되도록 전방이 개방되면서 내측에 결착홀더가 삽착된 중공의 전구결합부와; 상기 전구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와 일체화되며, 케이스 전면(前面)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함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램프를 온(on), 오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랜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including: a hollow bulb coupling portion having a bulb holder inserted into a bulb while being opened frontward so that a bulb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lamp which is integrated with a neck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ulb coupling part and is provided with a lamp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to supply power, And a lantern unit provided at one side and having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lamp.

여기서, 상기 결착홀더의 내측면에는 전구의 삽입 결착시 상기 전구의 외주면 둘레에 접점되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오프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inding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power off switch which is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lb when the bulb is inserted and fixed, and which cuts of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lamp.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된 전구소켓 내에 결합된 전구를 삽입 결착시킬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면서 내측에 결착홀더가 삽착된 중공의 전구결합부, 및 상기 전구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에 랜턴부가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결착홀더를 통해 전구결합부에 전구를 결착시킴과 동시에 랜턴부의 하단에 결합된 손잡이봉을 회전시키는 등 상기 전구소켓으로부터 전구를 보다 원활하게 탈,결착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bulb-to-bulb coupling portion in which a bulb holder is inserted into a bulb socket in a ceiling of a building, The lantern un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neck, thereby binding the bulb to the bulb-connecting unit through the binding holder, and rotating the handle ba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antern unit to smoothly remove the bulb from the bulb socket, And the like.

또한, 상기 랜턴부와 일체화된 전구결합부 자체가 상,하단이 관통된 중공의 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도 상기 전구결합부를 통해 램프 빛이 발출되면서 주위를 밝게 하여 교체 전구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하는 등의 랜턴 기능으로도 전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 역시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lb coupling unit integrated with the lantern unit is formed as a hollow cone having upper and lower ends penetrating, the lamp light is extracted through the bulb coupling unit in a basement, a dark place or a dark room due to sunse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lantern function such that the confirmation of the replacement bulb is smoothly performed.

그리고, 상기 전구결합부의 결착홀더 내측면에 전원오프스위치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 랜턴부를 통해 발출된 램프 빛에 의해 교체 전구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결착홀더를 통해 전구결합부에 전구를 삽입 결착시 상기 전구의 외주면 둘레에 전원오프스위치가 접점되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등 이를 통해 상기 전구결합부의 결착홀더에 전구의 완전한 결착이 이루어졌음을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off switch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inding holder of the bulb-to-bulb engaging portion, the bulb holder is checked by the lamp light extracted through the lantern portion in the basement, The power off switch contacts the periphery of the bulb when the bulb is inserted into the bulb-connecting portion,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lamp is cut off, whereby the bulb is completely bonded to the bulb holder of the bulb-receiving por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a worker can more easily confirm the loss.

이와 더불어, 종래와 같이 전구결합부의 결착홀더에 전구의 결착이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힘을 가할 경우 결국 전구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를 전구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직접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해 올라가 파손된 전구를 분리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함께 파손된 유리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 역시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bulb is fully engaged with the binding holder of the bulb-coupling portion as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the bulb is continuously applied, the bulb is eventually damaged. 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bulb from the bulb-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troublesome to climb a ladder to separate a damaged bulb and also to prevent a problem of being injured by broken glass.

도 1은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 중 전구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전구 교체 기구에 대한 작동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의 사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bulb-insertion portion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4. Fig.
6A and 6B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light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는, 사무실이나 아파트, 전시장 등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된 전구소켓(3) 내에 결착된 전구(5)를 삽입 고정시킴과 동시에 손잡이봉(20)을 회전시켜 상기 전구소켓(3)으로부터 전구(5)를 탈,결착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구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5)가 삽입 결착되도록 전방이 개방되면서 내측에 결착홀더(11)가 삽착된 전구결합부(10)와; 상기 전구결합부(10)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12)와 일체화되며, 케이스(16) 전면(前面)에 램프(17)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8)와 함께, 상기 배터리(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6)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램프(17)를 온(on), 오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19)가 구비된 랜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for inserting and fixing a bulb (5) stuck in a bulb socket (3) provided in a ceiling inside a building such as an office, an apartment or an exhibition hall, As shown in FIGS. 1 to 3, the bulb holder 5 is inserted into the bulb holder 11 while being opened frontward so that the bulb 5 is inserted into the bulb holder 3, A bulb-coupling portion 10 to which the bulb-insertion portion 10 is inserted; A lamp 17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16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17 to supply power A power switch 19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6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8 together with the battery 18 turns on and off the lamp 17 And a lantern unit 15 provided therei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 중 상기 전구결합부(10)의 경우 전체형상이 목부(12)를 기준으로 상단은 전구(5) 결착을 위해 직경이 확대 형성되고, 반대측 하단은 랜턴부(15)의 케이스(16) 전면(前面)과 일체화되기 위해 직경이 축소 형성된 콘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단이 상호 관통된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구결합부(10)의 내측에는 전구(5)를 삽입 결착시키기 위한 결착홀더(11)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light bulb replacing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bulb engaging portion 10 is formed such that the entire shape of the bulb-engaging portion 10 is enlarged for binding the bulb 5 with respect to the neck portion 12, The lantern portion 15 is formed in a cone shape having a reduced diameter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6 and has a hollow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ends mutually penetrating. And a binding holder 11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bulb 5 is insert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결착홀더(11)의 경우 중공 원통 구조로서, 전구결합부(10)에 삽입 결착된 전구(5)와의 마찰작용을 통해 손잡이봉(20)의 회전 시 이와 동일방향으로 전구(5)가 회전되면서 전구소켓(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우레탄이나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구소켓(3) 내에 결합된 전구(5)를 보다 원활하게 삽입 결착시킬 수 있도록 삼각 또는 원형, 육각, 팔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In the case of the binding holder 11,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the bulb 5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handle bar 20 is rotated through a friction action with the bulb 5 inserted into the bulb- Shaped or triangular or circular shape so as to be able to insert and fix the bulb 5 connected to the bulb socket 3 more smoothly. The bulb socket 3 is made of urethane or a soft silicone material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bulb socket 3 while being rotated, Hexagonal, or octagonal.

또한,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 중 상기 랜턴부(15)의 경우 상기 전구결합부(10)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12)와 일체화되며, 일반적인 랜턴과 동일한 통상적 구조 즉, 케이스(16) 전면(前面)에 램프(17)와; 상기 램프(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8)와; 상기 배터리(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6)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램프(17)를 온(on), 오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19)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도 상기 전구결합부(10)를 통해 램프(17) 빛이 발출되면서 주위를 밝게 하여 교체 전구(5)의 확인이 원활하도록 하는 랜턴 기능으로도 전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case of the lantern unit 15 of the light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tern unit 15 is integrated with the neck 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ulb- A lamp 17 on the front surface; A battery 1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17 to supply power; And a power switch 19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6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8 to turn the lamp 17 on and off. So that the lamp 17 is lighted out through the bulb connector 10 even in a dark place due to a place or sunset so that the surroundings are brightened so that the replacement bulb 5 can be checked smoothly. It is for this reason.

이와 더불어, 상기 랜턴부(15)의 하단에는 천장 높이에 따라 중첩된 파이프(21)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단축시키는 등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이 가능한 길이가변구조의 손잡이봉(20)이 나사 체결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손잡이봉(20)의 길이가변구조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조 즉, 회동식 고정레버(22)를 상하로 회동시켜 이중이나 다단으로 중첩된 파이프(21)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진공청소기"의 일구성인 길이조절용 연결파이프와 마찬가지로 텔레스코픽 작동레버(미도시)를 상하로 이송시켜 이중이나 다단으로 중첩된 파이프(21)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lantern unit 15, a pull rod 20 of a variable length structure capable of being adjusted to a desired length by stretching or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pipe 21 superimposed on the ceiling height,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handle bar 20 is variable. In general, the length of the pipe 21, which is double or multi-tiered, is adjusted by vertically rotating the pivoting type fixing lever 22 Or a telescopic operating lever (not shown) is vertically mov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ength-regulating connection pipe, which is a constitution of, for example, a "vacuum clean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ipe 21 superimposed in a double or multi-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 중 전구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전구 교체 기구에 대한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bulb-insertion portion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 중 또 다른 실시예인 전구결합부(10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 중 전구결합부(10)와 동일 구조 즉, 전체형상이 목부(12)를 기준으로 상단은 전구(5) 결착을 위해 직경이 확대 형성되고, 반대측 하단은 랜턴부(15)의 케이스(16) 전면(前面)과 일체화되기 위해 직경이 축소 형성된 콘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단이 상호 관통된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구결합부(10a)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우레탄이나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결착홀더(11)가 삼각이나 원형, 육각 또는 팔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착홀더(11)의 내측면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5)의 삽입 결착시 상기 전구(5)의 외주면 둘레에 접점되면서 상기 배터리(18)로부터 램프(17)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오프스위치(13)가 더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bulb-coupling portion 10a,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bulb-insertion portion 10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3 The upper end is enlarged in diameter for binding the bulb 5 and the lower end of the opposite end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6 of the lantern portion 15 And a binder holder 11 formed of urethane or a soft silicone material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ulb coupling part 10a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or a triangular shape. 4, when the electric bulb 5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inding holder 11, the contact 5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ic bulb 5, Which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18 to the lamp 17, And a power off switch 13 that cuts off a circle is further formed.

여기서, 상기 전원오프스위치(13)의 경우 전구결합부(10a)의 내측에 삽입되는 삼각이나 원형, 육각 또는 팔각으로 형성된 결착홀더(11)의 각 내측면 모두에 전원오프스위치(13)를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2~3개소만 설치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n the case of the power off switch 13, a power-off switch 13 is provided on each inner side of a binding holder 11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 circular shape, a hexagonal shape or an octagonal shape and inserted into the bulb fitting portion 10a Or two or three locations may be installed in advance.

이와 같이 상기 전구결합부(10a)의 결착홀더(11) 내측면에 전원오프스위치(13)를 구비할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에서 랜턴부(15)를 통해 발출된 램프(17) 빛에 의해 교체 전구(5)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결착홀더(11)를 통해 전구결합부(10a)에 전구(5)를 삽입 결착시 상기 전구(5)의 외주면 둘레에 전원오프스위치(13)가 접점되면서 상기 배터리(18)로부터 램프(17)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등 이를 통해 상기 전구결합부(10a)의 결착홀더(11)에 전구(5)의 완전한 결착이 이루어졌음을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wer off switch 13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inding holder 11 of the bulb-receiving portion 10a as shown in FIG. 5, the lantern portion 15 The bulb 5 is inserted into the bulb coupling portion 10a through the binding holder 11 while the replacement bulb 5 is confirmed by the light of the lamp 17 extracted through the bulb holder 11, The power off switch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8 to the lamp 17 is cut off and the bulb 5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der 11 of the bulb-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more easily confirm that the complete binding has been established.

이하,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에 대한 사용 상태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대한 전구 교체 기구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6A and 6B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를 이용해 건물 내부 천장에 구비된 전구소켓(3) 내에 결합된 전구(5)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전구(5)를 다시 전구소켓(3) 내에 결착시키는 과정으로서, 상기 전구소켓(3) 내에 결합된 전구(5)를 교체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천장 높이에 맞게 전구 교체 기구(1) 중 전구결합부(10) 하단의 목부(12)와 일체화된 랜턴부(15)의 하단에 나사 체결되어진 손잡이봉(20)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구결합부(10)를 전구(5)에 끼움 결합하되, 상기 전구결합부(10) 내측에 삽착된 삼각이나 원형, 육각 또는 팔각으로 형성된 결착홀더(11)에 전구(5)가 결착되도록 삽입한 다음, 손잡이봉(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착홀더(11)를 통해 전구결합부(10)에 결착 고정된 전구(5) 역시 동일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구소켓(3)으로부터 전구(5)가 분리되게 되고, 이후 상기와 같이 분리된 전구(5)를 전구결합부(10)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전구(5)를 다시 결착홀더(11)를 통해 전구결합부(10)에 끼움 결착시킨 상태에서 빈 전구소켓(3)에 전구(5)의 결합부(6)를 대응시킨 후 전기적으로 결속되도록 손잡이봉(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구소켓(3)에 새로운 전구(5)가 결합되게 된다.First, a bulb 5 connected to a bulb socket 3 provided in a ceiling of a building is separated using a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a new bulb 5 is fixed in the bulb socket 3 again A lantern unit (not shown) integrated with the neck 12 at the lower end of the bulb-fitting portion 10 of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ceiling is attached to the bulb socket 3 to replace the bulb 5 coupled to the bulb socket 3. [ The bulb engaging portion 10 is fitted into the bulb 5 while the length of the handle bar 20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bulb engaging portion 15 is adjusted, The bulb 5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der 11 formed in a triangular, circular, hexagonal, or octagonal shap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inding holder 11, and then the binding rod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bulb 5 fixedly connected to the bulb coupling portion 10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bulb 5 is detached from the bulb socket 3 and then the bulb 5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from the bulb engaging portion 10 and the new bulb 5 is re- The engaging portion 6 of the bulb 5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empty bulb socket 3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portion 10 is engaged with the bulb-engaging portion 10 through the hole 11, and then the handle bar 20 is rotated clockwise So that the new bulb 5 is coupled to the bulb socket 3.

그 다음, 본 발명의 전구 교체 기구(1)를 이용한 랜턴 기능으로서, 전구결합부(10)와 일체화된 랜턴부(15)의 전원스위치(19)를 온(on)시키게 되면, 도 3과 같이 상기 전구결합부(10)의 기구적 및 형상적 특성상 상,하단이 관통된 중공의 콘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터리(18) 전원에 의해 램프(17) 빛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구결합부(10)를 통해 램프(17) 빛이 발출되면서 주위를 밝게 하는 등 지하실이나 어두운 장소 또는 일몰에 의한 어두운 실내는 물론, 야간의 교체 전구(5) 확인 및 야외에서도 주위를 비출 수 있는 등의 랜턴으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Next, when the power switch 19 of the lantern unit 15 integrated with the bulb-fitting unit 10 is turned on as a lantern function using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lb-shaped portion 10 has a hollow cone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ends are penetrated in terms of mechanical and shape characteristics, the light of the lamp 17 is irradiated by the power of the battery 18, The light of the lamp (17) is extract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0) to illuminate the surroundings, such as a dark room by the basement, a dark place or the sunset, as well as a nighttime replacement light bulb Lanterns can be used smoothly.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

1. 전구 교체 기구 3. 전구소켓
5. 전구 10, 10a. 전구결합부
11. 결착홀더 12. 목부
13. 전원오프스위치 15. 랜턴부
16. 케이스 17. 램프
18. 배터리 19. 전원스위치
20. 손잡이봉 21. 파이프
22. 회동식 고정레버
1. Bulb replacement mechanism 3. Bulb socket
5. Bulbs 10, 10a. The bulb-
11. Bonding holder 12. Thickness
13. Power off switch 15. Lantern part
16. Case 17. Lamp
18. Battery 19. Power switch
20. Handle Bar 21. Pipe
22. Rotating retaining lever

Claims (4)

건물 내부 천장에 구비된 전구소켓(3) 내에 결합된 전구(5)를 삽입 결착시킴과 동시에 손잡이봉(20)을 회전시켜 상기 전구소켓(3)으로부터 전구(5)를 탈,결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전구 교체 기구(1)에 있어서,
상기 전구(5)가 삽입 결착되도록 전방이 개방되면서 내측에 결착홀더(11)가 삽착된 중공의 전구결합부(10,10a)와;
상기 전구결합부(10,10a)의 하단에 형성된 목부(12)와 일체화되며, 케이스(16) 전면(前面)에 램프(17)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8)와 함께, 상기 배터리(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6)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램프(17)를 온(on), 오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19)가 구비된 랜턴부(15)를 포함하며,
상기 결착홀더(11)의 내측면에는 전구(5)의 삽입 결착시 상기 전구(5)의 외주면 둘레에 접점되면서 상기 배터리(18)로부터 램프(17)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오프스위치(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교체 기구.
The bulb socket 5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bulb socket 3 provided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the bulb socket 20 is rotated so that the bulb socket 5 is detached from the bulb socket 3 In the bulb replacement mechanism 1,
A hollow bulb engaging portion 10, 10a to which the bulb holder 5 is inserted and to which the bulb holder 11 is inserted while being opened frontward;
A lamp 17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16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17 so as to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power switch 19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6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8 to turn on and off the lamp 17, And a lantern section 1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A power off switch (not shown) which contacts the periphery of the bulb 5 when the bulb 5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inding holder 11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8 to the lamp 17 13) is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07074A 2013-09-06 2013-09-06 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 KR101524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074A KR101524495B1 (en) 2013-09-06 2013-09-06 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074A KR101524495B1 (en) 2013-09-06 2013-09-06 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473A KR20150028473A (en) 2015-03-16
KR101524495B1 true KR101524495B1 (en) 2015-06-01

Family

ID=5302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074A KR101524495B1 (en) 2013-09-06 2013-09-06 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9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47A (en) * 2000-05-22 2001-12-07 이정만 A change apparatus of fluorescent bulb
CN202363424U (en) * 2011-12-01 2012-08-01 李宝龙 Bulb replacing c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47A (en) * 2000-05-22 2001-12-07 이정만 A change apparatus of fluorescent bulb
CN202363424U (en) * 2011-12-01 2012-08-01 李宝龙 Bulb replacing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473A (en)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9611A (en) Coupling and method for use with a lamp fitting
KR101956157B1 (en) Fixing device of ceiling type lighting fixture
KR101524495B1 (en) A appliance for change to luminescent bulb
KR102232359B1 (en) One-touch detachable rail lighting system
KR101412728B1 (en) Fluorescent lamp replacement device of light bulb type
JP2009097230A (en) Handrail with lighting
KR101511643B1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separable socket
KR20150002797U (en) lotus lamp
KR20090030616A (en) Working lantern
KR200329994Y1 (en) The Exchange Equipment of illuminator
JP2012248530A (en) Led lighting system
KR200475408Y1 (en) Bulb exchanging apparatus of the ceiling
KR101029897B1 (en) Fixed equipment of illuminator
KR100405577B1 (en) three wave length luminescent bulb and luminescent bulb changer thereof
KR20100012507U (en) A change apparatus of fluorescent bulb
KR101503584B1 (en) Lifting device of lighting lamp
KR101624663B1 (en) A main device frame of LED lighting
US9431779B1 (en) Extension cord light source
JP5566513B1 (en) LED lighting device
JP5360983B2 (en) lighting equipment
KR20090007129U (en) Light having improved combination and separation structure
KR200451330Y1 (en) Retractor Lamp Device
JP6678474B2 (en) Lamp cover and lighting equipment
KR100739601B1 (en) Ceiling lamp changing tool
JP2008027876A (en) Luminaire attachment device with brightness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