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953B1 -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 Google Patents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953B1
KR101520953B1 KR1020140063309A KR20140063309A KR101520953B1 KR 101520953 B1 KR101520953 B1 KR 101520953B1 KR 1020140063309 A KR1020140063309 A KR 1020140063309A KR 20140063309 A KR20140063309 A KR 20140063309A KR 101520953 B1 KR101520953 B1 KR 10152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terminal device
closed
comma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2618A (en
Inventor
박승용
서종철
주효민
조유숙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4006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953B1/en
Publication of KR2014008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과 서로 연결되는 제1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1 폐쇄도형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 폐쇄도형으로 선택된 필기 데이터가 명령어 또는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폐쇄도형의 수신 전후에 수신된 연결기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내용인지를 판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terminal device thereof are provided. Here,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electronic pen may include: a first step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A second step of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handwriting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from the electronic pen; And a third step of receiving a first closed diagram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selects the handwriting data;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ten data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as the first closed diagram corresponds to a command word or handwriting content;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ten content when the command or the handwritten content corresponds to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ten cont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ten data is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ten content based on the connection symbols received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on.

Figure R1020140063309
Figure R1020140063309

Description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에 관한 내용으로서, 구체적으로 종이에 쓴 내용을 디지털 이미지 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전자펜을 이용하는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content relat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technique using an electronic pen for converting contents written on paper into a digital image file.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 장치의 다변화이다. In general,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se devices are gradually emphasizing the ease of design with ease of operation of the user. What is emphasized in this trend is the diversification of input devices represented by keyboards or keypads.

이러한 다변화 추세에 따라 휴대 단말의 입력 장치는 단순히 키패드 혹은 키보드에 국한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 광 조이스틱 등 다양한 수단이 채택되고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마련된 키 패드,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스크롤 휠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단말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In accordance with such diversification trend, various devices such as a touch screen, an optical joystick, and the like are adopted not only as a keypad or a keyboard, but also as an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 user operates the terminal or inputs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y using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touch screen, a joystick, and a scroll wheel provided in the terminal.

하지만, 사용자는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제시된 입력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수단에 의해 단말기를 작동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However, the user has a desire to operate the terminal by various means other than the input means presented for operating the terminal.

한국등록특허 제1033538호(2010년 11월 5일 공개), 휴대폰용 디지털펜 연결 시스템Korean Patent No. 1033538 (published on Nov. 5, 2010), digital pen connection system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termin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과 서로 연결되는 제1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1 폐쇄도형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 폐쇄도형으로 선택된 필기 데이터가 명령어 또는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connecting the terminal device with the electronic pen; A second step of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handwriting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from the electronic pen; A third step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receives a first closed diagram in which the handwritten data is selecte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ten data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as the first closed diagram corresponds to a command word or handwriting content;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ten content, respectively, when the command or the handwritten content is satisfied,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폐쇄도형의 수신 전후에 수신된 연결기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내용인지를 판단한다.The fourth step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ten data is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ing content based on the connection symbol received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상기 제1 단계는,In the first step,

상기 전자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수신기와 상기 단말장치가 유성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by satellit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제2 단계는,The second step comprises: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하고,The terminal device receives the handwriting data from the receiver,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The receiver can receive the handwriting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상기 제3 단계에서,In the third step,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제1 폐쇄도형이 그 내부에 상기 필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on of the handwritten data may include the handwritten data within the first closed figure.

상기 제4 단계는,In the fourth step,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 기호가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losed diagram and the connection symbol satisfy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s,

상기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은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기호가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losed diagram and the connection symbol are drawn on a temporal continuous line.

상기 제5 단계는,In the fifth step,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는 검색일 수 있고,When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word, the command word may be a search,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필기 내용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주소일 수 있다.When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content, the handwritten content may be a word or an address to be searched by the user.

상기 제3 단계는,In the third step,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연결 기호와 연결되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2 폐쇄도형을 더 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may further receive a second closed graphic form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ymbol and selecting the handwritten data.

상기 제4 단계는,In the fourth step,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2 폐쇄도형으로 선택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명령어 또는 필기 내용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 기호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이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Interpreting the handwritten data selected as the second closed diagram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n instruction or a handwriting cont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losed diagram and the connection symbol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satisfy a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상기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은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기호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이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losed diagram, the connection symbol,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are drawn on a temporal continuous line.

상기 제5 단계는,In the fifth step,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제2 폐쇄도형의 내부에 포함되며 노트 삽입, 캡션 삽입, 단어 검색, 지도 검색, 연락처 추가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연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필기 내용은 상기 제1 폐쇄도형의 내부에 포함되며 삽입 또는 검색 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내용일 수 있다.Wherein the command is included within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and includes instructions for inserting a note, inserting a caption, searching for a word, searching for a map, adding a contact, and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f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Connection, and the handwritten content may be contained with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and may include content to be inserted, retrieved, or linked.

상기 제4 단계 이전에, Prior to the fourth step,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또는 단말 대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ion is running or terminal standby mode,

상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Wherein the step of implementing a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comprises: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application is running, implemen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And implementing th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word when the terminal is in the terminal standby mode.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Wherein implementing the application operation comprises: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또는 필기내용과 선택된 기능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이 기능이 선택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또는 필기내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by a user; Implemen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that combines the selected function with a command or handwritten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when the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And implemen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r a handwriting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when the specific function is not selected.

상기 제2 단계는,The second step comprises: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전용 노트에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전자펜이 접촉하여 인식한 특정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수신하고,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con recognized by touching the electronic pen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icons displayed in the handwritten data and the dedicated note,

상기 제5 단계는,In the fifth step,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내용을 상기 매칭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terminal device may implement th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tched command word of the handwritten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는 전자펜과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전자펜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1 폐쇄도형을 수신하는 전자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자펜 인터페이스부가 전달하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전자펜 입력 처리부를 포함하고,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unit communicab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pen; An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pe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receiving a first closed graphic form for selecting the handwriting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and the handwriting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nd an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handwritten data transmitted by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and implementing a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handwritten data,

상기 전자펜 입력 처리부는,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상기 제1 폐쇄도형의 수신 전후에 수신된 연결기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가 명령어 또는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필기 데이터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And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ing data corresponds to a command word or a handwriting content based on a connection symbol received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 first closed diagram, and when the handwriting data corresponds to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ing content,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과 같은 사용자의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를 디지털펜을 이용하여 종이에 필기하는 동작만으로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 control of a user's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be performed only by writing on paper using a digital p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Electronic Pen)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및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en and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command pattern of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 command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dicated no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 dedicated no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 "part" in the descrip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device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Electronic Pen)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노트(200)에 기재하여 전자펜(100)이 인식한 필기 데이터는 전용 수신기(30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장치(400)로 전송된다. 이러한 필기 데이터는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1, a user writes a note 200 in the electronic pen 100, and the handwriting data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100 is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device 400 through the dedicated receiver 300. This handwriting data is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400. [

여기서, 전용 수신기(300)와 단말장치(400)는 연결 수단(50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수단(500)은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단자 및 휴대폰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유선 케이블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수단(500)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채택될 수 있다.Here, the dedicated receiver 300 and the terminal device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means 500. The connection means 500 includes a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terminal and a mobile phone connection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means 500 may emplo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전자펜(100)은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노트(200)에 필기한 내용을 압력감지 센서에 의해 인식하고 필기된 위치를 판독하여 디지털 타입의 필기 데이터로 생성하여 기록한다. 즉 전자펜(100)은 전용 수신기(300)의 가용 범위 내에서 신호 발생기(미도시)를 구비한 펜으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면, 펜 끝의 위치 정보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생성되어 전용 수신기(300)로 전송된다.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contents written on the note 200 by the user with the electronic pen 100 by means of the pressure sensing sensor, reads the written position, and generates and records digital type writing data. That is, when the electronic pen 100 writes or draws a pen with a signal generator (not shown) within the available range of the dedicated receiver 300,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n tip is generated in the form of digital data, 300).

여기서, 전자펜(100)이 필기한 내용을 인식하고 위치를 판독하는 기술은 압력을 감지하는 기술이 채택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technique of recognizing the written contents of the electronic pen 100 and reading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que of sensing the pressure, but various techniques can be used.

노트(200)는 A4 용지, 공책 등 필기 가능한 어떠한 문서라도 가능하다. The note 200 may be any document that can be written on, such as A4 paper or notebook.

전용 수신기(300)는 전자펜(100)이 생성한 필기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전자펜(100)과 전용 수신기(300)의 무선 송수신 방식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에서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The dedicated receiver 300 wirelessly receives and stores the handwriting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100 from the electronic pen 100.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of the electronic pen 100 and the dedicated receiver 300 can be adopted among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or example, a Bluetooth method can be adopted.

이때, 전자펜(100)과 전용 수신기(300)는 개별 장치로 도시하였지만, 전용 수신기(300)는 전자펜(1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electronic pen 100 and the dedicated receiver 300 are shown as individual devices, the dedicated receiver 300 may be embedded in the electronic pen 100. [

이상 기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노트(200) 위에 필기를 하면, 필기 데이터가 전용 수신기(3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용 수신기(300)에 연결된 연결 수단(400)을 통해 단말장치(400)로 전달된다. 그러면, 단말장치(400)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rites on the note 200 using the electronic pen 100, the handwritt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 An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400 through the connection means 400 connected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Then, the terminal device 400 analyzes the handwriting data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및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만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en and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a configuration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simplified form,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전자펜(100)은 펜부(101), 전자펜 제어부(103) 및 송신부(105)를 포함한다. 2, the electronic pen 100 includes a pen unit 101, an electronic pen control unit 103, and a transmission unit 105. [

펜부(101)는 노트(도 1의 500)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문자나 도형 이미지를 노트(도 1의 500)에 표기하기 위한 수단이다. 펜부(101)는 펜촉(미도시) 및 펜촉(미도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n portion 101 is a portion that directly contacts the note (500 in Fig. 1), and is means for marking a character or figure image on the note (500 in Fig. 1). The pen unit 101 may include an ink tank (not shown) that supplies ink to a pen tip (not shown) and a pen tip (not shown).

전자펜 제어부(103)는 펜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펜부(101)의 위치정보, 펜부(101)에 가해지는 압력 및 운동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디지털 타입의 필기 데이터로 생성한다. The electronic pen control unit 10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en unit 101 to detec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n unit 101, pressure and mo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pen unit 101, and generates sensed information as digital type handwriting data do.

송신부(105)는 전자펜 제어부(103)가 생성한 필기 데이터를 전용 수신기(300)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105 transmits the handwriting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control unit 103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

또한, 전용 수신기(300)는 수신부(301), 처리부(303), 메모리(305), 연결부(307) 및 입력부(309)를 포함한다. The dedicated receiver 300 also includes a receiving unit 301, a processing unit 303, a memory 305, a connecting unit 307, and an input unit 309.

수신부(301)는 전자펜(100)의 송신부(105)가 전송하는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receiving unit 301 receives handwritten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unit 105 of the electronic pen 100. [

처리부(303)는 수신부(301)가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연결부(305)를 통해 단말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때, 처리부(303)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하여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303 transmits the handwriting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301 to the terminal device 400 via the connection unit 305. [ At this time, the processing unit 303 may store the received handwritten data including a memory (not shown).

입력부(307)는 노트(200)의 레이어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입력부(307)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노트(200)의 레이어를 변경하고자 요청하면, 처리부(303)는 요청한 시점부터 수신되는 필기 데이터는 다른 레이어의 필기 데이터로 인식한다. 즉, 요청한 시점 이전의 필기 데이터는 현재 레이어에 매칭되지 않는다. The input unit 307 is input means for changing the layer of the note 200, and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utton. That is, when the user requests to change the layer of the current note 200 using the input unit 307, the processing unit 303 recognizes the handwritten data received from the requested point of time as handwriting data of the other layer. That is, the handwritten data before the requested point does not match the current lay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만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a configuration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simplified form,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장치(400)는 연결부(401),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 및 표시부(407)를 포함한다. 3, the terminal 400 includes a connection unit 401, an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403, an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and a display unit 407.

연결부(401)는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되어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연결부(401)는 전용 수신기(300)가 일측에 접속된 유선 케이블의 타측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케이블은 전용 수신기(300)와 접속되는 USB 접속 단자 및 연결부(401)와 접속되는 휴대폰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401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and receives the handwritten data from the dedicated receiver 300. The connection unit 401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ired cable to which the dedicated receiver 300 is connected. The wired cable may include a USB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and a mobile phone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401.

또한, 연결부(401)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에 따라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Also, the connection unit 401 can be connected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according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는 연결부(401)가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필기 데이터를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로 전달한다.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403 senses whether the connection unit 401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and transfers handwritten data received from the dedicated receiver 300 to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가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을 감지한 경우,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필기 데이터 해석 결과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단말장치(400)의 동작은 도 4~ 도 10을 참고하여 실시예별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interprets the handwriting data received from the dedicated receiver 300 when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403 detects connection with the dedicated receiver 300, Lt; RTI ID = 0.0 > 400 < / RTI >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FIG.

표시부(407)는 단말장치(40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407 output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400 on the screen.

이제,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전자펜(100)을 이용한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ow,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400 using the electronic pen 10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며, 도 3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3,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3 are used.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는 연결부(401)가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1).4,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403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unit 401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S101).

다음,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는 연결부(401)가 수신기(400)와 연결된 경우로 판단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전용 수신기(300)가 전송한 필기 데이터를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로부터 전달받는다(S103).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unit 401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400,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403 transmits the handwritten data transmitted by the dedicated receiver 300 to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403 (S10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지를 판단한다(S105). 즉, 단말이 대기모드 상태인지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Next,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S105).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is in a standby mode or a specific applic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in a running state.

이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107). 여기서, 필기 데이터 해석 기술은 필기 데이터의 포맷에 따른 다양한 기술들이 채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파일 형태의 필기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 도형 이미지들을 판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pecific application is running,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interprets the handwriting data received in step S103 (S107). Here, various techniques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handwritten data can be adopted for the handwriting data analyzing technique. For example, if handwritten data in the form of a file is received from the dedicated receiver 300, characters and graphic images included in the handwritten data can be identified through a data analysis technique.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7 단계에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9). 여기서, 명령어 패턴은 도형 이미지와 문자의 조합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determines whether a predefined command pattern is includ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andwriting data in step S107 (S109). Here, the command pattern may be a combination of a graphic image and a character.

이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된 경우로 판단되면, 명령어에 따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구현한다(S111).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fined command pattern is included,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implements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S111).

한편,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5 단계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로 판단되면, S103 단계에서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113).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5 that there is no application being executed,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interprets the handwriting data received in step S103 (S11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7 단계에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5). Next,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determines whether the predefined command pattern is includ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andwriting data in step S107 (S115).

이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된 경우로 판단되면, 명령어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구현한다(S117).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fined command pattern is included,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405 implement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command (S117).

이제,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 및 그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Now, the predefined command pattern and operation examples of the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defined command patter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전용 수신기(300)가 장착된 노트(200) 위에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 명령어 패턴(600)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a command pattern 600 created by the electronic pen 100 is shown on a note 200 on which a dedicated receiver 300 is mounted.

이러한 명령어 패턴(600)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을 포함한다.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은 서로 이어져 있고, 시간의 연속선 상에서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다. This instruction pattern 600 includes a first closed graphic 601, a concatenation symbol 603, and a second closed graphic 605. The first closed figure 601, the connecting symbol 603 and the second closed figure 60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reated by the electronic pen 100 on a continuous line of time.

이때,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5)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장치(400)의 동작 내용을 지시하는 명령어가 포함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605 contain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terminal device 400 desired by the user.

도 6은 도 5의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command pattern of FIG. 5,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6은 도 4의 S105 단계~ S117 단계를 도 5의 명령어 패턴을 적용하여 세부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S209 단계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의 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9, 도 10, 도 11은 도 6의 S201 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 아닌 경우의 실시예이다. 6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s S105 through S117 of FIG. 4 by applying the command pattern of FIG. 7 and 8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in step S209 of FIG. 9, 10, and 11 show an example in which a specific application is not being executed in step S201 of FIG.

여기서,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며, 도 3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Her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3,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3 are used.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지 판단(S201)한 후,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203).First, referring to FIG. 6,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interprets handwritten data after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S201) (S20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의 명령어 패턴(600)이 도 5와 같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으로 구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5).Next,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judges whether the command pattern 600 of the handwriting data is composed of the first closed figure 601, the connection mark 603 and the second closed figure 605 as shown in Fig. 5 (S205).

이때,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으로 구성되었다면,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207). At this time, if the first closed diagram 601, the connection symbol 603, and the second closed diagram 605 are constru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S207).

즉,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전자 펜 끝의 위치 정보와, 이러한 전자 펜 끝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을 토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와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가 판단된다. 또한,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다 함은 임의의 시점에 수신된 필기 데이터에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한다. 부연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을 임의의 시점에 한꺼번에 필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폐쇄도형(601)과 연결 기호(603)만 그렸다가 한참 후에 제2 폐쇄도형(605)을 그린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closed figure 601, the connection symbol 603, and the second closed figure 60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drawn on a temporal continuous line. Her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ip of the electronic pen and the digital data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ip of the electronic pe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received time and are drawn on a temporal continuous line. Also, the fact that it is drawn on the temporal continuous line means that the first closed figure 601, the connection symbol 603 and the second closed figure 605 are all included in the handwritten data received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 In other words, the user writes the first closed diagram 601, the connection symbol 603, and the second closed diagram 605 at a certain point in time. For example, it does not apply if only the first closed figure 601 and the connection mark 603 are drawn and then the second closed figure 605 is drawn.

다음, S207 단계에서 구성 조건을 만족한 경우,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9). Next, when the configur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in step S207,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S209).

즉 도 7의 (a)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특정 문장 또는 문단(P1)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7A,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can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sentence or paragraph P1 is selected in the state where the 'e-book' application is executed.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동영상이 재생된 상태에서 캡션(caption) 삽입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정지 버튼을 누른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can determine whether caption insertion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a moving image is reproduced. For example, the stop button may be pressed.

이때,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3)에 포함된 명령어와 S209 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기능을 결합한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211).At this time, if the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executes the terminal operation combining the command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603 with the specific function selected in step S209 (S211).

즉, 도 7의 (b) 및 도 7의 (c)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내부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선택된 문장 또는 문단(P1)에 노트로 삽입한다.7 (b) and 7 (c),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notifies the handwriting written 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to the selected sentence or paragraph P1 .

또한, 도 8의 (b) 및 도 8의 (c)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내부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정지된 시점의 동영상 캡션 내용으로 추가한다. 8B and 8C,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adds the handwriting content written inside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as the moving picture caption content at the stopped point of time .

반면, S209 단계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3)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213). 예를들어, 제2 폐쇄도형(603)에 '검색'이 기재되어 있다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현재 실행된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폐쇄도형(601)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pecific function is not selected in step S209,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executes th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words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figure 601 and the second closed figure 603 (S213 ). For example, if 'search' is described in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603,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displays the handwritten content written 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in the currently executed 'e-book' You can search.

한편, S201 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지 않은 경우, 즉 단말 대기 모드 상태로 판단된 경우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S215)하여 도 4와 같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으로 구성되었는지와(S217),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19).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1 that the specific application is not being executed, that is, in the terminal standby mode,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analyzes the handwriting data (S215) 601, a connection symbol 603 and a second closed graphic 605 (S217), and determines whether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S219).

이때,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면서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을 포함한다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5)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221). If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includes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the connection symbol 603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605 while satisfying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displays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605 (step S221).

즉,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2 폐쇄도형(605)에 '구글 검색'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9의 (b)와 같이, 구글로 접속하여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기재된 필기 내용에 대한 구글 검색을 실행한다. 9A, since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includes 'Google Search' in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605,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accesses Google as shown in FIG. 9B Executes the Google search for the handwritten content written inside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601.

또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2 폐쇄도형(605)에 '연락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10의 (b)와 같이,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기재된 전화번호 및 이름을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한다.10 (a),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includes the 'contact' in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605, so that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FIG. 10 601) in the address book application.

또한,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기재되어 있고, 제2 폐쇄도형(605)에 '연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11의 (b)와 같이,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기재된 URL로 접속한다. 11A,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ha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written in the first closed figure 601 and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 the second closed figure 605. In the second closed figure 605, Connection "is includ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b), the URL is written in the inside of the first closed figure 601.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 command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lowchart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여기서,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며, 도 3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Her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3,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3 are used.

먼저, 도 12를 참고하면, 전용 수신기(300)가 장착된 노트(200) 위에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 명령어 패턴(700)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2, a command pattern 700 created by the electronic pen 100 is shown on a note 200 on which a dedicated receiver 300 is mounted.

이러한 명령어 패턴(700)은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를 포함한다.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는 서로 이어져 있고, 시간의 연속선 상에서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다. This instruction pattern 700 includes a first closed graphic 701 and a connection symbol 703.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701 and the connection symbol 7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reated by the electronic pen 100 on a continuous line of time.

이때, 제1 폐쇄도형(701)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장치(400)의 동작 내용을 지시하는 명령어가 포함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701 includes an instruction word indicating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terminal device 400 desired by the user.

다음, 도 13을 참고하여 도 12의 명령어 패턴(700)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command pattern 700 of FIG.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지 판단(S301)한 후,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303).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analyzes the handwriting data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S301) (S30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의 명령어 패턴(700)이 도 12와 같은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로 구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5).Next,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determines whether the command pattern 700 of the handwriting data is composed of the first closed diagram 701 and the connection symbol 703 as shown in FIG. 12 (S305).

이때,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로 구성되었다면,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307). 즉,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를 판단한다.At this time, if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701 and the connection symbol 703 are configu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S307).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701 and the connection symbol 7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drawn on a temporal continuous line.

다음, S307 단계에서 구성 조건을 만족한 경우,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701)에 포함된 명령어를 적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한다(S309).Next, if the configur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in step S307,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implements the application operation using the command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701 (S309).

즉, 도 14의 (a) 및 (b)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현재 실행된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폐쇄도형(701)의 내부에 기재된 "초인종"을 검색한 후, 검색 화면(P5)을 팝업한다.14 (a) and 14 (b),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searches for the "doorbell" describ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701 in the currently executed 'e-book' application Then, the search screen (P5) is popped up.

한편, S301 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지 않은 경우, 즉 단말 대기 모드 상태로 판단된 경우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S311)하여 도 12와 같은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로 구성되었는지와(S313),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315).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1 that the specific application is not being executed, that is, in the terminal standby mode,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analyzes handwriting data (S311) 701 and a connection symbol 703 (S313), and determines whether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S315).

이때,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면서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를 포함한다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701)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317). If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includes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701 and the connection symbol 703 while satisfying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S317).

즉,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701)에 기재된 필기 내용의 해석에 따라 주소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기재된 주소를 검색하여 출력(P7)한다. 15 (a) and 15 (b),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executes the map application because the address is describe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handwriting content written in the first closed diagram 701 (P7).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a case of using a dedicated no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의 구성도이다.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dicated no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고하면, 전용 노트(600)는 일측에 전용 수신기(300)가 부착된다. 그리고 전용 노트(600)의 타측에는 특정 명령어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601)이 표시된다. 이러한 복수의 아이콘(601)은 '검색' 아이콘, '노트' 아이콘, '저장' 아이콘,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및 '실행' 아이콘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6, the dedicated note 600 is attached to a dedicated receiver 300 on one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dedicated note 600, a plurality of icons 601 corresponding to specific commands are displayed. The plurality of icons 601 include a 'search' icon, a 'note' icon, a 'save' icon, a 'facebook' icon, a 'twitter' icon, and an 'execute' icon.

여기서, '검색'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도 1의 400)가 검색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Here, the 'search' icon is an icon matched with a command for requesting the terminal device (400 in FIG. 1) to search for the contents written in the electronic pen 100.

'노트'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e-book'어플리케이션이나 메모장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삽입 또는 추가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The 'note' icon is an icon matched with a command for requesting the terminal device 400 to insert or add contents described in the electronic pen 100 into an application such as an 'e-book' application or a notepad.

'저장'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주소록이나 일정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The 'save' icon is an icon matched with a command for requesting the terminal device 400 to store the contents written in the electronic pen 100 in an address book or a schedule.

'페이스북'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페이스북에 접속하여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 The 'facebook' icon is an icon matched with a command for requesting the terminal device 400 to connect to Facebook and stor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lectronic pen 100. [

'트위터'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트위터에 접속하여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The 'tweeter' icon is an icon matching the command to request the terminal device 400 to connect to the twitter and stor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lectronic pen 100. [

'실행'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The 'execute' icon is an icon matched with a command for requesting the terminal device 400 to execute the application described in the electronic pen 100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펜(도 1의 100)으로 전용 노트(600)에 필기한 후, 화살표를 복수의 아이콘(601)의 하나의 아이콘과 연결하면, 연결된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전자펜(100)이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아이콘 및 필기된 내용을 전용 수신기(300)를 통해 단말장치(400)로 전송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writes the exclusive note 600 with the electronic pen 100 (FIG. 1) and then connects the arrow with one icon of the plurality of icons 601, the command matched to the connected icon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pen 100 ). And transmits the read icon and the handwritten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400 through the dedicated receiver 300.

이때, 복수의 아이콘(601)은 전자펜(100)에 의해 도트 패턴(Dot Pattern) 인식 가능하도록 전용 노트(6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전자펜(100)은 전용 노트(600) 상에서 복수의 아이콘(601)이 표시된 각 지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펜(100)이 인식 가능한 다양한 기술들을 채택하여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icons 601 can be displayed on the dedicated note 600 so that the electronic pen 100 can recognize a dot pattern. Or the electronic pen 100 can recogni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point on which the plurality of icons 601 are displayed on the dedicated note 6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can be displayed by adopting various technologies recognizable by the electronic pen 100.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terminal device using a dedicated no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고하면, 전자펜(100)은 전용 노트(600)에 필기한 후 복수의 아이콘(601) 중 하나의 아이콘을 연결한다(S401).Referring to FIG. 17, the electronic pen 100 writes in the exclusive note 600 and then connects one icon among a plurality of icons 601 (S401).

다음, 전자펜(100)은 S401 단계에서 연결된 아이콘에 매칭된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인식한다(S403). 예를 들어, 연결된 아이콘의 도트 패턴을 인식하여 기 저장된 도트 패턴에 매칭된 명령어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연결된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매칭된 명령어를 검출할 수 있다. Next,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command matched with the icon matched with the icon connected in step S401 (S403).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dot pattern of a connected icon and detect an instruction matched to a previously stored dot patter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icon, so as to detect a command match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location information.

다음, 전자펜(100)은 S401 단계에서 필기된 필기 데이터 및 S403 단계에서 인식한 명령어를 전용 수신기(300)로 전송한다(S405).Next, the electronic pen 100 transmits the handwritten data written in step S401 and the command recognized in step S403 to the dedicated receiver 300 (S405).

다음, 전용 수신기(300)는 단말장치(400)로 필기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전송한다(S407).Next, the dedicated receiver 300 transmits the handwritten data and the command to the terminal device 400 (S407).

다음, 단말장치(400)의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S407 단계에서 수신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409).Next,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of the terminal device 400 interprets the handwriting data received in step S407 (S409).

다음, 단말장치(400)의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S407 단계에서 수신된 명령어에 따르고 S409 단계에서 해석한 필기 데이터를 적용한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411).Next,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of the terminal device 400 executes the terminal operation using the handwriting data analyzed in step S409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in step S407 (S411).

즉,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용 노트(600)에 전화번호(010-3434-3543)를 기재한 후, 실행 아이콘(601)에 화살표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도 18의 (b)와 같이, 단말장치(400)의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전화번호(010-3434-3543)로 전화를 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8A, after the user describes the telephone number 010-3434-3543 in the exclusive note 600, the arrow is connected to the execution icon 601. [ 18 (b),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305 of the terminal device 400 calls the telephone number 010-3434-354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2)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과 서로 연결되는 제1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1 폐쇄도형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1 폐쇄도형으로 선택된 필기 데이터가 명령어 또는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폐쇄도형의 수신 전후에 수신된 연결기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내용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연결 기호와 연결되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2 폐쇄도형을 상기 단말장치가 더 수신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using an electronic pen,
A first step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A second step of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handwriting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from the electronic pen;
A third step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receives a first closed diagram in which the handwritten data is selecte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ten data selected by the terminal device as the first closed diagram corresponds to a command word or handwriting content; And
And a fifth step wherein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ten content, respectively, when the command or the handwritten content corresponds to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ten content,
In the fourth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ten data is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ten content based on a connection symbol received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In the third step,
And the terminal device further receives a second closed graphic form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ymbol and selecting the handwritten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전자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수신기와 상기 단말장치가 유성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step,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by satellit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The terminal device receives the handwriting data from the receiver,
Wherein the receiver receives the handwriting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nd transmits the handwriting data to the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제1 폐쇄도형이 그 내부에 상기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hird step,
Wherein the selection of the handwritten data includes the handwritten data 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 기호가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은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기호가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 판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ourth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losed diagram and the connection symbol satisfy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s,
Wherein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and the connection symbol are drawn on a temporal continuous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는 검색일 수 있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내용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필기 내용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주소인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fth step,
When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word, the command word may be a search,
Wherein the handwritten content is a word or an address to be searched by a user when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ten cont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제2 폐쇄도형으로 선택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명령어 또는 필기 내용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 기호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이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은 상기 제1 폐쇄도형과 상기 연결기호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이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 판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ourth step,
Interpreting the handwritten data selected as the second closed diagram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n instruction or a handwriting cont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losed diagram, the connection symbol,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satisfy a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redefined configuration condition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losed diagram, the connection symbol, and the second closed diagram are drawn on a temporally continuous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제2 폐쇄도형의 내부에 포함되며 노트 삽입, 캡션 삽입, 단어 검색, 지도 검색, 연락처 추가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연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필기 내용은 상기 제1 폐쇄도형의 내부에 포함되며 삽입 또는 검색 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내용인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fth step,
Wherein the command is included within the second closed graphic form and includes instructions for inserting a note, inserting a caption, searching for a word, searching for a map, adding a contact, and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f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s a termina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And the content of the handwriting is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form and is a content to be inserted, searched, or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전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또는 단말 대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ior to the fourth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pplication is running or terminal standby mode,
Wherein the step of implementing a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comprises:
If the application is running, implemen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And
If the terminal is in the terminal standby mode, implementing th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a terminal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또는 필기내용과 선택된 기능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이 기능이 선택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또는 필기내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mplementing the application opera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by a user;
Implemen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combining a command or handwritten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with a selected function when the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And
Implementing an appl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or handwriting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closed graphic and the second closed graphic when the specific function is not selected;
And a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전용 노트에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전자펜이 접촉하여 인식한 특정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필기 내용을 상기 매칭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tep compris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con recognized by touching the electronic pen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icons displayed in the handwritten data and the dedicated note,
In the fifth step,
The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tched instruction word with the handwriting content
And a terminal device.
전자펜과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전자펜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1 폐쇄도형을 수신하는 전자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자펜 인터페이스부가 전달하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전자펜 입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펜 입력 처리부는,
상기 제1 폐쇄도형의 수신 전후에 수신된 연결기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가 명령어 또는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필기 데이터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필기 내용에 각각 대응하는 단말 동작을 구현하고,
상기 전자펜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연결 기호와 연결되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2 폐쇄도형을 더 수신하는 단말장치.
A connection unit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An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pe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receiving a first closed graphic form for selecting the handwriting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and the handwriting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And
And an electronic pen input processor for analyzing handwritten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and implementing a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a result of analyzing the handwritten data,
The electronic pen input process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handwriting data corresponds to a command word or a handwriting content based on a connection symbol received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 first closed diagram, and when the handwriting data corresponds to the command word or the handwriting content, Respectively, and,
Wherein the electronic pen interface unit comprises:
And a second closed graphic form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ymbol and selecting the handwritten data.
KR1020140063309A 2014-05-26 2014-05-26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KR101520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09A KR101520953B1 (en) 2014-05-26 2014-05-26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09A KR101520953B1 (en) 2014-05-26 2014-05-26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54A Division KR20140023785A (en) 2012-08-17 2012-08-17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and the digital 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618A KR20140082618A (en) 2014-07-02
KR101520953B1 true KR101520953B1 (en) 2015-05-15

Family

ID=5173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309A KR101520953B1 (en) 2014-05-26 2014-05-26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9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483A1 (en) * 2018-07-30 2020-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384B1 (en) * 2017-03-06 202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Digital Signage Using The Same
KR102473081B1 (en) 2018-07-11 2022-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thereof
CN112860089A (en) * 2021-02-08 2021-05-28 深圳市鹰硕教育服务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lligent p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882B1 (en) * 2003-08-06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external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882B1 (en) * 2003-08-06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external inpu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483A1 (en) * 2018-07-30 2020-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US10990199B2 (en) 2018-07-30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618A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479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EP28139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8775969B2 (en) Contact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pplied mobile terminal
KR2018013466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1621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12088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scrolling mechanism for touch screen devices
KR2016000126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405869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tasking view
EP2747057A1 (en)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KR201600288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1893928B1 (en) Page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US2023019910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20953B1 (en)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KR20140125671A (en) Controlling Method fo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40134018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fulfilling functions rerated to the user input on the screen
KR201500445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formation list in electronic device
CN109086113B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EP27044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input
CN111273827B (en) Tex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900638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n input field
CN104956378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handwritten-document processing method
KR20140023785A (en)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and the digital pen
EP3660635A1 (en) Integration of smart tags into handwriting input
KR2018013313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229441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