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093B1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093B1
KR101520093B1 KR1020070129076A KR20070129076A KR101520093B1 KR 101520093 B1 KR101520093 B1 KR 101520093B1 KR 1020070129076 A KR1020070129076 A KR 1020070129076A KR 20070129076 A KR20070129076 A KR 20070129076A KR 101520093 B1 KR101520093 B1 KR 10152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avity
support
support por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2007A (en
Inventor
진재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093B1/en
Publication of KR2009006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0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8Arrangements for continuous movement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제공되어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하 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회전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회전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모터와, 상기 제 2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avity in which a cooking cavity is formed;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to support a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upporting part which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pair of first rotary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rotary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a second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rotating member.

조리기기 Cooking equipment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주로 히터의 열을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물론 조리기기는, 보조적으로 다른 가열원을 구비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마그네트론을 장착하여 마이크로파를 별도의 가열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BACKGROUND ART Generally, a cooking appliance is a device that cooks food using mainly heat of a heater as a heating source. Of course, the cooker may also be supplemented with another heating source. For example, a microwave is used as a separate heating source by mounting a magnetron.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물이 놓이는 트레이와, 상기 조리실로 열을 가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가 포함된다. Such a cooking device includes an outer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 cavity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to form a cooking cavity, a tray provided inside the cavity for placing the cooking cavity, a heating source for heating the cooking cavity, And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상세히, 상기 캐비티의 양측벽에는 상기 트레이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상하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상기 트레이를 어느 한 지지부에 놓음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In detail, on both side walls of the cavity,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tray are formed.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ray by placing the tray on any one of the supports.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상기 트레이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oking apparatus, since the height of the tray must be directly adjusted by the user, the user is troublesome.

또한,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물의 적절한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ooks the food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ray is not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proper cooking of the food is not performed.

실시예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 또는 조리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height of a tray on which a food is placed or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ood.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조리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지지부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which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position of a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a kind of a food.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조리물의 효과적인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cooking food.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제공되어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하 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회전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회전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모터와, 상기 제 2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avity in which a cooking cavity is formed;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to support a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upporting part which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vertical movement device coupled to the support part to move the support part up and down. The up-and-down movement device includes a pair of first rotary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art, A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a second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rotating member.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제공되고,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이는 트레이를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 상기 제 1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모터를 가지는 제 1 상하 이동 장치; 및 상기 제 2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모터를 가지는 제 2 상하 이동 장치;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avity in which a cooking cavity is formed; A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which are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support the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vertical movement device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Wherein the up-and-down mov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rotating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to mov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up and down, and a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A first up-and-down moving device; A second up-and-down moving device having a pair of rotating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to move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up and down, and a second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제공되고,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상하 이동 장치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일측을 동시에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상하 이동 장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타측을 동시에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상하 이동 장치가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avity in which a cooking cavity is formed;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supporting the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vertical moving device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The up-and-down moving device includes a first vertical mov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moving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up and down, 1 and a second up-and-down mov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mov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up and down.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높이가 상하 이동 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up-and-down moving devi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또한, 상기 상하 이동 장치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up-and-down moving device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또한, 조리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조리물이 덜 익거나 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조리물의 최적 요리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fo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such as less cooking or less burning of the food is prevented, and optimum cooking of the food is possibl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고 조리실(21)을 형성하는 캐비티(20)와, 상기 캐비티(20)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물이 놓이도록 하는 트레이(50)와, 상기 트레이(50)에 놓인 조리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원과,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컨트롤 패널(40)과, 상기 조리실(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30)와, 상기 트레이(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 이동 장치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case 10 forming an outer shape, a cavity 20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0 and forming a cooking chamber 21, A tray 50 installed in the cavity 20 for placing the food therein, a heating source for heating the food placed on the tray 50, A door 3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21 and a vertical movement device for moving the tray 50 upward and downward.

상세히, 상기 캐비티(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은 상기 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In detail, the cavity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front portion is opened, and the opened portion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door 30.

상기 트레이(50)는 상기 상하 이동 장치에 의해서 지지된다. 즉, 본 실시예는 종래와 달리 상기 캐비티(20)의 양측벽에 상기 트레이(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2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내면이 깔끔해지게 된다.The tray 50 is supported by the up-and-down moving device. That is, unlike the prior ar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tray 50 on both side walls of the cavity 20.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cavity 20 is simplified, and the inner surface is cleaned.

상기 가열원은 상기 캐비티(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히터(26)와, 상기 캐비티(20)의 외측에 제공되어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27 : 도 2참조)이 포함된다. The heating source includes a heater 26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20 and a magnetron 27 (see FIG. 2)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vity 20 to oscillate microwaves.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40)은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40)에는, 적어도 전원 버튼(42)과, 조리 버튼(44) 및 시작 버튼(45)이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panel 40 allows a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 The control panel 40 may include at least a power button 42, a cooking button 44, and a start button 45.

이에 더하여, 상기 상하 이동 장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46)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상기 트레이(5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높 이 조절 버튼(4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ode selection button 46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up-and-down moving device and a height adjustment button 48 for allowing the tray 50 to be moved up and down to a desired height can be further included.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 상기 트레이(50)를 지지한 상태에 회전하여 상기 트레이(5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한다.The up-and-down moving device rotates in a state supporting the tray 50 to move the tray 50 up and down.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하 이동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and-down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20)의 한 쌍의 상하 이동 장치(100, 150)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 장치(100, 150)는 제 1 상하 이동 장치(100)와 제 2 상하 이동 장치(15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2, a pair of up-and-down moving devices 100 and 150 of the cavity 20 are provided. The pair of up-and-down moving devices 100 and 150 includes a first up-and-down moving device 100 and a second up-down moving device 150.

그리고, 상기 각 상하 이동 장치(100, 150)에는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안착된 트레이(50)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130, 140)가 결합된다. The upper and lower moving devices 100 and 150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30 and 140 for supporting the tray 50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그리고, 상기 각 상하 이동 장치(100, 150)는 상기 캐비티(20)의 측면에서 볼 때,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vertical movement devices 100 and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cavity 20.

상기 지지부(130, 140)는 상기 상하 이동 장치(100, 150)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다. The supports 130 and 140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up-and-down moving devices 100 and 15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30, 14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지지부(130, 140)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130, 140)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s 130 and 140 are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30 and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plurality of supports 130 and 140 are arranged in parallel.

상세히, 상기 제 1 상하 이동 장치(100)에는, 상기 캐비티(20)의 외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 1 구동 모터(110, 112)와, 상기 각 구동 모터(110, 112)에 의해서 회전되는 한 쌍의 제 1 회전 부재(120, 125)가 포함된다. The first vertical movement device 100 includes a pair of first driving motors 110 and 112 provided outside the cavity 2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nd a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120 and 125 rotated by the first rotating member.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부(130)는 상기 한 쌍의 제 1 회전 부재(120, 125)에 결합된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rotary members 120 and 125.

상기 제 2 상하 이동 장치(150)에는 상기 캐비티(20)의 외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 2 구동 모터(160, 162)와, 상기 각 제 2 구동 모터(160, 162)에 의해서 회전되는 한 쌍의 제 2 회전 부재(170, 175)가 포함된다.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device 150 includes a pair of second driving motors 160 and 162 provided outside the cavity 20 to generate driving force and a pair of second driving motors 160 and 162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members 170 and 175 rotated by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members 170 and 175.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부(140)는 상기 한 쌍의 제 2 회전 부재(170, 175)에 결합된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rotary members 170 and 175.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상하 이동 장치는 구조는 동일하고 설치 위치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상하 이동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air of up-and-down moving devices have the same structure and different installation positions, only the first up-and-down moving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상세히, 상기 구동 모터(110, 112)는, 상기 캐비티(20)의 제 1 측벽(23 : 도 2에서는 좌측벽)의 외측에 제공되는 좌측 구동 모터(110)와, 상기 캐비티(20)의 제 2 측벽(24 : 도 2에서는 우측벽)의 외측에 제공되는 우측 구동 모터(112)가 포함된다. The drive motors 110 and 112 include a left drive motor 110 provided outside the first side wall 23 (left side wall in FIG. 2) of the cavity 20, And a right drive motor 112 provided outside the two side walls 24 (right side wall in Fig. 2).

상기 구동 모터(110, 112)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120, 125)의 양 방향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양방향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A bidirectional motor may be used as the drive motors 110 and 112 so that both directions of the pair of rotary members 120 and 125 are rotatable.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may be used.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120, 125)는 좌측 회전 부재(120)와 우측 회전 부재(125)가 포함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회전 부재(120, 125)는 상기 캐비티(20)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회전 부재(120)의 회전축(122)은 상기 캐비티(20)의 좌측벽(23)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 구동 모터(110)의 축에 연결된다.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120 and 125 include a left rotating member 120 and a right rotating member 125. [ The left and right rotatable members 120 and 125 are positioned inside the cavity 20. The rotation axis 122 of the left rotation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left driving motor 110 through the left side wall 23 of the cavity 20.

상기 우측 회전 부재(125)의 회전축(126)은 상기 캐비티(20)의 우측벽(24)을 관통하여 상기 우측 구동 모터(112)의 축에 연결된다. The rotation shaft 126 of the right rotation member 125 penetrates the right side wall 24 of the cavity 20 and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right drive motor 112.

이와 달리 상기 각 회전 부재(120, 125)의 축(122, 126)에 기어 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모터(110, 112)의 축에 기어가 연결되어 상기 기어에 의해서 상기 구동 모터(110, 112)의 동력이 상기 각 회전 부재(120, 125)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A gear is formed on the shafts 122 and 126 of the rotary members 120 and 125 and a gear is connected to the shafts of the drive motors 110 and 112 so that the drive motors 110 and 112 May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rotary members 120 and 125.

그리고, 상기 각 회전 부재(120, 125)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20, 125)에는 상기 지지부(13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124, 1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회전 부재(120, 12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120, 125)에 의해서 지지된다. The rotation members 120 and 125 are formed to have a length larger than the width. The rotation members 120 and 125 are formed with coupling holes 124 and 128 for coupling the supporting portion 130. The support portion 130 is supported by the rotary members 120 and 125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rotary members 120 and 125.

상기 결합홀(124, 128)은 상기 회전 부재(120, 125)의 회전축(124, 126)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홀(124, 128)과 상기 회전축(124, 128)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트레이(50)의 상하 이동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The coupling holes 124 and 128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s 124 and 126 of the rotary members 120 and 12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tray 50 may var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holes 124 and 128 and the rotation shafts 124 and 128.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110, 112)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 모터(110, 112)와 연결된 상기 각 회전 부재(120, 125)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20, 125)가 회전되면,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회전 부재(120, 125)의 회전축(122, 12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s 110 and 112 are rotated, the rotating members 120 and 125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s 110 and 112 are rotated. When the rotating members 120 and 125 are rotated, the supporting unit 130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s 122 and 126 of the rotating members 120 and 125.

이 때, 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회전 부재(120, 125)의 회전축(122, 126)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130)가 회전되면, 상기 캐비티(20)의 저면(25)을 기준으로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Since the support portion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s 122 and 126 of the rotary members 120 and 125, when the support portion 130 is rotated, the bottom surface 25 of the cavity 20 And the height changes.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의 회전 방향을 볼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좌측 구동 모터에 대해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우측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타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각 구동 모터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상기 각 구동 모터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Here, when view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drive motor, the support portion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ft drive motor, and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ight drive motor. That is, each of the drive motors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side is viewed from one side of the cavity is referred to, the respective driving motors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각 구동 모터가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drive motors is operated such that the support portion 130 rotates in one direction.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10)와,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트레이(5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230)와, 상기 구동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0)가 포함된다. 3,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unit 210 for a user to input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and a controller 210 for enabling the tray 50 to be moved up and down And a control unit 22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30. 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driving unit 230,

상세히, 상기 입력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조리 버튼(44)과, 상기 트레이(50)의 높이 조절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46)과, 상기 트레이(50)의 높이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버튼(48)이 포함된다. In detail, the input unit 210 includes at least a cooking button 44 for cooking food, a mode selection button 46 for selecting a height adjustment mode of the tray 50, And a height adjustment button 48 for allowing the user to directly manipulate the height of the display screen.

따라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상기 트레이(50)의 높이가 자동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수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높이 조절 버튼(48)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상기 트레이(5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height of the tray 50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by a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e user can move the tray 50 up and down to a height desired by the user using the height adjustment button 48.

한편,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트레이(5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달리 동작된다. The driving unit 230 includes a driving motor for moving the tray 50 up and down. The drive motor is op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즉,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구동 모터(110, 112)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서 일정 시간 동안 동작된다. 이 때, 일정 시간은 타이머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the driving motors 110 and 112 are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detected by the timer.

그리고, 자동 모드에서 상기 트레이(50)는, 기준 위치에서 요리하고자 하는 조리물에 해당하는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e automatic mode, the tray 50 can be mov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ood to be cooked at the reference position.

즉, 이전 조리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트레이(50)는 기준 위치로 이동되고, 새로운 조리물의 조리시 새로운 조리물에 해당하는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위치는 일 례로 상기 지지부(130)의 높이가 상기 캐비티(20)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부재(120, 125)의 회전축(122, 126)과 동일하게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구동 모터(110, 112)의 구동 시간은 각 조리물에 대응되는 기준 시간 만큼이 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cooking of the previous food is completed, the tray 50 is moved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can be moved to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ew food when the new food is cooked. Here, the reference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height of the supporter 130 is the same as the rotation axes 122 and 126 of the rotatable members 120 and 125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20. In this case,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motors 110 and 112 will be equal to the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each food.

이와 달리, 상기 트레이(50)는 이전 조리물의 조리시의 높이에서부터 새로운 조리물에 해당되는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구동 모터(110, 112)의 구동 시간은 이전 조리물에 해당되는 기준 시간과 새로운 조리물에 대응되는 기준 시간의 차 만큼이 될 것이다. Alternatively, the tray 50 can be moved from the height of the previous cooking to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ew food. In this case,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motors 110 and 112 will be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food and the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the new food.

본 실시예에서 자동 모드하에서 상기 구동 모터는 타이머에 의해서 각 조리물에 해당하는 시간 만큼 구동되도록 구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구동 모터는 각 조 리물에 대응하는 회전수 만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motor is configured to be driven by a timer for a time corresponding to each food under the automatic mode. Alternatively, the drive motor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by the number of revolutions corresponding to each preparation.

한편, 수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높이 조절 버튼(48)의 누름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만큼 동작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e driving motor can be operated for a time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time of the height adjusting button 48. [

이와 달리, 상기 구동 모터는 높이 조절 버튼(48)의 누름 회수에 대응되는 시간 만큼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50)의 높이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단계는 상기 높이 조절 버튼(48)의 누름 회수대로 조절되며, 각 단계마다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시간이 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riving motor may be operated for a tim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height adjustment button 48. [ That is, the height of the tray 50 is configured to be stepwise, and each step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height adjusting button 48, and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motor can be determined for each step.

도 4는 트레이의 위치가 조절된 제 1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first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ray is adjusted.

도 4에는 복사 가열 방식에 의해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트레이의 위치가 도시된다. Fig. 4 shows the position of the tray when the food is cooked by the radiant heating method.

도 4를 참조하면, 복사 가열 방식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26)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히터(26)가 작동하게 되면 열(A)이 조리물에 복사되어 조리물이 가열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food is cooked by the radiant heating method, the heater 26 operates. When the heater 26 is operated, the heat A is copied to the food to heat the food.

이와 같이 복사 가열 방식으로 조리물을 조리할 때에는 상기 히터(26)와 조리물이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리물이 상기 히터(26)와 가깝게 위치되는 경우 조리물의 신속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food is cooked by the radiant hea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er 26 and the food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ood is located close to the heater 26, rapid heating of the food is possible.

복사 가열 방식으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 14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 모터(110, 160)가 회전된다. When the cooked food is cooked by the radiant heating method, the driving motors 110 and 16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ing portions 130 and 140 are lifted as shown in FIG.

그러면, 상기 각 회전 부재(120, 170)가 상기 구동 모터(110, 16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 부재(120, 17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130, 14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조리물이 상기 히터(26)와 가까워지게 된다. The rotatable members 120 and 17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motors 110 and 160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able members 120 and 170 increases the height of the supports 130 and 140 So that the food is brought close to the heater 26.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부(130, 140)는 상기 캐비티(20)의 저면(25)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지지부(130, 140)는 상기 저면(25)으로부터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s 130 and 140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25 of the cavity 2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s 130 and 14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25.

여기서,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 140)가 회전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 부재(120, 170)의 회전축 보다 높게 위치된다. Here, as shown in FIG. 4, at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support portions 130 and 140 are rotated, the support portion is located higher than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members 120 and 170. [

도 5는 트레이의 위치가 조절된 제 2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ray is adjusted.

도 5에는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의 트레이의 위치가 도시된다. Fig. 5 shows the position of the tray when the food is cooked by the microwave.

도 5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파(B)에 의해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마그네트론(27)이 작동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때에는, 상기 조리물은 마이크로파가 조리물로 골고루 조사되기 위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부(130, 14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5, when cooked food is cooked by the microwave B, the magnetron 27 is operated. When the cooked food is cooked using the microwave, the cooked food is required to be positioned at a height for the microwave to be uniformly irradiated with the cooked food. Hereinafter, the support portions 130 and 140 are moved downward.

마이크로파(B)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 14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 모터(110, 160)가 회전된다. 이 때, 상기 구동 모터(110, 160)는 도 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cooked food is cooked using the microwave (B), the driving motors (110, 160) ar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ing portions (130, 140) descen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drive motors 110 and 160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FIG. 4 or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그러면, 상기 각 회전 부재(120, 170)가 상기 구동 모터(110, 16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각 회전 부재(120, 17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130, 14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조리물이 상기 마이네트론(27)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The rotating members 120 and 17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motors 110 and 160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s 120 and 170 causes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members 130 and 140 So that the cooking water is moved away from the Mynetron 27.

여기서,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 140)가 회전된 제 2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130, 140)는 상기 회전 부재(120, 170)의 회전축 보다 낮게 위치된다. Here, 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portions 130 and 140 are positioned lower than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members 120 and 170 in the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s 130 and 140 are rotated.

이하에서는 상기 상하 이동 장치의 작동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up-and-down moving device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130, 140)에 조리물을 올려 놓거나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50)를 상기 지지부(130, 140)에 올려 놓는다. The user puts the food on the supports 130 and 140 or places the tray 50 on which the food is placed on the supports 130 and 140.

그리고, 상기 조리물에 대응되는 조리 버튼(44)을 눌러 조리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한다. 그 다음 상기 모드 선택 버튼(46)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50)의 높이 조절 모드를 선택한다. Then, a menu to be cooked is selected by pressing the cooking button 44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Then, the height adjustment mode of the tray 50 is selected using the mode selection button 46.

만약,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트레이(50)는 상기 조리물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If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the tray 50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od.

반면,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상기 높이 조절 버튼(48)을 이용하여 직접 상기 트레이(50)의 높이를 조절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e user directly adjusts the height of the tray 50 using the height adjustment button 48. [

그리고, 상기 트레이(50)가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시작 버튼(45)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히터(26) 또는 마그네트론(27)이 작동되어 상기 조리물이 조리된다. Then, the start button 45 is pushed after the tray 50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en, the heater 26 or the magnetron 27 is operated to cook the foo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높이가 상하 이동 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 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up-and-down moving device,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또한, 상기 상하 이동 장치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up-and-down moving device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또한, 조리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조리물이 덜 익거나 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조리물의 최적 요리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fo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such as less cooking or less burning of the food is prevented, and optimum cooking of the food is possible.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하 이동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and-down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서 한 쌍의 회전 부재가 동시에 회전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are simultaneously rotated by one driving motor.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 이동 장치에는, 상기 캐비티(20)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 1 상하 이동 장치(300)와, 상기 캐비티(20)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 2 상하 이동 장치(400)가 포함된다. 6, the up-and-down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ertical moving device 30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cavity 20 and a second vertical moving device 30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vity 20, Apparatus 400 is included.

상기 각 상하 이동 장치(300, 400)는, 하나의 구동 모터(310, 410)와, 상기 구동 모터(310, 410)의 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20, 420)와, 상기 동력 전달부(320, 420)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유닛이 포함된다. Each of the up-and-down moving devices 300 and 400 includes one driving motor 310 and 410, a power transmitting part 320 and 420 coupled to a shaft of the driving motor 310 and 410 to transmit power, And a rotating unit rot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s 320 and 420.

그리고, 상기 회전 유닛에는 상기 캐비티(20)의 후벽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회전 부재(330, 430)와, 상기 캐비티(20)의 개구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2 회전 부재(340, 440)가 포함된다. The rotary unit includes a first rotary member 330 and 430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wall of the cavity 20 and a second rotary member 340 and 440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cavity 20,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 1 회전 부재(330, 430)와, 한 쌍의 제 2 회전 부재(340, 440)가 구비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330 and 430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members 340 and 440 are provided.

상세히, 상기 동력 전달부(320, 420)는 일 례로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 부재(330, 340, 430, 440)의 회전축(332, 342, 432, 442)은 상기 캐비티(20)의 측벽(23, 24)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축(332, 342, 432, 442)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320, 420)와 맞물리기 위한 기어(334, 344, 434, 444)가 형성된다. In detail, the power transmission parts 320 and 420 may be gears, for example. The rotary shafts 332, 342, 432 and 442 of the rotary members 330, 340, 430 and 440 pass through the side walls 23 and 24 of the cavity 20, respectively. Gears 334, 344, 434, and 444 for engaging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s 320 and 420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rotation shafts 332, 342, 432, and 442.

상기 한 쌍의 제 1 회전 부재(330, 430)에는 제 1 지지부(130)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 회전 부재(340, 440)에는 제 2 지지부(140)가 결합된다.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30 is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330 and 430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rotating members 340 and 440.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310, 410)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 모터(310, 410)의 축과 결합된 동력 전달부(320, 42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320, 420)가 회전되면, 상기 동력 전달부(320, 420)와 맞물린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330, 340, 430, 44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330, 340, 430, 4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330, 340, 430, 440)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130, 140)가 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s 310 and 410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parts 320 and 420 coupled with the axes of the drive motors 310 and 410 are rotated. Wh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s 320 and 420 are rotated, the pair of rotation members 330, 340, 430, and 440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s 320 and 420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As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330, 340, 430, and 440 are rotated, the supporting portions 130 and 140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s 330, 340, 430, and 440 are rotated and the height thereof is adjusted .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서 복수 개의 회전 부재가 회전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rotating members can be rotated by one driving motor, the cost is reduced.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하 이동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and-down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arrange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4는 트레이의 위치가 조절된 제 1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4 shows a first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ray is adjusted;

도 5는 트레이의 위치가 조절된 제 2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5 shows a second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ray is adjusted;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하 이동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and-down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Claims (13)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A cavity in which the cooking cavity is formed; 상기 조리실에 제공되어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하 이동하는 지지부; 및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to support a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upporting part which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And a vertical movement device coupled with the support to move the support up and down,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 The up-and- 상기 제 1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회전 부재와,A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상기 제 2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회전 부재와,A pair of second rotary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상기 제 1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모터와,A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member, 상기 제 2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nd a second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rotary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상기 캐비티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조리기기.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arranged in a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vit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상기 캐비티의 저면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는 조리기기.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rotat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각 회전 부재에는 회전축과, Each of the rotary members includes a rotary shaft,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포함되며,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support portion, 상기 결합홀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Wherein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각 지지부가 회전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각 지지부는 회전 중심 보다 높게 위치하고,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the support portions are positioned higher than the rotation center, 상기 각 지지부가 회전된 제 2 위치에서 상기 각 지지부는 회전 중심 보다 낮게 위치되는 조리기기. Wherei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otation center a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are rotated.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A cavity in which the cooking cavity is formed; 상기 조리실에 제공되고,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이는 트레이를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 및A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which are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support the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장치; 를 포함하고,A vertically moving device for vertically moving the first support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Lt; / RTI >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The up-and- 상기 제 1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모터를 가지는 제 1 상하 이동 장치; 및A first vertically moving device having a pair of rotary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move the first support portion up and down and a first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ry members; And 상기 제 2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모터를 가지는 제 2 상하 이동 장치;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second up-and-down moving device having a pair of rotating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to move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up and down, and a second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는 상기 캐비티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조리기기.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re dispo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vity. 삭제delete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A cavity in which the cooking cavity is formed; 상기 조리실에 제공되고,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 및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supporting the tray on which the food or the food is plac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이동 장치가 포함되며, And a vertical movement device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up and down, 상기 상하 이동 장치에는, In the up-and-down moving device,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일측을 동시에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상하 이동 장치와, A first vertical movement device for simultaneously moving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up and down,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의 타측을 동시에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상하 이동 장치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And a second up-and-down mov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mov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up and down. 제 11 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는 상기 캐비티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조리기기.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re dispo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vity.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각 상하 이동 장치에는, In each of the up-and-down moving devices, 상기 각 지지부의 일측과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부재와, A pair of rotary members coupl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상기 한 쌍의 회전 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at the same time.
KR1020070129076A 2007-12-12 2007-12-12 Cooking appliance KR101520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76A KR101520093B1 (en) 2007-12-12 2007-12-12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76A KR101520093B1 (en) 2007-12-12 2007-12-12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007A KR20090062007A (en) 2009-06-17
KR101520093B1 true KR101520093B1 (en) 2015-05-13

Family

ID=4099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076A KR101520093B1 (en) 2007-12-12 2007-12-12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0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817763A2 (en) * 2018-11-23 2020-06-22 Arcelik As OVEN WITH ADJUSTABLE RAIL
TR201820546A1 (en) * 2018-12-26 2020-07-21 Arcelik As AN OVEN WITH ADJUSTABLE HEIGHT 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007A (en)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368B1 (en) Cooker
KR101617283B1 (en) Coo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H09250761A (en) Controlling method of drive of tray of microwave oven
EP1392084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heaters
CN109864607A (en) Oven
KR101520093B1 (en) Cooking appliance
EP1392083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heaters
KR101645564B1 (en) Rotary drum typed cooker
KR100788508B1 (en) Ov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H0776623B2 (en) Gas cooker for both oven and grill
CN1884921B (en) Heating cooker
KR101008143B1 (en) Oven range
CN101077266B (en) Heating cooking machine
JP5914273B2 (en) Cooker
KR101200195B1 (en) Oven
JPH04306421A (en) Cooking pan lifter device in microwave oven
KR101026062B1 (en)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liance
JP3901350B2 (en) microwave
JP2003106534A (en) Microwave oven with toaster function
KR100685987B1 (en) Microwave oven
KR20090071245A (en) Cooking method for microwave oven
KR100984216B1 (en) Oven and controling method of the same
KR101003668B1 (en) Cooking appliance
JPH06337116A (en) Heat-cooking apparatus
KR100722022B1 (en) Electric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