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991B1 - 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991B1
KR101519991B1 KR1020130111194A KR20130111194A KR101519991B1 KR 101519991 B1 KR101519991 B1 KR 101519991B1 KR 1020130111194 A KR1020130111194 A KR 1020130111194A KR 20130111194 A KR20130111194 A KR 20130111194A KR 101519991 B1 KR101519991 B1 KR 10151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pace
blowing
fl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2374A (en
Inventor
김호
윤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젠스
Priority to KR102013011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991B1/en
Publication of KR2015003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at least partially below the floor; with air distribution below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oor Finish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를 제공한다. 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에 설치된 제1 공간과 제1 공간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을 분리하는 판넬 및 판넬에 결합되며 개구를 통해 제2 공간의 공기를 제1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A dual floor flooring system is provided. The fan unit has an opening and is coupled to a panel and a panel separating a first space provided in the rack and a second space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space,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중 마루{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for a floor,

개시된 실시예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 기능이 있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 relates to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and a flo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floor floor ventilating system having a cooling function and a double flo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산 장비들 또는 통신 장비들이 설치되는 장비실은 이중 마루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이중 마루란 바닥면에 지주를 결합하고 지주의 상부에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한 후 각각의 프레임 상부에 프레임에 맞게 제작된 다수의 판넬들을 결합하여 바닥면과 판넬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갖는 공간을 형성한 마루 구조를 말한다.Generally, a room where a plurality of computer equipment or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has a double floor structure. In this case, a floor is a floor, a floor is joined to a floor, a plurality of frames are joined to an upper part of a suppor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panels fitted to the frame are assembled on top of each frame, Of the floor structure.

이러한 이중 마루를 설치하는 목적은 판넬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각종 전원선 또는 정보처리용 데이터선 등을 간결하게 처리함으로써 업무 환경을 개선하며, 전산 장비 또는 통신 장비의 교체나 전체 시스템 및 사무 공간의 변경 등의 상황 발생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장비실의 관리 운영을 합리적으로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installing such a double floor i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by processing various power lines or data lines for information processing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panel and the bottom surface, And in the event of a change in office space, etc., and to perform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equipment room reasonably.

한편, 랙에 설치된 전산 장비 또는 통신 장비들을 상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고열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하여, 상기한 장비들의 온도를 일정 범위 이하로 유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장비실의 온도 제어를 위해 장비실내 선풍기나 에이컨과 같은 냉각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선풍기와 같은 냉각 장치는 장비실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선풍기와 가까운 장비에는 냉각 효과가 있지만 선풍기와 먼 거리에 있는 장비에는 냉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컨 또는 장비실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전체 장비에 고르게 냉각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냉각에 따른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uter equipment or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ed in the rack is always operating, high temperature is likely to occur. Thus, there is a need to keep the temperatures of the above-described devices below a certain range.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oom, it is common to install a cooling device such as an equipment fan or an airconditioner. However, a cooling device such as an electric fan occupies a separate space in the equipment roo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effect is reduced in the equipment close to the fan, but in the equipment in the far distance from the fan.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is fixed in the air conditioner or the room of the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effect is not uniformly generated in the entire equipment. In addition, a great deal of cost is incurred in cooling.

본 개시는 장비실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that performs a cooling function without occupying a separate space within the equipment.

본 개시는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ir blowing device for a dual floor which is easy to install, can freely change its position, and is inexpensive.

일 유형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에 설치된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을 분리하는 판넬; 및 상기 판넬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A fan unit for a dual floor system according to one typ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panel separating a first space provided in the rack and a second space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space; And a blowing unit coupled to the panel and blowing air in the second space 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opening.

그리고,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판넬의 후면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the housing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lowing portion and a protrus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anel.

또한,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부에서 제1 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disposed in the opening and adjusting a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to the first space.

그리고, 상기 랙에 설치된 장비 또는 상기 장비의 주변 온도인 제1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제2 공간의 온도인 제2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1 온도,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제2 온도의 차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first temperature which is an ambient temperature of the equipment installed in the rack;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second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blowing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empera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for the first temperature, and a user comman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가 제1 기준 값이하,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제2 기준 값이하, 상기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temperature is low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first temperature is low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he air blowing unit may not be opera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이하이면, 제1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송풍 세기보다 큰 제2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er to operate at a first blowing intensit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first temperatur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f the difference of the second temperatur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blower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at a second blowing intensity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blowing intensit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는,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상기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바닥면과 이격시켜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double floo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blowing units for the dual floor and the spacing units for separating the dual floor air blowing unit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the second space.

본 개시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장비실에 설치된다 하더라도 장비실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장비실의 활용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Since the double floor floor air blower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occupy a separate space in the equipment room even if it is installed in the equipment roo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space of the equipment room.

또한, 본 개시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장비의 온도에 적응적으로 송풍 세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장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al floor floor air blower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keep the temperature of the equipment constant since the blowing intensity is adaptively adjusted to the temperature of the equipment.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이중 마루의 일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설치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고,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장비실과 이중 마루내 공간간의 공기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an unit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mponent of a double floor, it is easy to add and remove the installation, and the air movement between the room and the room can be block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중 판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중 판넬을 제외한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기능을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가 적용되는 이중 마루의 일부 영역을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plan view of the fan unit for a double floor in Fig. 1. Fig.
Fig. 4 is a rear view of the panel of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of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fan unit for a dual floor in FIG. 1 except for the panel.
6 is a block diagram mainly showing the function of the fan unit for a double floor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partial area of a double floor to which the aforementioned blowing device for a double floor is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blowing device for a double flo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은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중 판넬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중 판넬을 제외한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다. 뿐만 아니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의 기능을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가 적용되는 이중 마루의 일부 영역을 도면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FIG. 4 is a rear view of the panel of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of FIG. 1,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of FIG. 1 except for the panel. FIG. 6 is a block diagram mainly showing the function of the dual floor floor air blower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partial area of the double floor floor to which the above-described dual floor air blower is appli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이 설치된 제1 공간(10)과 상기 제1 공간(10)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20)을 분리하는 판넬(110) 및 상기한 개구(112)를 통해 상기 제2 공간(20)의 공기를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120)를 포함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an air blowing device 100 for a dual floor has an opening 112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rst space 10 provided with a rack and a second space 10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space 10, And a blowing unit 120 for blowing the air in the second space 20 into the first space 10 through the opening 112. [

판넬(110)은 장비실내 마루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사용자가 걸어다니더라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경도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판넬(110)은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목질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질계로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규소, 석고,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계는 PVC(Poly Vinyl Chloride), PC(Poly Carbonate),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G(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modified), PCTG(Poly 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아크릴(Acry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목질계는 내수합판,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파티클판넬(110), 케냐프판넬, 수지목분 혼합판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anel 110 may be formed of a hardness material that does not change its shape even when the user walks. The panel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organic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wood material. As the inorganic material, metal such as magnesium, silicon, gypsum and CRC (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can be used. Synthetic resin system can be used in the form of PVC (Poly Vinyl Chloride), PC (Poly Carbonate) 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glycoll modified (PETG), 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CTG),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acrylic, ,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 high density fiberboard (HDF), a particle panel (110), a kenaf panel, and a resin panel mix panel.

상기한 판넬(110)은 판상일 수 있으며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외관을 갖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복수 개의 판넬(110)이 결합하여 마루를 형성하기 때문에 판넬(110)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 등의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판넬(110)의 가운데 영역에는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개구(112) 또한 사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판넬(110)의 후면에는 제2 공간(20)을 향햐여 돌출된 제1 돌출부(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돌출부(114)는 후술하는 제2 돌출부(134)와 결합하여 송풍부(120)을 판넬(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panel 110 may have a plate shape or a polygon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since the plurality of panels 110 are combined to form a floor, the panel 110 is preferably a square such as a square, a rectangle, or a rhombus. In addition, an opening 112 is form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panel 110. The opening 112 may also be a polygon such as a rect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first protrusion 114 protruding from the second space 2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110. The first protrusion 114 may be engag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134 to fix the inflow part 120 to the panel 110.

한편, 송풍부(120)는 상기한 개구(112)를 통해 제2 공간(20)의 공기를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킨다. 송풍부(120)는 제2 공간(20)의 공기를 제1 공간(10)으로 이동시킬 때 일정한 속도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일정한 속도의 공기 이동을 송풍이라고 정의한다. 송풍부(120)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제2 공간(20)에서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한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풍부(120)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제2 공간(20)에서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간(10)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The airflow 120 blows the air in the second space 20 into the first space 10 through the opening 112. The airflow 120 can move the air at a constant rate when the air in the second space 20 is moved to the first space 10. Thus, a constant rate of air movement is defined as airflow. The blowing unit 120 may include a fan that sucks air in the second space 20 by rotating and blows air into the first space 10, and a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fa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lowing unit 120 sucks the air in the second space 20 by the Bernoulli's principle and blows the air into the first space 10.

여기서, 제1 공간(10)은 통신 장비, 전산 장비 등의 장비가 배치되는 랙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 등이 이동하는 공간으로서 장비실내 공간이라고도 한다. 반면, 제2 공간(20)은 전원선 또는 정보처리용 데이터선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이중 마루내 공간이라고도 한다. 송풍부(120)는 제2 공간(20)에 배치됨으로써 제1 공간(10)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공간의 온도는 제1 공간의 온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제2 공간에는 하향송풍식 냉각 장치가 가동되어 있을 수 있다. Here, the first space 10 may be a rack in which equipment such a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puter equipment is installed,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room for the user to move, such as an equipment room.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pace 20 is a space in which a power line or an information processing data line is arranged,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double-floor space. The airflow 12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20 to maximize utilization of the first space 10. Generally,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space. For example, a downward blowing type cooling device may be operated in the second space.

예를 들어,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제2 공간(20)에 배치되며 송풍부(120)를 수용하는 수용부(132);와 수용부(132)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수용부(132)를 판넬(110)에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134)를 포함하는 하우징(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2)와 제2 돌출부(134)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수용부(132)와 제2 돌출부(134)는 탈부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114) 및 제2 돌출부(134)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includes a receiving part 132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20 to receive the airflow 120, and a receiving part 132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132. [ And a second protrusion 134 for fixing the first protrusion 134 to the panel 110. The receiving portion 132 and the second protrusion 134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receiving portion 132 and the second protrusion 134 may be detachable. The first projection 114 and the second projection 134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a bolt.

또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랙에 설치된 장비 또는 장비의 주변 온도(이하 '제1 온도'라고 한다.)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142), 제2 공간(20)의 온도(이하 '제2 온도'라고 한다)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144),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온도, 제2 온도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entilation device 100 for a dual floor has a first temperature sensor 142 for sensing an ambient temper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temperature") of equipment or equipment installed in the rack,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44 for sensing temper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temperature'), and a user input 150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he first temperature, the second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20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ommands.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는 제어부(16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160)와 무선 통신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가 전산 장비, 통신 장비들이 배치되는 장비실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온도 센서(142)는 제1 공간(10) 중 랙 또는 장비 상에 배치되어 장비 또는 장비의 주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제2 온도 센서(144)는 판넬(110)과 바닥면에 의해 형성된 제2 공간(20) 즉 이중 마루 내 공간에 배치되어 제2 공간(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의 감지 결과는 제어부(160)로 인가된다.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142 and 144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by wir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142, 144 may be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160.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42 is disposed on a rack or equipment in the first space 10 in a state where the blowing device 100 for a floor is installed in a room where the computer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re disposed, Can be detect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44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20 by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20 formed by the panel 110 and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space inside the double floor.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142 and 144 are applied to the controller 160.

사용자 입력부(150)는 송풍부(120)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가 조절되는 모드인 자동 모드와 사용자의 직접 명령에 따라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모드인 수동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50)는 송풍부(12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전원 키(152),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키(154), 수동 모드시 송풍 세기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기 키(1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50 i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operating the power-up unit 120. The fan unit 100 for a dual flo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blowing unit 120 regardless of a user command, And a manual mode, which is a mode for adjusting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blower. 1, the user input unit 150 includes a power key 152 for supplying or block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20, a mode key 154 for selecting an automatic mode and a manual mode, At least one intensity key 156 for selecting the blowing intensity in the manual mode, and the like.

상기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하우징(130) 중 제1 공간(10)에 노출된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50)는 개구(112)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사용자 입력부(15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제어부(16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50)가 하드 키로 구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The user input unit 150 is disposed in an area exposed in the first space 10 of the housing 130, thereby facilitating the user's acces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user input 150 may be disposed within the opening 112. The user input unit 150 may be disposed in a spac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an unit 100 for a dual floor system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of the dual floor fan unit 10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Command may be provided. In FIG. 1, the user input unit 150 is implemented as a hard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on a touch screen.

한편, 제어부(16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 내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제1 온도 센서(142)의 결과, 제2 온도 센서(144)의 결과 및 사용자 입력부(1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한다. 제어부(160)의 송풍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모드 키(154)를 이용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를 수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송풍 세기로 송풍부(12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세기는 지난 수동 모드에서 설정된 송풍 세기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수 개의 세기 키(156)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선택된 세기 키(156)에 대응하여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부(160)은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120 in the blowing device 100 for a double floor. I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in unit 120,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wer unit 120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result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42, the result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44 and the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150 .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of the control unit 160 is as follows. The user can set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to the manual mode by using the mode key 154 while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is powered on. Then,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blowing unit 120 to operate the blowing unit 120 at a predetermined blowing intensity. Here, the predetermined intensity may be the blowing intensity set in the past manual mode.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tensity keys 156, the controller 160 can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blowing power of the blow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selected intensity key 156. The controller 160 may be form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또한, 사용자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모드 키(154)를 이용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를 자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가 제1 기준 값(예를 들어, 20℃) 이하, 제1 온도에 대한 제2 온도의 차가 제2 기준 값(예를 들어, 5℃)이하, 제1 온도가 제2 온도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dual floor fan unit 100 to the automatic mode by using the mode key 154 when the fan unit 100 is powered on. Then,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blowing unit 1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For example, if the first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e.g., 20 占 폚), the difference in the second temperature relative to the first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or more, the control unit 160 does not operate the blowing unit 120.

그러나, 제1 온도에 대한 제2 온도의 차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예를 들어, 10℃) 값이하이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가 제1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한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온도와 제2 공간(20)의 온도간 차이가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가 제2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한 송풍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송풍부(120)의 송풍 세기를 0(즉, 송풍부(120)의 동작 정지), 제1 송풍 세기 및 제2 송풍 세기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할 뿐, 송풍 세기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difference of the second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temperatur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e.g., 10 ° C),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blowing unit 120 is operating with the first blowing intensit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lowing unit 120 described abov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quipmen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20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blowing unit 120 to operate the blowing unit 120 with the second blowing intensity You may.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60 divides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blowing unit 120 into 0 (that is, the operation stop of the blowing unit 120), the first blowing intensity and the second blowing intensity, However, the blowing intensity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of the blowing device 100 for a double fl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개구(112)로 노출된 하우징(130)의 일부 영역을 덮는 커버(170)을 포함한다. 상기한 커버(170)는 미세 개구들(1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미세 개구들(174)를 통해 제2 공간(20)에서 제1 공간(1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150) 및 후술하는 인디케이터부(190)이 제1 공간(10)으로 노출될 수 있다.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70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housing 130 exposed to the opening 112. The cover 170 may include fine openings 174. Can be blown from the second space 20 to the first space 10 through the fine openings 174 and the user input portion 150 and the indicator portion 190 described below can be blown into the first space 10 Can be exposed.

뿐만 아니라, 송풍부(120)에서 제1 공간(10)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송풍부(120)에서 제1 공간(10)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풍향 조절부(180)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향 조절부(180)은 송풍부(120)과 커버(170)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미도시)를 통해 하우징(130)에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풍향 조절부(180)는 송풍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1 공간(10)과 제2 공간(20)의 공기 이동을 차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120 to the first space 10 can be adjusted. The blowing device 100 for a dual floor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180 for adjusting a blowing direction of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120 to the first space 10 have. The wind direction adjuster 1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30.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180 is disposed between the wind-up unit 120 and the cover 170 and is fixed to the housing 130 through a hinge (not shown) Thus, the wind direction adjuster 180 may adjust the blowing direction and may block the air movement of the first space 10 and the second space 20, as the case may be.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공간(10, 20) 중 어느 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2, 144) 중 어느 한 센서로부터 80℃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제1 및 제2 공간(10, 20)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가이드부(17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부(174)는 회동하여 개구(112)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74)는 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개구(112)를 차단하고, 전원이 온 상태에에서는 개구(112)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0 and 20, for example, a temperature of 80 ° C or higher from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142 and 144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guide unit 174 so that the air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0 and 20 is blocked. In other words, the guide portion 174 can be rotated to block the opening 112. The guide portion 174 may cut off the opening 112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fan unit 100 is turned off and may open the opening 112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뿐만 아니라,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알리는 인디케이터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30) 중 개구(112)에 노출되는 영역에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에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제1 인디케이터(192),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모드가 수동 모드임을 알리는 제2 인디케이터(193),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모드가 자동 모드임을 알리는 제3 인디케이터(194),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의 송풍 세기를 알리는 제4 및 제5 인디케이터(195, 196)가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unit 190 informing the current state of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For example, in a region of the housing 130 that is exposed to the opening 112, a first indicator 192 indicating whether power is turned on or not of the blower 100 for a double floor, A second indicator 193 indicating that the mode is the manual mode, a third indicator 194 indicating that the mode of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is the automatic mode, a fourth indicator 196 indicating the airflow intensity of the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And fifth indicators 195 and 196, respectively.

도 5는 앞서 기술한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가 적용되는 이중 마루의 일부 영역을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마루는 판넬(110)과 판넬(110)을 지지하면서 판넬(110)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제2 공간(20)을 형성하는 이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이격부(200)는 판넬(1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210)와 지지부(210)들를 연결시키면서 연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0)은 판넬(110)의 하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한 연결부(220)에 의해 판넬(110)은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부(210)의 일 영역에는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도 더 포함될 수 있다. 각 지지부(220)는 하나의 판넬(110)을 지지할 수 있다. 판넬(110)와 일체형일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할 수도 있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partial area of a raised floor to which the above-described ventilating apparatus 100 for a double floor is applied. 5, the raised floor includes a panel 110 and a spacing part 200 that supports the panel 110 and separates the panel 110 from the floor surface to form a second space 20 . The spac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220 connecting one or more support parts 210 supporting the panel 110 and the support parts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110. Thus, the panel 110 can be more stably installed by the connection unit 22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height adjuster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in one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210. [ Each support 220 can support one panel 110. It may be integrated with the panel 110 or may be detachable.

이중 마루(300)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 뿐만 아니라, 판넬만으로 구성된 일반 판넬(3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비실내 마루는 일반 판넬(110)과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는 장비가 설치된 공간과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어 장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ouble floors 300 may be formed by joining not only the blowing apparatus 100 for a double floor but also a general panel 300 composed of only panels. That is, the indoor floor of the equipment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general panel 110 and the fan unit 100 for a double floor. The fan unit 100 for a floor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a region close to the space where the equipment is install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equipment constant.

본 발명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가 장비실에 설치된다 하더라도 장비실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장비실의 활용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장비의 종류 및 장비의 동작에 따라 장비의 온도가 다를 수 있는 현실에서 장비의 온도에 적응적으로 송풍 세기 등이 제어되기 때문에 장비실의 온도 제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는 이중 마루의 일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설치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 제1 공간(10)과 제2 공간(20)을 차단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Even if the blower for doubl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equipment room, since it does not occupy a separate space in the equipment roo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space of the equipment room.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equipmen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quip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equipment room can be facilitated because the blowing intensity and the like are adaptively controlled to the equipment temperature. In addition, since the blowing device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of a double floor, it is easy to add and remove the installation, and in addition to the first space 10 and the second space 20, Can also be performed.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100)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Up to now,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ual floor floor ventilator 100 has been described and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such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limiting thereof.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and described. Since various other modifications may occu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제1 공간 20: 제2 공간
100: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110: 판넬
120: 송풍부 130: 하우징
142: 제1 온도 센서 144: 제2 온도 센서
150: 사용자 입력부 160: 제어부
170: 커버 180: 풍향 조절부
190: 인디케이터부
10: first space 20: second space
100: blowing device for a double floor 110: panel
120: convex portion 130: housing
142: first temperature sensor 144: second temperature sensor
150: user input unit 160:
170: Cover 180: Wind direction adjuster
190: Indicator section

Claims (7)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랙에 설치된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보다 온도가 낮은 제2 공간을 분리하는 판넬;
상기 판넬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랙에 설치된 장비 또는 상기 장비의 주변 온도인 제1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제2 공간의 온도인 제2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1 온도가 제1 기준 값이하,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제2 기준 값이하, 상기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A panel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separating a first space provided in the rack and a second space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space;
A blowing unit coupled to the panel and blowing air in the second space 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opening;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device installed in the rack or a first temperature that is an ambient temperature of the devic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second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An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first temperatur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emperature or mo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판넬의 후면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using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the housing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lowing portion, and a protrus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ane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부에서 제1 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disposed in the opening and adjusting a blowing direction of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to the first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이하이면, 제1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에 대한 상기 제2 온도의 차가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송풍 세기보다 큰 제2 송풍 세기로 동작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ontrolling the blower to operate at a first blowing intensity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first temperatur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And controls the blowing unit to operate at a second blowing intensity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blowing intensity when the difference in the second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temperatur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제 1항 내지 제 3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 및
상기 이중 마루용 송풍 장치를 바닥면과 이격시켜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A double floor floor ventil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d a spacing part separating the ventilation device for the double floor from the bottom surface to form the second space.
KR1020130111194A 2013-09-16 2013-09-16 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 KR1015199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94A KR101519991B1 (en) 2013-09-16 2013-09-16 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94A KR101519991B1 (en) 2013-09-16 2013-09-16 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374A KR20150032374A (en) 2015-03-26
KR101519991B1 true KR101519991B1 (en) 2015-05-15

Family

ID=5302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194A KR101519991B1 (en) 2013-09-16 2013-09-16 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9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3333A (en) * 2020-11-27 2022-05-27 大金工业株式会社 Ground air return device and pollutant control system
KR102659346B1 (en) * 2023-10-04 2024-04-19 서진공조(주) Under floor air conditioning terminal system with fire detection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79B1 (en) 2007-03-16 2007-09-28 주식회사 에이알 Air circulation quantity and air conditioning efficient augmentation system of down flow type thermo-hygrostat
JP2011226737A (en) 2010-04-22 2011-11-10 Sanki Eng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79B1 (en) 2007-03-16 2007-09-28 주식회사 에이알 Air circulation quantity and air conditioning efficient augmentation system of down flow type thermo-hygrostat
JP2011226737A (en) 2010-04-22 2011-11-10 Sanki Eng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374A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8958B2 (en) User control device with cantilevered display
JP7004508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519991B1 (en) Panel for access floor and Access floor including the same
KR20180046519A (en) Cooling system of outdoor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JP2016205750A (en)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WO2018120714A1 (en) Turnon and turnoff control method for fan and apparatus
JP4800237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device
JP6221241B2 (en) Air conditioner
CN219034424U (en)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same
JP4812320B2 (en) Blowout device, underfloor mounting structure of blowout device, and indo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20120041228A (en) 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KR102217637B1 (en) desk with computer
JP491951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uter room and fan rack thereof
KR101710871B1 (en) Desk Integrated with Assembled Computer
JP5981217B2 (en) Shelter
JP2015218963A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JP2013167407A (en) Bathroom air conditioner
CN204518265U (en) The electric cabinet of a kind of control
CN204696515U (en) Moistureproof power distribution cabinet
KR20150128016A (en) Electric fan
KR101429572B1 (en) Grill for air conditioner of cooling-heating or for ventilation
CN106051911B (en) Fan device and ceiling-suspended air conditioning equipment
CN215726087U (en) Install in sensor of high-efficient computer lab
US20220160190A1 (en) Body dryer apparatus
CN108759023A (en) Human inductor and air-conditioning including human i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