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707B1 - 경량의 전기기타 - Google Patents

경량의 전기기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707B1
KR101523707B1 KR1020140007095A KR20140007095A KR101523707B1 KR 101523707 B1 KR101523707 B1 KR 101523707B1 KR 1020140007095 A KR1020140007095 A KR 1020140007095A KR 20140007095 A KR20140007095 A KR 20140007095A KR 101523707 B1 KR101523707 B1 KR 10152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electric guitar
present
sound
manufac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길
Original Assignee
김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길 filed Critical 김상길
Priority to KR102014000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707B1/ko
Priority to PCT/KR2015/000572 priority patent/WO2015111897A1/ko
Priority to US15/113,069 priority patent/US2017001171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G10D3/095Details of removable or collapsible necks, e.g. suitable for transport or stora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22Material for manufactur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보디와 넥을 중공 형태로 제작하고, 넥을 보디에 탈·장착할 수 있게 조립함으로써, 전기기타의 중량을 줄이면서도 쉽게 보디에서 넥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경량의 전기기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공으로 제작한 보디와 넥 내부를 진공 처리함으로써, 음의 울림을 높여 불필요한 소음 등을 흡수하여 수준 높은 음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경량의 전기기타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경량의 전기기타{LIGHTWEIGHT ELECTRIC GUITAR}
본 발명은 경량의 전기기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여 중공 형태로 보디와 넥을 제작함으로써, 전기기타를 가벼우면서도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리의 흡수력이 우수하고, 특히 넥의 변형 없이 사용하면서도 쉽게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타는 스트링(현)을 튕기면 이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이 마이크 기능을 하는 픽업에서 전기 신호로 바꾼 다음 이를 음향으로 변환시켜 곡을 연주한다.
이러한 전기기타는 현을 튕길 때에 불필요한 잡음 등이 섞이지 않아야 원하는 음만 픽업으로 전달하게 한다. 이에 아래의 특허문헌과 같이 소리의 흡수율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한 전기기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의 전기기타는, 경량성·차폐성·방열성 그리고 진동 감쇠 능력 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전기기타의 본체와 넥부를 제작함으로써, 전기기타의 전체 중량을 줄이면서도 불필요한 소음 등을 흡수하여 수준 높은 음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전기기타를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의 전기기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본체와 넥부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에 넥부가 고장이 나거나 딱딱한 곳에 부딪혀서 변형되어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본체와 넥부 전체를 전부 교체해야 한다.
(2) 이처럼 일부분이 고장이 나더라도 전기기타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며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키는 한 가지 요인이 되고 있다.
(3) 본체가 하나의 괘(덩어리) 형태로 제작하므로 본체의 마그네슘 합금의 특성상 경량성·차폐성·방열성 그리고 진동 감쇠 능력 등은 우수하나, 전기기타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진다.
(4) 이에 오랫동안 공연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손으로 들고 운반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83071호(등록일 : 2012.09.1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마그네슘 합금으로 보디와 넥을 중공 형태로 제작하고, 넥을 보디에 탈·장착할 수 있게 조립함으로써, 전기기타의 중량을 줄이면서도 쉽게 보디에서 넥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경량의 전기기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공으로 제작한 보디와 넥 내부를 진공 처리함으로써, 음의 울림을 높여 불필요한 소음 등을 흡수하여 수준 높은 음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경량의 전기기타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경량의 전기기타는,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내부가 빈 중공(150)으로 제작하되, 한 면에는 브리지 어셈블리(110)·픽업(120)·조절기(130)를 갖추고, 한쪽에 넥 장착부(140)를 갖춘 보디(100); 마그네슘 합금으로 내부가 빈 중공(2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넥 장착부(140)에 탈·장착할 수 있게 설치하는 넥(200); 및 상기 넥(200) 위에 장착하는 지판(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디(100)와 넥(200)은 표면에 니켈 도금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디(100)와 넥(200)은 MCT 가공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디(100)와 넥(200)은 내부 공간을 진공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넥(200)은 스크류 또는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기타는 상기 넥(200)은 헤드(210)가 스크류 또는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탈부착할 수 있게 체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의 전기기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보디에서 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넥이 파손되거나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할 때 보디에서 분리하여 쉽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2) 이처럼 보디에서 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교체나 수리가 필요한 보디나 넥 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부분까지 전체를 교체하거나 버리지 않아도 된다.
(3) 보디와 넥을 중공으로 제작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다.
(4) 이는 오랫동안 기타를 메고 연주를 하는 경우 연주자에게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쉽게 가벼운 기타를 메고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5) 특히, 보디와 넥의 중공 부분을 진공으로 제작하여 소리의 울림 효과를 높여주므로 일반적인 전기기타의 음질과는 다른 음향을 얻을 수 있다.
(6) 보디와 넥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하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CT(Machining Center Tooling) 가공기를 이용하여 정밀 가공을 통해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7) 특히, 보디에 형성한 중공은 전기기타의 중량 감소와 더불어 통기타의 울림토 기능을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음역대역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음향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기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기타에서 보디 부분의 공간 형성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기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전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기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전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기타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하는 보디(100)와 넥(200), 그리고 이 넥(200)의 한 면에 장착하는 지판(30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보디(100)와 넥(200)은 내부에 각각 중공(150,220)으로 제작하여 전기기타의 중량을 줄여 오랫동안 기타를 메고 연주하더라도 연주자의 피로도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보디(100)나 넥(200)이 파손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그 해당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디(100)와 넥(200)의 중공 부분을 진공 처리하여 소리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리의 전달을 차단하여 음향의 울림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제작하며, 이때 보디(100)는 마그네슘 합금을 원재료로 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마그네슘 합금은 경량성·차폐성·방열성 그리고 진동 감쇠능 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는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에 대한 감쇠능이 우수하여 주변 소음 등을 줄여주기 때문에 음향 개선하는데 더욱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디(100)는,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쉽게 제조할 수 있는데 특히 금형 제작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타 전체의 디자인 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디(100)는, 도 2와 같이, 내부를 중공으로 제작한다. 이는 보디(100) 전체의 중량을 줄여 전기기타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연주자가 오랫동안 연주하더라도 더욱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디(100)는 용기 형태로 제작하고 그 위에 덮개(160)를 덮어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공으로 이루어진 보디(100)는 그 중공(15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진공의 경우 소리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스트링(현)을 튕김에 따라 발생한 소리나 잡음 등이 보디(100)를 따라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리의 울림 현상을 향상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진공은 중공 부분에 니플 등을 장착하여 외부와 연결되게 하고, 이 니플에 진공장치를 연결하여 중공 내부의 공기를 보디(100)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쉽게 진공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디(100)는 MCT 가공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CT 가공기"란 CNC 개념을 가진 "Machining Center Tooling System"의 약어로서, 평면과 곡면 그리고 드릴링 작업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수치제어가 가능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가공 기계를 말한다. 이에 이런 가공 기계를 통해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디자인에 맞게 보디(100)를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한 보디(10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디(100) 표면의 내마모성을 높여주면서도 여러 가지 다양한 장식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디(100)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관통되게 깎아 공동부(170)를 형성함으로써, 보디(100)의 중량을 줄이면서도 이 공동부(170)의 형상을 통해 보디(100)의 전체 디자인에 있어서 다른 미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보디(100)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브리지 어셈블리(110)·픽업(120)·조절기(130) 그리고 넥 장착부(140)를 구성한다.
여기서, 브리지 어셈블리(110)는 스트링(현)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픽업(120)은 스트링(현)을 튕김에 따라 이를 전기적 신호(예를 들어, 전류의 세기)로 변환시켜 주는 일종의 변환기이며, 조절기(130)는 음향 등을 조절하기 위한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넥 장착부(140)는, 도 3과 같이, 후술할 넥(200)을 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체결 구멍(141)을 미리 형성하여 넥(200)을 스크류나 볼트-너트 등을 이용하여 탈·장착할 수 있게 한다.
넥(2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후술할 지판(300) 전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중공(220)을 형성한다.
특히, 이 넥(200)은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조하게 되는 데, 이때 넥(200)은 제조방법·내부에 형성하는 중공(220)·니켈 도금·중공 부분에 대한 진공·MCT 가공 등은 상술한 보디(100)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다. 이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넥(200)은, 도 3과 같이, 넥 장착부(140)에 형성한 체결 구멍(141)과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체결 구멍(230)을 형성하고, 이들 체결구멍에 스크류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넥(200)을 체결 고정한다. 이때 스크류나 볼트는 후술한 지판(300)에 가려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넥(200)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 변형되거나 마모 등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 스크류나 볼트를 이완하여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20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여러 개의 줄 감개(211)가 설치된 헤드(210)를 가지며, 다른 한쪽이 상기 넥 장착부(140)에 체결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헤드(210)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판(3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플랫(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플랫(310)은 그 간격 및 개수가 이미 잘 알려진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지판(310)은 보디(100) 및 넥(200)과 마찬가지로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목재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여 중공으로 보디와 넥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하므로 전기기타의 중량을 줄이면서도 이 중공이 통기타의 울림통 역할을 하게 하여 일반 전기기타와 다른 음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디에서 넥을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여 넥이나 보디 부분만 교체하거나 수리한 다음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기타는, 도 4와 같이, 실시예 1과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넥(20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 넥(2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넥(200')은, 도 4와 같이, 지판(300)을 지지하는 부분과, 스트링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210') 부분을 분리하여 구성한다. 이때, 헤드(210')는 융착이나 부착 등의 방법으로 장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체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넥(200') 뿐만 아니라 헤드(210')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처럼 넥(200')에서 헤드(210')를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헤드(210')를 구성하는 부분이 변형되거나 파손 등으로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소유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 헤드(210')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보디
110 : 브리지 어셈블리
120 : 픽업
130 : 조절기
140 : 넥 장착부
141 : 체결 구멍
200 : 넥
210 : 헤드
211 : 줄 감개
300 : 지판
310 : 플랫

Claims (6)

  1.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내부가 빈 중공(150)으로 제작하되, 한 면에는 브리지 어셈블리(110)·픽업(120)·조절기(130)를 갖추고, 한쪽에 넥 장착부(140)를 갖춘 보디(100); 마그네슘 합금으로 내부가 빈 중공(2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넥 장착부(140)에 탈·장착할 수 있게 설치하는 넥(200); 및 상기 넥(200) 위에 장착하는 지판(3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디(100)와 넥(200)은 내부 공간을 진공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전기기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와 넥(200)은 표면에 니켈 도금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전기기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와 넥(200)은 MCT 가공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전기기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200)은 스크류 또는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전기기타.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넥(200)은 스트링의 한쪽을 고정하는 헤드(210)가 스크류 또는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탈부착할 수 있게 체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전기기타.
KR1020140007095A 2014-01-21 2014-01-21 경량의 전기기타 KR10152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95A KR101523707B1 (ko) 2014-01-21 2014-01-21 경량의 전기기타
PCT/KR2015/000572 WO2015111897A1 (ko) 2014-01-21 2015-01-20 경량의 전기기타
US15/113,069 US20170011717A1 (en) 2014-01-21 2015-01-20 Lightweight electric guit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95A KR101523707B1 (ko) 2014-01-21 2014-01-21 경량의 전기기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707B1 true KR101523707B1 (ko) 2015-06-01

Family

ID=5349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095A KR101523707B1 (ko) 2014-01-21 2014-01-21 경량의 전기기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11717A1 (ko)
KR (1) KR101523707B1 (ko)
WO (1) WO201511189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164A (ko) * 1998-08-06 2000-03-25 화이트,티모시 피이 모듈형 기타시스템
JP2000276167A (ja) * 1999-01-19 2000-10-06 Yamaha Corp 弦楽器のボディ構造
KR101137448B1 (ko) * 2012-02-03 2012-04-20 (주)한국정밀 이펙터를 착탈 할 수 있고 경량인 전기기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47A (ko) * 2004-06-14 2005-12-19 김정곤 네크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기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164A (ko) * 1998-08-06 2000-03-25 화이트,티모시 피이 모듈형 기타시스템
JP2000276167A (ja) * 1999-01-19 2000-10-06 Yamaha Corp 弦楽器のボディ構造
KR101137448B1 (ko) * 2012-02-03 2012-04-20 (주)한국정밀 이펙터를 착탈 할 수 있고 경량인 전기기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1897A1 (ko) 2015-07-30
US20170011717A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5539B2 (en) Multiple contiguous closed-chambered monolithic structure guitar body
US6233825B1 (en) Metall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body and method of making said body
US4359923A (en) Unitary guitar construction
EP0679285B1 (en) Shell resonant membranophone
US10304435B2 (en) Musical instrument and acoustic transducer device
WO2008019174A2 (en) Suspended bracing system for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US9275614B2 (en) Musical instrument
US20050211052A1 (en) Guitar having a metal plate insert
KR101523707B1 (ko) 경량의 전기기타
KR102434672B1 (ko) 현악기를 위한 경량 몸체 구조
US8759649B2 (en) Tubular metal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P2805320B1 (en) Musical instrument transducer cavity
EP3693955A1 (en) String instrument formed as an integral unit structure
EP3159886B1 (en) Internal bracing for a guitar
JP7268021B2 (ja) ギター
KR101137448B1 (ko) 이펙터를 착탈 할 수 있고 경량인 전기기타
US7498497B2 (en) Body structure of stringed instrument
US11670263B2 (en) Fulcrum tremolo spring locking claw and claw resonator plate
US20170094413A1 (en) Soundboard speaker of digital piano
JP2012159832A (ja) 弦楽器のサドル、駒、フレット、ナット
US20150302836A1 (en) Guitar back plate
JP2022141556A (ja) 支柱から成る共振部材。
JP3206146U (ja) 弦楽器におけるシーソー構造によるネック取り付け角度調整機構
JP5672555B2 (ja) 簡単着脱サムレスト
KR200350277Y1 (ko) 핸드 마이크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