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972B1 -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972B1
KR101521972B1 KR1020140101961A KR20140101961A KR101521972B1 KR 101521972 B1 KR101521972 B1 KR 101521972B1 KR 1020140101961 A KR1020140101961 A KR 1020140101961A KR 20140101961 A KR20140101961 A KR 20140101961A KR 101521972 B1 KR101521972 B1 KR 10152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user
group
social media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현
Original Assignee
강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현 filed Critical 강용현
Priority to KR102014010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972B1/ko
Priority to PCT/KR2014/011150 priority patent/WO20160217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사용자를 상기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함으로써, 사회적 집단이 명시적으로 표시되므로 정보의 질을 높게 유지시키면서도 사용자 개인의 익명성이 보장되어 정보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고취시키고, 사회적 집단 사이에 네트워크가 형성되므로 타깃 집단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인맥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다른 사회적 집단에 대한 궁금증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부정 등록 신고를 입력받음으로써, 집단의 구성원으로 사칭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SOCIAL MEDIA SYSTEM WITH SOCIAL GROUP}
본 발명은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는 의견, 생각,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툴과 플랫폼을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지 보드, 팟 캐스트, 위키,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등이 소셜 미디어의 대표적인 구현 형태이다.
특히, 웹 2.0시대가 도래하며 기존의 개인 기반에 제공되었던 사회적 미디어 서비스는 다수의 지식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 Web 1.0 시대의 미디어 서비스에서 참여, 공유, 개방의 정신이 강화되는 Web 2.0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미디어 서비스는 장소/사회적 관계 기반 소셜 미디어 서비스로 진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셜 미디어는 개인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져, 개인이 지나치게 노출되고, 이와 같은 지나친 노출로 인해 의견을 개진하고 공유하는 데에 부담이 있었다. 또한, 개인과 개인 사이에 네트워크가 형성되므로 인맥을 넓히는 데에 한계가 있고, 특정 학교에 다니거나 원하는 직업을 갖는 다른 사용자를 쉽게 만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1-0071790호, 공개특허 제10-2010-0068796호, 공개특허 제10-2011-0085829호 등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각종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함으로써, 사회적 집단이 명시적으로 표시되므로 정보의 질을 높게 유지시키면서도 사용자 개인의 익명성이 보장되어 정보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고취시키고, 사회적 집단 사이에 네트워크가 형성되므로 타깃 집단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인맥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다른 사회적 집단에 대한 궁금증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부정 등록 신고를 입력받음으로써, 집단의 구성원으로 사칭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은,
정보의 게시, 열람 및 공유 서비스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사용자를 상기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셜 미디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 및 관리하며, 추가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회원 관리 모듈; 및
상기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저장된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는 서비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해진 구조는,
연도, 학교, 학년 및 반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연도, 직업, 지역 및 생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이용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부정 등록 신고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보를 게시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정보의 게시자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게시된 정보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임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집단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카테고리를 제공하며,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게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함으로써, 사회적 집단이 명시적으로 표시되므로 정보의 질을 높게 유지시키면서도 사용자 개인의 익명성이 보장되어 정보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고취시키고, 사회적 집단 사이에 네트워크가 형성되므로 타깃 집단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인맥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다른 사회적 집단에 대한 궁금증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부정 등록 신고를 입력받음으로써, 집단의 구성원으로 사칭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입력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사용하는 사용자 리스트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이 정보의 게시, 열람 및 공유 서비스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여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은, 정보의 게시, 열람 및 공유 서비스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는 온라인상에서 정보를 매개로 참여가 가능한 도구와 프로그램을 지칭하고,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개인으로서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대표되어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소셜 미디어에서는, 개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사이에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온라인에서 인맥을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해 왔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는 일종의 1인 미디어로서, 개인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어 진정성을 나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사회적 집단에 속하게 되는데, 학교, 직장 또는 직업, 지역 등이 바로 사회적 집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집단에 대한 사용자의 소속감을 높이고, 다른 사회적 집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입력하고,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각종 정보를 게시, 열람 및 공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이용해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은, 회원 관리 모듈(110) 및 서비스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 관리 모듈(110)은,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 및 관리하며, 추가 입력되는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은 미리 정해진 구조로 설정되어, 동일한 사회적 집단이라면 누구나 동일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회적 집단은 온라인상에서 생성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실제 생활을 하면서 속하게 되는 학교나 직장과 같은 집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구조는, 연도, 학교, 학년 및 반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연도, 직업, 지역 및 생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경우 연도, 학교, 학년 및 반으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구성하여, “2014경기중학교1학년1반”, “2014경기고등학교1학년1반”, “2014서울대학교경영학과14학번” 등과 같은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인의 경우에는, 연도, 직업 또는 직장, 지역 및 생년으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구성하여, “2014변리사서울1973년생”, “2014삼성전자서울1990년생” 등과 같은 형태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업 부분은 통계청에 명시된 한국표준직업분류로부터 작성되도록 검색 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업명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재수생이나 취업준비생의 경우에는, 연도, 학원이나 지역 등으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사회적 집단의 명칭에 국가명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입력하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의 소속 구분이 학생인 경우, 학교, 학년 및 반으로 구성되는 구조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는, 미리 정해진 구조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의 사회적 집단에 속해 있을 수도 있으므로, 회원 관리 모듈(110)이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은 복수일 수 있다.
한편, 회원 관리 모듈(110)은,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저장하고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는 추후 상세히 설명할 서비스 모듈(120)에서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 모듈(110)은, 추가 입력되는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경우 매년 소속된 사회적 집단이 변경될 수 있는데, 회원 관리 모듈(11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의해 사회적 집단의 명칭이 추가되면, 기존의 사회적 집단을 삭제하지 않고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사회적 집단 사이의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는, 사회적 집단을 추가할 수 있고, 사회적 집단에 소속된 기간에 따라 사회적 집단의 명칭이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20)은,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되, 사용자를 저장된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모듈(120)은 각종 정보를 게시, 열람, 공유 등을 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의 공간을 제공하여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정보를 작성하거나 공유를 하면 정보의 작성자로서 사용자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가 정보를 등가속도운동에 대한 정보를 작성하면, 작성자로서 “2013경기고등학교2학년4반”으로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사회적 집단에 방문하여 정보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2013경기고등학교2학년4반이 2013은광여자고등학교2학년2반에 남긴 글입니다.”와 같이, 개별 사용자는 드러나지 않고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 명칭이 작성자로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 글에 댓글, 대댓글, 답글(글 추가), 전달, 좋아요(good)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이용할 때에도, “2013경기고등학교2학년2반 good: 3명” 등과 같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자체가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회원 관리 모듈(1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이 복수인 경우, 메인 집단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보를 작성하거나 공유하는 등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때에는, 설정된 메인 집단으로 표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메인 집단을 변경하거나 기능을 수행할 때마다 사회적 집단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함으로써, 정보의 작성자가 명시적으로 표시되면서도 구체적인 개인의 익명성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은, 작성된 정보를 누구나 확인 가능하도록 개방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다른 사회적 집단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시키고 능동적인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개인의 사생활은 보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오프라인의 사회적 집단이 온라인 활동을 하고자 할 때, 주로 온라인 카페나 커뮤니티 등의 형태로 활동을 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온라인 카페나 커뮤니티는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글을 작성하는 개인이 드러나게 되므로, 활발한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온라인 카페나 커뮤니티의 개설과 구성원의 가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별도의 운영자가 필요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 따르면, 개방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면서도 개개인의 익명성이 보장되고, 별도의 개설 과정이나 운영자가 불필요하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이 이미 존재하는 것이면, 그대로 사용하면서 해당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작성한 정보를 함께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이 존재하지 않는 최초로 입력된 것이면, 해당 사용자는 자동으로 해당 사회적 집단의 최초의 구성원이 되어 입력한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활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쉽고 편리하게 친목을 도모하고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다른 사회적 집단과 인맥을 쌓거나 타깃 광고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사회적 집단에 방문하여 정보를 작성하거나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으므로, 활발한 지식 쉐어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원하는 인맥을 적극적으로 구축해나갈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모듈(120)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집단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카테고리를 제공하며, 정보를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게시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모듈(120)은 스터디와 라이프로 대분류를 나누고, 스터디에서 이론, 문제, 필기, 과제, 시험, 공부법, 스터디미팅 등으로 중분류를 나누며, 다시 이론에서 국어, 영어, 수학I, 수학Ⅱ, 물리I, 물리Ⅱ 등 소분류를 나누어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는, 사회적 집단의 전체 페이지를 관리하는 운영자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마다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면 사회적 집단의 명칭에 따라 정보가 관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모듈(120)이 자동으로 복수의 카테고리를 제공함으로써, 입력되는 정보가 자동으로 분류되어 저장 및 게시되도록 하여, 운영자 없이도 체계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카테고리를 추가 생성할 수도 있다. 서비스 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카테고리 목록에 추가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고리를 이용해, 사용자는 주제별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카테고리 선택 시 해당 사회적 집단에서 게시된 해당 카테고리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카테고리 선택 시 사회적 집단에 관계없이 해당 카테고리로 분류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모듈(120)은, 사용자와 동일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이용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부정 등록 신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사회적 집단에 속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신고 가능하도록 하여, 사회적 집단의 구성원으로 사칭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사용하는 사용자 리스트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에서는,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선택하고 “튜트 보기”를 선택하면, 해당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사용하는 사용자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리스트에서 “2013경기고등학교2학년4반”의 소속이 아닌 사용자가 발견되는 경우, 사용자는 부정 등록 신고를 할 수 있다.
부정 등록 신고를 받은 서비스 모듈(120)은, 부정 등록한 것으로 신고 된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확인을 요청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의 부정 등록 신고가 접수된 경우에는 해당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사용할 수 없도록 강제로 조치를 취하거나 강제 탈퇴 처리를 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모듈(120)은, 사용자 상호 간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를 게시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가 정보의 게시자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면,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되 게시된 정보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3경기고등학교2학년4반”이 작성한 등가속도운동에 대한 글에서, 작성자를 선택하고 “쪽지 보내기”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면, 메시지는 “2013경기고등학교2학년4반”의 구성원 모두에게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등가속도운동에 대한 글을 실제 작성한 작성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정보 작성자가 누구인지 모르더라도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정보 작성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는 상대방이 개인으로서의 사용자를 알고 보낸 메시지인지, 사회적 집단의 명칭만을 알고 보낸 메시지인지에 따라 대응 방법이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모듈(120)이 게시된 정보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임을 표시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개인을 알고 보낸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시스템
110: 회원 관리 모듈 120: 서비스 모듈
200: 사용자 디바이스

Claims (7)

  1. 정보의 게시, 열람 및 공유 서비스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으로서,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사용자를 상기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며,
    상기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 및 관리하며, 추가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회원 관리 모듈(110); 및
    상기 사회적 집단을 기준으로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회적 집단에 속하는 다른 사용자를 상기 저장된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는 서비스 모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구조는,
    연도, 학교, 학년 및 반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연도, 직업, 지역 및 생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사회적 집단의 명칭을 이용하는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부정 등록 신고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6. 제1항에 있어서,
    정보를 게시한 사용자를 사회적 집단의 명칭으로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정보의 게시자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게시된 정보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집단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카테고리를 제공하며,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100).
KR1020140101961A 2014-08-07 2014-08-07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KR10152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61A KR101521972B1 (ko) 2014-08-07 2014-08-07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PCT/KR2014/011150 WO2016021774A1 (ko) 2014-08-07 2014-11-19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961A KR101521972B1 (ko) 2014-08-07 2014-08-07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972B1 true KR101521972B1 (ko) 2015-05-21

Family

ID=5339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961A KR101521972B1 (ko) 2014-08-07 2014-08-07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1972B1 (ko)
WO (1) WO201602177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586A (ko) * 2011-05-13 2012-12-24 한국과학기술원 집단지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006063A (ko) * 2011-04-25 2014-01-15 알까뗄 루슨트 추천 서비스들에서 사생활 보호
KR20140047695A (ko) * 2011-07-10 2014-04-22 페이스북, 인크.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연결관계들의 클러스터링
KR20140095609A (ko) * 2013-01-23 2014-08-04 재단법인 게놈연구재단 제노타입 기반 에스엔에스를 이용한 그루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063A (ko) * 2011-04-25 2014-01-15 알까뗄 루슨트 추천 서비스들에서 사생활 보호
KR20120137586A (ko) * 2011-05-13 2012-12-24 한국과학기술원 집단지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047695A (ko) * 2011-07-10 2014-04-22 페이스북, 인크.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연결관계들의 클러스터링
KR20140095609A (ko) * 2013-01-23 2014-08-04 재단법인 게놈연구재단 제노타입 기반 에스엔에스를 이용한 그루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774A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Digital media activities and mode of participation in a protest campaign: A study of the Umbrella Movement
Nicholas et al. Early career researchers: Scholarly behaviour and the prospect of change
Gaddis et al. Arab American housing discrimination, ethnic competition, and the contact hypothesis
Theocharis et al. Using Twitter to mobilize protest action: online mobilization patterns and action repertoires in the Occupy Wall Street, Indignados, and Aganaktismenoi movements
Wang et al. Weibo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echanism explaining the positive effect of Weibo use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contemporary China
Tinati et al. Big data: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approaches for sociological analysis
Saldaña et al. Sharing the stage: Analysis of social media adoption by Latin American journalists
Deprez et al. About pseudo quarrels and trustworthiness: A multi-method study of health journalism, sourcing practices and Twitter
Bhardwaj et al. Impact of social networking on Indian youth-A survey
Lomicky et al.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protest: An examination of social movement activities at Gallaudet, a university for the deaf
Schroeter et al. Discussions in space
Stopczynski et al. How physical proximity shapes complex social networks
DE112018004737T5 (de) Anonymisierungs-overlay-netzwerk für die deidentifizierung von proximity-ereignisdaten
Chadha et al. The writing is on the wall, or is it? Exploring Indian activists’ beliefs about online social media’s potential for social change
Stephens et al. Increasing evacuation communication through ICTs: An agent-based model demonstrating evacuation practices and the resulting traffic congestion in the rush to the road
Harrison Virtual shop fronts: The internet, social media, and Caribbean Civil Society Organisations
Selvarajah et al. Social media as a new trend in Sri Lankan digital journalism: A surveillance
Pereira et al. E-Participation: Social media and the public space
Kar Citizen science in risk communication in the era of ICT
Holmberg et al. Twitter campaigns around the fifth IPCC report: Campaign spreading, shared hashtags, and separate communities
Alssbaiheen et al. Exploring the Challenges Of M‑Government Adoption in Saudi Arab ia
Hopke et al. Mobile phon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Colombia: Mobile Twitter versus mobile Facebook
Torres-Soriano Barriers to entry to Jihadist activism on the Internet
Fenoll et al. El uso de Twitter de los medios de comunicación españoles en periodo electoral
Hudson et al. Value of social media in reaching and engaging employers in Total Worker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