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181B1 -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181B1
KR101524181B1 KR1020120138913A KR20120138913A KR101524181B1 KR 101524181 B1 KR101524181 B1 KR 101524181B1 KR 1020120138913 A KR1020120138913 A KR 1020120138913A KR 20120138913 A KR20120138913 A KR 20120138913A KR 101524181 B1 KR101524181 B1 KR 10152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ocument
server
cli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1041A (en
Inventor
심우호
김학기
나현석
윤성열
박석천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181B1/en
Publication of KR2014007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0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본 발명은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축 시 진료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서버와 CDA문서를 조회하기 위한 서버를 별도로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이 갖는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진료정보와 CDA 문서를 별도의 플로우를 통해서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보안성과 확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국내 법제도 환경에 바로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for inquiring medical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inquiring CDA document are separately constructed in constructing a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so that the merits of the existing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delayed response model are maintained, CDA documents can be viewed through a separate flow, thereby improving the response spe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a delayed response model And a method thereof.

Description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a delayed response model,

본 발명은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시스템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진료정보와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문서를 별도로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응답 성능과 편의성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a delayed response mod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and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documents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a system based on a conventional delayed response model So that the response performance and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관련된 진료정보 교류는 병/의원 및 공공의료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환자의 병력, 투약, 검사결과 등 각종 진료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것으로서, 상기 진료정보의 교류를 통해서 의료의 안정성 및 질 증대, 진료업무 효율성 향상, 의료기관 운영 효율성, 환자의 편의성 증대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tual sharing of various medical information such as medical history, medication and examination result of the patient held in a hospital / clinic and a public medical institution. Through the exchange of the medical information, The main purpose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edical servic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patients.

일예로서 종래에 대형병원 중심으로 외부 1, 2차 의료기관 간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을 구현한 한 사례가 있었으나, 단방향 조회 서비스에 그치고 각 진료정보 시스템 간에 독자적인 정보체계와 표준을 쓰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진료정보의 교류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에서 범국가 진료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05년 EHR(Electronic Health Record)핵심 공통기술 연구개발 사업단을 구성하여 많은 예산을 투입해 의욕적으로 추진하였으나, 학술적인 연구개발에만 성과가 있었을 뿐 실절적인 진료정보 교류는 사실상 실패하였다.As an example, in the past, there was a case in which a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etween the external first and second medical institutions was implemented centering on a large hospital. However, since only one-way inquiry service and unique information system and standard are used among each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exchange was difficul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set up the EHR (Electronic Health Record) core common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group in 2005 to build a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on medical care across countries. However, unhealthy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has virtually failed.

상기와 같이 국내현실은 의료기관별 정보화 수준이 다양하고, 표준화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기관별로 서로 상이한 정보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법제도 안에서 진료정보 교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진료정보의 교류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기술: 한국등록특허 제10-0805642호(2008. 02. 26.)
As described above, the domestic reality is not limited to a variety of levels of informatization by medical institutions, a standardized system is not provided, the system is constructed as a different information system for each institution, and a system is configured to perform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in the domestic legal system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in exchanging practical medical informa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5642 (Fe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기존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그 성능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which can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merits of a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a conventional delay response model have.

또한 본 발명은 보안성과 확장성이 높고 국내 법제도 환경에 바로 적용 할 수 있는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nd method which are highly secure and scalable and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domestic legal system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진료정보 교류 시 진료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서버와 CDA 문서 조회를 위한 서버를 별도로 구축함으로써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that can improve the response speed by constructing a server for inquiring medical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CDA document inquiry separately in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은 진료정보를 검색하고 그 중에서 원하는 임상문서를 요청하는 제1 단말; 상기 진료정보와 임상문서를 저장하고 있는 제2 단말; 상기 제1 단말에서 진료정보 검색 시, 그 진료정보가 저장된 제2 단말에 접속하여 해당 진료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된 진료정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상문서를 전달받아 등록하고, 상기 제1 단말에서 요청하는 임상문서를 곧바로 제공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단말은 진료정보 또는 임상문서를 조회하거나 요청하는 수신기관의 병원정보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이고, 상기 제2 단말은 진료정보 또는 임상문서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기관의 조회나 요청 시 해당하는 진료정보나 임상문서를 제공하는 송신기관의 병원정보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이며, 상기 임상문서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문서이며, 상기 진료정보는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 또는 CDA 문서 정보가 포함된 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서버를 통해 요청된 진료정보를 그 제1 서버에 제공함과 동시에, 그 진료정보에 해당하는 임상문서를 제2 서버에 전달하여 등록하고, 상기 제2 서버는, CDA문서 및 PACS 영상의 조회 기능을 제공하고 XML 기반의 웹 서버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임상문서의 등록이 완료될 경우, 그 등록 완료 정보를 제1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제1 서버는, CDA문서 및 PACS 영상의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그 메타데이터를 이용해 정보들의 검색과 조회를 지원하며, 상기 제1 단말에서 진료정보 검색 시, 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상기 진료정보에 해당하는 병원 또는 병원정보 시스템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병원 또는 병원정보 시스템의 단말에 상기 진료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임상문서의 등록 완료 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제1 단말에서 요청한 진료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a delayed response model, including: a first terminal for searching for medical information and requesting a desired clinical document from the medical information; A second terminal storing the clinical information and the clinical document; A first server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stor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is retrieve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server for receiving and registering at least one clinical document related to the requested medical car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directly providing a clinical document requested by the first terminal, A terminal is a terminal connected to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f a receiving organization for inquiring or requesting a clinical information or a clinical document, and the second terminal stores clinical information or a clinical document. A terminal connected to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f a transmitting organization providing a clinical document, wherein the clinical document is a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document, and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is a list including metadata of the CDA document or CDA docume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rovides the requested care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er through the first server, The second server transmits the clinical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server and registers the same in the second server, and the second server provides the function of inquiring the CDA document and the PACS image and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XML-based web server, When the registr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is completed, the first server transmits the regist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er. The first server manages the metadata of the CDA document and the PACS image, and supports searching and inquiry of the information using the metadata Searching for a hospital 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through its own database and request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searched hospital 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hen search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at the first terminal, Receives the regist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from the second server, and provides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firs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방법은, 제1 단말에서 진료정보를 검색하는 제1 단계; 제1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진료정보 검색 시 그 진료정보가 저장된 제2 단말에 접속하여 해당 진료정보를 요청하는 제2 단계; 제2 단말은 상기 제1 서버에서 요청받은 진료정보를 제1 서버에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임상문서를 제2 서버에 전달하여 등록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전달받은 임상문서의 등록이 완료될 경우 그 등록 완료 정보를 제1 서버에 전달하는 제4 단계;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2 서버에서 임상문서의 등록 완료 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제2 단말에서 제공받은 진료정보를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 제공된 진료정보에서 선택되거나 요청된 임상문서를 곧바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단계의 제1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진료정보 검색 시 상기 진료정보에 해당하는 병원 또는 병원정보 시스템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병원 또는 병원정보 시스템의 단말에 접속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a delayed response model,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trieving medical care information from a first terminal; The first server accessing the second terminal stor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when the first terminal searches for medical care information and requesting the corresponding medical care information; A third step of providing the clinical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first server to the first server and transferring the clinical document to the second server for registration; The second server transmits the regist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er when the registration of the delivered clinical document is completed; The first server receives the regist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from the second server and then provides the first terminal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server comprises a sixth step of directly providing a requested clinical document selected from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server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And a seventh step of searching for a hospital 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and accessing a terminal of the searched hospital 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hen retriev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본 발명은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축 시 진료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서버와 CDA문서를 조회하기 위한 서버를 별도로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이 갖는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진료정보와 CDA 문서를 별도의 플로우를 통해서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보안성과 확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국내 법제도 환경에 바로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for inquiring medical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inquiring CDA document are separately constructed in constructing a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so that the merits of the existing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delayed response model are maintained, By enabling the CDA document to be viewed through a separate flow,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ponse speed as well as to enhance security and scalability, as well as to enable the domestic legal system to be applied directly to the environment.

도 1은 일반적인 진료정보 교류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CDA 문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ebXML에서 실제 진료정보 교환 서비스가 바인딩 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진료정보 교류 모델 중 컨서버티브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진료정보 교류 모델 중 프로액티브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진료정보 교류 모델 중 지연 응답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능이 개선된 지연 응답 모델을 참조하여 설계한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여 보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cenario;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DA document in FIG. 1; FIG.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actual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ervice is bound in ebXML in FIG. 1; FIG.
FIG. 4 shows an example of a framework of a correspondence model among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framework of a proactive model among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framework of a delayed response model among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amework of a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designed with reference to a delayed response model with improved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nd the exi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관련된 진료정보 교류 관련 의료정보 표준은 크게 정보교류 표준, 정보모델 표준, 용어 표준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교류 표준에는 HL7(Health Level 7) 메시지, ebXML(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 DRF(Clinical Document Registry Framework) 등이 있고, 상기 정보모델 표준에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 등이 있으며, 상기 용어 표준에는 SNOMED-CT, ICD-10, UMLS 등이 있다.The medical information standard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 information model standard, and terminology standard. Herein, the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 includes a Health Level 7 (HL7) message, an 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 (ebXML), and a clinical document registry framework (DRF). The information model standard includes a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Model), and the term standard includes SNOMED-CT, ICD-10, and UMLS.

상기 의료정보 표준은 도 1과 같은 시나리오 상황에서 필요하게 된다.The medical information standard is required in the scenario situation shown in FIG.

도 1은 일반적인 진료정보 교류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cenario.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개인의원(110)에 임의의 환자가 방문한다고 가정할 경우, 그 개인의원(110)에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다른 병/의원에서 이전에 실시되었던 진료정보를 전자건강기록 시스템(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120)에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건강기록 시스템(120)은 상기 환자가 이전에 진료 받았던 병/의원(130)에 진료정보를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정보교류 표준이 필요하다. If it is assumed that an arbitrary patient visits the arbitrary private clinic 110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ivate clinic 110 provides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previously performed in the other hospital /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120). Then,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120 requests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sick / clinic 130 where the patient was previously treated. At this time, an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 is required.

이에 따라 상기 진료정보를 요청받은 병/의원(130)은 해당 환자의 진료정보(예 : CDA 문서)를 찾아서 상기 전자건강기록 시스템(120)을 통해 개인의원(11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병/의원(130)에서 진료정보(예 : CDA 문서)를 찾는 과정에서 정보모델 표준과 용어 표준이 필요하며, 상기 진료정보를 전송받은 개인의원(110)은 자체 시스템에 그 환자의 진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ck / clinic 130 having requested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finds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for example, a CDA document) of the patient and transmits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to the private clinic 110 through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120. At this time, an information model standard and a terminology standard are required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e.g., CDA document) in the sick / clinic 130, and the individual counselor 110 receiv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requests the patient's medical care Information can be stored.

여기서 상기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는 의료와 관련된 임상문서 교환을 목적으로 문서의 구조와 의미를 명시하는 HL7에서 정한 표준 문서 규격이며, 상기 CDA 문서는 XML로 작성되어지며, HL7의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으로부터 파생되었고, HL7 버전 3.0의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상기 CDA 문서의 규격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규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준이 바뀌거나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is a standard document specification defined by HL7 that specifies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a document for the purpose of exchanging clinical documents related to medical care. The CDA document is written in XML, and the HL7 RIM Model) and is assumed to use the data type of HL7 version 3.0. However, the specification of the CDA docu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standard, and may be changed as the standard is changed or upgraded.

참고로 상기 HL7은 1994년에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로부터 공인받은 표준기관이자 교환 메시지 형식과 코드 정의 위주의 버전 2.x와 RIM 기반의 구조와 CDA를 포함하는 버전 3.0, 그리고 사용자 관점에서 이종 응용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기화를 내용으로 하는 CCCW(Clinical Context Object Workgroup) 등으로 구성되는 표준 규격을 동시에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HL7 버전 2.x는 현재 대다수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 버전간의 미묘한 차이는 존재하나 전체적인 구조는 유사한 편이다. For reference, the HL7 is a standards body approved by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in 1994, Version 2.x based on exchange message format and code definition, version 3.0 including RIM-based structure and CDA, And a CCCW (Clinical Context Object Workgroup) for synchronizing user interfaces between disparate applications. The above HL7 version 2.x is currently used in most hospitals, and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versions, but the overall structure is similar.

그리고 상기 HL7 메시지의 기본 원리는 트리거 이벤트에 의해 하나의 사건이 촉발되면, 그 사건에 의해 데이터의 교환이 일어나게 될 두개 이상의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가 설정되어지고,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른 하나의 시스템으로 메시지의 형태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고, 메시지를 수신한 대상 시스템에서는 수신여부를 확인하여 주는 메시지를 다시 원본 시스템으로 보냄으로써 하나의 사이클이 마무리되는 구조이다.The basic principle of the HL7 message is that if one event is triggered by a trigger event, two or more systems whose data will be exchanged by the event are routed through the network, and one system The data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message. In the target system receiving the message, a message confirming the reception is sent to the original system, thereby completing one cycle.

또한 상기 HL7 메시지의 구조는 문자,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타입을 최소 단위로 하며 필드라 부른다. 이러한 필드들은 유사한 정보단위로 그룹화 되어져서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이것을 세그먼트라 부르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다시 조합되어져 하나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된다.The structure of the HL7 message is called a field, which is a minimum unit of a data typ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numbers. These fields are grouped into similar information units and have a meaning, which is called a segment, and each segment is combined to become a message representing one event.

상기 HL7 메시지 2.x은 메시지 내 수많은 선택적 요소를 가지고 있고, 세그먼트들이 반복되거나 생략되기도 하며 그룹핑 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HL7의 보급화에 기여를 한 측면이 있으나 결국 이러한 자율성과 더불어 명확한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은 HL7의 한계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HL7 버전 3.0은 기존 2.x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이 등장한 표준으로서, 상기 버전 3.0의 탄생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절차지향, 객체지향, 컴포넌트 기반(CBD) 등의 개발방법론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적용범위가 확장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임상문서(예 : CDA 문서)는 그 특성상 문서의 종류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정보(예 : 환자이름, 진료날짜, 진료과, 진료의사이름, 진료기관 등)와 문서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가지는 정보(예 : 의사소견, 검사결과, 처방 등)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CDA 문서도 이러한 논리에 따라 정보를 구분하여 표현한다.The HL7 message 2.x has a number of optional elements in the message, and the segments may be repeated, omitted or grouped. This flexibility has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of HL7, but in the end, the lack of a clear methodology with such autonomy is revealed to the limit of HL7. Therefore, the HL7 version 3.0 is a newly emerging standar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2.x. The birth of the version 3.0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 methodology such as process orientation, object orientation, and component-based (CBD) Which is expected to continue to expand in the future. In general, the clinical document (for example, a CDA documen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 such as the patient's name, the date of medical treatment, the doctor's office, the doctor's name, It contains information that is different (eg, doctor's findings, test results, prescriptions, etc.). Therefore, the CDA document also divid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logic.

이하 상기 CDA 문서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sic structure of the CDA docu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CDA 문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DA document in FIG. 1;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DA 문서는 임상문서 임을 나타내는 태그인<ClinicalDocument> 요소로 시작되며 크게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는 <ClinicalDocument>와 <structuredBody> 태그 사이에 위치하며 문서의 제공자, 인증, 방문자, 환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DA document starts with a <Clinical Document> element, which is a tag indicating that the document is a clinical document, and is largely composed of a header and a body. The header is located between the <ClinicalDocument> and the <structuredBody> tags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vider, authentication, visitor, patient, etc. of the document.

그리고 바디(Body)에서는 구조화된 임상문서가 작성된다. 상기 바디 내부는 <section> 요소를 사용하여 각 문서의 주제별로 섹션(section)을 구분한다. 상기 섹션 내에는 'Section Narrative Block'이라는 영역을 두어 전체적인 설명 등을 기술하며 <text> 요소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섹션 내에는 <entry> 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으로부터 상속된 클래스(예 : Acts, Participants, Relationships 등)의 속성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CDA 문서 최상단의 <ClinicalDocument> 클래스는 RIM의 <InfrastructuredRoot> 클래스를 상속받은 것으로서 다양한 속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CDA 문서에는 문서의 특정 속성이 헤더에 명시된 경우와 달리 본문 내에서 내용이 바뀔 경우 컴퓨터가 그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여 생기는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컨텍스트 모델(Context model)을 포함하고, 헤더, 바디, 섹션, 엔트리에 저작자명, 언어, 주제 등의 정보를 재정의해서 쓰게 된다.In the body, a structured clinical document is created. The inside of the body divides sections by topic of each document using the <section> element. In this section, there is a section called 'Section Narrative Block' to describe the entire description, and a <text> element is mainly used. The <entry> element may be present in the section, and various information may be input using the attributes of the class inherited from the RIM (Reference Information Model) (eg, Acts, Participants, Relationships, etc.). In addition, the <Clinical Document> class at the top of the CDA document inherits the <InfrastructuredRoot> class of the RIM and includes various attribute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DA document are changed in the text, unlike the case where the specific attribute of the document is specified in the header The computer includes a context model for eliminating errors caused by failure to detect the change, and rewrites information such as an author name, a language, and a subject in headers, bodies, sections, and entries.

참고로 상기 정보교류 표준에서 ebXML(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원래 XML 기반의 전자 상거래 분야의 개방형 표준이지만 의료정보 분야에서도 진료정보 문서 교환하는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Although ebXML (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 is originally an open standard for e-commerce based on XML, the ebXML is recognized as a standard for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documents in the field of medical information.

이하 상기 ebXML에서 진료정보 교환 서비스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ervice is connected in the ebXML will be described.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ebXML에서 실제 진료정보 교환 서비스가 바인딩 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ebXML은 기본적으로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레지스트리(Registry), 리파지토리(Repository) 개념을 사용하는데, 상기 레지스트리는 문서에 대한 정보, 사용자 정보, 기관정보 등을 저장하고, 상기 리파지토리는 문서들을 저장하는 장소로서 파일 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TP, SOAP 등의 웹 프로토콜을 활용한다. 참고로 ebXML v3.0은 HL7의 RIM 표준을 적용한 것으로서, ebXML RIM과 ebXML RS(Registry Service) 표준에서 제시하는 XML 스키마를 사용한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n actual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ervice is bound in ebXML in FIG. 1, wherein the ebXML uses a registry and a repository concept to exchange documents, The registry stores information about a document, user information, institu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repository can use a file system, a database, or the like as a place for storing documents. As shown in the figure, a web protocol such as HTTP, SOAP, It is used. For reference, ebXML v3.0 is based on the RIM standard of HL7. It uses the XML schema suggested by ebXML RIM and ebXML RS (Registry Service) standard.

이하 상기와 같은 기본적 구조를 갖는 임상문서(또는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linical document (or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having the above basic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진료정보 교류의 체계는 진료정보 교류대상이 되는 데이터(예 : CDA문서 및 메타데이터)의 교류시점과 저장 위치, 그리고 보안 방식에 따라, 컨서버티브 모델, 프로액티브 모델 및 지연 응답 모델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각 진료정보 교류 모델의 특징을 설명한다.In general, the system of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is based on the point of contact and storage location of data (for example, CDA document and metadata) to be exchanged, and the security model, the proactive model and the delayed response model I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Features of the respective care information exchange model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도 4는 진료정보 교류 모델 중 컨서버티브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서버티브(Conservative) 모델은 CDA문서와 메타데이터를 송신기관의 브로커(예 : 브로커1)에 저장하는 구조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amework of a correspondence model among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As shown in FIG. 4, the Conservative model includes a broker (for example, broker 1 ).

도 4를 참조하면, 병원1(210)에서는 작성된 CDA문서를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브로커1(220)로 전송하게 되고, 브로커1(220)은 상기 CDA문서의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송신기관과 수신기관의 정보 등을 포함한 메타정보만을 브로커2(230)로 전송한다. 이 후, 병원2(240)를 방문한 환자의 요청과 동의에 따라 병원2의 담당자(예 : 의사)는 브로커2(230)로부터 CDA문서를 검색하게 되며, 메타정보에 의해 CDA문서가 있는 위치가 분석되면, 웹서비스를 통해 브로커1(220)에 CDA문서를 요청하게 된다. 검색된 CDA문서는 브로커2(230)와 병원2(240)의 클라이언트에 순차적으로 자동 전송된다.4, the hospital 1 (210) transmits the created CDA document to the broker 1 (220) using a specific application for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and the broker 1 (220) analyzes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CDA document And only the meta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organization and the receiving organization is transmitted to the broker-2 230. Subsequently,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consent of the patient visiting the hospital 2 (240),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ospital 2 (for example, a doctor) searches the CDA document from the broker 2 (230) Once analyzed, the broker 1 (220) requests the CDA document via the web service. The retrieved CDA document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brokers 2 (230) and 2 (240) clients in sequence.

도 5는 진료정보 교류 모델 중 프로액티브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액티브(Proactive) 모델은 CDA문서와 메타데이터를 수신 기관의 브로커(예 : 브로커2)에 저장하는 구조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work of a proactive model among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As shown in FIG. 5, the proactive model includes a CDA document and metadata to a broker (for example, broker 2) .

도 5를 참조하면, 병원1(310)에서는 작성된 CDA문서를 특정 진료정보 교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브로커1(320)로 전송하게 되고, 브로커1(320)은 그 CDA문서의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수신기관인 병원2(340)의 게이트웨이인 브로커2(330)로 CDA문서를 직접 전송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hospital 1 (310), the created CDA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broker 1 (320) using a specific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application. The broker 1 (320) analyzes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CDA document, And directly transmits the CDA document to the broker 2 (330) which is the gateway of the hospital 2 (340).

이 후, 병원2(340)를 방문한 환자의 요청과 동의에 따라 병원2(340)의 담당자는 브로커2(330)에 CDA문서의 검색을 요청하게 되고, 검색된 CDA문서는 병원2(340)의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방문한 환자의 기존 CDA문서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송방식에서는 병원1(310)에서 환자에게 진료의뢰와 CDA 문서 전송에 관한 사전 동의는 물론, CDA문서가 바로 상대 기관으로 전달되므로, 향후 환자가 병원2(340)를 방문 하지 않거나, 환자 자신의 진료정보가 다른 곳에 저장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그 책임과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reafter,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and consent of the patient who visited the hospital 2 340,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ospital 2 340 requests the broker 2 330 to search for the CDA document, and the retrieved CDA document is sent to the hospital 2 340 It is possible to retrieve the existing CDA document of the patient transmitted to the client. However, in this transmission method, since the CDA documen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artner institution in advance as well as the patient's request for consult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CDA document in the hospital 1 (310), the patient does not visit the hospital 2 (340) If the patient does not want his or her medical information to be stored elsewhere, that responsibility and legal problems may arise.

도 6은 진료정보 교류 모델 중 지연 응답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응답(Lazy response) 모델은 CDA문서가 생성된 기관의 자체적인 병원정보 시스템에 저장되고 메타데이터만 송신기관 및 수신기관의 브로커(예 : 브로커1, 브로커2)에 저장하는 구조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work of a delayed response model among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As shown in FIG. 6, the Lazy response model is stored i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f the agency in which the CDA document is created, Are stored in a broker (for example, broker 1 or broker 2) of a transmitting organization and a receiving organization.

도 6을 참조하면, 병원1(410)에서는 특정 진료정보 교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유할 CDA문서의 송신기관, 수신기관 정보 등을 포함한 메타정보를 브로커1(420)에 등록하게 되고, 상기 브로커1(420)은 등록된 메타정보를 수신기관의 게이트웨이인 브로커2(430)에 전송한다. 이 후, 병원2(440)를 방문한 환자의 요청과 동의에 따라 병원2(440)의 담당자는 브로커2(430)로부터 CDA문서를 검색하게 되며 메타정보에 의해 CDA문서가 있는 위치가 파악되면, 웹 서비스를 통해 브로커1(420)과 병원1(410)의 자체적인 병원정보 시스템의 문서저장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순차적으로 CDA 문서를 요청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first hospital 410, the meta information including the transmitting organization and the receiving organization information of the CDA document to be shared is registered in the broker 1 420 using the specific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application, 1 420 transmits the registered meta information to the broker 2 430 which is the gateway of the receiving organization. Then, in response to the request and consent of the patient who visited the hospital 2 (440),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ospital 2 (440) searches the CDA document from the broker 2 430. When the location of the CDA document is identified by the meta information, The broker 1 420 and the hospital 1 410 access the document storage server (not shown) of its ow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web service to sequentially request the CDA document.

이 후 검색된 CDA 문서는 브로커1(420)과 브로커2(430), 그리고 병원2(440)의 클라이언트에 순차적으로 자동 전송되어 CDA문서를 요청한 병원2(440)의 담당자(예 : 의사)는 방문한 환자의 CDA문서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The CDA document retrieved subsequently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lients of the broker 1 420, the broker 2 430 and the hospital 2 440 in sequence,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ospital 2 (440) The patient's CDA document can be viewed.

그러나 상기 지연 응답 모델은 CDA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병원1(410)의 문서저장 서버가 제대로 작동을 하고 있지 않는 시점에서는 CDA문서의 공유가 어려워지고, 또한 CDA문서의 전송 단계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현재 의료기관이 아닌 다른 곳에 진료기록을 저장하는 것 자체가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환자 및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가장 현실성 있는 모델이 될 수 있다.However, the delayed response model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hare the CDA document when the document storage server of the first hospital 410 storing the CDA document is not operating properly, and the transmission step of the CDA document is complicated . However, it may be the most realistic model for patients and service provider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t is not legally permissible to store medical records outside the current medical institution.

상술한 세 가지 진료정보 교류 모델은 공유 대상의 교류시점과 저장 위치에 따라 성능, 보안, 시스템 확장성 등에 각기 장단점이 있으며 그 장단점을 비교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아래 표 1은 상술한 세 가지 진료정보 교류 모델의 장단점을 주요한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한 것이다. The three types of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described above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erms of performance, security, system scalability,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and storage location of the shared objects. Table 1 below compar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hree types of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s described above by selecting key evaluation indicators.

Figure 112012100006970-pat00001
Figure 112012100006970-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프로액티브 모델의 경우 성능 면에서 가장 우수하지만 보안문제와 국내 법제도 환경에서는 적용하기 힘들 모델이고, 지연 응답 모델은 보안 및 시스템 확장성이 가장 우수하고 국내 법제도 환경 하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한 모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연 응답 모델의 경우 진료정보 교류 대상의 데이터를 병원의 자체적인 병원정보 시스템에서만 보관함으로써 성능 측면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Table 1 shows that the proactive model has the best performance but the security problem and the domestic legal system are not applicable to the environment. The delayed response model has the best security and system scalability, It is a model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delayed response mode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ata of the subject of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is stored only in the hospital's ow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a problem in performance.

다시 말해 상기 종래의 지연 응답 모델은 실제 진료정보 교류 문서(CDA 문서)를 병원 자체적으로 구축된 병원정보 시스템의 내부에 보관하고, 그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만 외부(예 : 송신/수신 브로커)에 두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진료정보의 보안, 확장성이 우수하고 국내 법제도에도 순응하는 방식이지만, 외부에서 해당 병원의 진료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송신/수신 브로커를 통해서 병원 자체에 구축된 병원정보 시스템에 접속한 후 해당 정보(CDA 문서)를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다른 비교 모델에 비해서 진료정보를 조회하는데 성능(예 : 응답 속도)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delayed response model stores the actual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document (CDA document) i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uilt in the hospital itself, and stores only the metadata of the CDA document in the outside (for example, transmission / reception broker) In order to access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hospital from outside, it is necessary to us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broker to transmit the hospital information established in the hospital itself (CDA document) must be fetched after accessing the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for example, the response speed) is lowered for retrieving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compared to other comparative model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의 지연 응답 모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a delayed response model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delayed response mode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모델의 프레임워크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은 진료정보 조회를 위한 기존의 브로커 시스템과는 별도로 CDA문서의 전달과 조회를 위한 CDA 뷰 서버(53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한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work of a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part from a conventional broker system for inquiring medical information, And a CDA view server 530 for transmission and inquiry of the CDA document.

즉,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은 기존의 지연 응답 모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실제 진료정보(CDA문서)는 중간에 브로커를 거치지 않고 상기 CDA 뷰 서버(530)를 통해 CDA문서를 해당 병원(수신 기관의 의료정보 시스템)에 직접 제공함으로써 실제 진료정보를 전달하는 절차와 구조를 단순화시켜 성능(예 : 응답 속도)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delayed response model, while the actual medical care information (CDA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spital (not shown) through the CDA view server 530 (Eg,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receiving organization),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eg, the response speed) by simplifying the procedure and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actual medical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능이 개선된 지연 응답 모델을 참조하여 설계한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designed with reference to a delayed response model with improved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1의 병원단말1(520)은 CDA문서를 요청하는 수신 기관(예 : 병원2)(550)으로부터 해당하는 CDA문서의 메타데이터를 CDA 레지스트리 서버(540)를 통해 수신 받고, 실제 CDA 문서는 CDA 뷰 서버(530)로 통해 수신 기관(예 : 병원2)의 병원정보 시스템(560)으로 전달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메타데이터 플로우와 실제 CDA문서 플로우를 구분함으로써 외부 병원정보 요청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the hospital terminal 1 520 of the hospital 1 receives metadata of the corresponding CDA document from the receiving institution (e.g., hospital 2) 550 requesting the CDA document through the CDA registry server 540 , And the actual CDA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CDA view server 530 to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560 of the receiving institution (e.g., hospital 2). By separating the metadata flow from the actual CDA document flow,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requests for external hospital information.

이때 상기 CDA 뷰 서버(530)의 통신 프로토콜은 별도의 프로토콜 개발을 하지 않고 웹 서버를 활용한다. 그 이유는 CDA문서 자체가 표준 XML 구조로 되어 있어 별도 뷰어가 필요 없고, 특히 실제 네트워크 기반의 진료정보 조회 기능을 구현하는데 웹 서비스 방식이 개발 효율성 및 확장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CDA view server 530 utilizes a web server without developing a separate protocol. The reason is that the CDA document itself has a standard XML structure,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viewer, and in particular, the Web service method is most suitable in terms of development efficiency and scalability in realizing network-based medical information inquiry function.

아래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CDA 뷰 서버(530)는 CDA문서 및 PACS 영상의 조회 기능을 제공하며 XML 기반의 웹 서버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레지스트리 서버(540)는 등록되는 CDA문서 및 PACS 영상의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그 정보들의 조회를 지원하며, 시스템간의 트랜잭션에 대한 로그 관리 및 시스템의 사용자 등록, 관리, 접근 관리 및 기타 시스템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지원한다.Referring to Table 2 below, the CDA view server 530 provides an inquiry function of a CDA document and a PACS image, and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XML-based web server. The registry server 540 records a CDA document and a PACS image Management of meta data, support of inquiry of information, log management of transactions between systems, user registration, management, access management of system, and other system management services.

Figure 112012100006970-pat00002
Figure 112012100006970-pat0000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단말2(550)는 병원2의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CDA 문서를 요청하는 단말이고, 병원단말1(520)은 상기 요청된 CDA문서를 송신해주는 단말로서, 즉 병원단말1(520)은 상기 병원단말2가 요청한 CDA문서를 갖고 있는 병원1에 구축된 병원정보 시스템의 단말이라고 가정한다.As shown, the hospital terminal 2 550 is a terminal for requesting a CDA document i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f the hospital 2. The hospital terminal 1 520 is a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requested CDA document, 520 is assumed to be a terminal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uilt in the hospital 1 having the CDA document requested by the hospital terminal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단말2(550)의 담당자(예 : 의사)가 특정 환자에 관련된 CDA 문서목록(또는 메타데이터)을 요청할 경우, 병원단말2(550)는 그 CDA 문서목록 요청정보를 레지스트리 서버(540)에 전달한다(S101). 그에 따라 상기 레지스트리 서버(540)는 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상기 요청된 CDA 문서목록을 가지고 있는 병원(또는 병원정보 시스템)을 검색하고(S102), 그 검색된 병원의 단말(예 : 병원단말1)에 상기 CDA 문서목록을 요청한다(S103).9, whe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ospital terminal 2 (550) requests a CDA document list (or metadata) related to a specific patient, the hospital terminal 2 (550) To the registry server 540 (S101). Accordingly, the registry server 540 searches the hospital (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 requested CDA document list (S102) through its own database (S102) And requests the CDA document list (S103).

상기 CDA 문서목록을 요청받은 병원단말1(520)은 그 해당하는 CDA 문서목록을 레지스트리 서버(540)에 전달하고(S104), 아울러 실제 CDA문서를 CDA 뷰 서버(530)에 로드(Load) 시킨다(S105). 상기와 같이 병원단말1(520)로부터 CDA 문서가 로드된 CDA 뷰 서버(530)는 그 로드 정보(예 : CDA문서 정보, 병원정보 등)를 레지스트리 서버(540)에 전달한다(S106). 상기와 같이 CDA 뷰 서버(530)에 실제 CDA문서의 로드가 완료될 경우 상기 레지스트리 서버(540)는 상기 병원단말1(520)로부터 전달받은 CDA 문서목록을 병원단말2(550)에 전달한다(S107). The hospital terminal 1 520 having received the CDA document list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DA document list to the registry server 540 in step S104 and loads the actual CDA document into the CDA view server 530 (S105). The CDA view server 530 loaded with the CDA document from the hospital terminal 1 520 transmits the load information (e.g., CDA document information, hospital information, etc.) to the registry server 540 (S106). When the loading of the actual CDA document is completed in the CDA view server 530 as described above, the registry server 540 transfers the CDA document list received from the hospital terminal 1 520 to the hospital terminal 2 550 S107).

이에 따라 병원단말2(550)의 담당자(예 : 의사)는 상기 CDA 문서목록에서 원하는 CDA문서를 선택하여 요청하고, 병원단말2(550)는 상기 CDA문서 요청정보를 상기 CDA 뷰 서버(530)에 전달한다(S108). 그리고 상기 CDA문서 요청정보를 수신한 상기 CDA 뷰 서버(530)는 상기 요청받은 CDA문서를 병원단말2(550)에 곧바로 전달한다(S109). 즉 상기 병원단말1(520)은 CDA 문서목록이 요청될 경우 그 CDA 문서목록을 레지스트리 서버(540)를 통해 전달함과 동시에 그에 해당하는 CDA문서를 CDA 뷰 서버(530)에 등록함으로써 성능(예 : 응답 속도)를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The hospital terminal 2 550 requests the CDA documen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CDA view server 530 to the hospital terminal 2 550, (S108). The CDA view server 530 receiving the CDA document request information directly transmits the requested CDA document to the hospital terminal 2 550 in step S109. That is, when the CDA document list is requested, the hospital terminal 1 (520) transfers the CDA document list through the registry server 540 and simultaneously registers the CDA document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CDA view server 530 : Response spe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병원단말2(550)에서 레지스트리 서버(540)를 통해 CDA문서 정보가 포함된 목록(CDA List)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CDA 문서목록을 받으면 그 이후부터는 CDA 뷰 서버(530)를 통해 상기 CDA 문서목록에서 선택된 실제 CDA문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진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메타데이터 수신 플로우(CDA 문서목록을 요청하고 수신하여 조회하는 플로우)와 실제 CDA문서 수신 플로우(CDA 문서목록에서 선택된 CDA문서를 수신하는 플로우)를 구분함으로써 외부 병원정보(예 : 병원단말2) 요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pital terminal 2 550 requests and receives a list (CDA List) including CDA document information through the registry server 540, and receives the CDA document list After that, a process of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actual CDA document selected from the CDA document list through the CDA view server 530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between a meta data receiving flow (a flow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a CDA document list) and an actual CDA document receiving flow (a flow for receiving a CDA document selected from a CDA document list) Hospital information (for example, hospital terminal 2).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은 그 구조 상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브로커를 각 병원정보 시스템에 두지 않고 중앙에 배치하였으나 향후 진료정보 교류 구현 환경에 따라 각 병원정보 시스템 내에 배치 할 수도 있다.In the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okers for storing meta data are not arranged in eac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ut may be arranged in eac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in the future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지연 응답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과 종래의 지연 응답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비교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periment for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new delayed respons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conventional delayed response model will be described.

상기 성능비교 실험은 CDA문서 요청에 따른 응답 시간을 비교하는 실험이며, 상기 CDA문서는 진료정보 교류에 자주 참조되는 검사결과, 처방내역 및 판독결과 전체를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이 실험에 사용된 실험 데이터는 실제 특정 대학병원에서 발생하는 3일간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The performance comparison test is an experiment to compare the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CDA document request. The CDA document was measured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prescription details and the read results that are frequently referred to in the exchange of the medical information, and the experi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days of data from a specific university hospital.

아래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과 실험 데이터의 상세한 사양을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Table 3 below summarizes the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system and experimental data for th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12100006970-pat00003
Figure 112012100006970-pat00003

여기서 상기 CDA문서는 그 특성상 검사결과와 처방내역은 숫자와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어 용량이 작지만, 판독결과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이미지와 결합 된 데이터로 상기 CDA문서 중 가장 큰 용량을 갖는다. 그리고 실험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고 오차를 줄이기 위해 상기 특정 대학병원에서 발생하는 3일치 데이터에 해당하는 4,696개의 실험 데이터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실험용 시뮬레이션은 상기 특정 대학병원과 공동으로 진행한 개인건강 기록 시스템을 활용하여 CDA 뷰 서버와 레지스트리 서버를 구현하였다. 또한 종래의 지연 응답 모델 기반 시스템과 성능이 개선된 본 발명에 따른 지연 응답 모델 기반 시스템 간의 성능 비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Here, the CDA document has the largest capacity among the CDA documents as the data combined with the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mage, while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prescription details are composed of numbers and text data, .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4,696 experimental data corresponding to three sets of data generated in the specific university hospital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o reduce errors. We implemented CDA view server and registry server using health record system. Also,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conventional delayed response model based system and the delayed response model bas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improved performance was measured based on the response time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검사결과와 처방내역 및 판독결과 전체를 기준으로 측정한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 보다 전체 평균 약 24% 정도 성능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test results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prescription details, and the read results as a whole, the performance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delay respons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the performance by about 24% I could.

도 10을 참조하면, CDA문서 별로 볼 때 상기 판독결과의 평균 응답시간은 0.71초 감소되어 약 31% 성능 개선 효과가 있었고, 검사결과는 0.2초 감소되어 약 16% 성능 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상기 처방내역은 0.08초 감소되어 약 13% 성능 개선 효과가 있었다. Referring to FIG. 10, the average response time of the readout result was 0.71 sec, which was about 31% improved, and the test result was decreased by 0.2 sec. The breakdown was reduced by 0.08 seconds,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was about 13%.

또한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응답 데이터양이 많고 요청 빈도가 낮을수록 성능이 많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환 시스템은 진료정보에 대한 요청 빈도가 낮고 데이터양이 많은 요청에 대해서 상당한 성능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is improved as the amount of response data is large and the frequency of requests is low. Referring to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new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the delayed respons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iderable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for requests with low request frequency for medical information and high data amount.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510, 560 : 각 병원에 구축된 병원정보 시스템
520, 550 : 각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결된 단말
530 : CDA 뷰 서버
540 : 레지스트리 서버
510, 560: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uilt in each hospital
520, 550: terminal connected to eac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530: CDA view server
540: Registry server

Claims (8)

특정 환자에 관련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문서인 임상문서를 요청하는 병원 단말인 제1 단말;
상기 특정 환자에 관련된, 상기 CDA 문서의 메타데이터 또는 상기 CDA 문서의 정보가 포함된 목록인 진료정보와, 상기 임상문서를 저장하고 있는 병원 단말인 제2 단말;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특정 환자에 관련된 임상문서 요청 시, 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요청된 임상문서에 해당하는 진료정보를 가지고 있는 병원을 검색하여 해당 병원의 병원 단말인 제2 단말로 상기 임상문서가 아닌 진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해당 진료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요청된 진료정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상문서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달받아 등록하고, 상기 제1 단말에서 요청한 임상문서를 제1 서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제공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정보는 제1 서버를 통해서 제1 단말에 직접 제공하고, 상기 임상문서는 별도의 제2 서버를 통해서 제1 단말에 전달함으로써, 진료정보와 임상문서의 송수신 경로를 구분하여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서버는, 제2 단말에서 전송한 해당 임상문서의 등록을 상기 제2 서버에 완료했다는 정보가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제1 단말로 해당 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A first terminal that is a hospital terminal for requesting a clinical document as a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document related to a specific patient;
Med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patient, which is a list including metadata of the CDA document or information of the CDA document, and a second terminal which is a hospital terminal storing the clinical document;
When the first terminal requests the clinical document related to the specific patient, searches the hospital having the clin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clinical document through its own database, and transmits the clinical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 first server for requesting treatment information other than a document and providing the treatment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treat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And a second server for receiving and registering at least one clinical document related to the requested medical car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directly providing the clinical document requested by the first terminal without going through the first server,
The clinical information is directly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server and the clinical documen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separate second server so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s of the clinical information and the clinical document are distinguished, ,
Wherein the first server transmits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when information indicating completion of registration of a clinical documen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server, Response Model Based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진료정보 또는 임상문서를 조회하거나 요청하는 수신기관의 병원정보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이고,
상기 제2 단말은 진료정보 또는 임상문서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기관의 조회나 요청 시 해당하는 진료정보나 임상문서를 제공하는 송신기관의 병원정보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a terminal connected to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f a receiving organization for inquiring or requesting medical information or a clinical document,
Wherein the second terminal stores the clinical information or the clinical document and is a terminal connected to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f the transmitting institution providing the medical information or the clinical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inquiry or request of the receiving institution.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CDA문서 및 PACS 영상의 조회 기능을 제공하고 XML 기반의 웹 서버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임상문서의 등록이 완료될 경우, 그 등록 완료 정보를 제1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The server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rver receives the regist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registr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is completed, A clin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delayed response model.
삭제delete 제1 단말에서 특정 환자에 관련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문서인 임상문서를 제1 서버에 요청하는 제1 단계;
제1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임상문서 요청 시 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요청된 임상문서의 목록 또는 임상문서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상기 임상문서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병원을 검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서버는, 검색을 통해 상기 임상문서의 정보가 저장된 제2 단말에 접속하여 해당 임상문서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서버에서 요청받은 임상문서의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실제 임상문서를 제2 서버에 전달하여 등록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임상문서의 등록이 완료될 경우 그 등록 완료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전달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2 서버에서 상기 임상문서의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제2 단말에서 제공받은 상기 임상문서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제6 단계;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임상문서의 정보에서 원하는 임상문서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서버로 요청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제2 서버는 제7 단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등록 완료된 해당 임상문서를 바로 제1 단말로 제공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임상문서의 정보는 제1 서버를 통해서 제1 단말에 직접 제공하고, 상기 임상문서의 그 자체는 별도의 제2 서버를 통해서 제1 단말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임상문서의 정보와 상기 임상문서의 그 자체에 대한 송수신 경로를 구분하여 송수신을 수행하는 지연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방법.
A first step of requesting a first server for a clinical document as a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document related to a specific patient in a first terminal;
The first server may include a second step of searching for a hospital having the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including the requested clinical document list or the metadata of the clinical document through the database of the clinical document at the first terminal upon its request;
The first server accessing a second terminal storing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through a search and requesting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A fourth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clinical document requested by the first server to the first server and transferring the actual clinical document to a second server for registration;
A fifth step of delivering the registra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er when registr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is completed;
A sixth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completion of registr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in the second server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selecting a desired clinical document from the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and requesting the selected server to the second server; And
And the second server provides the registered clinical document directly to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venth step,
The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is directly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server and the clinical document itself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a separate second server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clinical document and the clinical document A method of exchanging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a delayed response model that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distinguish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to itself.
삭제delete
KR1020120138913A 2012-12-03 2012-12-03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KR101524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13A KR101524181B1 (en) 2012-12-03 2012-12-03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13A KR101524181B1 (en) 2012-12-03 2012-12-03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041A KR20140071041A (en) 2014-06-11
KR101524181B1 true KR101524181B1 (en) 2015-06-01

Family

ID=5112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913A KR101524181B1 (en) 2012-12-03 2012-12-03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1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9490A1 (en) 2019-05-17 202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88697B1 (en) * 2021-11-03 2022-11-01 Audacious Inquiry, LLC Network architecture for stream-parallel data aggreg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162A (en)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management of medical documents
KR100805642B1 (en) *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ing medical data between hospitals
KR20120076500A (en) * 2010-11-26 2012-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health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162A (en)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management of medical documents
KR100805642B1 (en) * 2006-09-20 2008-02-26 서울대학교병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ing medical data between hospitals
KR20120076500A (en) * 2010-11-26 2012-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health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041A (en)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7494B2 (en) Healthcare semantic interoperability platform
US886843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istributed digital medical data
US2005002799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atient authorizations relating to digital medical data
US20070203754A1 (en) Network health record and repository systems and methods
US1073337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preview of an electronic document
JP5927864B2 (en) Remote image system
US10650478B2 (en) Real-time aggregation and processing of healthcare records
US1141649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aching and querying objects stored in multiple databases
Donahue et al. Veterans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uccesses and challenges of nationwide interoperability
Bouhaddou et al. Toward a virtual lifetime electronic record: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experience with the nationwide health information network
Noumeir Sharing medical records: The XDS architecture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S20210090717A1 (en) Cloud-based patient data exchange
Fragidis et al. Integrated nationwide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Semi-distributed architecture approach
KR101524181B1 (en) A system for exchanging clinical information based on lazy response model and the method thereof
KR101587025B1 (en) Method for stor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Muslim et al. Web services of transformation data based on OpenEHR into Health Level Seven (HL7) standards
Kondylakis et al. Using XDS and FHIR to support mobile access to EHR information through personal health apps
US119010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cal information of object
Aijing et al. Design of the hospital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KR1006140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by Online
Yang et al. Creating content modules for Chinese EHR documents and their trial implementation in Wuwei City
WO2023234852A1 (en) Personal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pehrs)
Kanade et al. EHR Model for India: To Address Challenges in Quality Healthcare
Blazona et al. Integrating radiology information systems with healthcare delivery environments using DICOM and HL7 standards
CN112489743A (en) Medical data view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