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691B1 - Pull type door handling device - Google Patents

Pull type door hand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691B1
KR101523691B1 KR1020130121658A KR20130121658A KR101523691B1 KR 101523691 B1 KR101523691 B1 KR 101523691B1 KR 1020130121658 A KR1020130121658 A KR 1020130121658A KR 20130121658 A KR20130121658 A KR 20130121658A KR 101523691 B1 KR101523691 B1 KR 10152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andle
door
pai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2405A (en
Inventor
한상욱
Original Assignee
(주)제이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이엠티 filed Critical (주)제이이엠티
Publication of KR2014006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출입자 측으로 당겨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도어가 간단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출입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의 힌지축에 직각을 이루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힌지축 상에 탄력 지지되며,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가 도어의 내.외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 한 쌍의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와;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사이에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가 상시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개폐작동부의 로킹돌부에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 회전력을 전달하여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asy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by simp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simply pulling the handle toward the door without giving an excessive force to the handle of the door so as to ensure ease of use and ac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device for a door of a full-type door,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the reduc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handle. The handle is rotatably supported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hinge axis, A pair of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that are resiliently supported on the hinge axis and ar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body portion including the handle;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in which a cylinde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by the spring in the cylinder is alway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a handle rotation force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to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to allow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o enter into the cylinder.

Description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Pull type door handling device}[0001] Pull type door handl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손잡이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출입자 측으로 당겨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도어가 간단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출입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type door for a full-type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l-type door for a full-type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l- And to provide a grip device for a full-type door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simplify the structu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the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cos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도어용 손잡이장치는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출입 방향으로 열고 닫히는 도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측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도어 손잡이에 무리하게 힘이 작용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손에 물건을 많이 들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없거나 회전 조작이 어려워 사용은 물론 도어 출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a door handle device used in a home or an office is designed to open and close a door by rotating a handle install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oor in a lateral direction. In other words,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handle in a later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the direction of entrance and exit,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handle to open the do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oor handle can not be rotated or it is difficult to rotate the door handle when the elderly person with weak grip strength or a child or a lot of objects are in the hand, resulting in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of using the doo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출입자 측으로 당겨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도어가 간단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도어 출입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simply pulling the handle to the passenger side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handle of the door,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ease of use and access to the door, and to provide a handle device for a full-type door,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further increase the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의 한 형태는, 수직의 힌지축에 직각을 이루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힌지축 상에 탄력 지지되며,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가 도어의 내.외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 한 쌍의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와;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사이에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가 상시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개폐작동부의 로킹돌부에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 회전력을 전달하여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동력전달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ulling a door of a full-type door, comprising: a handle rotatably mounted on a hinge axis perpendicular to a vertical hinge axis, A pair of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door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handle portion being resiliently supported on the hinge shaft, the body portion including the handle;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in which a cylinde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by the spring in the cylinder is alway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A power transmission portion for transmitting a handle rotation force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to the locking projection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to allow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o enter into the cylinder; .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를 관통하고, 선단부 및 후단부에 로킹돌부 및 가압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축과; 상기 제1 가압편과 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편을 슬라이더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탄지스프링; 상기 실린더를 각각 관통하여 작동축의 가압편 전면부에 접하도록 내.외측 도어손잡이부 각각의 손잡이 내측으로부터 실린더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후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slider slidably installed in the cylinder; An actu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of the slid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pressing piece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 first biasing spring provided between the first biasing member and the cylind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biasing member toward the slider; A hook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handle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so as to pass through the cylinders and com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of the operating shaft; .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작동축이 중앙부를 관통하고, 슬라이더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의 작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축과 연동하면서 슬라이더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가압편과; 상기 제2 가압편과 스프링 지지대 사이의 작동축 상에 설치되어 제2 가압편을 로킹돌부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탄지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spring support rod that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ider; A second pressing piece installed on an operating axis of a distal end of the slider and slidably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slider while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ng axis; A second biasing spring installed on an operating shaft between the second biasing member and the spring suppo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biasing member toward the locking projection;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내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prevent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from being pulled into the cylinder by a knob rotational force of the inner door handle.

또한, 상기 스토퍼는 내측 도어손잡이부의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는 핀삽입공과; 상기 핀삽입공과 일치되게 개폐작동부의 실린더에 형성되는 핀홀과; 상기 몸체부의 핀삽입공과 실린더의 핀홀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고정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opper may include a pi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of the inner door handle; A pinhole formed in the cylind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in agreement with the pin insertion hole;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cylinder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body and the pin hole of the cylinder to prevent the slider from moving; A suppor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lider and supporting an end of the fixing pin; .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와 개폐작동부의 실린더 사이를 베벨기어로 연결하여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벨기어는 손잡이의 회전 방향으로 원호면 및, 치형을 갖는 부채꼴 형상의 기어몸체A를 상기 손잡이의 힌지편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기어몸체A의 축선과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게 축선을 이루는 원뿔 형상의 기어몸체B를 기어몸체A에 치합되게 실린더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connects the handle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 and the cylinder of the open / close operation portion with a bevel gear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by the rotation of the bevel gear is drawn into the cylinder. And the bevel gea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inge piece of the handle in a fan shape having a circular arc face and a tooth shap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andle and is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axis of the gear body 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a gear body B having a conical shape formed on the gear body A is mounted on the cylinder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ear body A.

또한, 상기 개폐작동부는 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의 후방측 로드와 기어몸체B의 구동축 사이에,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로킹돌부를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한 쌍의 회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ide rod of the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gear body B so that the spring in the cylinder is compress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haft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is drawn into the cylinder A support plate, and a pair of pivotal pieces.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로킹돌부의 로드에 연결되는 선단의 탄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작동부가 후방측으로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는 후방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의 후방 외측으로 견인턱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한 쌍의 회동편은 실린더의 폭보다 다소 큰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한 쌍의 작동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양단부가 통과되어 견인턱에 인접하고, 기어몸체B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is formed by bending a pair of actuat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art of the front end connected to the rod of the locking protruding part in parallel to the rear side, and the pair of actuating parts are provided with through- A hol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lling jaw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hole; The pair of pivotal pieces are formed in a fan shape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ylinder and are provided on the drive shaft of the gear body B adjacent to the pulling jaws with both end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air of operating parts .

또한, 상기 개폐작동부는 지지플레이트의 탄지부와 한 쌍의 회동편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과 한 쌍의 회동편의 사이에 손잡이 로킹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편은 구동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다각면 짝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may include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pair of pivotal pieces, and a knob lock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pring and the pair of pivotal pieces, And is configured to have a polygonal mating with the drive shaft so as to be rotated.

또한, 상기 손잡이 로킹부는 상기 한 쌍의 회동편 중간에 각각 형성되는 간섭홈과; 상기 내측 도어손잡이부의 몸체부 일측에 구비되는 로킹버튼과; 상기 로킹버튼과 지지봉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과 한 쌍의 회동편 사이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회동편 중간에 형성된 간섭홈에 대응되는 간섭돌부를 갖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andle locking portion includes an interference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pivotal pieces; A locking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inner door handle; And a stopper which is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and the support rod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 and the pair of pivotal pieces and has an interferenc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pivotal pieces on one side .

또한, 상기 스토퍼는 일측에 간섭돌부를 가지며, 로킹버튼과 지지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킹버튼과 연동하는 가동블록과; 상기 가동블록을 상시 한 쌍의 회동편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볼플런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볼플런저는 탄지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탄지스프링에 의해 상시 외측으로 탄력 지지되는 볼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블록은 외측면에 상기 볼플런저의 볼이 삽입되는 볼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includes a movable block having an interference protrusion at one sid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and the supporting bar to interlock with the locking button. Wherein the ball plunger is formed of a ball having a tongue spring and being elastically supported at an outer side at all times by the tongue spring, and the movable block is composed of a ball, And a bal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all of the ball plunger is inserted.

또한, 상기 외측 도어손잡이부는 손잡이를 당겨 도어를 열때, 녹음된 소리가 출력되게 하여 도어가 열린 상태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는 보이스 레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이스 레코더는 손잡이를 당기면 스위치가 온되고 손잡이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스위치가 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생성하여 스피커측으로 송출하는 음원생성부와; 상기 음원생성부로부터 전달된 동작명령 신호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상기 스피커 및,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er door handle may further include a voice recorder capable of audibly informing a door open state by outputting a recorded sound when the door is opened by pulling the handle. In the voice recorder, when the handle is pulled, the switch is turned on, A micro switch for turning off the switch when it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A sound generator for generat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micro switch and sending the sound source to a speaker; A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출입자의 몸쪽으로 당겨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도어가 간단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손에 물건을 많이 들고 있는 경우에도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 사용 및 도어 출입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simply pulling the handle toward the body of the passenger without imposing excessive force on the door handle, so that the elderly person or child who is relatively weak in grip,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even if it is holding a lot of it,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ease of use and door access.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해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적을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조립 작업의 신속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제조원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Furth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workings are inevitably small, which makes it possible to secure the promptness and easiness of assembling work,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the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cost.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후크 구동방식에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b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베벨기어 구동방식에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 및 개폐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7은 베벨기어에 의해 손잡이와 개폐작동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베벨기어와 연동하는 개폐작동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이스 레코더의 회로도.
도 10은 마이크로 스위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to 3B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pull type door h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 type door handle device by a hook driving system.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FIG. 1; FIG.
FIGS. 3A and 3B show the coupling and operating states of FIG. 2,
FIG. 3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FIG.
3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4 to 10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ll-type door handle device according to a bevel gear driving method.
Fig. 5 is a plan view of Fig. 4;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Fig. 5; Fig.
Figs.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and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andle and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are connected by a bevel gear.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interlocked with the bevel gear of FIG.
9 and 10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ircuit diagram of a voice record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cro switch is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후크 구동방식에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1에서 상부측이 내측 도어손잡이부(1)이고, 하부측이 외측 도어손잡이부(1a)이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 각각의 몸체부(11)는 서로 대칭을 이룬다.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는 각각의 몸체부(11)에 손잡이(17)가 힌지축(15)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7)는 몸체부(11)에 형성된 손잡이 수용홈(12)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복원스프링(16)에 의해 상기 손잡이(17)가 힌지축(15) 상에 탄력 지지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ll-type door hand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ll- to be.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a and 1b. In FIG. 1, the upper side is the inner door handle portion 1 and the lower side is the outer door handle portion 1, (1a), and the body portions (11)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 and (1a)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a and 1b are provided on each of the body portions 11 so that the handle 17 is rotat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inge axis 15, And the handle 17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hinge shaft 15 by the restoring spring 16 without being projected outwardly by the handle receiving groove 12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 [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 각각의 몸체부(11) 사이에는 개폐작동부(2)를 구성하는 실린더(22)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22)는 선단부에 실린더(22)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상시 실린더(2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킹돌부(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와 개폐작동부(2)의 사이에는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 각각의 손잡이(17) 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부(2)의 로킹돌부(21)를 실린더(22)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동력전달부(3)가 구비된다.A cylinder 22 constitut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2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s 11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 and 1a and the cylinder 22 is provided with a cylinder 22 A locking protrusion 21 protruding outwardly of the cylinder 22 at all times is provide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17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 and 1a is per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 and 1a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2, 2 is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3 for pulling the locking protruding portion 21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22.

여기서, 특징은 상기 손잡이(17)를 수직의 힌지축(15)에 직각을 이루는 전.후 수평방향, 즉 도어를 출입하는 사람의 몸쪽으로 당겨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고, 상기 손잡이(17)의 당김(Pull) 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부(2)를 구성하는 로킹돌부(21)가 직선방향으로 전.후진하면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The handle 17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by pulling the knob 1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vertical hinge shaft 15, that is, the body of a person who enters and exits the door. The locking projection 21 constit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2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inear direction by a pulling operation of the door.

그리고, 내측 도어손잡이부(1)는 유사시 도어의 외측에서 외측 도어손잡이부(1a)의 손잡이(17)를 당겨 조작하더라도 개폐작동부(2)의 로킹돌부(21)가 작동되지 않게 하여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는 스토퍼(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4)는 잡음력이 좋도록 단부측에 구형으로 형성된 고정핀(43)으로 구성된다.The inner door handle portion 1 prevents the locking protrusion 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2 from being operated even if the handle 17 of the outer door handle portion 1a is pulled out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at the time of emergency, The stopper (4) is composed of a fixing pin (43) formed in a spherical shape on the end side so as to improve the attractive force.

이를 첨부된 도 2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 각각의 몸체부(11)에는 중앙부에 측방향의 축공(13a)을 갖는 한 쌍의 축지편(13)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17)의 내측에는 상기 축지편(13)의 축공(13a)과 일치하는 축공(17b)을 갖는 한 쌍의 힌지편(17a)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편(17a) 및 축지편(13)의 축공(17b) 및 축공(13a)을 힌지축(15)이 삽입 및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손잡이(17)를 몸체부(1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축(15)의 외측에는 손잡이(17)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에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비틀림 스프링 형태의 복원스프링(16)이 힌지축(15) 상에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원스프링(16)의 일측 단부는 몸체부(11)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손잡이(17)에 고정된다.2 and 3, the body portion 11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 and 1a is provided with a pair of axially- A pair of hinge pieces 17a having a shaft hole 17b coinciding with the shaft hole 13a of the shoe piece 13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handle 17 The hinge 17 and the shaft hole 13a of the hinge piece 17a and the shaft piece 13 are inserted into and passed through the hinge shaft 15 so that the handle 17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1 So that they can be hinge-coupled. At this time, a restoring spring 16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inge shaft 15 so that the knob 17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rotating around the hinge shaft 15 by the user's turning operation One end portion of the restoring spring 16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handle 17.

상기 개폐작동부(2)는 내부에 작동공간부(22a)를 가지며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이 막혀진 사각 함체 형상의 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22)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로킹돌부(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3)는 실린더(22)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35)와, 상기 슬라이더(35)의 전후를 관통하고 선단부 및 후단부에 로킹돌부(21) 및 제1 가압편(21b)이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축(21a)이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제1 가압편(21b)과 실린더(22)의 사이에 제1 가압편(21b)을 슬라이더(35)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탄지스프링(36)이 구비된다. 또한,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 각각의 손잡이(17) 내측으로부터 실린더(22)를 각각 관통하여 작동축(21a)의 제1 가압편(21b) 전면부에 접하도록 후크(31)가 연장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2 includes a cylinder 22 having a working space 22a and a front and a rear side clogged and a locking projection 21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22 ).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3 includes a slider 35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cylinder 22 and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21 and 21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lider 35, A first pressing piece 21b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piece 21b and the cylinder 22 to the side of the slider 35. The first pressing piece 21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ressing piece 21b, And a first urging spring 36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urging spring 36 is provided. Each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 and 1a is provided with a hook 22 so as to penetrate the cylinder 22 from the inside of the handle 17 and abut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pressing piece 21b of the operating shaft 21a 31 are extended.

상기 제1 탄지스프링(36)은 실린더(22)의 후방측 막혀진 내면 중앙부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돌부(22b)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22)의 양측에는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를 서로 볼트의 체결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 쌍의 고정보스(18a)를 갖는 한 쌍의 결합구(18)가 구비되며, 상기 상기 슬라이더(35)는 제1 가압편(21b)과 함께 실린더(22)의 단면적에 대응되고 상.하로 개방된 장방형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torsion spring 36 is fitt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 22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22 which is closed at the rear side of the cylinder 22. The inner and outer door grips The slider 35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xing bosses 18a having a pair of fixing bosses 18a as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1a and 1b to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to each other, Sectional shape of the cylinder 22 together with the upper portion 21b and open upwardly and downwardly.

그리고,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의 몸체부(11)에 손잡이(17)의 후크(31)가 관통하는 정사각 형태의 관통공(32)이 형성되고, 결합구(18)의 중앙부에는 상기 몸체부(11)의 관통공(32)에 대응되게 후크 삽입공(33)이 형성되며, 실린더(22)에도 상기 관통공(32) 및 후크 삽입공(33)에 대응되는 후크 작동홀(34)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32 of a square shape through which the hook 31 of the handle 17 passes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1 (1a) A hook hole 33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32 of the body portion 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ok portion 32 and a hook 22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32 and the hook insertion hole 33 is formed in the cylinder 22, An operation hole 34 is formed.

또한, 상기 슬라이더(35)의 내부에는 스프링 지지대(38)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대(38)의 중앙부를 작동축(21a)이 관통하며, 상기 슬라이더(35)의 선단부의 작동축(21a) 상에 제2 가압편(21c)이 작동축(21a)과 연동하면서 슬라이더(35)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편(21c)과 스프링 지지대(38) 사이의 작동축(21a) 상에 제2 가압편(21c)을 로킹돌부(21)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탄지스프링(31)이 설치된다.A spring support base 38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ider 35. An operation shaft 21a passes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spring support base 38 and an operation shaft 21a at a distal end of the slider 35 The second pressing piece 21c is slidably provid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lider 35 while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ng shaft 21a and the second pressing piece 21c is provided on the second pressing piece 21c, A second biasing spring 31 for biasing the second biasing member 21c toward the locking protrusion 21 is provided on the second biasing spring 21a.

이와함께 내측 도어손잡이부(1)는 유사시 외측 도어손잡이부(1a)의 조작에 의해서도 로킹돌부(21)의 작동에 의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토퍼(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4)는 구형단부를 갖는 수직의 고정핀(43)으로 구성되고, 내측 도어손잡이부(1)의 몸체부(11)와 실린더(22)에는 상기 고정핀(43)이 삽입 관통하는 핀삽입공(41)과 핀홀(42)이 형성되며, 슬라이더(35)의 내측에는 상기 핀삽입공(41) 및 핀홀(42)을 관통한 고정핀(43)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지지턱(4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door handle portion 1 further includes a stopper 4 so as not to open the doo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21 by the operation of the outer door handle portion 1a in case of emergency, 4 are formed of a vertical fixing pin 43 having a spherical end portion and a pin insertion hole 43a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 of the inner door handle portion 1 and the cylinder 22, And a support chin 44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a fixing pin 43 passing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41 and the pin hole 42 is formed inside the slider 35 .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3a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구(18)에 의해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 각각의 몸체부(11)가 서로 결합되고, 몸체부(11)의 손잡이 수용홈(12)에 구비된 손잡이(17)는 몸체부(11)의 축지편(13)과 손잡이(17)의 힌지편(17a)을 삽입 관통한 힌지축(15)에 의해 몸체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및 설치된다.3A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11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 1a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hole 18 The handle 17 provid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12 of the body part 11 is formed in a hinge shaft 13 through which the shank piece 13 of the body part 11 and the hinge piece 17a of the handle 17 are inserted, 15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and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

그리고, 손잡이(17)에 형성된 후크(31)는 몸체부(11)의 관통공(32)과 결합구(18)의 후크 삽입공(33) 및 실린더(22)의 후크 작동홀(34)을 통하여 실린더(22) 내부의 슬라이더(35)에 삽입되고, 스토퍼(4)의 고정핀(43)은 내측 도어손잡이부(1)의 몸체부(11)에 형성된 핀삽입공(41) 및 실린더(22)의 핀홀(42)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하부가 실린더(22)의 지지턱(44)에 의해 지지된다.The hook 31 formed on the handle 17 is engaged with the through hole 32 of the body part 11 and the hook insertion hole 33 of the coupling hole 18 and the hook operation hole 34 of the cylinder 22 And the fixing pin 43 of the stopper 4 is inserted into the slider 35 inside the cylinder 22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41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 of the inner door handle 1 and the cylinder 22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upport jaws 44 of the cylinders 22. As shown in Fig.

이렇게 고정핀(43)이 몸체부(11)의 핀삽입공(41)과 실린더(22)의 핀홀(42)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는 손잡이(17)의 당김력이 후크(31)를 통하여 슬라이더(35) 측으로 전달되더라도 슬라이더(35)가 고정핀(43)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게 되므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fixing pin 43 vertically penetrates the pin insertion hole 41 of the body 11 and the pinhole 42 of the cylinder 22, the pulling force of the knob 17 is transmitted through the hook 31 Even if the slider 35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35 side, the slider 35 is caught by the fixing pin 43 and can not move, so that the door can not be opened.

이러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43)을 먼저 빼낸 후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a)의 손잡이(17)를 힌지축(15)의 외측에 설치된 복원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당기면, 상기 손잡이(17)와 함께 후크(31)가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더(35) 내부의 제1 가압편(21b)를 제1 탄지스프링(3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로킹돌부(21)를 후방측으로 당겨 실린더(22)의 내부로 인입시켜 로킹돌부(21)에 의한 도어의 로킹을 해제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축(21a)에 설치된 제2 가압편(21c)도 슬라이더(35) 내부의 제2 탄지스프링(37)을 압축하면서 제1 가압편(21b)과 함께 이동한다.3B, the handle 17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1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15 by a restoring spring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inge shaft 15, The hook 31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15 together with the knob 17 so that the first pressing piece 21b inside the slider 35 is inserted into the first tamping spring 21, The locking projection 21 is pull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22 by pulling the locking projection 21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22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door by the locking projection 21. At this time, The second pressing piece 21c provided also moves together with the first pressing piece 21b while compressing the second tamping spring 37 inside the slider 35. [

그리고, 다시 손잡이(17)를 놓게 되면, 상기 손잡이(17)는 손잡이(17)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압축되었던 복원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손잡이(17)와 함께 후크(31)도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1,2 가압편(21b)(21c)도 압축되었던 제1,2 탄지스프링(36)(37)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실린더(22)의 내부로 인입되었던 로킹돌부(21)가 다시 실린더(22)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도어를 로킹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knob 17 is placed again, the knob 17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16 which has been compressed by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knob 17,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ieces 21b and 21c are also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tangential springs 36 and 37 that have been compressed and are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22 And the locking protruding portion 21, which has been drawn in,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22 again, thereby locking the door.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 및 도 5는 베벨기어 구동방식에 의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의 사시도이다.FIGS. 4 to 8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pull type door handler according to a bevel gear driving system.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의 내.외측에 한 쌍의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0)(110a)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0)(110a)는 수직의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전.후 수평방향으로 당겨 조작되는 손잡이(113)를 각각 포함하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0)(110a)의 사이에 개폐작동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작동부(120)는 선단의 로킹돌부(121)가 실린더(122) 내부의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항상 돌출되어 도어에 대한 로킹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0)(110a) 각각의 손잡이(113) 조작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실린더(122)의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에 대한 로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내측 도어손잡이부(110)는 로킹버튼(140a)의 누름 조작에 의해 외측 도어손잡이부(110a)의 손잡이(113)가 작동되지 않게 로킹시키는 손잡이 로킹부(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26은 개폐작동부(120)를 도어의 측면에 고정하기 위해 도어의 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고정편이고, 상기 고정편(126)는 개폐작동부(120)의 로킹돌부(121)가 관통하는 관통홀(126a)의 상하로 나사 체결공(126b)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a pair of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10 and 110a are install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door so as to face each other, Each of the grips 110 and 110a includes a handle 113 which is pu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vertical hinge shaft 112. The grips 110 and 110a of the inner and outer door grips 110 and 110a Closing operation portion 120. The locking projection portion 121 at the front end is always protruded by a spring (not shown) inside the cylinder 122 so as to be in a locking state And is configured to overcome the resilient force of the spring by operating the handle 113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10 and 110a and to enter the cylinder 122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door And the inner door handle 110 is pushed outward by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locking button 140a, Control further includes a locking knob 140 to lock the handle 113 does not operate the grip portion (110a). Here, the reference numeral 126 denotes a fixing piece which is screw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so as to fix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120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and the fixing piece 126 is provided on the locking projection part 1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120, A screw hole 126b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126a.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내.외측 도어손잡이부(110)(110a) 각각의 손잡이(113)를 힌지축(11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당겨 조작했을 때, 그 당김력이 개폐작동부(120)의 로킹돌부(121)까지 전달되어 상기 로킹돌부(121)가 실린더(122)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실린더(122)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구동방식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후크 구동방식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베벨기어 구동방식이다.When the handle 113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110 and 110a is pu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hinge shaft 112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 locking protrusion 121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21 of the actuating part 120 so as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cylinder 122 and to be driven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122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whe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k drive typ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l gear drive system.

도 6은 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와 개폐작동부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측 도어손잡이부(110a)의 손잡이(113)와 개폐작동부(120)의 사이는 베벨기어(131)로 연결된다. 베벨기어(131)는 서로 교차하는 두 축 사이에서 운동을 전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113)의 힌지편(112)에 부채꼴 형상의 기어몸체A(13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몸체A(131a)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개폐작동부(120)에 축설되는 원뿔 모양의 기어몸체B(131b)가 치합된 것이다.6 show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le of the outer door hand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The bezel gear 131 is connected between the handle 113 of the outer door handle 110a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120. The bevel gear 131 is used to transfer a motion between two ax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 bevel gear 13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 piece 112 of the handle 113, And a conical gear body B (131b) formed in the open / close operation part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 (131a).

외측 도어손잡이부(110a)의 손잡이(113)를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수평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113)의 힌지편(114)에 일체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기어몸체A(131a)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몸체A(131a)에 치합된 개폐작동부(120)의 기어몸체B(131b) 역시 기어몸체A(131a)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기어몸체B(131b)의 회전에 의해 개폐작동부(120)의 로킹돌부(121)가 실린더(122)의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에 대한 로킹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andle 113 of the outer door handle 110a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hinge shaft 112, the hinge piece 114 of the handle 113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an- The body A 131a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gear body B 131b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120 engaged with the gear body A 131a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together with the gear body A 131a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120 is drawn into the cylinder 122 by the rotation of the gear body B 131b to release the locking to the door.

도 7은 개폐작동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작동부(120)는 실린더(122)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121)의 후방측 로드(121a)와 기어몸체B(131b)의 구동축(131c) 사이에, 상기 구동축(131c)의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122) 내부의 스프링(125)을 압축하면서 로킹돌부(121)를 실린더(122)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지지플레이트(123) 및, 한 쌍의 회동편(124)(124a)이 구비된다.Closing operation portion 120 includes a rear side rod 121a of a locking protrusion 121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122 and a rear side rod 121b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122, Between the drive shaft 131c of the cylinder 131 and the drive shaft 131c of the cylinder 131b so as to compress the spring 125 in the cylinder 122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131c, A support plate 123, and a pair of pivots 124 and 124a.

상기 지지플레이트(123)는 선단의 탄지부(123a)를 중심으로 상하부 양측을 후방측으로 평행하게 절곡시켜 한 쌍의 작동부(123b)를 상하로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123b)는 후방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관통홀(123c) 및, 상기 관통홀(123c)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견인턱(123d)을 각각 포함한다.The support plate 123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actuating parts 123b are vertically formed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parallel to the rear side in parallel with the elastic part 123a at the tip end, Each of the through holes 123b includes a through hole 123c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side and a pulling jaw 123d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hole 123c.

상기 한 쌍의 회동편(124)(124a)은 실린더(122)의 폭보다 다소 큰 부채꼴 형상으로 작동부(123b)의 관통홀(123c)을 단부가 통과되어 견인턱(123d)이 인접하게 수직 방향으로 전후방 동일 구동축(131c)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구동축(131c)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131c)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축(131c)과 다각면 짝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124)(124a)의 타측에 전술한 손잡이 로킹부(140)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 로킹부(140)와 지지플레이트(123)의 탄지부(123a) 사이에 스프링(125)이 탄력 설치된다.The pair of pivotal pieces 124 and 124a are formed into a fan shape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ylinder 122 and the end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23c of the operating portion 123b is passed, One side of which is provided on the drive shaft 131c and is polygonal to the drive shaft 131c so as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131c. The knob locking part 1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piece 124 and 124a and a spring (not shown) is inserted between the knob locking part 140 and the elastic part 123a of the support plate 123 125 are installed in a resilient manner.

손잡이 로킹부(140)는 전술한 로킹버튼(140a)의 누름 조작에 의해 기어몸체B(131b)의 구동축(131c) 상에 설치된 한 쌍의 회동편(124)(124a)이 기어몸체B(131b) 및 구동축(131c)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로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회동편(124)(124a) 중간에 간섭홈(142)이 각각 형성되고, 로킹버튼(140a)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간섭홈(142)에 삽입되어 간섭하거나 로킹버튼(140a)의 당김력에 의해 간섭을 해제하는 다단 형태의 간섭돌부(143a)를 갖는 스토퍼(131)가 지지봉(140b)에 의해 로킹버튼(140a)과 연결된다.The knob locking portion 140 is pushed by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locking button 140a so that a pair of turning pieces 124 and 124a provided on the driving shaft 131c of the gear body B 131b are engaged with the gear body B 131b An interference groove 14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pivotal pieces 124 and 124a and a locking button 14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pivotal pieces 124 and 124a, A stopper 131 having a multi-stage interference fringe 143a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terference groove 142 by the depression of the lock button 140a or interferes with the pulling force of the locking button 140a, And is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140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도어손잡이부(110a)의 손잡이(113)를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당겨 회전시키면 손잡이(113)의 힌지편(114)에 일체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베벨기어(131)의 기어몸체A(131a)도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기어몸체A(131a)에 치합된 개폐작동부(120)의 기어몸체B(131b)도 기어몸체A(131a)과 직각을 이루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6, when the handle 113 of the outer door handle 110a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hinge shaft 112 as shown in FIG. 6, the hinge shaft 113 of the handle 113 is rotated The gear body 131a of the fan-shaped bevel gear 131 integrally formed with the gear body 114 rotates counterclockwise together with the gear body 131a of the gear body 131a of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120 engaged with the gear body A 131a B 131b rotate counterclockwise at right angles to the gear body A 131a.

이에 따라 기어몸체B(131b)의 구동축(131c)과 다각면 짝을 이루는 도 7의 개폐작동부(120)의 회동편(124)(124a)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플레이트(123)의 작동부(123b)에 형성된 견인턱(123d)에 접촉되어 상기 견인턱(123d)에 당김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당김력은 스프링(12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지지플레이트(123)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123)에 연결된 로킹돌부(121)의 로드(121a)를 베벨기어(131) 측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로킹돌부(121)를 실린더(122)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turning pieces 124 and 124a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120 of FIG. 7 which are polygonal to the driving shaft 131c of the gear body B 131b are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pulling jaw 123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ulling jaw 123d formed on the operating portion 123b of the support plate 123, The rod 121a of the locking protrusion 121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123 is pulled toward the bevel gear 131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21 can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122. [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손잡이(113)를 놓게 되면, 손잡이(113)를 당길 때 압축되었던 토션스프링(미도시됨)의 복원력에 의해서 손잡이(113)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고, 손잡이(113)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113)의 기어몸체A(131a)에 치합된 개폐작동부(120)의 기어몸체B(131b)도 다시 시계반향으로 원위치로 회전하여 지지플레이트(123)의 견인턱(123d)에 대한 당김력이 해제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123)가 압축되었던 스프링(125)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로킹돌부(121) 및 로드(121a)를 실린더(122)의 외측으로 밀어 로킹돌부(121)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도어에 대한 로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andle 113 is again placed in this state, the handle 11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not shown) that was compressed when the handle 113 is pulled, and the return force of the handle 113 The gear body B 131b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art 120 engaged with the gear body A 131a of the handle 113 also rotates clockwise and retracts to the pulling jaw 123d of the support plate 123, The locking protrusion 121 and the rod 121a are push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12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25 to which the supporting plate 123 has been compressed by releasing the pulling force to the locking protrusion 121, Thereby locking the door.

그리고, 내측 도어손잡이부(110)의 로킹버튼(140a)을 누르면, 누름력이 지지봉(140b)을 통해 스토퍼(141) 측으로 전달되어 스토퍼(141)가 외측 도어손잡이부(110a)측으로 밀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41)의 간섭돌부(143a)가 회동편(124)(124a)의 간섭홈(142)에 삽입되어 회동편(124)(124a)을 간섭함으로써 외측 도어손잡이부(110a)의 손잡이(113)를 당겨도 회동편(124)(124a)이 회동 및 작동되지 않게 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41)는 다단의 간섭돌부(143a)를 가지며 로킹버튼(140a)의 지지봉(140b)과 연결된 가동블록(143)와, 상기 가동블록(143)를 상시 회동편(124)(124a)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볼플런저(144)로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서, 가동블록(143)는 외측면에 탄지스프링(144a)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볼(144b)이 삽입되는 볼삽입홈(143b)을 더 포함한다.  When the locking button 140a of the inner door handle 110 is pressed, the push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topper 141 side through the support bar 140b so that the stopper 141 is pushed toward the outer door handle 110a, The interference protrusion 143a of the stopper 141 is inserted into the interference groove 142 of the rotary piece 124a and interferes with the rotary piece 124a 124a so that the outer door handle 110a The pivots 124 and 124a are not pivoted and operated so that the door can not be opened. The stopper 141 includes a movable block 143 having a plurality of interference protrusions 143a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140b of the locking button 140a and a movable block 143 The movable block 143 has a ball insertion groove 143b through which a ball 144b resiliently supported by a torsion spring 144a is inserted into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all 143b .

한편,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특징은 외부 도어손잡이부(110a)의 손잡이(113)를 당겨 도어를 열때, 녹음된 소리가 출력되게 하여 도어가 열린 상태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는 보이스 레코더(150)를 설치한 것에 있다.9 and 10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when the handle 113 of the outer door handle 110a is pulled to open the door, the recorded sound is output And a voice recorder 150 is provided to voice the door open state.

상기 보이스 레코더(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3)를 당기면 스위치가 온(ON)되고 손잡이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스위치가 오프(OFF)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51)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51)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생성하여 스피커(152)측으로 송출하는 음원생성부(153)와, 상기 음원생성부(153)로부터 전달된 동작명령 신호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상기 스피커(152)로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4는 전원공급부이다.9, the voice recorder 150 includes a micro switch 151 that is turned on when the knob 113 is pulled and turned off when the knob is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A speaker 152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153; a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153 for generat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speaker 151, ). Here, the reference numeral 154 denotes a power supply unit.

도 10은 마이크로 스위치와 스피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151)는 손잡이(113)의 기어몸체A(131a)의 반대쪽 힌지편(114)에 인접하게 몸체부(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편(114)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부(115)의 회전에 의해 접점돌부(151a)가 가압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51)가 접촉 및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51)의 일측에 스피커(152)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51) 및 스피커(152)는 도 9의 회로도와 같이 음원생성부(153)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 전원공급부(154)와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cro switch and the speaker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10, the micro switch 15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inge piece 114 opposite to the gear body A 131a of the handle 113, And the contact protrusion 151a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115 integrally formed on the hinge piece 114 so that the micro switch 151 is contacted and opened, The micro switch 151 and the speaker 152 are provided on a side of the power supply unit 151 on the substrate includ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153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출입자 측으로 당겨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도어가 간단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손에 물건을 많이 들고 있는 경우에도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해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적을 수 밖에 없어 조립 작업의 신속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simply by pulling the handle to the passenger side without imposing excessive force on the door hand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elderly person or child with relatively weak grip,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the number of parts and the number of workings are small, so that the speed and ease of assembling work can be ensur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풀타입 도어 손잡이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re determined and limit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내.외측 도어손잡이부
11: 몸체부 12: 손잡이 수용홈
13: 축지편 13a: 축공
14: 축삽입공 15: 힌지축
16: 복원스프링 17: 손잡이
17a: 힌지편 17b: 축공
18: 결합구 18a: 고정보스
2: 개폐작동부
21: 로킹돌부 21a: 작동축
21b: 가압편 22: 실린더
22a: 작동공간부 22b: 스프링 지지돌부
3: 동력전달부
31: 후크 32: 관통공
33: 후크 삽입공 34: 후크 작동홀
35: 슬라이더 36,37: 제1,2 탄지스프링
38: 스프링 지지대
4: 스토퍼
41: 핀삽입공 42: 핀홀
43: 고정핀 44: 지지턱
110,110a: 내.외측 도어손잡이부
111: 몸체부 112: 힌지축
112a: 토션스프링 113: 손잡이
114: 힌지편 115: 가압돌부
120: 개폐작동부
121: 로킹돌부 121a: 로드
122: 실린더 123: 지지플레이트
123a: 탄지부 123b: 작동부
123c: 관통홀 123d: 견인턱
124,124a: 회동편 125: 스프링
130: 동력전달부
131: 베벨기어 131a: 기어몸체A
131b: 기어몸체B 131c: 구동축
140: 손잡이 로킹부
140a: 로킹버튼 140b: 지지봉
141: 스토퍼 142: 간섭홈
143: 가동블록 143a: 간섭돌부
144: 볼플런저 144a: 탄지스프링
144b: 볼(ball)
150: 보이스 레코더
151: 마이크로 스위치 151a: 접점돌부
152: 스피커 153: 원음생성부
154: 전원공급부
1, 1a: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
11: body portion 12: handle receiving groove
13: shaft piece 13a: shaft hole
14: shaft insertion hole 15: hinge shaft
16: restoring spring 17: handle
17a: Hinge piece 17b:
18: coupling hole 18a: fixed boss
2: opening / closing operation part
21: locking projection 21a:
21b: pressure piece 22: cylinder
22a: operating space portion 22b: spring supporting projection
3: Power transmission unit
31: hook 32: through hole
33: Hook insertion hole 34: Hook operation hole
35: slider 36, 37: 1st and 2nd tungsten spring
38: spring support
4: Stopper
41: pin insertion hole 42: pin hole
43: fixing pin 44: supporting jaw
110, 110a: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
111: body part 112: hinge shaft
112a: Torsion spring 113: Handle
114: hinge piece 115: pressing projection
120: opening / closing operation part
121: locking projecting portion 121a: rod
122: cylinder 123: support plate
123a: an elastic part 123b: an operating part
123c: Through hole 123d: Towing jaw
124, 124a: Pivoting piece 125: Spring
130: Power transmission unit
131: Bevel gear 131a: Gear body A
131b: gear body B 131c: drive shaft
140: Handle locking part
140a: locking button 140b: supporting bar
141: stopper 142: interference home
143: movable block 143a: interference projection
144: Ball plunger 144a: Tangential spring
144b: ball
150: Voice recorder
151: Micro switch 151a: Contact projection
152: speaker 153: original sound generating section
154: Power supply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수직의 힌지축에 직각을 이루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힌지축 상에 탄력 지지되며,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가 도어의 내.외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 한 쌍의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와;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사이에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가 상시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개폐작동부의 로킹돌부에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 회전력을 전달하여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를 관통하고, 선단부 및 후단부에 로킹돌부 및 제1 가압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축과; 상기 제1 가압편과 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압편을 슬라이더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1 탄지스프링;상기 실린더를 각각 관통하여 작동축의 가압편 전면부에 접하도록 내.외측 도어손잡이부 각각의 손잡이 내측으로부터 실린더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후크;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작동축이 중앙부를 관통하고, 슬라이더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의 작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축과 연동하면서 슬라이더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가압편과;
상기 제2 가압편과 스프링 지지대 사이의 작동축 상에 설치되어 제2 가압편을 로킹돌부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제2 탄지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The handle is rotatably supported horizontally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hinge axis, the handle is resiliently supported on the hinge axis by the restoring spring, and the body portion including the handle is fixed to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door A pair of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arts symmetrically installed;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in which a cylinde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by the spring in the cylinder is alway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And a power transmission portion for transmitting a handle rotation force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to the locking projection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to allow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o enter into the cylinder, A slider provided slidably; An actu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of the slid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first pressing piece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 first tongu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piece and the cylind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pressing piece toward the slider side so as to penetrate the cylinder and contact the pressing part of the operating shaft, And a hook formed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handle of the cylinder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so as to prevent the locking protrusion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from being drawn into the cylinder by the handle rotation force of the inner door handle A pull handle for a full-type door, compris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spring support rod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operation shaft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ider;
A second pressing piece installed on an operating axis of a distal end of the slider and slidably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slider while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ng axis;
A second biasing spring installed on an operating shaft between the second biasing member and the spring suppo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biasing member toward the locking projection;
Further comprising: a gripping device for gripping the pull type door.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내측 도어손잡이부의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는 핀삽입공과;
상기 핀삽입공과 일치되게 개폐작동부의 실린더에 형성되는 핀홀과;
상기 몸체부의 핀삽입공과 실린더의 핀홀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고정핀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pper includes: a pin insertion hole formed at a side of a body of the inner door handle;
A pinhole formed in the cylind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in agreement with the pin insertion hole;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cylinder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body and the pin hole of the cylinder to prevent the slider from moving;
A suppor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slider and supporting an end of the fixing pin;
And a handle for the full-type door.
수직의 힌지축에 직각을 이루는 전.후 수평방향으로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힌지축 상에 탄력 지지되며,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가 도어의 내.외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 한 쌍의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와; 상기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사이에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가 상시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개폐작동부의 로킹돌부에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 회전력을 전달하여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내외측 도어손잡이부의 손잡이와 개폐작동부의 실린더 사이를 베벨기어로 연결하여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돌부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The handle is rotatably supported horizontally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hinge axis, the handle is resiliently supported on the hinge axis by the restoring spring, and the body portion including the handle is fixed to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door A pair of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arts symmetrically installed;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in which a cylinde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and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by the spring in the cylinder is alway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a gripping force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portions to a locking protrus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to allow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o enter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connects the handle of the inner and outer door handle and the cylind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portion with a bevel gear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by the rotation of the bevel gear is drawn into the cylinder. Handle for type do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손잡이의 회전 방향으로 원호면 및, 치형을 갖는 부채꼴 형상의 기어몸체A를 상기 손잡이의 힌지편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기어몸체A의 축선과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게 축선을 이루는 원뿔 형상의 기어몸체B를 기어몸체A에 치합되게 실린더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evel gea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 piece of the handle and has a circular arc face and a gear tooth shape having a tooth shape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handle. The bevel gear has a conical shape interse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gear body Wherein the gear body (B) is mounted on the cylinder so as to be meshed with the gear body (A).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는 실린더의 선단부에 구비된 로킹돌부의 후방측 로드와 기어몸체B의 구동축 사이에,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로킹돌부를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한 쌍의 회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ide rod of the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gear body B, And a pair of pivoting pie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로킹돌부의 로드에 연결되는 선단의 탄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작동부가 후방측으로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는 후방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의 후방 외측으로 견인턱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한 쌍의 회동편은 실린더의 폭보다 다소 큰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한 쌍의 작동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양단부가 통과되어 견인턱에 인접하고, 기어몸체B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air of actuating parts are formed in parallel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art of the tip end connected to the rod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pair of actuating parts ar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And a pulling jaw integrally protruding from a rear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pair of pivotal pieces are formed in a sector shape that is somewha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ylinder and are provided on the drive shaft of the gear body B adjacent to the pulling jaws with both end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air of operating portions Handle device for full type do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는 지지플레이트의 탄지부와 한 쌍의 회동편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과 한 쌍의 회동편의 사이에 손잡이 로킹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편은 구동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다각면 짝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pring between a pair of pivotal pieces of the support plate and a tilting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a knob lock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 and the pair of pivotal pieces. The pair of pivotal pieces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Wherein the drive shaft is configured to be paired with the driving shaf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로킹부는 상기 한 쌍의 회동편 중간에 각각 형성되는 간섭홈과;
상기 내측 도어손잡이부의 몸체부 일측에 구비되는 로킹버튼과;
상기 로킹버튼과 지지봉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과 한 쌍의 회동편 사이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회동편 중간에 형성된 간섭홈에 대응되는 간섭돌부를 갖는 스토퍼;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andle locking portion includes an interference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pivotal pieces;
A locking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inner door handle;
A stopper which is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by a support rod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 and the pair of pivotal pieces and has an interferenc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pivotal pieces;
And a handle for the full-type do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측에 간섭돌부를 가지며, 로킹버튼과 지지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킹버튼과 연동하는 가동블록과;
상기 가동블록을 상시 한 쌍의 회동편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볼플런저;
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볼플런저는 탄지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탄지스프링에 의해 상시 외측으로 탄력 지지되는 볼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블록은 외측면에 상기 볼플런저의 볼이 삽입되는 볼삽입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opper having an interference protrusion at one side thereof, the movable block being connected to the locking button by a supporting rod and interlocking with the locking button;
A ball plunger resiliently supporting the movable block at both sides of a pair of turning pieces at all times;
Respectively,
Wherein the ball plunger is formed of a ball having a tongue spring and resiliently supported outside at all times by the tongue spring, the movable block having a bal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ball of the ball plunger is inserted,
Further comprising: a gripping device for gripping the pull type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21658A 2012-11-14 2013-10-14 Pull type door handling device KR1015236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8805 2012-11-14
KR1020120128805 2012-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405A KR20140062405A (en) 2014-05-23
KR101523691B1 true KR101523691B1 (en) 2015-06-11

Family

ID=5089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658A KR101523691B1 (en) 2012-11-14 2013-10-14 Pull type door hand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6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461B1 (en) * 2023-01-09 2023-05-30 박인묵 Compression operating device and switchgear to which it is applied
KR102630193B1 (en) * 2023-09-21 2024-01-29 박인묵 Compression operating device and switchgear to which it is appli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201B1 (en) * 2018-09-13 2019-10-28 김진선 Pull type multi purpose door lo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28A (en) * 2003-08-11 2005-03-10 Sumori Kogyo Kk Automatic opening/closing door material
KR101059753B1 (en) * 2011-02-22 2011-08-29 최명락 Pull type door lock
KR200458458Y1 (en) * 2009-10-27 2012-02-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Grip type locking device of wind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28A (en) * 2003-08-11 2005-03-10 Sumori Kogyo Kk Automatic opening/closing door material
KR200458458Y1 (en) * 2009-10-27 2012-02-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Grip type locking device of window
KR101059753B1 (en) * 2011-02-22 2011-08-29 최명락 Pull type door 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461B1 (en) * 2023-01-09 2023-05-30 박인묵 Compression operating device and switchgear to which it is applied
KR102630193B1 (en) * 2023-09-21 2024-01-29 박인묵 Compression operating device and switchgear to which it is appli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405A (en)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691B1 (en) Pull type door handling device
KR101216733B1 (en) Grip type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EP3345552A1 (en) Natural channel-based microsurgical device
US20120198705A1 (en) Garden shears that avoid loosening of a shaft pin
JP6567092B2 (en) Ejection device for movable furniture parts
CN208402862U (en) The electric traction rope device of pet
KR101195842B1 (en)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JP3171048U (en) Opening device and door set provided with the device
JP4285564B2 (en) Hair removal equipment
KR101732674B1 (en) Door Lock Device with push-pull motion
CN109989629A (en) Promote the mortise of assemblability and operational stability
US20180080485A1 (en) Quick release connecting device
JP2021068882A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KR101850294B1 (en) Pull and pull all type door handling device
JP3197087U (en) Deformed doll
TWI320733B (en)
CN102729227B (en) Battery pack installation structure
TWI331764B (en)
TW201128046A (en) Simple type lock device and a handle device having such lock device
JP6626969B2 (en) Treatment tool
EP3635205B1 (en) Locking apparatus
JP7066260B2 (en) Sliding door assist device
KR102009521B1 (en) Push-pull door lock device
CN106401329A (en) Open-close structure and vehicle storage box
TWM351731U (en) Walking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