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219B1 -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 - Google Patents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219B1
KR101524219B1 KR1020140180897A KR20140180897A KR101524219B1 KR 101524219 B1 KR101524219 B1 KR 101524219B1 KR 1020140180897 A KR1020140180897 A KR 1020140180897A KR 20140180897 A KR20140180897 A KR 20140180897A KR 101524219 B1 KR101524219 B1 KR 10152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atching
purifier
connection pip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변윤상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3Gas mask cani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5Respirators and register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의 결합구조는 정화통에 고정형성되고, 정화통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관; 방독면에 고정형성되고, 연결관을 밀착되게 둘러싸거나 연결관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구; 및 연결관과 연결구가 서로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관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연결구 일측에 걸리는 걸림체를 포함하고, 연결관은 걸림체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관과 연결구의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연결구와 상호 끼워지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COMBINATION STRUCTURE BETWEEN MASK AND CANISTER AND GAS MAS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보자도 쉽게 정화통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정화통의 결합 및 분리시간이 최소화되어 정화통의 결합 및 교체 중 유해가스의 흡입가능성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방독면(gas mask)은 연막이나 중독성이 있는 화학작용제, 생물학작용제, 방사능작용제 등이 흡입되거나 부착되지 않도록 얼굴을 보호하는 도구로서, 탄광이나 공장과 같이 유독가스나 증기, 유독성 미립자 등이 배출되는 오염된 환경에서도 이용된다. 그리고 소화작업이나 폭동진압용으로 소방관이나 경찰관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방독면은 고무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안면부와, 안면부에 연결된 정화통으로 구성되며, 미사용시에는 휴대주머니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된다.
정화통 내부에는 유독가스를 화학적으로 흡착하거나 분해하는 흡수제, 미립자물질을 물리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나 여과지가 들어있다. 어느 작용제 또는 유독가스를 막느냐에 따라 그 작용제 또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흡수제를 사용하지만 군용 방독면에서는 어떤 작용제가 사용될지 예측할 수 없으므로 광범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특수처리된 활성탄을 흡수제로 사용한다.
흡수제의 포집능력이 떨어지기 전까지는 가스 및 증기의 제거는 100%에 이르지만 이 시점을 지나고 나면 가스 및 증기가 제대로 포집되지 않은 채 통과가 형성되는데 이것을 파과(breakthrough)라고 한다.
정화통은 흡수제의 파과현상이 일어나기 전에 새것으로 교체되어야 하며, 특히 작용제나 유독가스에 오염된 환경에서 정화통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정화통의 교체에는 작용제나 유독가스가 호흡기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신속성, 정확성 및 간편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정화통을 교체하는 것을 많이 연습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에는 정화통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 자체가 익숙하지 않기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많이 연습한 숙달자의 경우라도 예상치 못하게 정화통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데 있어서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유해가스를 흡입할 가능성이 있기에 이에 대한 계속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보자도 쉽게 정화통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정화통의 결합 및 분리시간이 최소화되어 유해가스의 흡입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방독면의 안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정화통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관; 상기 안면부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을 밀착되게 둘러싸거나 상기 연결관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가 서로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연결구 일측에 걸리는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걸림체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의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연결구와 상호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체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구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관이 상기 연결구에 삽입시 적어도 일측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된 위치에서 관통형성된 탄성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체는, 상기 연결구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상기 탄성삽입홈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 단부에서 굽어지거나 절곡되어 상기 연결구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체의 탄성변형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삽입홈과 상기 걸림부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대칭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는 한 쌍의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곡선을 이루되, 상기 연결구 내부로 노출되고,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간의 직선거리가 상기 연결구의 내경보다 짧은 걸림구간; 및 상기 걸림구간과 상기 가동부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간의 직선거리가 상기 연결구의 내경보다 긴 해제구간을 포함하고,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걸림체는, 상기 걸림구간이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횡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걸림체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구간이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체가 이동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간의 직선거리 중 가장 짧은 지점은 상기 탄성삽입홈을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를 기준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푸쉬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버튼을 기준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푸쉬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정화통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정화통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관; 안면부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을 밀착되게 둘러싸거나 상기 연결관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가 서로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연결구 일측에 걸리는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걸림체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의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연결구와 상호 끼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를 갖는 방독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체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관이 연결구와의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연결구와 끼워지거나 분리되도록 하여 정화통의 신속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체를 걸림부와 가동부를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정화통의 신속한 고정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정화통의 분리시 걸림체의 원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독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방독면의 정화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은, 초보자도 쉽게 정화통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정화통의 결합 및 분리시간이 최소화되어 유해가스의 흡입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독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방독면의 정화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1)은, 초보자도 쉽게 정화통(50)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정화통(50)의 결합 및 분리시간이 최소화되어 정화통(50)의 결합 및 교체 중 유해가스의 흡입가능성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며, 안면부(10), 연결체(30) 및 정화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1)은, 정화통(50)과 안면부(10) 간 결합구조에 특징이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4에는 정화통(50)과 안면부(10)가 결합되는 부분의 도면만을 게시하였다.
방독면(1)은 일반적으로 고무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안면부(10) 및 안면부(10)에 연결된 정화통(50)으로 형성되며, 미사용시에는 휴대주머니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면부(10)는 일반적으로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미도시) 및 마스크에 형성되는 투시창(미도시)을 포함하며, 정화통(50)은 마스크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술한 방독면의 일반적인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37802호 및 462395호에 게시되어 있으며, 방독면의 일반적인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아래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정화통(50)과 안면부(10) 간 결합구성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50)은 케이스(51) 및 필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는 정화통(50)의 결합구조에 대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미도시되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1)는 안면부(10)에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51h)이 형성되며, 안면부(10)에 결합되는 쪽에는 연결관(P)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홀(51h)에는 평상시 필터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P)은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연결관(P)의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걸림홈(Ph)이 구비된다. 걸림홈(Ph)은 후술할 걸림부(E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걸림부(E1)가 어느 방향에서든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관(P)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걸쳐 연결관(P)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P)의 하단부에는 내주면이 결합방향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경사진 경사부(Pa)가 형성되며, 경사부(Pa)에는 연결체(30)와의 결합시 후술할 실링부재(S)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밀착홈(Pb)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연결체(3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면부(10)는 고무 및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최소한 코와 입을 커버(31B)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30)가 결합되는 결합홀(10h)이 형성된다. 결합홀(10h)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한쪽 볼에 대응되는 부위, 또는 양쪽 볼에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연결체(30)는 안면체에 정화통(50)을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디(31), 걸림체(E) 및 푸쉬버튼(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1)는 베이스(31A) 및 커버(3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31A)는 안면부(10)에 결합되어 결합홀(10h)과 연통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중간에 결합홀(10h)과 연통되는 연통홀(Ca)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A)에는 연통홀(Ca)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관(P)이 삽입되는 연결구(C)가 형성된다. 연결구(C)는 연결관(P)을 둘러싸도록 연결관(P)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31A)로부터 안면부(10)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관(P)이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관(P)의 외주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구(C)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연결구(C)에는 연결관(P)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홈(Ph)에 대응된 위치에 관통형성된 탄성삽입홈(Ch)이 형성된다. 탄성삽입홈(Ch)은 후술할 걸림체(E)가 끼워지는 구성으로서, 걸림체(E)가 양쪽 방향에서 자체 압축력에 의해 끼워지도록 연결구(C)의 원주방향 둘레에 좌우대칭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C)의 내주면에는 실링부재(S)가 결합된다. 실링부재(S)는 연결구(C)와 연결관(P) 사이의 공기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된다.
실링부재(S)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연통홀(Ca)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안면부(10)와 반대방향 단부에 상술한 경사부(Pa)에 밀착되는 밀착부(Sa)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밀착부(Sa)는 연결관(P) 삽입시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여 경사부(Pa), 밀착홈(Pb) 및 연결구(C)의 내주면과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A)에는 연결구(C)와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결합홀(10h)에 삽입되는 흡입구(B)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입구(B)에는 안면부(10) 내부에서 정화통(50) 방향으로의 기체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판(미도시)이 결합된다. 도 3 및 도 4는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커버가 도시되지 않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1B)는 베이스(31A)와 결합되어 걸림체(E)가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안면부(10) 쪽으로는 내주면이 베이스(31A)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결합되고 정화통(50) 쪽에는 관통공(31Bh)이 형성되어 연결구(C)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커버(31B)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푸쉬버튼(32)이 노출되는 버튼홀(31Ba)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체(E)는 연결관(P)과 연결구(C)가 서로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관(P)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걸림부(E1) 및 가동부(E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E1) 및 가동부(E2)는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되며, 자체 탄성에 의해 탄성삽입홈(Ch)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E1)는 양쪽 탄성삽입홈(Ch)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가동부(E2)에 의해 연결된다. 걸림부(E1)는 연결구(C)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탄성삽입홈(Ch)에 끼워지며,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연결구(C) 내측으로 돌출되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걸림부(E1)는 연결구(C)의 내부를 향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운데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정화통(5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경사부(Pa)와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걸림부(E1)는 걸림구간(E1A) 및 해재구간(E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구간(E1A)은 걸림부(E1) 간의 직선거리가 연결구(C)의 내경보다 짧은 구간으로서,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구(C) 내부로 노출된다.
해재구간(E1B)은 한 쌍의 걸림부(E1) 간 직선거리가 연결구(C)의 내경보다 긴 구간으로서, 걸림구간(E1A)과 가동부(E2) 사이에 위치한다.
가동부(E2)는 걸림부(E1) 단부에서 굽어지거나 절곡되어 연결구(C) 외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부(E1)를 연결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체(E)는 양쪽 걸림부(E1)가 탄성삽입홈(Ch)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E1)와 가동부(E2)의 길이방향에 걸쳐 탄성 회복에 의한 압축력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걸림체(E)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걸림구간(E1A)이 연결구(C) 내부로 노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걸림체(E)에는 푸쉬버튼(32)이 결합된다. 푸쉬버튼(32)은 가동부(E2)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연결구(C)를 기준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푸쉬버튼(32)은 커버(31B)와 베이스(31A)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되, 일단부에는 돌출된 부분이 버튼홀(31B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부는 가동부(E2)에 결합된다.
푸쉬버튼(32)의 타단부는 가동부(E2)의 곡선형태에 대응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푸쉬버튼(32)의 타단부에는 가동부(E2)가 삽입되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버튼(32)이 착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걸림체(E)는 연결구(C)의 횡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구간(E1A)은 연결구(C)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감소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체(30)와 정화통(50)의 결합 및 분리는 아래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진다.
방독면(1)을 착용해야 하는 응급상황 발생시 착용자는 보호주머니(미도시)에서 안면부(10) 및 정화통(50)을 각각 인출하여 정화통(50)을 연결체(30)에 연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관(P)이 연결구(C)에 삽입되면, 연결관(P)의 경사부(Pa)는 걸림체(E)의 걸림구간(E1A)과 접촉하게 된다.(부호 도 4 참조) 연결관(P)이 계속 삽입되면, 한 쌍의 걸림구간(E1A)은 경사부(Pa)의 경사를 따라 서로 벌어지게 되며, 경사부(Pa)는 걸림체(E)를 지나게 된다.
걸림홈(Ph)이 탄성삽입홈(Ch)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삽입되면, 한 쌍의 걸림구간(E1A)은 걸림체(E)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탄성 회복력에 의해 각각 걸림홈(Ph)에 끼워져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걸림구간(E1A)이 걸림홈(Ph)에 끼워지면, 연결관(P)의 경사부(Pa)는 실링부재(S)의 밀착부(Sa)를 가압하게 되며, 이와 같은 가압력에 의해 밀착부(Sa)는 밀착홈(Pb)에 삽입되면서 경사부(Pa), 밀착홈(Pb) 및 연결구(C)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되어 연결구(C)의 내주면과 연결관(P)의 외주면 사이에 기체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1)은 단순한 결합구조로 형성면서도, 일단 결합되면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이 방지되는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독면(1)을 착용한 상태에서 정화통(50)을 교체해야하는 경우 착용자는 푸쉬버튼(32)을 누르게 된다.
푸쉬버튼(32)은 착용자의 외력에 의해 연결구(C)의 횡단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체(E)의 가동부(E2)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부(E1)도 푸쉬버튼(32)과 함께 연결구(C)의 횡단면과 평행한 방향(탄성삽입홈(Ch)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걸림체(E)는, 걸림체(E)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될 때 걸림체(E)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걸림구간(E1A)이 연결구(C)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한 쌍의 걸림부(E1) 간의 직선거리 중 가장 짧은 지점은 탄성삽입홈(Ch)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는 걸림구간(E1A)의 곡률, 탄성삽입홈(Ch)의 원주방향 길이 및 푸쉬버튼(32)의 돌출부 길이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걸림부(E1)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걸림구간(E1A)이 연결구(C)의 안쪽에 위치하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간(E1A)이 탄성삽입홈(Ch)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해재구간(E1B)이 탄성삽입홈(Ch)으로 진입하게 되면, 걸림구간(E1A)이 탄성삽입홈(Ch)의 단부와 접촉하여 벌어지면서 한 쌍의 걸림부(E1)는 서로 이격되며, 마침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간(E1A)은 걸림홈(Ph)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된다.
즉, 착용자가 푸쉬버튼(32)을 누른 상태에서 정화통(50)은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의 직선이동에 의해 쉽게 분리되며, 정화통(50)을 새것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체(E)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연결관(P)이 연결구(C)와의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연결구(C)와 끼워지거나 분리되도록 하여 정화통(50)의 신속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고, 특히 걸림체(E)를 걸림부(E1)와 가동부(E2)를 포함하는 탄성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정화통(50)의 신속한 고정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정화통(50)의 분리시 걸림체(E)의 원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1)에는 스토퍼(33) 및 탄성스프링(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3)는 푸쉬버튼(32)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는 구성으로서, 푸쉬버튼(32)을 기준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31A)에는 스토퍼(33)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레일부(R)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31B)에는 스토퍼(33)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는 레일홀(미도시)이 형성된다. 푸쉬버튼(32)에는 스토퍼(33)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2a)이 형성된다.
탄성스프링(34)은 푸쉬버튼(32)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스토퍼(33)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레일부(R)의 단부에 설치된다. 도 5에는 탄성스프링(34)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원주방향의 가압력을 형성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스토퍼(33)는 탄성스프링(34)에 의해 푸쉬버튼(32) 쪽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푸쉬버튼(32)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착용자가 실수로 푸쉬버튼(32)을 누르더라도 푸쉬버튼(32)의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정화통(50)의 이탈이 방지된다.
스토퍼(33)의 돌출된 부분을 레일홀(미도시)을 따라 밀어서 삽입홈(32a)에서 스토퍼(33)의 단부를 이탈시키면 스토퍼(33)에 의한 푸쉬버튼(32)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푸쉬버튼(32)을 눌러서 정화통(50)을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방독면 10 : 안면부
30 : 연결체 50 : 정화통
E : 걸림체 10h : 결합홀
E1 : 걸림부 51 : 케이스
E1A : 걸림구간 P : 연결관
E1B : 해제구간 Ph : 걸림홈
E2 : 가동부 51h : 유입홀
31 : 바디 Pa : 경사부
31A : 베이스 Pb : 밀착홈
C : 연결구 32 : 푸쉬버튼
Ch : 탄성삽입홈 32a : 삽입홈
S : 실링부재 33 : 스토퍼
Sa : 밀착부 34 : 탄성스프링
31B : 커버
31Bh : 관통공
31Ba : 버튼홀
31Bb : 레일홀

Claims (10)

  1. 방독면의 안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로서,
    상기 정화통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정화통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관; 상기 안면부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을 밀착되게 둘러싸거나 상기 연결관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지도록 관통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가 서로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연결구 일측에 걸리는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걸림체에 의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구의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연결구와 상호 끼워지거나 분리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걸림홈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체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구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관이 상기 연결구에 삽입시 적어도 일측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된 위치에서 관통형성된 탄성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체는 상기 연결구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상기 탄성삽입홈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 단부에서 굽어지거나 절곡되어 상기 연결구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체의 탄성변형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변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삽입홈과 상기 걸림부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대칭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는 한 쌍의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곡선을 이루되, 상기 연결구 내부로 노출되고,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간의 직선거리가 상기 연결구의 내경보다 짧은 걸림구간; 및 상기 걸림구간과 상기 가동부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간의 직선거리가 상기 연결구의 내경보다 긴 해제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체는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걸림구간이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횡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걸림체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구간이 상기 연결구 내측으로 돌출된 정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체가 이동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간의 직선거리 중 가장 짧은 지점은 상기 탄성삽입홈을 벗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
  7.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
  8.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를 기준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가압하는 푸쉬버튼을 더 포함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을 기준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푸쉬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정화통의 결합구조.
  10.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화통의 결합구조를 갖는 방독면.
KR1020140180897A 2014-12-16 2014-12-16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 KR10152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897A KR101524219B1 (ko) 2014-12-16 2014-12-16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897A KR101524219B1 (ko) 2014-12-16 2014-12-16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219B1 true KR101524219B1 (ko) 2015-05-29

Family

ID=5339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897A KR101524219B1 (ko) 2014-12-16 2014-12-16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2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210B1 (ko) * 1988-05-17 1996-04-23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필터 요소 및 호흡 마스크
JPH09192246A (ja) * 1996-01-17 1997-07-29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防じんマスク
KR20120136748A (ko) * 2011-06-10 2012-12-20 이철희 공기 호흡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210B1 (ko) * 1988-05-17 1996-04-23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필터 요소 및 호흡 마스크
JPH09192246A (ja) * 1996-01-17 1997-07-29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防じんマスク
KR20120136748A (ko) * 2011-06-10 2012-12-20 이철희 공기 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RU2580997C2 (ru) Фильтрующий картридж с боковым штепсельным соединителем
CN106413817B (zh) 用于双向空气流呼吸器滤筒的预过滤器盖
US20070283964A1 (en) Reusable exhalation valve & mouthpiece for use with filtering face mask
KR101619494B1 (ko) 흡입부 분리형 기능성 마스크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KR20200054942A (ko) 오염 방지 얼굴 마스크
WO2009150762A1 (ja) 鼻栓
KR101294333B1 (ko) 구난호흡기
KR200285213Y1 (ko) 삽입형 간이 마스크 장치
KR101524219B1 (ko) 정화통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독면
US6799573B1 (en) Air filtration system
KR101540231B1 (ko) 분리형 가스 정화 장치
KR200462395Y1 (ko) 방독면용 정화통 결합 안전장치
KR101847152B1 (ko) 역세척 가능한 멤브레인 일체형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헬멧
KR20140028880A (ko) 휴대용 방독면
KR101641635B1 (ko) 가스 정화 장치
KR101904301B1 (ko) 방독면
JP2006346166A (ja) フィルタ部材
KR101419649B1 (ko) 화재용 응급 보호구
KR102007299B1 (ko) 전자담배연기 정화장치
KR102398355B1 (ko) 사용의 편리성 및 탁월한 여과기능을 겸비한 방진 및 방독마스크
KR200315229Y1 (ko) 구강(口腔)식 간이 방독구
KR102692508B1 (ko) 노즈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