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223B1 -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 Google Patents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223B1
KR101522223B1 KR1020140013243A KR20140013243A KR101522223B1 KR 101522223 B1 KR101522223 B1 KR 101522223B1 KR 1020140013243 A KR1020140013243 A KR 1020140013243A KR 20140013243 A KR20140013243 A KR 20140013243A KR 101522223 B1 KR101522223 B1 KR 10152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state
flow
driv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옥
김영인
윤주현
김긍구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02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passages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Coolant flow control devices
    • G21C15/12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passages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Coolant flow control devices from pressure vessel; from containment vesse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재를 통과시키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냉각재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및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로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중 및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배관의 파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제2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AUTOMATIC BREAK FLOW STOPPAGE DEVICE AND NUCLEAR POWER 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재가 유동하는 배관의 파단에 의한 냉각재의 누출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체형원자로는 원자로냉각재펌프, 증기발생기 및 가압기 등의 주요기기를 원자로용기에 내재함으로써 상기 주요기기들을 연결하는 배관의 파단에 의한 대형냉각재상실사고를 근원적으로 배제시키고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방식의 원자로이다. 이러한 일체형원자로는 주요기기를 연결하는 대형배관은 없지만 안전주입 및 정지냉각 기능과 냉각재 수질 관리를 위한 소형 배관이 원자로용기에 연결된다. 이때, 원자로용기에 연결된 소형 배관의 파단에 의한 소형냉각재상실사고의 발생이 가능하며, 사고시 노심으로부터 발생되는 붕괴열을 제거하고 원자로용기의 건전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냉각재 보충을 수행하는 안전주입계통이 요구된다.
종래의 일체형원자로에서는 소형냉각재상실사고에 대처하기 위하여 원자로건물 내부에 구비되는 재장전수탱크로부터 물을 취수하여 안전주입펌프를 통해 원자로용기로 주입하였다. 그리고, 파단 배관의 직경이 작지만 장시간 지속적으로 원자로용기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고압의 안전주입펌프와 큰 용량을 갖는 재장전수탱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일체형원자로에서 원자로용기 외부에서 배관파단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고초기에 별도의 작동신호 또는 능동밸브의 도움 없이 파단유량을 중지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7843호(2013.12.18.)
본 발명은 배관의 파단에 따른 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배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재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는, 냉각재를 통과시키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냉각재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및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로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중 및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배관의 파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제2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과 상기 바디의 내벽의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재를 상기 연결배관으로 토출시키는 제1 유입로, 및 상기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냉각재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냉각재의 유입이 차단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부로 상기 냉각재가 유입되어 상기 구동부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 유입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압력이 인가되는 면적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압력이 인가되는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의해 덮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인가되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유입로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를 구비하는 원전을 제안한다.
상기 원전은, 냉각재가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원자로, 및 상기 원자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자로의 외부에 연결되는 배관의 파단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관으로의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는, 냉각재를 통과시키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냉각재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의 파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로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중 및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제2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원전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되 상기 원자로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격리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과도현상에 의해 구동부가 상기 제2 상태로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격리밸브가 격리되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배관 및 상기 바디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는 배관 파단이 발생하였을 경우, 배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변화에 따라 별도의 조작없이 피동적으로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냉각재 누출로 인한 사고를 조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에서, 구동부가 하강하여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에서, 구동부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부가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상태에서, 구동부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가 원자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가 원자로의 압력경계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된 원전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파단유량 자동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100)에서, 구동부(130)가 하강하여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100)에서, 구동부(130)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부(130)가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상태에서, 구동부(130)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100)가 원자로(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100)가 원자로(10)의 압력경계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100) 바디(110), 연결배관(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내부에 냉각재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재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를 통하여 상기 냉각재를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디(110)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이 아닌 다각형 또는 적어도 일부에 곡선을 포함하는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결배관(120)은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냉각재를 토출시키도록 바디(1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재는 바디(110)로 유입되기 전에 고압인 상태에서 바디(110)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면서 압력강하가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저압인 상태로 변환되며 유동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배관(120)은 도 1에서, 하나의 유로를 통하여 상기 냉각재를 토출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채널로 형성되는 유로를 통하여 상기 냉각재를 토출시킬 수도 있다.
구동부(130)는 하중 및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유로에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배관(120)의 파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구동부(130)에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바디(110)의 하부를 향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정상운전 중 구동부(130)는 자체 무게 및 압력 차이에 의해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를 유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상운전 중 상기 냉각재가 상기 유로를 통과하면서 압력강하가 발생하지만, 이때 발생되는 유량은 냉각재상실사고 발생했을 경우에 비하여 매우 작다. 따라서, 구동부(130)의 하부에 작용하는 힘은 구동부(130)의 상부에 작용하는 힘 및 구동부(130) 자체의 하중보다 크지 않아 구동부(130)를 바디(11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구동부(130)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식(1) P2
Figure 112014011493872-pat00001
A2 + m
Figure 112014011493872-pat00002
g > P1
Figure 112014011493872-pat00003
A1
여기서, P1은 바디(110)의 입구측 압력, P2는 바디(110)의 출구측 압력, A1은 구동부(130)의 하부 면적, A2는 구동부(130) 상부 면적, m은 구동부(130)의 질량 및 g는 중력가속도이다.
또한, 상기 제1 상태에서 구동부(130)의 상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구동부(130)의 상부에 압력이 인가되는 면적은, 구동부(130)의 하부에 압력이 인가되는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30)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바디(11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제2 상태로 이동되어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배관(120)에서 파단이 발생한 경우, 바디(110)의 하부에서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고압인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연결배관(120)의 파단 부위에서의 압력은 대기압 가까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바디(110)에 형성되는 냉각재 유로를 통한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임계유속 조건에 도달한다. 상기 임계유속 현상은 유로 전후단에 큰 압력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발생하는 유량이 상기 압력차이를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바디(110)의 상부는 바디(110)의 하부에 비해 매우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어 아래와 같은 조건의 식 만족되면 구동부(130)는 바디(110)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이동하여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한다.
식(2) P2
Figure 112014011493872-pat00004
A2 + m
Figure 112014011493872-pat00005
g < P1
Figure 112014011493872-pat00006
A1
여기서, 식(2)는 상기 냉각재의 유로에서 발생하는 상기 임계유속현상에 의해 P2가 매우 작은 값으로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전단압력 P1의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의 비율 A2/A1을 극복하고 구동부(130)의 하중 mg 보다 커지는 조건을 의미한다. 또한, 구동부(130)의 상단부는 꼭지점을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상기 제2 상태에서 연결배관(120)을 통한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연결배관(120)을 통한 소형냉각재상실사고를 사고발생 초기에 종결시키고, 사고 발생시 요구되는 안전주입유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바디(110)는, 브래킷(112), 제1 유입로(117) 및 제2 유입로(118)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112)은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구동부(13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구동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로(117)는 브래킷(112)과 바디(110)의 내벽의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바디(11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재를 연결배관(120)으로 토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제2 유입로(118) 구동부(130)에 작용하는 상기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냉각재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구동부(130)를 바디(110)의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유입로(118)는 브래킷(112)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구동부(130)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부로 상기 냉각재가 유입됨에 따라 구동부(130)가 바디(110)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유입로(117,118)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12) 제1 및 제2 스토퍼(114,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토퍼(114,115)는 상기 제1 상태에서 구동부(1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돌출된 구동부(130)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스토퍼(114)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냉각재가 상기 중공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스토퍼(114)를 관통하는 배출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로(116)는 상기 제2 상태에서 구동부(130)에 인가되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상태에서 구동부(130)에 의해 덮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3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배출로(116)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냉각재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연결배관(120)을 밀폐시켜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돌출부(132)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상태에서 구동부(130)에 인가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32)는 구동부(13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 유입로(118)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냉각재에 의해 구동부(130)가 압력을 받는 면적 A1은, 상기 제2 상태에서 구동부(130)가 상부로 이동하여 압력을 받는 면적 A1'으로 증가하여 구동부(130)의 구동력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10)의 압력경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바디(110)와 연결배관(120)은 플랜지(20)에 의해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된 원전(200,3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된 원전(200,3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전(200)은 원자로(210),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220)를 포함하고,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220)는 바디(222), 연결배관(224) 및 구동부(226)를 포함한다.
원자로(210)는 노심(미도시)를 구비하며, 상기 노심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키는 냉각재가 순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원전(200)은 격리밸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리밸브(230)는 연결배관(224)에 설치되되 원자로(210)의 외벽에 연결되게 배치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격리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만약, 바디(222), 연결배관(224) 및 구동부(226)로 이루어지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220)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 격리밸브(230)에 의해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방지하여 냉각재상실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원전(300)은 원자로(310),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320)를 포함하고,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320)는 바디(322), 연결배관(324), 구동부(326) 및 격리밸브(32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326)는 상부에 관통홀(328)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328)은, 원자로(310) 내부에서 발생되는 과도현상에 의해 구동부(326)가 상기 제2 상태로 이동되었을 경우, 격리밸브(330)가 격리되면 구동부(326)를 상기 제1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연결배관(324) 및 바디(322)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328)은 연결배관(324)의 파단시 유량 손실이 크지 않도록 2mm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100,220,320)는, 상기 냉각재가 원자로(10,210,310) 외부로 배츌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원자로(10,210,31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됨은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비교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수준에서 변형, 부가, 삭제, 치환 가능한 발명 등 모든 균등한 수준의 발명에 대하여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110 : 바디
120 : 연결배관 130 : 구동부

Claims (9)

  1. 냉각재를 통과시키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냉각재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및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로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중 및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배관의 파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제2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과 상기 바디의 내벽의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냉각재를 상기 연결배관으로 토출시키는 제1 유입로; 및
    상기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냉각재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냉각재의 유입이 차단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부로 상기 냉각재가 유입되어 상기 구동부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 유입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압력이 인가되는 면적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압력이 인가되는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의해 덮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인가되는 힘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유입로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7. 냉각재가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원자로;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격리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리밸브; 및
    상기 원자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자로의 외부에 연결되는 배관의 파단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관으로의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는,
    냉각재를 통과시키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냉각재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의 파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기 냉각재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로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중 및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압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제2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냉각재의 유동을 차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밸브는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되 상기 원자로에 연결되고,
    상기 원자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과도현상에 의해 구동부가 상기 제2 상태로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격리밸브가 격리되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배관 및 상기 바디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8. 삭제
  9. 삭제
KR1020140013243A 2014-02-05 2014-02-05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52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43A KR101522223B1 (ko) 2014-02-05 2014-02-05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43A KR101522223B1 (ko) 2014-02-05 2014-02-05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223B1 true KR101522223B1 (ko) 2015-05-26

Family

ID=5339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243A KR101522223B1 (ko) 2014-02-05 2014-02-05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2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266B1 (ko) * 2018-07-26 2019-10-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냉각재 순환펌프(rcp)의 피동형 밀봉 누설 차단 장치
WO2022191375A1 (ko) * 2021-03-10 2022-09-15 한국원자력연구원 일체형 원자로의 비상노심냉각계통 밸브
US11646124B2 (en) 2017-09-20 2023-05-09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revention device for LOCA and nuclear reactor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843A (ko) * 2012-06-08 2013-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843A (ko) * 2012-06-08 2013-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6124B2 (en) 2017-09-20 2023-05-09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revention device for LOCA and nuclear reactor having the same
KR102039266B1 (ko) * 2018-07-26 2019-10-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냉각재 순환펌프(rcp)의 피동형 밀봉 누설 차단 장치
WO2022191375A1 (ko) * 2021-03-10 2022-09-15 한국원자력연구원 일체형 원자로의 비상노심냉각계통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836B1 (ko) 분리형 안전주입탱크
KR101522223B1 (ko) 파단유량 자동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0957052B1 (ko) 노심배럴 주입연장덕트를 구비한 안전주입계통
US10672524B2 (en) Passive integral isolation valve
KR20100072375A (ko) 핵 반응기용 피동식 비상 급수 시스템
KR101543261B1 (ko) 파단유량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N104143361A (zh) 无源安全壳喷淋系统
KR101434532B1 (ko) 안전주입탱크를 이용한 피동안전주입계통
JP2010261927A (ja) 原子炉の非常用炉心冷却水注入用冷却ダクト
RU2666346C2 (ru) Пассивная система снижения давления для емкостей под давлением в ядерных реакторах
KR101020785B1 (ko) 원자로용 비상노심냉각수 안전주입탱크
KR101925703B1 (ko) 연결 배관 충수 방법
KR102021867B1 (ko) 냉각재상실사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자로
KR101508176B1 (ko) 개방형 연구로 노심 잔열 제거 장치
CN101326353A (zh) 用于消除刚性流体系统中瞬间压力峰值的装置
US9478321B2 (en) Method for filling water into a main circuit of a nuclear rea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090100529A (ko) 안전주입탱크
JP2015203565A (ja) 静的原子炉格納容器冷却系および原子力発電プラント
KR100810964B1 (ko) 원자로 플랜트
KR101456575B1 (ko) 내장형 붕산주입 시스템
KR20050009401A (ko) 피동형 유량조절기구용 기체 누출 방지장치를 구비한차세대 안전주입탱크
JP2004239817A (ja) 格納容器圧力抑制系
KR101205630B1 (ko) 파열판과 밀봉판을 이용한 원자로 용기 외벽 냉각 시스템
KR20180127934A (ko) 수소 냉각 발전기의 다중 모드 수소 방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744669B1 (ko) Rcp를 이용한 원자로 하부설치 이차정지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