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171B1 - 압전 스피커 - Google Patents

압전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171B1
KR101521171B1 KR1020150019948A KR20150019948A KR101521171B1 KR 101521171 B1 KR101521171 B1 KR 101521171B1 KR 1020150019948 A KR1020150019948 A KR 1020150019948A KR 20150019948 A KR20150019948 A KR 20150019948A KR 101521171 B1 KR101521171 B1 KR 10152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late
amplitude control
piezoelectric
attached
piezoelectric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명
이광열
김경준
Original Assignee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에서 불특정하게 강한 음압의 생성에 의한 음질의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본 압전 스피커는 음향 진동판과; 상기 음향 진동판의 상면과 하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진폭조절판과; 상기 제1 진폭조절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진폭조절판과; 상기 제2 진폭조절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압전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전 스피커{Piezoelectric Speaker}
본 발명은 압전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주파수에서 불특정하게 강한 음압의 생성에 의한 음질의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폰, 스마트폰 및 노트북 등의 휴대 단말기를 비롯하여 LCD TV, LED TV 등을 포함하는 TV 제품의 슬림화가 가속됨에 따라, 기존의 자석 코일을 이용한 다이나믹 스피커의 대안으로 압전 스피커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전 스피커는 기존의 다이나믹 스피커에 비하여 얇고 가벼우며 전력소모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미래 선도형 스피커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압전 스피커는 상기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이나믹 스피커에 비해 출력음압이 낮고 저주파 재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종래의 압전형 스피커에는 압전 진동자를 이용하거나, 금속 진동판 상부에 압전 디스크를 덧붙여 제작하는 방식의 압전 스피커, PVDF(Polyvinylidene Fluoride)와 같은 필름형 압전 스피커, 실리콘 MEMS(Mechanical Electronic Micromachined System)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식의 초소형 압전 스피커 등이 있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로서, 압전 필름 소재를 이용한 필름형 압전 스피커는 PVDF와 같은 압전 필름 소재를 이용하여 상하부에 전극을 형성하고 전압을 인가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필름형 압전 스피커는 압전 필름의 양측면에 고분자 전도체막을 형성하고, 그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형태로 전극을 형성한 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를 형성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필름형 압전 스피커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압전 소자가 진동할 때 특정 주파수에서 불특정하게 강한 공진이 자주 발생하고, 그에 따라 특정 주파수에서 음압이 강하게 상승하여 음질이 고르지 못하고 음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2-0064984호 "압전 스피커"(2012. 06. 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주파수에서 불특정하게 강한 음압의 생성에 의한 음질의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압전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음향 진동판과; 상기 음향 진동판의 상면과 하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음향 진동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진폭조절판과; 상기 제1 진폭조절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진폭조절판과; 상기 제2 진폭조절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압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상기 제1 진폭조절판과 제2 진폭조절판은, 상기 음향 진동판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상기 제2 진폭조절판은, 상기 제1 진폭조절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진폭조절판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상기 제1 진폭조절판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이고, 상기 제2 진폭조절판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에서 불특정하게 강한 음압의 생성에 의한 음질의 저하가 원활히 방지되고, 그에 따라 음질이 균일해지면서 음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음압 레벨 대 주파수에 대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음압 레벨 대 주파수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는 음향 진동판(10)과, 상기 음향 진동판(10)을 둘러싸는 프레임(20)과, 상기 음향 진동판(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 진폭조절판(30)과,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진폭조절판(40)과,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압전층(50)을 포함한다.
상기 음향 진동판(10)은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층(50)의 진동에 따라 진동되면서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음향 진동판(10)은 합성수지 또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특히 상기 합성수지 중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종이 중에서 한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은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음향 진동판(10)의 상면과 하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음향 진동판(10)을 상하로 맞물어서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음향 진동판(10)이 진동할 때 내부 손실에 의한 반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특히 금속 중에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은 상기 음향 진동판(10)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전층(50)에 대한 상기 음향 진동판(10)의 진폭을 조절하여 불특정하게 강한 음압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은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성이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경질의 합성수지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은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과 함께 상기 압전층(50)에 대한 상기 음향 진동판(10)의 진폭을 조절하여 불특정하게 강한 음압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은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성이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경질의 합성수지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과 제2 진폭조절판(40)은 상기 음향 진동판(1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은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음향 진동판(10)에서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과 제2 진폭조절판(40)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평면상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단단한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의 '개선 특성' 그래프와 일반적인 압전 스피커의 '기본 특성' 그래프를 통해 입증되었다.
즉,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압전 스피커와 일반적인 상용 압전 스피커의 주파수에 대한 음압 레벨(SPL : Sound Pressure Level)을 실험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스피커에 해당하는 '개선 특성'(적색의 선으로 표시)이 일반적인 압전 스피커인 '기본 특성'(청색의 선으로 표시)에 비해 특정 주파수에서 불특정하게 강한 음압의 생성이 최소화되면서 음질이 균일해지고 향상되는 것을 보인다.
상기 압전층(50)은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압전층(50)은 후막 형태의 압전 세라믹에 대해 연마 공정을 수행하여 얇은 단층 박막으로 형성되거나, 적층 구조의 박막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전층(50)은 PZT와 같은 다결정 세라믹뿐 아니라, PMN-PT, PZN-PT, PIN-PT, PYN-PT 등의 단결정 압전 소재, PVDF, PVDF-TrFE 등의 유연 압전 폴리머 소재, BNT, BZT-BCT 등의 무연 압전 신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전층(5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음향 진동판
20 : 프레임
30 : 제1 진폭조절판
40 : 제2 진폭조절판
50 : 압전층

Claims (4)

  1. 음향 진동판(10)과;
    상기 음향 진동판(10)의 상면과 하면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20)과;
    상기 음향 진동판(10)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진폭조절판(30)과;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의 상면에 부착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진폭조절판(40)과;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의 상면에 부착되고,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압전층(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과 제2 진폭조절판(40)은,
    상기 음향 진동판(1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은,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폭조절판(30)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이고,
    상기 제2 진폭조절판(40)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스피커.
KR1020150019948A 2015-02-10 2015-02-10 압전 스피커 KR10152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48A KR101521171B1 (ko) 2015-02-10 2015-02-10 압전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48A KR101521171B1 (ko) 2015-02-10 2015-02-10 압전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171B1 true KR101521171B1 (ko) 2015-05-18

Family

ID=5339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948A KR101521171B1 (ko) 2015-02-10 2015-02-10 압전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749B1 (ko) 2016-03-31 2016-05-24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KR101696786B1 (ko) 2016-04-21 2017-01-16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KR101890760B1 (ko) 2018-03-08 2018-08-22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984A (ko) * 2010-12-10 2012-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스피커
JP5638170B2 (ja) * 2012-09-26 2014-12-10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984A (ko) * 2010-12-10 2012-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스피커
JP5638170B2 (ja) * 2012-09-26 2014-12-10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749B1 (ko) 2016-03-31 2016-05-24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KR101696786B1 (ko) 2016-04-21 2017-01-16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KR101890760B1 (ko) 2018-03-08 2018-08-22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901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KR101889315B1 (ko) 스피커 진동 시스템
KR101598927B1 (ko) 압전 스피커
US10313801B2 (en) Sound output device comprises a dual speaker including a dynamic speaker and a piezoelectric speaker
KR101630353B1 (ko) 질량체를 가진 압전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3522B1 (ko) 마이크로스피커용 전기 브릿지를 갖는 일체형 서스펜션
KR101521171B1 (ko) 압전 스피커
US9302292B2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755329B1 (ko) 하이브리드 스피커 및 이에 사용되는 진동모듈
KR101445654B1 (ko) 압전 스피커
US8950545B2 (en) Compound membrane and acoustic device using same
US8925675B2 (en) Compound membrane and acoustic device using same
KR101500562B1 (ko) 압전 스피커
KR101415037B1 (ko) 인클로저를 가지는 압전 스피커 유닛
KR101495090B1 (ko) 압전 스피커
KR101623749B1 (ko) 압전 스피커
CN104768111B (zh) 抑制偏振的扬声器装置和调整振膜平衡位置和顺性的方法
KR101500559B1 (ko) 압전 스피커
KR101738516B1 (ko) 압전 스피커
KR101696786B1 (ko) 압전 스피커
KR101480938B1 (ko) 압전 스피커
KR20160012838A (ko) 박막 스피커
KR101890760B1 (ko) 압전 스피커
KR101480937B1 (ko) 압전 스피커
KR101495089B1 (ko) 압전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