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235B1 -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235B1
KR101521235B1 KR1020140137434A KR20140137434A KR101521235B1 KR 101521235 B1 KR101521235 B1 KR 101521235B1 KR 1020140137434 A KR1020140137434 A KR 1020140137434A KR 20140137434 A KR20140137434 A KR 20140137434A KR 101521235 B1 KR101521235 B1 KR 101521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hollow
support unit
blo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티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티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티케어
Priority to KR102014013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235B1/ko
Priority to PCT/KR2015/000808 priority patent/WO20151157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175Adjustment of penetration depth
    • A61B5/15019Depth adjustment mechanism using movable stops located inside the piercing device housing and limiting the travel of the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는, 전방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중공이 형성된 전방케이스와, 내부에 제2 중공이 형성된 후방케이스가 결합된 몸체부와, 제2 중공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단에 채혈을 위한 란셋을 포함하는 란셋 구동부와, 제1 중공에 란셋 구동부와 맞닿은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란셋의 채혈 깊이를 조절하는 란셋 조절부를 포함하며, 란셋 조절부는, 전방케이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란셋 구동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가압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란셋의 채혈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전면이 출입구를 통해 전방케이스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가압부의 내주면 및 조절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복수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며,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복수의 결합홈에 맞물리는 위치가 이동되면서 조절부는 가압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혈기{Blood lancet device}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혈 단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맞물리도록 할 때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하여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상시 균일한 채혈 깊이를 유지할 수 있는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환자의 혈당측정 또는 환자의 각종 혈액 검사를 위해 소량의 혈액을 채취할 때, 란셋(lancet)을 사용한다.
란셋은 전방에 환자의 피부로 침투할 수 있는 채혈침이 장착되어 있는 소형의 몸체를 구비하는 기구이며 채혈기에 장착하여 장전 및 격발함으로써 환자의 피부로 침투시켜 혈액을 채취한다.
채혈기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란셋이 장착되는 란셋홀더(lancet holder), 란셋을 덮고 피부관통을 위해 침의 첨부만이 돌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엔드캡(end cap) 및 피부관통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격발기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채혈기는 우선 채혈기로부터 엔드캡을 분리시킨 후 란셋홀더에 란셋을 장착하고 엔드캡을 덮고 외부 장전장치를 사용해 격발을 위한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손가락 등 모세혈관이 많은 부위에 밀착시킨 후 격발용 스위치를 가압하여 란셋을 격발시켜 피부를 관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채혈기는 채혈침의 피부 침투 깊이가 일률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작, 판매되고 있으나 사람마다 피부 두께가 다르고 또한 채취하는 부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 침투 깊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기존의 채혈기는 신체 부위 및 시술 방식에 따라 채혈침의 침투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대부분 나사산 경로를 가이드로 하여 각각의 채혈 단계를 조절하고 있으나,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조립시 유격이 발생되므로 설정한 채혈 단계 위치가 유지되지 못하여 채혈침의 침투 깊이가 수시로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채혈 단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맞물리도록 할 때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하여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상시 균일한 채혈 깊이를 유지할 수 있는 채혈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채혈 단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맞물리도록 할 때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하여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상시 균일한 채혈 깊이를 유지할 수 있는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는, 전방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중공이 형성된 전방케이스와, 내부에 제2 중공이 형성된 후방케이스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제2 중공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단에 채혈을 위한 란셋을 포함하는 란셋 구동부와, 상기 제1 중공에 상기 란셋 구동부와 맞닿은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란셋의 채혈 깊이를 조절하는 란셋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란셋 조절부는, 상기 전방케이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란셋 구동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란셋의 채혈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전면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내주면 및 상기 조절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상기 복수의 결합홈에 맞물리는 위치가 이동되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란셋 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상기 복수의 결합홈에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방케이스의 내주면 및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후방케이스는 내주면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란셋 구동부는, 전단부가 상기 가압부의 후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내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슬라이딩바디와,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중공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단부에 채혈을 위한 상기 란셋이 장착되고, 상기 후방케이스의 내주면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의 제1 걸림부재 및 제2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란셋지지유닛과, 상기 란셋지지유닛과 상기 후방케이스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상기 후방케이스에 대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하는 격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부재가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걸림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딩바디에 의해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향해 회동되어 상기 제1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1 걸림부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제2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란셋지지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제2 걸림턱에 의해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향해 회동되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2 걸림부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란셋지지유닛이 상기 격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란셋의 채혈침은 상기 조절부의 관통홀을 통해 피부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중공 내주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란셋지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상기 란셋지지유닛의 전후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내부 중공은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간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된 제2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란셋 구동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턱의 사이에서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란셋지지유닛의 격발시 격발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에 따르면, 채혈 단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맞물리도록 할 때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하여 가공 및 조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상시 균일한 채혈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에 따르면, 조절부를 회전시켜 채혈침의 침투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유아 및 피부가 얇은 사람에게는 채혈침의 침투 깊이를 줄여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고 피부가 두꺼운 사람에게는 채혈침이 깊이 침투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에 따르면, 채혈기를 환자의 채혈위치에 밀착 및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채혈을 위한 란셋이 자동으로 장전 및 격발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며 란셋의 장전 및 격발의 조작 과정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에 따르면, 기존의 란셋을 분리시키고 새로운 란셋을 조립할 때, 란셋이 장착되는 란셋지지유닛의 전후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란셋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채혈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채혈기에서 란셋 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채혈기에서 조절부가 가압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채혈기에서 조절부가 가압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채혈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채혈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는 몸체부(100), 란셋 구동부(200), 란셋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전방케이스(110)와 후방케이스(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케이스(110)는 후술할 조절부(320)가 출입 가능하도록 출입구(111)가 전방에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 중공(112)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20)는 전방케이스(110)에 결합되고, 후술할 슬라이딩바디(210) 및 란셋지지유닛(2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제2 중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케이스(120)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걸림턱(122) 및 제2 걸림턱(12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디(130)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후방부의 외경이 후방케이스(120)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후방케이스(120)의 제2 중공(1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바디(130)는 후술할 슬라이딩바디(21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디(130)의 중공은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슬라이딩홀(131)과, 제1 슬라이딩홀(13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슬라이딩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딩홀(131)은 제2 슬라이딩홀(132)에 비해 내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130)의 전방부는 전방케이스(110)의 제1 중공(1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중공(112)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돌출링(133)이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고정바디(130)가 후방케이스(120)에 끼움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고정바디(130)와 후방케이스(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란셋 구동부(200)는 후방케이스(120)의 제2 중공(12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단에 채혈을 위한 란셋(10)을 포함할 수 있다. 란셋 구동부(200)는 슬라이딩바디(210), 란셋지지유닛(220), 격발 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디(210)는 전단부가 후술할 가압부(310)의 후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디(210)의 내부 중공은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211)과, 제1 구간(211)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지지턱(213)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구간(211)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된 제2 구간(2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턱(213)은 후술할 완충스프링(240)의 전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바디(210)는 고정바디(13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디(210)의 전방부 외경은 제1 슬라이딩홀(131)에 대응되고, 후방부 외경은 제2 슬라이딩홀(1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바디(210)는 제2 슬라이딩홀(132)에 대응하는 후방부가 제1 슬라이딩홀(131)을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바디(210)는 내면에 걸림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14)은 후술할 란셋지지유닛(220)의 제2 걸림부재(223)가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바디(210)는 제2 구간(212)의 내주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215)은 후술할 란셋지지유닛(220)의 돌출부(221)가 가이드될 수 있다.
란셋지지유닛(220)은 슬라이딩바디(210)의 중공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단부에 채혈을 위한 란셋(10)이 장착될 수 있다. 란셋지지유닛(220)는 슬라이딩바디(21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1)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215)을 따라 진행하면서 란셋지지유닛(220)의 전후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돌출부(221)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215) 및 돌출부(221)의 구조, 형상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란셋지지유닛(220)은 후방케이스(120)의 내주면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의 제1 걸림부재(222) 및 제2 걸림부재(223), 후방에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격발 스프링(230)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222)는 돌출부(22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222)의 형상은 후방을 향해 연장될수록 후방케이스(120)의 내주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후방케이스(120)의 내주면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선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222)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 돌출부(221)와 연결되는 전단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란셋지지유닛(220)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재(222)는 후방케이스(120)의 제1 걸림턱(122)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22a)가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란셋(10)을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란셋(10)을 란셋지지유닛(220)에 조립할 때, 걸림돌기(222a)가 제1 걸림턱(122)에 걸리므로 조립시 란셋지지유닛(220)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223)는 스프링지지돌기(224)로부터 돌출부(221)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223)는 전방을 향해 연장될수록 후방케이스(120)의 내주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223)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 스프링지지돌기(224)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중심으로 전단부가 란셋지지유닛(220)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223)의 전단부는 슬라이딩바디(210)의 걸림홈(214)에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바디(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란셋지지유닛(220)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란셋(10)을 교체하기 위해 기존의 란셋(10)을 란셋지지유닛(22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란셋지지유닛(220)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격발 스프링(230)은 후방케이스(120)의 제2 중공(121)으로 인입되어 후단부가 후방케이스(120)에 의해 지지되고, 전단부가 란셋지지유닛(220)의 스프링지지돌기(224)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란셋지지유닛(220)이 후방케이스(120)에 대하여 전방으로 격발되도록 탄력지지할 수 있다.
완충 스프링(240)는 돌출부(221)와 지지턱(213)의 사이에서 란셋지지유닛(220)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란셋지지유닛(220)의 격발시 격발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의 구조에 의한 란셋 구동부(200)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채혈 단계를 조절한 후, 사용자가 채혈을 위해 후술할 조절부(320)의 전면을 환자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후방케이스(120) 또는 전방케이스(110)를 잡고 누르면 조절부(320)와 결합된 후술할 가압부(310)가 전방케이스(1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바디(210)를 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1 걸림부재(222)의 걸림돌기(222a)가 제1 걸림턱(122)에 걸린 상태에서 채혈을 위한 가압이 이루어지면, 제1 걸림부재(222)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바디(210)에 의해 란셋지지유닛(220)을 향해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걸림부재(222)는 제1 걸림턱(1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22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후, 제2 걸림부재(223)가 걸림홈(214)에 걸린 상태에서 란셋지지유닛(2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2 걸림부재(223)는 제2걸림턱(123)에 의해 란셋지지유닛(220)을 향해 회동되면서 순간적으로 걸림홈(21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란셋지지유닛(220)은 슬라이딩부재(210)와 분리되면서 격발 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격발될 수 있다. 란셋(10)의 채혈침은 란셋지지유닛(220)의 격발에 의해 순간적으로 조절부(320)의 관통홀(321)을 통해 채혈 위치의 피부로 침투될 수 있다. 이때 완충 스프링(240)은 격발 스프링(230)에 의한 탄성력으로 란셋지지유닛(220)이 전방으로 격발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에서 란셋 조절부(30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채혈기에서 란셋 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란셋 조절부(300)는 전방케이스(110)의 제1 중공(112)에 란셋 구동부(200)와 맞닿은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란셋(10)의 채혈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란셋 조절부(300)는 가압부(310), 조절부(320),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310)는 전방케이스(1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란셋 구동부(200)를 가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10)는 후술할 탄성부재(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30)의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탄성지지면(3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케이스(110)의 내주면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가압부(310)의 외주면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미도시)에 대응하여 가압부(3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310)가 전방케이스(110)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미도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압부(310)와 전방케이스(110)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방케이스(110) 및 가압부(310)의 변형 예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미도시)이 가압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311)가 전방케이스(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절부(320)는 가압부(3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란셋(10)의 채혈침이 관통하는 관통홀(321)이 형성된 전면이 출입구(111)를 통해 전방케이스(11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320)는 후술할 탄성부재(330)가 걸리도록 후단부에 탄성부재걸림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10)의 내주면은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312)이 형성되고, 조절부(320)의 외주면은 복수의 결합홈(312)과 대응되는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320)가 회전되면,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에 맞물리는 위치가 이동되면서 조절부(320)는 가압부(3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란셋 조절부(300)의 구조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란셋 조절부(300)의 변형 예로, 복수의 결합홈(312)이 조절부(32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가압부(3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조절부(320)를 회전시키면,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에 맞물리는 위치가 이동되면서 조절부(320)는 가압부(3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330)는 가압부(310)와 조절부(320)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에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330)는 가압부(310)의 삽입홈(313)에 삽입되어 전단부가 가압부(310)의 탄성지지면(314)에 접하고 후단부가 조절부(320)의 탄성부재걸림돌기(323)에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조절부(320)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에 맞물리는 위치가 이동되면서 조절부(320)가 가압부(31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 압축 또는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에서 란셋 조절부(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채혈기에서 조절부가 가압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채혈기에서 조절부가 가압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의 특정 위치에 맞물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혈 단계를 낮추기 위해 란셋(10)의 노출 길이를 줄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결합홈(312)의 특정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사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맞물리도록 조절부(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는 복수의 결합홈(312)의 특정 위치로부터 이탈되고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사위치에 있는 복수의 결합홈(312)으로 이동하여 맞물리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사위치로 이동되면서 조절부(320)가 가압부(31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란셋(10)의 노출 길이가 줄어든다. 따라서 란셋(10)의 채혈침이 피부에 침투되는 길이가 짧아지고 채혈 단계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30)는 전단부가 가압부(310)의 탄성지지면(314)에 접하고 후단부가 조절부(320)의 탄성부재걸림돌기(323)에 걸린 상태이므로 조절부(32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록 압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에 맞물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혈 단계를 높이기 위해 란셋(10)의 노출 길이를 늘리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맞물리도록 조절부(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는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탈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홈(312)의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경사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5에서 압축되었던 탄성부재(330)가 복원되면서 조절부(320)는 가압부(3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란셋(10)의 노출 길이가 늘어난다. 따라서 란셋(10)의 채혈침이 피부에 침투되는 길이가 길어지고 채혈 단계가 높아지게 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방케이스(110)의 외주면 또는 조절부(320)의 외주면은 조절부(320)를 회전시켜 채혈 단계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숫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부(320)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322)가 복수의 결합홈(312)에 맞물리는 위치가 이동되면서 조절부(320)는 가압부(3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가압부(310)와 조절부(320) 사이에 탄성부재(330)가 설치되어 가공 및 조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이 제거됨으로써 상시 균일한 채혈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채혈기 10: 란셋
100: 몸체부 110: 전방케이스
111: 출입구 112 : 제1 중공
120: 후방케이스 121: 제2 중공
122: 제1 걸림턱 123: 제2 걸림턱
130: 고정바디 131: 제1 슬라이딩홀
132: 제2 슬라이딩홀 133: 돌출링
200: 란셋 구동부 210: 슬라이딩바디
211: 제1 구간 212: 제2 구간
213: 지지턱 214: 걸림홈
215: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 220: 란셋지지유닛
221: 돌출부 222: 제1 걸림부재
222a: 걸림돌기 223: 제2 걸림부재
224: 스프링지지돌기 230: 격발 스프링
240: 완충 스프링 300: 란셋 조절부
310: 가압부 311: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
312: 복수의 결합홈 313: 삽입홈
314: 탄성지지면 320: 조절부
321: 관통홀 322: 적어도 하나의 돌기
323: 탄성부재걸림돌기 330: 탄성부재

Claims (6)

  1. 전방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중공이 형성된 전방케이스와, 내부에 제2 중공이 형성된 후방케이스가 결합된 몸체부;
    상기 제2 중공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단에 채혈을 위한 란셋을 포함하는 란셋 구동부; 및
    상기 제1 중공에 상기 란셋 구동부와 맞닿은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란셋의 채혈 깊이를 조절하는 란셋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란셋 조절부는,
    상기 전방케이스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란셋 구동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란셋의 채혈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전면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조절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내주면 및 상기 조절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상기 복수의 결합홈에 맞물리는 위치가 이동되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상기 복수의 결합홈에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후방케이스는 내주면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란셋 구동부는,
    전단부가 상기 가압부의 후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내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슬라이딩바디;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중공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단부에 채혈을 위한 상기 란셋이 장착되고, 상기 후방케이스의 내주면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의 제1 걸림부재 및 제2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란셋지지유닛; 및
    상기 란셋지지유닛과 상기 후방케이스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상기 후방케이스에 대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하는 격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부재가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걸림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딩바디에 의해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향해 회동되어 상기 제1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1 걸림부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제2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란셋지지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제2 걸림턱에 의해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향해 회동되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2 걸림부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란셋지지유닛이 상기 격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란셋의 채혈침은 상기 조절부의 관통홀을 통해 피부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케이스의 내주면 및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중공 내주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란셋지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상기 란셋지지유닛의 전후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내부 중공은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간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된 제2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란셋 구동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턱의 사이에서 상기 란셋지지유닛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란셋지지유닛의 격발시 격발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KR1020140137434A 2014-01-29 2014-10-13 채혈기 KR101521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34A KR101521235B1 (ko) 2014-10-13 2014-10-13 채혈기
PCT/KR2015/000808 WO2015115765A1 (ko) 2014-01-29 2015-01-26 채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34A KR101521235B1 (ko) 2014-10-13 2014-10-13 채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235B1 true KR101521235B1 (ko) 2015-05-18

Family

ID=5339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434A KR101521235B1 (ko) 2014-01-29 2014-10-13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9411A (zh) * 2021-04-18 2021-08-06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血液内科护理用的输血袋悬挂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479B1 (ko) * 2012-06-19 2012-12-05 장영주 채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479B1 (ko) * 2012-06-19 2012-12-05 장영주 채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9411A (zh) * 2021-04-18 2021-08-06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血液内科护理用的输血袋悬挂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4603B2 (en) Latch mechanism for preventing lancet oscillation in a lancing device
US9386945B2 (en) Blood lancing device
EP1415593B1 (en) Lancing device
US7273484B2 (en) Blood withdrawal system
US8231547B2 (en) Puncturing system for withdrawing a body fluid
KR100684479B1 (ko) 란셋 장치
CA2558437C (en) Compact multi-use lancing device
EP2314209A1 (en) Puncture device and puncture needle cartridge
KR101462447B1 (ko) 안전 채혈기
US20210267497A1 (en) Push-to-charge lancing device
KR101521235B1 (ko) 채혈기
KR101491812B1 (ko) 채혈기
US20140214065A1 (en) Blood lancet device
US9474479B2 (en) Uni-directional drive mechanism for lancing device
EP1847219B1 (en) Lancing device
JPWO2009063999A1 (ja) 穿刺装置
JP4500109B2 (ja) 穿刺具
KR20210014997A (ko) 장전식 채혈기
US20170251964A1 (en) Blood samp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